KR101314847B1 -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fomentation housing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fomentation ho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847B1
KR101314847B1 KR1020120048572A KR20120048572A KR101314847B1 KR 101314847 B1 KR101314847 B1 KR 101314847B1 KR 1020120048572 A KR1020120048572 A KR 1020120048572A KR 20120048572 A KR20120048572 A KR 20120048572A KR 101314847 B1 KR101314847 B1 KR 101314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tructur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unnel
multipurp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5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춘기
Original Assignee
백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춘기 filed Critical 백춘기
Priority to KR102012004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8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8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8Combined installations of stoves or ranges, e.g. back-to-back stoves with a common fire-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provides a high heating efficiency as differentiation and control of heating temperatures per zone is possible by adopting a unique duct structure with a timber stove which is movable. CONSTITUTION: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comprises the main body (10), the carrier part (30), the countertop (40), and the timber stove (20). Said carrier part is formed as the protruded frame (31a) with formation of the front frame (31) and the rail (33). Said countertop has an opening (41) on the upper face of said carrier part. Said timber stove is installed to allow position move toward front and rear on said rail. Said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s formed with a metal on the whole.

Description

다목적 난방 구조체{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Fomentation Housing}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Fomentation Housing

본 발명은 다목적 난방 구조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우리 고유의 온돌 시스템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금속 구조체로 재현한 것으로서, 목재 난로가 레일 상에서 활주 가능하게 형성되며 금속제 프레임 및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선택적으로는 찜질 하우징과 조리용 아궁이가 설치되어 있어서 경제적이면서도 단시간에 난방이 가능함과 아울러 높은 난방 효율성을 가지며 목재 난로의 위치 이동에 의한 찜질 방으로서의 기능과 난방 온도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아궁이를 이용한 조리도 가능하며, 전원주택이나 음식점의 마당 또는 경치 좋은 장소의 노지에 용이하게 설치 및 위치 이동 가능한 다목적 난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reconstructed our own ondol system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reproduced as a metal structure, the wood stove is slidably formed on the rail and made of metal frame and metal plate It is formed and optionally equipped with a steaming housing and cooking firewood, which enables economical and short time heating, high heating efficiency, and functions as a steaming room by relocating the wood stove, as well as controlling the heating temperatur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and moved in a rural area of a country house or a restaurant or a scenic place.

일반적으로, 난방 구조체 또는 시스템은 아파트나 개인주택 또는 사무용 빌딩 등과 건물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동식 소형 가옥이나 컨테이너 등과 같은 임시 거주 공간에는 그에 고정된 별도의 난방 구조체 또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고 별도의 석유난로나 전기난로 등을 이용하여 난방을 함이 통상적이었다. In general, heating structures or systems are often fixedly installed in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private houses or office buildings, and there is no separate heating structure or system fixed in temporary living spaces such as mobile small houses or containers. It was common to heat using a separate oil stove or electric stove.

또한 오늘날 많이 보급되어 있는 소위 찜질 방이라는 곳도 통상적으로 대형 건물이나 가옥 등의 일정 부분을 황토 등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성 세라믹 소재로 두른 다음, 숯이나 장작, 석유, 액화천연가스 등과 연료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고정식으로 설치되고 있다.In addition, the so-called steam room, which is widely used today, is usually covered with a portion of a large building or a house with a far-infrared radioactive ceramic material such as ocher, and then heated using charcoal, firewood, oil, liquefied natural gas, and fuel. It is adopted and is fixedly installed.

그러나 전원주택이나 음식점의 마당 또는 경관이 훌륭한 장소의 노지 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의 변경을 위한 위치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타인의 시선을 의식할 필요 없이 가족 간 또는 친지간에 편안하게 사용 가능하며, 난방비가 적게 들어 경제적이고, 급속 난방이 용이함은 물론, 영역별 난방 온도의 차별화 내지 제어가 가능하여 높은 난방 효율성을 지니며, 그에 더하여 찜질 및 취사가 가능한 난방 구조체 또는 시스템은 본 발명자가 파악하고 있는 한 현재까지 전혀 알려져 있는 바 없다.However,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yard of rural houses or restaurants, or in the open air of places where the scenery is excellent. In addition, the heating cost is low, economical, rapid heating is easy, as well as the differentiation or control of the heating temperature of each zone has high heating efficiency, and in addition, the heating structure or system capable of steaming and cooking is identified by the present inventors. As far as it is known, nothing is known.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우리 고유의 온돌 시스템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금속 구조물로 재현한 다목적 난방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our unique ondol system is reinterpreted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reproduced as a metal structure.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난방에 목재 난로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경제성을 지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high economy by using a wood stove for heating.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영역별 난방 온도의 차별화 내지 제어가 가능하여 높은 난방 효율성을 지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a high heating efficiency by being able to differentiate or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for each region.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급속 난방이 가능한 다목적 난방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capable of rapid heating.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아궁이를 구비함으로써 취사 가능한 다목적 난방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which is self-catering by having a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며 위치 이동 가능한 다목적 난방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six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movable.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은 찜질 방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 seven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 as a steam room.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첫 번째 양태(樣態)에 따르면, 프레임과, 중앙 통로를 형성하며 양측 상단부에 다수의 열풍 유입구가 형성된 터널과, 상기한 터널을 제외한 상기한 프레임 상부에 위치하는 바닥 평판과, 상기한 바닥 평판으로부터 이격하여 프레임 전 영역의 상방에 위치하는 평판과, 상기한 터널 양측의 평판과 바닥 평판 사이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며 상호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배플이 위치하는 제1 공간부와, 후방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터널 후방 양측의 열풍 저류부와, 상기한 각각의 열풍 저류부 외측의 제2 공간부와, 제1 및 제2 공간부 외측의 개활부와, 상기한 개활부에 형성되는 열풍 배출부를 가지는 본체와; 전방 프레임과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이송부와; 상기한 이송부 상면의 개구부를 가지는 조리대와; 상기한 레일 상에서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목재 난로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aforementioned first to fifth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ame, a tunnel forming a central passage and having a plurality of hot air inlets formed at both upper ends thereof, A floor plate positioned above the frame except for the tunnel, a plate positioned above the entire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plate, and inclined rearward between the plate and the floor plate on both sides of the tunnel; A first space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baffle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ot air storage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tunnel partitioned by a rear partition, a second space portion outside the respective hot air storage portions, and A main body having a open portion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space portions and a hot air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open portion; A transfer part formed of a protruding frame in which a front frame and a rail are formed; A countertop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part; It is composed of a wood stove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n the above rail: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s provided which is formed entirely of metal.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두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열풍 저류부 외측의 제1 공간부에도 후방으로 경사지고 상호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열되는 배플이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first to fifth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ffle is also inclined backward and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first space portion outside the hot air storage portion. This formed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s provided.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세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배플 중 적어도 일부에는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aforementioned first to fifth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some of the above baffles are provided with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네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터널 양측의 개활부 외측에 각각 측방 격벽에 의해 격리된 독립 공간부를 가지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aforementioned first to fifth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independent space portions separated by side partition walls, respectively, on the outer side of the open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tunnel. Is provided.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섯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개활부 각각의 후방에 열풍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aforementioned first to fifth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a hot air discharge portion is formed behind each of the above openings.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섯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목재 난로가 저면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전방에 밀대 고정용 고리가 형성된 목재 소각로와, 상기한 목재 소각로 하부에 위치하는 서랍 형태의 재 수용함과, 하단부의 복수의 활차를 가지며, 상기한 활차를 이용하여 목재 난로가 조리대 하부로부터 터널 후방에 이르기까지 레일을 따라 위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sixth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above first to fifth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stove has a wood incinerator having a plurality of slot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d a push rod fixing ring formed at the front thereof. And a drawer-type reclosing unit located below the wood incinerator and a plurality of pulleys at the bottom thereof, and the wood stove is installed to be moved along the rail from the bottom of the countertop to the rear of the tunnel by using the pulley.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s provided.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곱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이송부의 전방 프레임의 전면에 도어가 설치된 인출구를 가지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seventh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aforementioned first to fifth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a outlet in which a door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of the transfer section.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덟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이송부에 감속기 및 모터와 제어박스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한 감속기에 제1 기어가, 그리고 터널 후단부에 제2 기어가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한 목재 난로가 연결구에 의해 상기한 체인에 고정되고, 상기한 전방 프레임의 전면 일측 및 터널의 후방 일측에 리미트 스위치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한 목재 난로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스토퍼가 설치됨으로써, 상기한 목재 난로가 레일 상에서 소정의 위치로 자동 이송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above first to fifth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ducer and a motor and a control box are installed in the transfer unit, while the first gear is provided in the reducer. And the second gear is connected to the chain at the rear end of the tunnel, the wood stove is fixed to the chain by the connector, the limit switch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side of the tunnel, respectively, The stoppers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one wood stove, thereby providing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the wood stove is formed to be automatically transpor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rail.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아홉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연결구가 직각의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되고 일단은 목재 난로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한 체인에 복수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nin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aforementioned first to fifth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is formed of a right angle metal strip, one end of which is secured to a wood stove and the other end of the chain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s provided that is secured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열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목재 난로 배면의 스토퍼가 상기한 연결구의 배후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above first to fifth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a stopper on the back of the wood stove is connected and fixed behind the connector. .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열한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전방 프레임의 전면 일측의 리미트 스위치가 회동자를 가져, 상기한 돌출 프레임 상으로 목재 난로를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l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aforementioned first to fifth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mit switch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ront frame has a rotatable to move a wood stove onto the protruding frame.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which is formed to be withdrawn.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열두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감속기에 수동 조절용 핸들이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twel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aforementioned first to fifth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speed reducer is provided with a manual adjustment handle.

본 발명의 상기한 여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하단부에 복수의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six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forementioned aspect,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asters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상기한 일곱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첫 번째 양태에 따르면, 열풍 저류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평판 상에 찜질 하우징이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seven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a poultice housing is installed on a flat plate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ot air reservoir.

본 발명의 상기한 일곱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두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찜질 하우징이 후방 격벽으로 막힌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seven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poultice housing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blocked by a rear partition.

본 발명의 상기한 일곱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세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찜질 하우징의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seven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a door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poultice housing.

본 발명의 상기한 일곱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네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본체의 후방 중앙부에 배면 격벽에 의해 한정되는 배면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한 배면 덕트의 양단부가 개구되어 있어 상기한 터널 양측의 제2 공간부가 상호 연통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seven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duct defined by the rear partition is formed in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both ends of the rear duct are opened.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space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tunnel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상기한 일곱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섯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배면 덕트와 열풍 저류부의 경계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seven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back duct and the hot air reservoir.

본 발명의 상기한 일곱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섯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터널 양측에 위치하는 개활부 중 어느 하나에만 열풍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sixth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seven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a hot air discharge portion is formed only in one of the open portions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tunnel.

본 발명의 상기한 일곱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곱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찜질 하우징이 내측벽과 외측벽사이에 열류로가 형성되는 이중벽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찜질 아우징과 그에 접하는 평판에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한 찜질 하우징의 상단부 후방에 수직 연통이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seventh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seven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poultice housing is composed of a double wall in which a heat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wherein the poultice housing and A plurality of slots are formed in the flat plate in contact therewith, and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vertical communication is installed behind the upper end of the poultice housing.

본 발명의 상기한 일곱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덟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찜질 하우징의 열류로가 복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한 찜질 하우징의 상부에 열류로와 연통된 수평 연통을 가지며 상기한 수평 연통의 후방 단부에 수직 연통이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seven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flow path of the steam housing is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s,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heat flow path on the top of the steam housing.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a vertical communication and provided with a vertical communication at a rear end of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상기한 제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평판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마루 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aforemention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n which a floor panel is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t plate.

본 발명의 상기한 제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평판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황토층이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aforemention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is provided in which an ocher layer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t plate.

본 발명의 상기한 제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평판 상에 금속과 목재, 또는 금속, 목재 및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가옥 프레임 및 지붕이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moothly achieving the abov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object having a roof and a house frame formed of metal and wood, or metal, wood, and ceramic on the flat plate. A heating structure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난방 구조체는 우리 고유의 온돌 시스템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금속 구조물로 재현한 것으로서, 난방에 목재 난로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경제성을 지니며, 목재 난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독특한 덕트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영역별 난방 온도의 차별화 내지 제어가 가능하여 높은 난방 효율성을 지님은 물론, 전체가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속 난방이 가능함과 아울러, 아궁이를 구비함으로써 취사 용도로의 사용 가능하며, 전원주택이나 음식점의 마당 또는 경치 좋은 장소의 노지에 설치가 용이하고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트럭에 실어 운반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과 더불어, 선택적으로 찜질 방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interpretation of our unique ondol system from a modern point of view and reproduced as a metal structure, and has a high economy by using a wood stove for heating, and the position of the wood stove can be moved and unique By adopting the duct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or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of each area, which not only has high heating efficiency, but also the whole is made of metal, so that rapid heating is possible. It is easy to install in the yard of a rural house or restaurant or on the open ground of a scenic pla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ve the location, and can be carried on a truck, and can optionally perform a function as a steam roo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난방 구조체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체의 얼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목재 난로의 활주 이송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이송 체인과 목재 난로의 결합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1에서의 본체부의 상부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예시도이다.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diaphragm of the body.
3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lide transport structure of a wood stove.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part of the transfer chain and the wood stove in FIG. 3.
5A and 5B are exemplary cross sectional views respectively showing an upper stacked structure of the main body in FIG. 1.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난방 구조체(10)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체(10)의 얼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목재 난로(20)의 활주 이송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의 이송 체인(38a)과 목재 난로(20)의 결합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diaphragm of the main body 10, and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slide feed structure of the wood stove 20.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transfer chain 38a and the wood stove 20 in FIG. 3, which will be referred to togeth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난방 구조체(1)의 기본 구조는 다수의 열풍 유입구(14a)가 형성되어 있는 중앙의 터널(14)과, 상기한 터널(14)의 양측에 위치하며 바닥 평판(13)과 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평판(1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공간부(19a,19b), 열풍 저류부(18), 개활부(19c) 및 열풍 배출부(17)를 가지는 본체(10)와, 복수의 활차(26)를 가지는 목재 난로(20)와, 상기한 목재 난로(20)의 전후방 위치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한 레일(33)을 가지는 이송부(30)로 구성되며, 전 구성요소는 금속으로 형성된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ntral tunnel (14) in which a plurality of hot air inlets (14a) are formed, and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unnel (14) and the bottom plate (13) and The main body which has the 1st and 2nd space parts 19a and 19b, the hot air storage part 18, the open part 19c, and the hot air discharge part 17 formed between the flat plates 11 spaced upwards therefrom. 10, a wood stove 20 having a plurality of pulleys 26, and a transfer unit 30 having a rail 33 for enabl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movement of the wood stove 20 described above, The component is formed of metal.

상기한 금속으로서는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탄소강, 또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이 적용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탄소강의 경우에는 각 구성요소가 주로 용접으로 결합되며, 알루미늄이나 그 합금인 경우에는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내구성이나 견고성, 그리고 내식성 측면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특히 바람직하나, 경량성 및 조립 시공의 편리성을 고려하면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모두는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As the metal, stainless steel or carbon steel, or aluminum or aluminum alloy may be applied. In the case of stainless steel or carbon steel, each component is mainly joined by welding, and in the case of aluminum or its alloy, it may be prefabricated. Stainless steel is particularly preferred in terms of durability, robustness, and corrosion resistance, but may be formed of an aluminum alloy in consideration of light weight and convenience of assembly and construction, all of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장 기본적인 구성의 다목적 난방 구조체(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체(10)와 목재 난로(20)와, 이송부(30)와, 조리대(40) 만으로 구성된다.First, 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1 of the most bas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in body 10, a wood stove 20, a transfer unit 30, and a countertop 40 as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한 본체(10)는 프레임(12)과, 중앙 통로를 형성하며 양측 상단부에 다수의 열풍 유입구(14a)가 형성된 터널(14)과, 상기한 터널(14)을 제외한 상기한 프레임(12) 상부에 위치하는 바닥 평판(13)과, 상기한 바닥 평판(13)으로부터 이격하여 프레임(12) 전 영역의 상방에 위치하는 평판(11)과, 상기한 터널(14) 양측의 평판(11)과 바닥 평판(13) 사이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며 상호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배플(15)이 위치하는 제1 공간부(19a)와, 후방 격벽(16a)에 의해 구획되는 터널(14) 후방 양측의 열풍 저류부(18)와, 상기한 각각의 열풍 저류부(18) 외측의 제2 공간부(19b)와, 상기한 제1 및 제2 공간부(19a,19b) 외측의 개활부(19c)와, 상기한 개활부(19c)에 형성되는 열풍 배출부(17)를 가진다.Here, the main body 10 has a frame 12, a tunnel 14 forming a central passage and having a plurality of hot air inlets 14a formed at both upper ends thereof, and the above-described frame except for the tunnel 14 12) the bottom plate 13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the plate 11 located above the entire area of the frame 12 away from the bottom plate 13, and the plate 14 on both sides of the tunnel 14 ( A tunnel partitioned by the rear partition wall 16a and the first space 19a in which a plurality of baffles 15 are arranged inclined to the rea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arranged rearwardly between 11 and the bottom plate 13. (14) Hot air storage portions 18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second space portions 19b outside the respective hot air storage portions 18, and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pace portions 19a and 19b described above. The open part 19c of this invention and the hot air discharge | release part 17 formed in said open part 19c are mentioned.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임(12)의 형태는 제한적이지 아니하고 임의 선택적이기는 하지만 장방형의 상측 및 하측 프레임(12a,12b)과 이를 상호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12c)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상측 프레임(12a)의 저면에는 바닥 평판(13)이 결합되고 상기한 상측 프레임(12a)의 상면에는 평판(11)이 결합됨으로써 상호 이격된 내부 공간은 열풍로를 형성하는 덕트(duct)를 형성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frame 12 is not limited and is optional, but consists of rectangular upper and lower frames 12a and 12b and vertical frames 12c interconnecting them. The bottom plate 13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frame 12a, and the plate 11 is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frame 12a, so that internal sp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m a hot air duct. Will form.

또한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열풍 저류부(18) 외측의 제2 공간부에도 후방으로 경사지고 상호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열되는 배플(15)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affle 1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outside the hot air storage 18, which is inclined backwar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한 배플(15)의 후방 경사각은 20~60˚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열풍 체류 시간의 유지 및 원활한 열풍 흐름을 고려할 때 20~4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의 범위이다. The rear inclination angle of the baffle 15 is in the range of 20 to 60 degree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45 degree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30 degrees in view of maintaining proper hot air residence time and smooth hot air flow. .

상기한 배플(15)의 대부분에는 후방으로의 원활한 열류 흐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개구(15a)가 형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배플(15)에 의해 열풍을 개활부(19c)로 원활히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개구(15a)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바람직하게는 이들을 적절히 조합한 형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A large number of openings 15a are formed in most of the baffles 15 to facilitate a smooth flow of heat to the rear. However, in some cases, the hot air is smoothly transferred to the open portion 19c by the baffles 15. Of course, the opening 15a as described above may not be formed in order to guide, and, of course, the shape may be a combination of these.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터널(14) 양측의 개활부(19c) 외측에 각각 측방 격벽(16b)에 의해 격리된 독립 공간부(19d)를 형성하여 둠으로써, 상기한 평판(11)의 좌우 양측 영역의 하방으로는 열풍이 유입되지 않고 다만 금속의 열전도만 이루어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나타내는 영역대(領域帶)를 형성하여 둠으로써, 지나치게 더울 경우의 피서 영역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 선택적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independent space portions 19d isolated by the side partition walls 16b are formed outside the open portions 19c on both sides of the tunnel 14, so that the flat plate 11 In the lower left and right areas, hot air is not introduced, but only a region show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where only metal heat conduction is formed. Optionally optional.

이 경우, 도 2에 열류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목재 난로(20)에 의해 발생된 열류는 터널(14)의 양측 상단부에 다수개 형성되는 열풍 유입구(14a)를 통하여 배플(15)에 의해 안내되면서 제1 공간부(19a)로 유입되는 한편, 열풍 저류부(18) 내로도 유입되며, 상기한 제1 공간부(19a)로 유입된 열풍의 일부는 배플(15)에 의해 안내되어 개활부(19c)로 향한 다음, 제2 공간부(19b)로 유입되는 한편, 배플(15)의 개구(15a)를 통하여 직접 제2 공간부(19b)로 유입된다. In this case, as indicated by the flow of the heat flow in Figure 2, the heat flow generated by the wood stove 20 is the baffle 15 through the hot air inlet (14a) formed in a plurality of upper ends of the tunnel (14) While being guided by the first space portion (19a), while also flowing into the hot air storage unit 18, a portion of the hot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portion (19a) is guided by the baffle (15) After entering the open portion 19c, the water flows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19b and directly into the second space portion 19b through the opening 15a of the baffle 15.

또한 도시된 예에서와는 달리, 상기한 양측의 개활부(19c) 각각의 후방에 열풍 배출부(17)를 각기 형성하여 둘 수도 있으며, 상기한 열풍 배출부(17)에는 연통(60)이 설치되며, 상기한 연통(60) 내부에는 열류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무동력 팬 구조체(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unlik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hot air discharge unit 17 may be formed on the rear of each of the open portion 19c of the both sides, respectively, the hot air discharge unit 17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60) In the communication 60, a non-powered fan structure (not shown) may be installed to induce a smooth flow of heat flow.

이어서, 목재 난로(20)에 대하여 설명하면, 목재 난로(20)는 상부의 목재 소각로(21)와 하부에 서랍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재 수용함(22)으로 형성되며 저부에는 복수의 활차(26)가 형성되어 있다. Next, with reference to the wood stove 20, the wood stove 20 is formed of a wood incinerator 21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re-accommodation 22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drawer at the bottom and a plurality of pulleys 26 at the bottom ) Is formed.

여기서, 상기한 목재 소각로(21)의 저면에는 재 낙하를 위해 형성된 다수의 슬롯(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에는 밀대(미도시: 일단부에 꼬챙이가 달린 긴 쇠막대) 고정을 위한 고리(21b)가 형성되어 있다.Here, the bottom of the wood incinerator 2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ots (21a) formed for the fall back, the front 21 (21b) for fixing the rod (not shown: long iron rod with a skewer at one end) Is formed.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밀대(미도시)를 이용하여 목재 난로(20)를 후술하는 한조의 레일(33) 상에서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난방 영역의 온도 차등 제어가 수동으로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by using the above-described straw (not shown), the wood stove 20 can be moved back and forth on a set of rails 33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tial control of the heating area can be manually performed.

한편, 재 수용함(22)은 상기한 목재 소각로(21)의 하부에 위치하며, 낙하된 목재 소각에 의한 재를 모으도록 되어 있으며, 서랍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손잡이(22a)를 이용하여 상기한 재 수용함(22) 만을 인출하여 재를 버린 후 다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accommodating container 22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wood incinerator 21, and collects ash from the wood incineration that has fallen, and is retractable using the handle 22a because it is a drawer type. Take out only the bin 22, discarded the ash and is formed so that it can be reinserted.

상기한 이송부(30)는 전방 프레임(31)과 그 저면에 전방으로 다시 돌출되어 있는 돌출 프레임(31a)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전방 프레임(31)의 저면에는 목재 난로(20)를 외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32)가 형성되며 상기한 인출구(32)에는 도어(34)를 설치함으로써 목재 난로(20)로부터 발생되는 열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돌출 프레임(31a)은 터널(14)의 후방까지 연장 형성되며 그 위에는 한 조의 레일(3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목재 난로(20)의 활차(26)가 레일(33)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활주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transfer part 30 is composed of a front frame 31 and a protruding frame 31a protruding forward again to the bottom of the front frame 31, and the wood stove 20 is drawn out to the periphery of the bottom of the front frame 31. The outlet 32 is formed so that the outlet 32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heat flow generated from the wood stove 20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by installing the door 34, the above-described protruding frame 31a ) Extends to the rear of the tunnel 14 and a pair of rails 33 are formed thereon, so that the pulley 26 of the wood stove 20 is slidably movable on the rails 33. Formed.

한편, 조리대(40)는 상기한 이송부(30) 상면의 평판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개구부(41)를 형성하여 둠으로써 솥(70)이나 냄비, 프라이팬 등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untertop 40 is composed of a flat pl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30, if necessary, by forming the opening 41 can be configured to mount the pot 70, pots, pans, etc. hav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본체(10)의 하단부 적절한 개소에 복수의 캐스터(caster)를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난방 구조체(1)를 밀고 당김으로써 적절한 위치로의 위치 이동이나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is invention, the position movement to an appropriate position by pushing and pulling 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1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casters in a suitable location of the lower end part of the main body 10 mentioned above. However, it can also form so that adjustment is possible.

이하 동일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목재 난로(20)의 위치 이동 내지 위치 조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가 있는 자동화 구조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자동화 구조에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same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automated structure that can automatically perform the position movement to position adjustment of the wood stove 20, which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to the automation structure.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이송부(30)에 상호 체인(38)으로 연결되어 있는 감속기(36) 및 모터(35)와 제어박스(37)가 설치되고, 상기한 감속기(36)의 일단에는 제1 기어(도면부호 미부여)가 설치되는 한편 터널(14) 후단부에는 제2 기어(도면부호 미부여)가 설치되고 이들 제1 및 제2 기어는 체인(38a)으로 연결되어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reducer 36, the motor 35, and the control box 37,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hain 38 to the transfer unit 30, are installed, and one end of the reducer 36 is provided. One gear (not shown) is provided while a second gear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tunnel 14 and these first and second gears are connected by a chain 38a.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목재 난로(20)가 연결구(23)에 의해 상기한 체인(38a)에 고정되고, 상기한 전방 프레임(31)의 전면 일측 및 터널(14)의 후방 일측에는 리미트 스위치(39,39a)가 각각 장착되는 한편, 상기한 목재 난로(20)의 전면 및 배면에는 각각 스토퍼(24,25)가 설치됨으로써, 상기한 목재 난로(20)가 레일(33) 상에서 소정의 위치로 리모컨 또는 유선 인출 스위치에 의해 자동 이송 가능하게 형성된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wood stove 20 is fixed to the chain 38a by a connector 23, and the front side of the front frame 31 and the rear side of the tunnel 14 are limited. The switches 39 and 39a are mounted, respectively, and the stoppers 24 and 25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wood stove 20, so that the wood stove 20 is placed on the rail 33. It is formed to be automatically transported to the position by a remote control or a wired withdrawal switch.

여기서, 상기한 연결구(23)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의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은 목재 난로(20)에 용접 또는 나사 고정되고 그 타단은 그 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공(23a)을 통하여 상기한 체인(38a)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복수의 고정수단(23b)으로 고정된다.Here, the connector 23 is formed of, for example, a right angle metal strip as shown in the drawing, one end of which is welded or screwed to the wood stove 20 and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fixing holes 23a formed at the end thereof. It is fixed to the chain 38a through a plurality of fixing means 23b such as bolts and nuts.

따라서 모터(35)의 구동력이 감속기(36)를 통하여 제1 기어(도면부호 미부여)를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체인(38a)에 연결된 열결구(23)를 통하여 목재 난로(20)를 터널(14)의 후방으로 당기거나 전방으로 밀어 냄으로써 상기한 목재 난로(20)를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하며, 이에 의해 온도 차이를 부여하는 난방 영역의 국소별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35 rotates the first gear (not shown) through the speed reducer 36, the tunnel 14 is opened through the wood stove 23 connected to the chain 38a. The wood stove 20 can be moved in position by pulling backward or pushing forward), thereby allowing local control of the heating area to impart a temperature difference.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목재 난로(20) 배면의 스토퍼(25)가 상기한 연결구(23)의 배후에 용접 또는 볼트 고정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연결 고정되어 있으나, 그 연결 형식 및 형태는 본 발명에 있어 제한적이지 아니하며 임의 선택적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topper 25 on the back of the wood stove 20 is connected and fixed by a fixing means such as welding or bolt fixing behind the connector 23, the connection type and form Is not limiting and optional for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한 전방 프레임(31)의 전면 일측의 리미트 스위치(39)에는 회동자(39b)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한 돌출 프레임(31a) 상으로 목재 난로(20)의 인출 시 걸림에 의한 장애를 초래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rotor 39b is installed at the limit switch 39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ront frame 31 to prevent obstacles caused by a jam when the wood stove 20 is pulled out onto the protruding frame 31a. It is formed so as not to bring about.

아울러, 상기한 감속기(36)에는 전기 고장 시 수동으로 목재 난로(20)를 인출 내지 인입시킬 수 있도록 수동 조절용 핸들(36a)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peed reducer 36 is provided with a manual adjustment handle 36a so that the wood stove 20 can be drawn out or drawn in manually in the event of an electrical failure.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난방 구조체(1)가 찜질 하우징(50)을 가지는 다른 구체예에 대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ultice housing 50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한 찜질 하우징(50)은 터널(14) 양측에 위치하는 전술한 열풍 저류부(18)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평판(11) 상에 설치되며,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 배후는 후방 격벽(미도시)으로 막혀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는 찜질 하우징(50)이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상기한 열풍 저류부(18) 상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고온 난방에 유리함은 물론이다.The poultice housing 50 is installed on a flat plate 11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bove-described hot air reservoir 18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unnel 14, although not shown, behind the rear partition wall. Blocked by (not shown), the illustrated example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poultice housing 50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of various shapes and sizes. It is, of course, advantageous for high temperature heating to be formed on one hot air reservoir 18.

또한 비록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기한 찜질 하우징(50)의 전면에는 별도의 도어(미도시)를 설치하여 둠으로써 찜질에 적합한 고온 난방을 쉽게 이룰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t may be preferable to form a separate door (not shown) on the front of the poultice housing 50 so as to easily achieve high temperature heating suitable for the poultice.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앞에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으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본체(10)의 후방 중앙부에 배면 격벽(16c)에 의해 한정되는 배면 덕트(1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배면 덕트(18a)의 양단부는 개구되어 있어 상기한 터널(14) 양측의 제2 공간부(19b)가 상호 연통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한 열풍 저류부(18)와의 경계 부분에 복수의 개구(도면부호 미부여)를 형성함으로써 열풍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Although specifically illustrated in FIG. 2, but not described above,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rear duct 18a defined by the rear partition 16c is formed at a rear cent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Both ends of the rear duct 18a are opened, and the second space portions 19b on both sides of the tunnel 14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if necessary, a plurality of portions are provided at the boundary portion with the hot air storage portion 18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smoothly flow the hot air by forming an opening (not shown).

이 경우,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기한 터널(14)의 양측에 위치하는 개활부 (19c) 중 어느 하나에만 열풍 배출부(17)를 형성하여 둘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hot air discharge unit 17 may be formed in only one of the open portions 19c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tunnel 14.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찜질 하우징(50)을 단일벽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내측벽(51)과 외측벽(52) 사이에 열류로(54)가 형성되도록 이중벽으로 구성하고, 상기한 찜질 하우징(50)과 그에 접하는 평판(11)에 복수의 슬롯(11a)을 형성함으로써, 제1 공간부(19a) 및 열풍 저류부(18)로부터 열류가 이를 통하여 상향으로 흘러 상기한 열류로(54)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찜질 하우징(50)의 고온화를 더욱 도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instead of forming the above-mentioned poultice housing 50 as a single wall, a double wall is formed so that a heat flow path 54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51 and the outer wall 52, By forming a plurality of slots 11a in the poultice housing 50 and the flat plate 11 in contact therewith, heat flows upwardly from the first space 19a and the hot air storage 18 so that the above heat flows.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poultice housing 50 by allowing it to flow into the furnace 54.

또한 상기한 찜질 하우징(50)의 상단부 후방에는 수직 연통(56)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communication 56 is installed behind the upper end of the poultice housing 50.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찜질 하우징(50)의 열류로(54)를 복수, 구체적으로는 2개의 격벽(53)에 의해 구획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한 찜질 하우징(50)의 상부에는 열류로(54)와 각기 연통되는 수평 연통(55)과 그 후방 단부에 수직 연통(5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수평 연통(55)의 전방 단부가 폐쇄되어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heat flow path 54 of the poultice housing 50 is divided into two, specifically, two partition walls 53. An example of the heat flow path is illustr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oultice housing 50. The vertical communication 56 is provided at the rear end and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55 communicating with the furnace 54, and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55 is, of course, closed.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1에서의 본체(10)의 상부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예시도로서, 도 5a의 경우에는 상기한 평판(11)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마루 패널(90)이 설치되어 있어 평판(11)에 가해지는 난방열이 과도하게 직접 사람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5b의 경우에는 상기한 평판(11)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황토층(80)을 형성함으로써 평판(11)에 가해지는 난방열이 과도하게 직접 사람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원적외선 방사 효과에 의한 온열 기능이 더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5A and 5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the upper lamination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 in FIG. 1. In the case of FIG. It is shown that the heating heat applied to the flat plate 11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excessively directly transmitted to a person. In the case of FIG. 5B, the ocher layer 80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t plate 11. By forming, the heating heat applied to the flat plate 11 is not excessively directly transmitted to a person, and the example which is formed so that the heat function by a far-infrared radiation effect is added is shown.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황토층(80) 상에 마루 패널(90)을 깔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panel 90 may be laid on the above-described ocher layer 80.

또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난방 구조체(1)의 본체(10) 상에는 금속 기둥을 세운 후 목재 또는 세라믹 소재를 이용하여 가옥 프레임 및 지붕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on the main body 10 of 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frame may be erected to form a house frame and a roof using a wood or ceramic material.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난방 구조체(1)에 있어서는 목재 난로(20)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터널(14) 내부 영역 및 조리대(40) 하부 영역에 걸쳐 임의의 위치로 이송 가능하므로 그에 따라 조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고른 난방을 의도하거나 또는 찜질 기능을 중점적으로 수행하거나 하는 등의 선택 난방 및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stove 20 can be manually or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an arbitrary position over the inner region of the tunnel 14 and the lower region of the countertop 40.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elective heating and control, such as focusing on cooking, intending even heating, or performing a steaming function, are possibl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난방 구조체
10: 본체
11: 평판 11a: 슬롯
12: 프레임 12a: 상측 프레임
12b: 하측 프레임 12c: 수직 프레임
13: 바닥 평판 14: 터널
14a: 열풍 유입구 15: 배플(baffle)
15a: 개구 16a: 후방 격벽
16b: 측방 격벽 16c: 배면 격벽
17: 열풍 배출부 18: 열풍 저류부
18a: 배면 덕트 19a: 제1 공간부
19b: 제2 공간부 19c:개활부
19d: 독립 공간부
20: 목재 난로
21: 목재 소각로 21a: 슬롯
21b: 고리 22: 재 수용함
22a: 손잡이 23: 연결구
23a: 고정공 23b: 고정 수단
24,25: 스토퍼 26: 활차
30: 이송부
31: 전방 프레임 31a: 돌출 프레임
32: 인출구 33: 레일
34: 도어 35: 모터
36: 감속기 37: 제어 박스
38,38a: 체인 39,39a: 리미트 스위치
39b: 회동자
40: 조리대 41:개구부
50: 찜질 하우징
51: 내측벽 52: 외측벽
53: 격벽 54: 열류로
55: 수평 연통 56: 수직 연통
57: 출입구
60: 연통 70: 솥
80: 황토층 90: 마루 패널
1: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Body
11: flatbed 11a: slot
12: frame 12a: upper frame
12b: lower frame 12c: vertical frame
13: floor plate 14: tunnel
14a: hot air inlet 15: baffle
15a: opening 16a: rear bulkhead
16b: side bulkhead 16c: back bulkhead
17: hot air outlet 18: hot air storage
18a: rear duct 19a: first space part
19b: second space portion 19c: open portion
19d: Free Space
20: wood stove
21: Wood Incinerator 21a: Slot
21b: Loop 22: Reaccommodation
22a: handle 23: connector
23a: fixing hole 23b: fixing means
24, 25: stopper 26: pulley
30: transfer unit
31: Front frame 31a: Extruded frame
32: outlet 33: rail
34: door 35: motor
36: reducer 37: control box
38,38a: chain 39,39a: limit switch
39b: congregator
40: countertop 41: opening
50: poultice housing
51: inner wall 52: outer wall
53: partition 54: heat flow
55: horizontal communication 56: vertical communication
57: doorway
60: communication 70: pot
80: ocher layer 90: parquet panel

Claims (24)

프레임과, 중앙 통로를 형성하며 양측 상단부에 다수의 열풍 유입구가 형성된 터널과, 상기한 터널을 제외한 상기한 프레임 상부에 위치하는 바닥 평판과, 상기한 바닥 평판으로부터 이격하여 프레임 전 영역의 상방에 위치하는 평판과, 상기한 터널 양측의 평판과 바닥 평판 사이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며 상호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배플(baffle)이 위치하는 제1 공간부와, 후방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터널 후방 양측의 열풍 저류부와, 상기한 각각의 열풍 저류부 외측의 제2 공간부와, 제1 및 제2 공간부 외측의 개활부와, 상기한 개활부에 형성되는 열풍 배출부를 가지는 본체와;
전방 프레임과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이송부와;
상기한 이송부 상면의 개구부를 가지는 조리대와;
상기한 레일 상에서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목재 난로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
A tunnel, a tunnel forming a central passage and having a plurality of hot air inlets formed at both upper end portions, a bottom plate positioned above the frame except for the tunnel, and an upper portion of the entire fram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A first space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baffles are disposed in an inclined rearward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rear plates between the flat plates on both sides of the tunnel and the bottom flat plate, and the rear of the tunnel partitioned by the rear partition wall A main body having hot air storage portions on both sides, a second space portion outside the respective hot air storage portions, an open portion on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pace portions, and a hot air discharge portion formed on the open portion;
A transfer part formed of a protruding frame in which a front frame and a rail are formed;
A countertop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part;
It consists of a wood stove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on the rail:
Entirely formed of metal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열풍 저류부 외측의 제1 공간부에도 후방으로 경사지고 상호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열되는 배플이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affle in which the first space portion outside the hot air storage portion is inclined to the rea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arranged in parall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플 중 적어도 일부에는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in at least some of the baff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터널 양측의 개활부 외측에 각각 측방 격벽에 의해 격리된 독립 공간부를 가지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independent space portions separated from side openings on both sides of the tunnel by side partition wa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개활부 각각의 후방에 열풍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ot air discharge portion is formed behind each of the open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목재 난로가 저면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전방에 밀대 고정용 고리가 형성된 목재 소각로와, 상기한 목재 소각로 하부에 위치하는 서랍 형태의 재 수용함과, 하단부의 복수의 활차를 가지며, 상기한 활차를 이용하여 목재 난로가 조리대 하부로부터 터널 후방에 이르기까지 레일을 따라 위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od stove is a wood incinerator having a plurality of slot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push rod fixed in front, a drawer-shaped re-receiving portion located below the wood incinerator, and a plurality of lower portions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a pulley of the above, wherein the wood stove is installed to be moved along the rail from the bottom of the countertop to the rear of the tunnel by using the pull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부의 전방 프레임의 전면에 도어가 설치된 인출구를 가지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s a outlet in which a doo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ront frame of the transf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송부에 감속기 및 모터와 제어박스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한 감속기에 제1 기어가, 그리고 터널 후단부에 제2 기어가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한 목재 난로가 연결구에 의해 상기한 체인에 고정되고, 상기한 전방 프레임의 전면 일측 및 터널의 후방 일측에 리미트 스위치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한 목재 난로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스토퍼가 설치됨으로써, 상기한 목재 난로가 레일 상에서 소정의 위치로 자동 이송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ducer, the motor and the control box is installed in the conveying unit, while the first gear is connected to the reducer and the second gear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unnel by a chain, the wood stov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The wood stove is fixed to the chain by a limit switch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side of the tunnel, respectively, and a stopper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wood stove, respectively. A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which is formed to be automatically transpor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b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구가 직각의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되고 일단은 목재 난로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한 체인에 복수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onnector is formed of a right angle metal strip,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a wood stov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chain by a plurality of fixing mea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목재 난로 배면의 스토퍼가 상기한 연결구의 배후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10. 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topper on the back of the wood stove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rear of the connec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방 프레임의 전면 일측의 리미트 스위치가 회동자를 가져, 상기한 돌출 프레임 상으로 목재 난로를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10. 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limit switch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rame has a rotatable to draw a wood stove onto the protruding frame.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감속기에 수동 조절용 핸들이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handle for manual adjustment is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speed reduc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하단부에 복수의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casters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열풍 저류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평판 상에 찜질 하우징이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oultice housing is installed on a flat plate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ot air reservoi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찜질 하우징이 후방 격벽으로 막힌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poultice housing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blocked by a rear partition wal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찜질 하우징의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a door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oultic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후방 중앙부에 배면 격벽에 의해 한정되는 배면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한 배면 덕트의 양단부가 개구되어 있어 상기한 터널 양측의 제2 공간부가 상호 연통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ar duct defined by a rear bulkhead is formed at a rear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both ends of the rear duct are opened so that the second space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tunnel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면 덕트와 열풍 저류부의 경계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rear duct and the hot air storag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터널 양측에 위치하는 개활부 중 어느 하나에만 열풍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18. 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a hot air discharge portion is formed only in one of the open portions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tunne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찜질 하우징이 내측벽과 외측벽사이에 열류로가 형성되는 이중벽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찜질 하우징과 그에 접하는 평판에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한 찜질 하우징의 상단부 후방에 수직 연통이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oultice housing is composed of a double wall formed of a heat flow path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a plurality of slots are formed in the poultice housing and the plate in contact with it, the rear of the upper end of the poultice housing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with vertical flue installed on the floor. 제20항에 있어서, 상기한 찜질 하우징의 열류로가 복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한 찜질 하우징의 상부에 열류로와 연통된 수평 연통을 가지며 상기한 수평 연통의 후방 단부에 수직 연통이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heat flow path of the poultice housing is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s, and has a horizontal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heat flow path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oultice housing and vertical communication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평판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마루 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loor panel is provided on at least part of said flat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평판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황토층이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cher layer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t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평판 상에 금속과 목재, 또는 금속, 목재 및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가옥 프레임 및 지붕이 형성되어 있는 다목적 난방 구조체.


The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ouse frame and a roof formed of metal and wood, or metal, wood, and ceramic are formed on the flat plate.


KR1020120048572A 2012-05-08 2012-05-08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fomentation housing KR1013148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572A KR101314847B1 (en) 2012-05-08 2012-05-08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fomentation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572A KR101314847B1 (en) 2012-05-08 2012-05-08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fomentation hou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847B1 true KR101314847B1 (en) 2013-10-04

Family

ID=4963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572A KR101314847B1 (en) 2012-05-08 2012-05-08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fomentation ho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8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750B1 (en) * 2017-06-01 2017-12-22 (주)로드텍 A heat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680Y1 (en) 2001-09-21 2002-01-09 박순학 The fireplace with equipping a guide rail and opening-shutting door in a fireplace of connecting a firehole
JP2002081161A (en) 2000-09-06 2002-03-22 Mild Home:Kk Hot-air floor heating sleeper
KR20060056105A (en) * 2004-11-19 2006-05-24 정도화 Fireplace
KR20100065496A (en) * 2008-12-08 2010-06-17 이태경 Fireplace system combined with ondol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161A (en) 2000-09-06 2002-03-22 Mild Home:Kk Hot-air floor heating sleeper
KR200259680Y1 (en) 2001-09-21 2002-01-09 박순학 The fireplace with equipping a guide rail and opening-shutting door in a fireplace of connecting a firehole
KR20060056105A (en) * 2004-11-19 2006-05-24 정도화 Fireplace
KR20100065496A (en) * 2008-12-08 2010-06-17 이태경 Fireplace system combined with ondol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750B1 (en) * 2017-06-01 2017-12-22 (주)로드텍 A hea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21975A (en) Fireplace construction
EP2349779B1 (en) Mobile kitchen
US4179065A (en) Circulating air building heating system
US10480793B2 (en) Combination outdoor fireplace and pizza oven
CN104236076A (en) Electrified heating furnace
KR101314847B1 (en) Multipurpose heating structure having fomentation housing
RU104674U1 (en) BATH FURNACE
US20100018443A1 (en) Clean burning furnace method and apparatus
CA3137914A1 (en) Modular outdoor fireplace and brick oven
US2158041A (en) Fireplace
US3999535A (en) Prefabricated fireplace
RU2651878C1 (en) Bath stove
KR101162899B1 (en) Facility drawer multi fuel stove or boiler
CN201014598Y (en) Solid fuel multifunctional kitchen tool
KR101577813B1 (en) heating apparatus having fireplace and hypocaust heating
KR101798008B1 (en) Structural Wall Building Heating
US1190396A (en) Heating-stove.
US1539591A (en) Heating system and means
US4263888A (en) Home heating plant
FI129096B (en) Sauna stove
RU2818956C2 (en) Heating device
RU2282790C2 (en) Heating-boiling stove
US2122489A (en) Utility cabinet for solid fuel cook stoves
RU2097659C1 (en) Fireplace-stove
US2180788A (en) berkhei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