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754B1 - 칠러 장비에 적용하기 위하여 출력전압의 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원장치 및 그 전원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칠러 장비에 적용하기 위하여 출력전압의 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원장치 및 그 전원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4754B1 KR101314754B1 KR1020110111147A KR20110111147A KR101314754B1 KR 101314754 B1 KR101314754 B1 KR 101314754B1 KR 1020110111147 A KR1020110111147 A KR 1020110111147A KR 20110111147 A KR20110111147 A KR 20110111147A KR 101314754 B1 KR101314754 B1 KR 1013147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upply
- polarity
- output voltage
- unit
- out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678 Seebeck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전원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의 극성 변경시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의 극성 변경에 따른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300 : 전원장치 301 : 컨버터부
302, 410 : 방전 회로부 303, 420 : 극성 스위칭부
304 : 제어부 305 : 모드 선택부
310 : 열전 모듈 412 : 저항
413 : 방전 스위치 421 : 제1 극성 스위치
422 : 제2 극성 스위치 423 : 제3 극성 스위치
424 : 제4 극성 스위치 430 : 전압 센싱부
440 : 전류 센싱부
Claims (8)
-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열전 모듈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전 모듈의 모드 변환에 따라 제어 신호에 의해 출력 전압의 극성을 변환시키는 극성 스위칭부;
상기 전원장치의 출력 단자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 전압의 극성을 변환시키는 시점에서 제어 신호에 의해 출력 전압이 방전되도록 구동되는 방전 회로부; 및
상기 모드 변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극성 스위치부 및 상기 방전 회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력전압의 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는,
상기 전원장치의 출력 단자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장치의 출력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 및
상기 전원장치의 출력 단자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장치의 출력 전류를 센싱하는 전류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센싱부 및 상기 전류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출력 전압값 및 출력 전류값에 의해 상기 방전 회로부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출력전압의 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원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출력 전압값이 설정된 전압 이하일 경우, 및 상기 전류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출력 전류값이 설정된 전류값 이하일 경우, 상기 방전 회로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압의 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상기 전원장치의 출력 단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 및
상기 전원장치와는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저항과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저항으로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하는 방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출력전압의 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압의 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원장치.
-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열전 모듈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드 선택부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열전 모듈의 모드를 쿨링 모드 또는 히팅 모드로 변환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모드 변환 결정에 따라 열전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제어 신호를 통해 방전 회로부를 동작시켜 출력 전압을 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방전 회로부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제어 신호를 통해 극성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출력 전압의 극성을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력전압의 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원장치의 제어 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변환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전원장치의 출력 단자와 병렬로 연결되는 전압 센싱부에 의해 상기 전원장치의 출력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전원장치의 출력 단자와 직렬로 연결되는 전류 센싱부에 의해 상기 전원장치의 출력 전류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센싱부 및 상기 전류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출력 전압값 및 출력 전류값에 의해 상기 방전 회로부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력전압의 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원장치의 제어 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압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출력 전압값이 설정된 전압 이하일 경우, 및 상기 전류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출력 전류값이 설정된 전류값 이하일 경우, 상기 방전 회로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압의 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원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9775 | 2011-09-30 | ||
KR20110099775 | 2011-09-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5822A KR20130035822A (ko) | 2013-04-09 |
KR101314754B1 true KR101314754B1 (ko) | 2013-10-08 |
Family
ID=4843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11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4754B1 (ko) | 2011-09-30 | 2011-10-28 | 칠러 장비에 적용하기 위하여 출력전압의 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원장치 및 그 전원장치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475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9932B1 (ko) * | 2020-05-13 | 2022-03-31 |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 동기식 벅 컨버터가 적용된 출력극성 가변형 전원공급장치 및 제어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06087A (ja) * | 1993-09-30 | 1995-04-21 | Origin Electric Co Ltd | 紫外線放射放電灯用電子点灯装置 |
JPH1078824A (ja) * | 1996-09-02 | 1998-03-24 | Tenryu Technic:Kk | 流体温度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
KR20000010346U (ko) * | 1998-11-19 | 2000-06-15 | 윤종용 | 온도 제어를위한 전원 극성 변환 회로 |
KR20070059911A (ko) * | 2006-08-30 | 2007-06-12 | 김상인 | 열전소자를 이용한 수냉식 냉난방기 |
-
2011
- 2011-10-28 KR KR1020110111147A patent/KR10131475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06087A (ja) * | 1993-09-30 | 1995-04-21 | Origin Electric Co Ltd | 紫外線放射放電灯用電子点灯装置 |
JPH1078824A (ja) * | 1996-09-02 | 1998-03-24 | Tenryu Technic:Kk | 流体温度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
KR20000010346U (ko) * | 1998-11-19 | 2000-06-15 | 윤종용 | 온도 제어를위한 전원 극성 변환 회로 |
KR20070059911A (ko) * | 2006-08-30 | 2007-06-12 | 김상인 | 열전소자를 이용한 수냉식 냉난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5822A (ko) | 2013-04-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98859B2 (en) | Power supply controller | |
US8657489B2 (en) | Power switch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 |
US8270138B2 (en) | Power supply controller and threshold adjustment method thereof | |
US8054605B2 (en) | Power supply controller | |
CN104465554B (zh) | 功率开关的热观测器以及过载保护 | |
US9602097B2 (en) | System and method having a first and a second operating mode for driving an electronic switch | |
US9136199B2 (en) | Monitoring and controlling temperatures in a semiconductor structure | |
US8054602B2 (en) | Power supply controller | |
KR101291367B1 (ko) | 온도 검출 회로 | |
US20090237142A1 (en) | Charge control circuit and charge controll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 |
JP6472076B2 (ja) | 負荷電流制御装置 | |
KR20150007980A (ko) | 여러 스위치를 이용한 돌입 제어 | |
US9368958B2 (en) | Sensor controlled transistor protection | |
KR102154635B1 (ko) | 코일 구동 장치 | |
KR101314754B1 (ko) | 칠러 장비에 적용하기 위하여 출력전압의 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전원장치 및 그 전원장치의 제어 방법 | |
KR100781131B1 (ko) | 과전류/단락 계전기를 겸한 전자식무접점릴레이 | |
WO2005122641A1 (ja) | ヒータ電力制御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バーイン装置 | |
JP2007173493A (ja) | 半導体装置 | |
KR101335370B1 (ko) | 과전류 방지 장치 | |
KR20070016413A (ko) | 전원 공급기의 돌입 전류 제한 회로 | |
CN114152010B (zh) | 热电致冷致热器的控制器及控制方法 | |
JP2006242866A (ja) | 負荷装置 | |
CN103270685A (zh) | 用于控制整流器的开关晶体管的方法 | |
JP5469362B2 (ja) | 調光用点灯装置 | |
KR20140117332A (ko) | 과전류 방지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