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332A - 과전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과전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332A
KR20140117332A KR1020140120237A KR20140120237A KR20140117332A KR 20140117332 A KR20140117332 A KR 20140117332A KR 1020140120237 A KR1020140120237 A KR 1020140120237A KR 20140120237 A KR20140120237 A KR 20140120237A KR 20140117332 A KR20140117332 A KR 20140117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current
current
unit
outpu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천영
홍준희
Original Assignee
윤천영
홍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천영, 홍준희 filed Critical 윤천영
Priority to KR102014012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7332A/ko
Publication of KR20140117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3K17/082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82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in composite switches

Abstract

제 1 방향 입력 전류 및 제 2 방향 입력 전류를 각각 제 1 전압 신호 및 제 2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각각 출력하는 전류 센서, 전류 센서에서 출력되는 제 1 전압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과전류 감지부 및 과전류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논리 레벨이 결정되는 스위칭부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과전류 판단부를 포함하고, 제 1 방향 입력 전류의 양이 많아지면 제 2 방향 입력 전류의 양은 작아지고, 제 1 방향 입력 전류의 양이 작아지면 제 2 방향 입력 전류의 양은 많아지는 과전류 방지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과전류 방지 장치{Ov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 시스템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전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방식을 채용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는 전력용 MOSFET 등 반도체 소자를 스위치로 사용하여 직류 입력 전압을 구형파 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한 후, 필터를 이용하여 제어된 직류 출력 전압을 얻는 장치이다. 이는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전력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종래의 리니어 방식 전원 공급 장치에 비해 효율이 높고 내구성이 강하며, 소형, 경량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에서는 과전류가 감지되는 경우, 출력측에서 전류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전류 공급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전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다양한 제어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런데 정전류 공급 방식, 전류 모드 방식, 전압 모드 방식, 간차 발진 방식 등을 채택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의 경우 과전류가 감지된 후에도 그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되게 되면 출력전류가 연속적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과전류가 흐르는 상태가 계속 지속되면 불필요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스위칭 소자나 기타 부품이 발열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부품이 파손될 수 있고, 이로 인한 화재, 회로나 장비가 파손될 수 있음은 물론, 시스템의 정상 운용이 어려워지게 된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9417호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222호
본 발명은 시스템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과전류가 감지되면 과전류의 흐름을 즉시 차단할 수 있는 과전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는 제 1 방향 입력 전류 및 제 2 방향 입력 전류를 각각 제 1 전압 신호 및 제 2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각각 출력하는 전류 센서; 상기 전류 센서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 1 전압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과전류 감지부; 및 상기 과전류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논리 레벨이 결정되는 스위칭부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과전류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향 입력 전류의 양이 많아지면 상기 제 2 방향 입력 전류의 양은 작아지고, 상기 제 1 방향 입력 전류의 양이 작아지면 상기 제 2 방향 입력 전류의 양은 많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는 입력 전류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 센서; 및 보호 대상 장치의 전류 공급 라인에 형성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전류 센서 사이에 병렬 접속되는 복수의 과전류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는 입력 전류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 센서; 상기 제 1 전류 센서의 순방향 전류 경로 상의 과전류 여부를 검출하여 제 1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 및 상기 제 2 전류 센서의 역방향 경로 상의 과전류 여부를 검출하여 제 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과전류가 감지되는 즉시 전류 흐름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대상 장치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더욱이 전류 감지를 위한 센서로 홀(Hall) 센서를 적용하는 경우 홀 센서 출력단의 전압에 의해 양방향으로 전류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와 같은 충방전 소자를 활용한 전원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과충전과 과방전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과전류를 감지하는 데 있어서 광학 스위칭 소자를 적용할 수 있다. 광학 스위칭 소자는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서 빛으로만 신호를 송수신하므로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광학적 절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장치를 더욱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과전류 감지부로서의 광학 스위칭 소자를 복수개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고, 각 광학 스위칭 소자의 입력단에서 유입되는 전류량을 가변시키면 검출하고자 하는 과전류의 양을 운용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고, 치명적인 과전류가 아닌 경고성 과전류 또한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학 스위칭 소자의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학 스위칭 소자의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적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10)는 입력 전류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 센서(110), 전류 센서(110)에서 출력되는 전압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과전류 감지부(120) 및 과전류 감지부(120)가 구동됨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과전류 여부를 결정하는 과전류 판단부(130)를 포함한다.
과전류 판단부(130)의 출력 신호는 보호 대상 시스템의 전류 공급 라인에 접속되는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스위칭부의 온/오프상태가 결정된다.
전류 센서(110)는 보호 대상 장치, 예를 들어 전원 시스템을 통해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하여 전압으로 변환한다. 전류 센서(110)는 홀 센서, 변류기, 저항기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홀 센서를 채택하는 경우 과전류를 양방향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홀 센서로 구성한 전류 센서(110)로부터 과전류 감지부(120)로의 전류 흐름을 순방향(제 1 방향)이라고 가정하고, 순방향 경로를 따라 많은 양의 전류가 흘러 전류 센서(110)의 출력 전압(제 1 전압 신호) 레벨이 높아지게 되면, 그 역방향(제 2 방향)으로 제공되는 출력 전압(제 2 전압 신호) 레벨은 낮아지게 된다. 여기에서, 역방향이란 전류 센서(110)로부터 전류 센서(110)에 접속된 또 다른 과전류 감지부로의 전류 흐름을 의미한다.
순방향 경로 상의 전압 레벨이 낮아지는 경우 역방향 경로 상의 전압 레벨이 상승하는 것은 물론이다. 즉, 순방향 입력 전류의 양이 많아지면 역방향 입력 전류의 양은 작아지고, 순방향 입력 전류의 양이 작아지면 역방향 입력 전류의 양은 많아지게 되며, 그에 따라 전류 센서(110)의 출력 전압 레벨이 결정된다.
과전류 감지부(120)는 전류 센서(110)의 출력 신호인 전압 신호에 따라 구동 여부가 결정되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광학 스위칭 소자를 채택할 수 있다. 통상 포토 다이오드와 전자 스위치로 구성되는 광학 스위칭 소자는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빛으로만 신호가 송수신되므로 광학적 절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장치를 더욱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과전류 판단부(130)는 과전류 감지부(120)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지정된 시간 미만으로 유지되는 과전류는 순간 펄스로 간주하고,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과전류는 차단해야 할 과전류로 판단한다. 그리고, 차단해야 할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스위칭부를 오프시킨다.
즉, 스위칭부는 과전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또는 순간 펄스로 취급되는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온 상태를 유지하며, 차단해야 할 과전류가 검출되는 오프되어 보호 대상 장치에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과전류 감지부(120)는 전류량 조절부(122), 광학 스위칭 소자(124) 및 풀다운부(126)를 포함한다.
먼저, 전류량 조절부(122)는 예를 들어, 저항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전류 센서(110)의 출력 전압에 따른 광학 스위칭 소자(124)로의 입력 전류량을 조정하여 과전류 검출의 기준치를 결정한다.
광학 스위칭 소자(124)는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또는 포토 모스(Photo MOS)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광학 스위칭 소자(124)를 적용함에 따라, 접지 상태가 서로 다른 전원 사이의 전류 패스 형성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학 스위칭 소자(124)는 입력단 및 출력단 사이에 빛으로만 신호를 주고 받으므로, 입력단 및 출력단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즉, 광학적 절연을 통해서 내부 장치를 더욱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학 스위칭 소자의 일 예시도로서,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였으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학 스위칭 소자의 다른 예시도로서, 포토 모스를 이용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광학 스위칭 소자(124)는 전류량 조절부(122)에 의해 전압 레벨이 결정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단자(단자 1)와 제 1 접지단자(AGND)(단자 2) 사이에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발광소자(1241, 1245) 및 발광소자(1241, 1245)에 흐르는 전류량이 일정 레벨 이상인 경우 구동되어 제 1 전원전압 단자(VDD)(단자 4)와 출력단자(단자 3) 간에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수광소자(1243, 1247)를 포함한다.
광학 스위칭 소자(124)의 출력단(단자 3)과 제 2 접지단자(DGND) 간에는 풀다운부(126)가 구비되어, 출력 신호를 신속하게 출력할 수 있다.
입력단자(단자 1)에 접속되어 있는 전류량 조절부(122)에 의해 조정된 광학 스위칭 소자(124)의 입력 전류량이 일정 레벨 이상일 경우, 단자 4와 단자 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과전류 검출 신호가 단자 3을 통해 출력되는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는 풀다운부(126)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전원전압단자(DVDD)와 단자 4 간에 풀업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 4에 도시한 포토 모스형 광학 스위칭 소자(124)는 수광부측에 제 1 전원전압 단자(VDD)(단자 4)와 출력단자(단자 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12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광학 스위칭 소자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과전류 판단부(130)는 과전류 감지부(12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지속 시간에 따라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과전류 판단부(130)는 과전류 감지부(120)의 출력 단자(단자 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 1 입력 신호로 입력받는 논리 소자(G1), 과전류 감지부(120)의 출력 신호를 지정된 시간 지연시켜 논리 소자(G2)의 제 2 입력 신호로 제공하는 지연 회로(R1, C1)를 포함한다. 지연 회로는 저항소자(R1) 및 캐패시터(C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저항소자(R1)와 캐패시터(C1)의 시정수를 이용, 시정수 미만의 시간 동안 유지되는 과전류는 순간 펄스로 간주하여 스위칭부가 오프되지 않도록 하고, 시정수 이상의 시간 동안 유지되는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스위칭부가 오프되도록 스위칭부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과전류 방지 장치(10)는 전원 시스템과 같은 보호 대상 장치 내에 흐르는 전류량을 전류 센서(110)에서 검출하여 전압 신호로 출력하면, 과전류 감지부(120)의 광학 스위칭 소자(124)가 검출 전압 레벨에 따라 구동된다. 그리고, 광학 스위칭 소자(124)가 구동됨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는 과전류 판단부(130)로 제공된다. 과전류 판단부(130)는 일정 시간 이상 과전류가 유지되는 경우 스위칭부를 오프시켜 보호 대상 장치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전류 센서(11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는 과전류 감지부(120) 및 과전류 판단부(130)를 통칭하여 과전류 제어 회로로 지칭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과전류 감지부(120) 및 과전류 판단부(130)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과전류를 차단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과전류 감지부(120) 및 과전류 판단부(130)는 각각 적어도 둘 이상 전류 센서(110)와 스위칭부 사이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과전류 방지 장치(10-1)는 전류 센서(110)와 스위칭부 사이에 병렬 접속되는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120-1, 130-1) 및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120-2, 130-2)를 포함한다.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120-1, 130-1)에 구비되는 전류량 조절부(1221)와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120-2, 130-2)에 구비되는 전류량 조절부(1227)는 각각 저항 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류량 조절부(1221, 1227)의 크기는 같거나 다르게 구성할 수 있는데, 각기 다른 크기의 저항 소자를 채용하는 경우 하나의 과전류 방지 장치(10-1)에서 다양한 레벨의 과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과전류 제어 회로(120-1/130-1, 120-2/130-2)를 복수 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류 센서(110)의 출력 전류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 스위칭 소자(1223, 1229)가 동작하지 않거나 전류 센서(110)의 출력 전압이 낮아지면서 오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버퍼부(150), 바람직하게는 아날로그 버퍼부를 전류 센서(110)의 출력단에 추가로 구성하여 전류 센서(110)의 출력 전류 레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1225 및 1231은 각각 풀다운부를 나타낸다. 또한, 미설명 부호 R2, R3는 각각 저항 소자를, C2, C3는 각각 캐패시터를, G2와 G3는 각각 논리 소자를 나타내며, 이들의 기능은 도 2에 도시한 과전류 감지부(120) 및 과전류 판단부(13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본 발명의 과전류 방지 장치는 전류 센서(110)로서 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홀 센서는 전류자계의 강도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응답성이 우수한 전류 센서이다. 즉, 전류의 방향에 수직으로 자장이 인가되면 출력이 변화하는 전류 자기 효과를 갖는 홀 소자를 이용한 센서로, 그 출력 신호가 아날로그이므로 시스템에서 컨버팅 과정 없이 직접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소형,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특히, 홀 센서에 기준전압을 인가하고, 이 기준전압을 기준으로 전류 흐름의 순방향일 경우 전류가 많이 흐를수록 출력 전압이 높아진다면, 그 역방향에 대해서는 반대로 전압이 낮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순방향 및 역방향 모두에 대해 과전류 제어 회로(과전류 감지부 및 과전류 제어부)를 적용할 수 있다.
환경 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세대 연료로 각광받고 있는 이차전지 모듈을 이용한 전원 시스템은 과방전 문제 및 과충전 문제가 모두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홀 센서를 이용하여 과전류 방지 장치를 구성하면 이차전지 모듈의 전류 흐름을 따라 양방향으로 과방전 및 과충전을 모두 검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방지 장치(20)는 전류 센서(210),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220) 및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23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220, 230)는 각각 과전류 감지부(221, 231) 및 과전류 판단부(223, 233)를 포함하며, 각각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5, 또는 이들과 유사한 회로나 소자를 참조하여 채택할 수 있다.
전류 센서(210)는 홀 센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호 대상 장치를 따라 흐르는 전류량을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출력,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220)로 전압 신호가 제공된다. 전류 센서(210)로부터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220)로의 전류 흐름을 순방향이라고 가정하고, 순방향 경로를 따라 많은 양의 전류가 흘러 전류 센서(210)의 출력 전압이 높아지게 되면, 그 역방향 즉,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230)로 제공되는 전압레벨은 낮아지게 된다.
순방향 경로 상의 전압 레벨이 낮아지는 경우 역방향 경로 상의 전압 레벨이 상승하는 것은 물론이다. 즉, 순방향 입력 전류의 양이 많아지면 역방향 입력 전류의 양은 작아지고, 순방향 입력 전류의 양이 작아지면 역방향 입력 전류의 양은 많아지게 되며, 그에 따라 전류 센서(210)의 출력 전압 레벨이 결정된다.
따라서, 순방향 경로를 따라 흐르는 과전류는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220)에서 검출되어 스위칭부가 제어되게 되고, 역방향 경로를 따라 흐르는 과전류는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230)에서 검출되어 스위칭부가 제어되게 된다.
즉, 전원 시스템과 같은 보호 대상 장치에 대해 양방향으로 과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과전류 방지 장치의 적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 보호 대상 장치(100)는 이차전지 모듈과 같은 연료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원 시스템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대상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외부 장치(미도시) 간에 접속되어,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외부 장치로 제공하여 외부 장치가 전기적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러한 전원 시스템에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과전류 방지 장치(20)를 적용하는 경우, 과충전 여부는 예를 들어 제 1 과전류 제어 회로(220)를 통해서 검출하여 이차전지 모듈을 통해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유사하게, 과방전 여부는 제 2 과전류 제어 회로(230)를 통해 검출하여 이차전지 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외부 장치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1, 20 : 과전류 방지 장치
110 : 전류 센서
120, 120-1, 120-2, 221, 231 : 과전류 감지부
130, 130-1, 130-2, 223, 233 : 과전류 판단부
122, 1221, 1227 : 전류량 제어부
124, 1223, 1229 : 광학 스위칭 소자
126, 1225 : 풀다운부
150, 1231 : 버퍼부

Claims (8)

  1. 제 1 방향 입력 전류 및 제 2 방향 입력 전류를 각각 제 1 전압 신호 및 제 2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각각 출력하는 전류 센서;
    상기 전류 센서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 1 전압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과전류 감지부; 및
    상기 과전류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논리 레벨이 결정되는 스위칭부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과전류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향 입력 전류의 양이 많아지면 상기 제 2 방향 입력 전류의 양은 작아지고, 상기 제 1 방향 입력 전류의 양이 작아지면 상기 제 2 방향 입력 전류의 양은 많아지는 과전류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센서는 홀 센서인 과전류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감지부는 광학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감지부는,
    상기 전류 센서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 1 전압 신호에 따른 상기 광학 스위칭 소자의 입력 전류량을 결정하는 전류량 조절부;
    상기 전류량 조절부에서 레벨이 조정된 제 1 전압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상기 광학 스위칭 소자; 및
    상기 광학 스위칭 소자의 출력단과 접지단자 간에 접속되는 풀다운부;
    를 포함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량 조절부는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판단부는 상기 과전류 감지부의 출력 신호가 지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스위칭부를 오프시키기 위한 상기 스위칭부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판단부는,
    상기 과전류 감지부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 1 입력 신호로 입력받는 논리 소자; 및
    상기 과전류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지정된 시간 지연시켜 상기 논리 소자의 제 2 입력 신호로 제공하는 지연 회로;
    를 포함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센서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 2 전압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 2 과전류 감지부; 및
    상기 제 2 과전류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지속 시간에 따라 논리 레벨이 결정되는 스위칭부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과전류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과전류 방지 장치.
KR1020140120237A 2014-09-11 2014-09-11 과전류 방지 장치 KR20140117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237A KR20140117332A (ko) 2014-09-11 2014-09-11 과전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237A KR20140117332A (ko) 2014-09-11 2014-09-11 과전류 방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003A Division KR20130022346A (ko) 2011-08-24 2011-08-26 과전류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332A true KR20140117332A (ko) 2014-10-07

Family

ID=5199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237A KR20140117332A (ko) 2014-09-11 2014-09-11 과전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73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989A (ko) * 2017-04-24 2018-11-01 권명미 인체 감지에 따른 전열 센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989A (ko) * 2017-04-24 2018-11-01 권명미 인체 감지에 따른 전열 센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6528B (zh) 半导体开关控制装置
US9083181B2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light source driving module and related backlight module
TWI425754B (zh) 返馳轉換系統及其回授控制裝置與方法
KR20130022346A (ko) 과전류 방지 장치
JP5957479B2 (ja) バッテリーシステムのバッテリーブランチの制御回路及び制御方法
KR20150007980A (ko) 여러 스위치를 이용한 돌입 제어
US10177649B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synchronous rectification circuit thereof
RU2013119646A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и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потребления энергии бытовым электроприбором в ждущем режиме
ATE539475T1 (de) Spiegelsteuersystem
US6927958B2 (en) Active transient suppression apparatus for potentially explosive environments
TWI502853B (zh) 用於高電流脈衝電源供應器的短路控制
KR20140117332A (ko) 과전류 방지 장치
KR101335370B1 (ko) 과전류 방지 장치
US20140240884A1 (en) Over current protection circuit
KR101646070B1 (ko) 단락 고장 검출 회로
KR102252366B1 (ko)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US20160336938A1 (en) Large-range input circuit
KR101251831B1 (ko)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절연 저항 측정 장치
KR20130119405A (ko) 과전류 방지 장치
KR100781131B1 (ko) 과전류/단락 계전기를 겸한 전자식무접점릴레이
KR20150070590A (ko) 동기 정류기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TWI445273B (zh) 過電流保護電路
JP6229842B2 (ja) 過電圧保護回路
JP2020129867A (ja) 過電流検出回路及び電流出力回路
TW201436436A (zh) 保護電路及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