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606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606B1
KR101314606B1 KR1020060128557A KR20060128557A KR101314606B1 KR 101314606 B1 KR101314606 B1 KR 101314606B1 KR 1020060128557 A KR1020060128557 A KR 1020060128557A KR 20060128557 A KR20060128557 A KR 20060128557A KR 101314606 B1 KR101314606 B1 KR 101314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input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55339A (en
Inventor
유정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606B1/en
Publication of KR2008005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3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6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nd an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입력용 언어 설정 정보와 출력용 언어 설정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용 언어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출력용 언어 설정 정보에 따라 메뉴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for generating a character input signal; A storage unit which stores at least one of inpu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and outpu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displaying charac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o display menu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A terminal and a method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thereof are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용 언어가 설정된 경우라도 이에 독립적으로 입력용 언어를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n output language is set, the input language can be set separately.

입력용 언어, 출력용 언어 Language for input, language for output

Description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표시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reof}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입력용 언어의 설정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setting an input langu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입력용 언어와 출력용 언어가 상이하게 설정된 경우에 이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면.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information displayed on a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nput language and an output language are set differently. FIG.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보 입력시의 언어와 정보 출력시의 언어를 별도로 설정하여 그에 따라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reof, which separately set a language at the time of information input and a language at the time of information output so that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ly. will be.

최근 국제화 사회가 도래됨에 따라, 단말 사용에 있어서 국어를 포함하여 타 국어에 대한 이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국내에서도 영어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영어 사용을 생활화하고자 단말기의 설정 언어를 영어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는 상황이다.Recently, with the advent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 use of other languages including Korean is increasing in the use of terminals. In addition, as the importance of English in the domestic market, users are increasingly using the language set to the language of the terminal in order to make use of English.

예를 들어, 단말기의 사용 언어를 영어로 설정한 경우에, 상기 단말기는, 메뉴 리스트 및 메뉴 구성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영어로 표시한다. 또한, 현재 단말의 상태를 알리는 각종 상태 정보 또한 영어로 표시된다.For example, when the language used for the terminal is set to English, the terminal displays the menu list and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nu configuration in English. In addition, various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current terminal is also displayed in English.

또한, 상기 단말기는, 문자 입력 모드, 전화번호부 작성 모드, 메모 작성 모드 또는 스케줄 작성 모드를 통한 정보 입력시에, 상기 사용 언어로 설정된 영어를 디폴트(default) 입력 언어로 하여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 언어의 변경이 선택되지 않는 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 언어로 설정된 영어를 상기 입력 언어로 사용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upon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a text input mode, a phonebook creation mode, a memo creation mode, or a schedule creation mode, receives predetermined information using English set as the default language as the default input language. . Therefore, unless a change of an input language is selec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uses English set as the language used as the input language.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는, 단말 사용 언어로서 특정 언어가 설정된 경우에, 정보 입력 및 정보 출력의 어느 경우라도 상기 설정된 언어를 사용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specific language is set as the language for using the terminal, the terminal uses the set language in any of the information input and information output.

그러나, 상술한 바에 의하면, 단말 사용 언어로서 영어가 설정된 경우에, 메뉴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영어로 출력되도록 하되, 문자 입력시에는 영어가 아닌 한국어를 입력 언어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더 많으므로 일일이 사용 언어를 변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when English is set as the language for using the terminal, menu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is output in English, but when a character is input, Korean is more often used as an input language.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language us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용 언어와 출력용 언어를 구분 설정하여, 정보 입력시에는 입력용 언어를 정보 출력시에는 출력용 언어를 이 용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istinguishing between an input language and an output language, and displaying information using an input language when inputting information and an output language when outputting inform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문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입력용 언어 설정 정보와 출력용 언어 설정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용 언어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출력용 언어 설정 정보에 따라 메뉴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for generating a text input signal; A storage unit which stores at least one of inpu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and outpu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charac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and to display menu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은, 입력용 언어 설정 정보와 출력용 언어 설정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 문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입력용 언어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출력용 언어 설정 정보에 따라 메뉴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toring at least one of the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for input and the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for output; Generating a character input signal; And displaying charac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for input, and displaying menu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for output.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which is considered to be a possibility of blur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 말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송수신 모듈(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40, and a display unit 150.

상기 입력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입력 동작을 받아들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신호는, 정보 입력 신호, 동작 실행 신호, 정보 검색 신호 등을 포함한다.The input unit 110 receives an input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nd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Here, the signal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signal, an operation execution signal, an information search signal, and the like.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용 언어 설정 모드에 진입하여 입력용 언어 선택 신호를, 출력용 언어 설정 모드에 진입하여 출력용 언어 선택 신호를 발생시킨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110 enters an input language setting mod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generates an input language selection signal and enters an output language setting mode to generate an output language selection signal.

여기에서, 상기 입력용 언어 설정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 특히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디폴트(default)로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상기 '입력용 언어')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출력용 언어 설정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에, 특히 메뉴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에, 디폴트로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상기 '출력용 언어')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input language setting mode is a language to be used as a default (the 'language for input') when a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rticularly when a character is input. It means the mode to set. The output language setting mode sets a language (the 'language for output') to be used as a default when output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rticularly when outputting menu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It means the mode to.

상기 제어부(1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정보 입력시에 적용되는 상기 입력용 언어와 정보 출력시에 적용되는 상기 출력용 언어를 각각 설정하고, 상기 입력용 언어 및 출력용 언어의 설정 정보에 따라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 력용 언어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자동 설정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기존에 설정된 상기 입력용 언어들 중에서 가장 설정 빈도가 높은 입력용 언어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input unit 110, respectively set the input language applied when the information input and the output language applied when the information output,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put language and the output language. 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matic setting mode is set in setting the input language, the controller 120 automatically selects the input language having the highest setting frequency among the previously set input languages. Can be set.

상기 저장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출력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30 not only stores all data input and out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lso stores a program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출력용 언어로 설정 가능한 언어 리스트 정보 또는 상기 입력용 언어로 설정 가능한 언어 리스트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용 언어 설정 모드 또는 상기 입력용 언어 설정 모드에 진입한 경우에,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출력용 언어로 설정 가능한 언어 리스트 정보 또는 입력용 언어로 설정 가능한 언어 리스트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150)에 제공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130 stores language list information that can be set as the output language or language list information that can be set as the input language. When entering the output language setting mode or the input language setting mode, the storage unit 130 displays language list information that can be set as the output language or language list information that can be set as the input language. The display unit 150 is provided.

또한,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설정된 출력용 언어 또는 입력용 언어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0 stores setting information about an output language or an input language set by the controller 120.

상기 송수신 모듈(14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들과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신호는, 호 신호, 메시지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포함한다.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4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external terminals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signal includes a call signal, a message signal, a data signal and the like.

상기 표시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well a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정보 입력시에는 상기 설정된 입력용 언어를, 정보 출력시에는 상기 설정된 출력용 언어를 사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표시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5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20, the predetermined input language when inputting information, and the predetermined output language when outputting the information by using the predetermined output language Display.

예를 들어, 상기 출력용 언어로 '영어'가, 상기 입력용 언어로 '한국어'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assuming that 'English' is set as the output language and 'Korean' is set as the input languag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현재 메뉴 검색 모드에 진입한 경우라면, 상기 표시부(150)는, 도 4의 4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로 구성된 메뉴 리스트를 표시한다. 또는, 현재 메시지 작성 모드에 진입한 경우라면, 상기 표시부(150)는, 도 4의 4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 작성시 입력되는 내용은 상기 입력용 언어인 한국어로 입력받아 한국어로 표시하고, 그외의 단말의 상태 및 메뉴 관련 정보는 상기 출력용 언어인 영어로 표시한다.If the current menu search mode is entered,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a menu list composed in English, as shown at 410 of FIG. 4. Or, if the current message creation mode is entered, the display unit 150, as shown in 440 of FIG. 4, the content input when creating a text message is input in the Korean language for the input and displayed in Korean , And other terminal status and menu related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English, which is the language for output.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2, the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출력용 언어 및 입력용 언어를 각각 설정한다(S21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an output language and an input language, respectively (S210).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용 언어 설정 모드에 진입하여 입력용 언어 선택 신호를, 출력용 언어 설정 모드에 진입하여 출력용 언어 선택 신호를 각각 발생시킨다.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n input language setting mode to generate an input language selection signal, and enters an output language setting mode to generate an output language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출력용 언어 설정 모드 또는 상기 입력용 언어 설정 모드에 진입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돕기 위하여, 출력용 언어로 설정 가능한 언어 리스트 정보 또는 입력용 언어로 설정 가능한 언어 리스트 정보를 표시한다.In this cas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output language setting mode or the input language setting mode, language list information that can be set as an output language or a language that can be set as an input language is provided to assist the user in selecting the language. Display list information.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발생한 입력용 언어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용 언어를 설정하고, 상기 출력용 언어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용 언어를 설정하게 된다.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the input language according to the generated input language selection signal and sets the output language according to the output language selection signal.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입력용 언어 선택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상기 입력용 언어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automatically set the input langu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even when the input language selection signal does not occur.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용 언어의 설정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is regard, the process of setting the input languag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문자 메시지 작성 모드에 진입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입력용 언어의 자동 설정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310, S320).As shown in FIG. 3,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 text message preparation mo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n automatic setting mode of the input language is set (S310 and S32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자동 설정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존에 작성된 문자 메시지들에 설정된 입력용 언어들 중에서 가장 높은 설정 빈도의 입력용 언어를 판단한다(S330).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matic setting mode is se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an input language having the highest setting frequency among input languages set in previously created text messages (S330).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존에 작성된 문자 메시지들의 첫 글자의 언어 형식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입력용 언어가 무엇이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determine what the input language was as the language format of the first letter of the previously created text messages.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화번호부 작성 모드에 진입한 경우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명칭들의 첫 글자의 언어 형식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입력용 언어가 무엇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 phone book preparation mo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determine what the input language is as the language format of the first letter of the names registered in the phone book. Can be.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 빈도가 가장 높은 입력용 언어를 설정한다(S34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an input language having the highest sett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S340).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자동 설정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발생한 상기 입력용 언어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용 언어를 설정한다(S350).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matic setting mode is not se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the input language according to the input language selection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350). ).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설정된 입력용 언어의 설정 정보 및 상기 출력용 언어의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S22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set input language and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output language (S22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문자 입력 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30).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 text input signal has occurred (S230).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부 저장 모드, 전화번호부 편집 모드, 메모 작성 모드, 스케줄 작성 모드, 문자메시지 작성 모드,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 모드 등 문자 입력이 요구되는 모드에서, 키패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문자 입력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문자 입력 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input in a keypad or the like in a mode requiring text input such as a phonebook storage mode, a phonebook editing mode, a memo writing mode, a schedule writing mode, a text message writing mode, a multimedia message writing mode, and the like. If there is a character input oper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means,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acter input signal has occurre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문자 입력 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입력용 언어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한다(S240).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xt input signal is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for input (S240).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문자 입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출력용 언어 설정 정보에 따라, 메뉴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S250).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xt input signal has not occurred,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menu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for output (S250).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입력용 언어와 출력용 언어가 상이하게 설정된 경우에 화면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4,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input language and the output language ar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상기 입력용 언어로서 '한국어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출력용 언어로서 '영어'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Korean' is set as the input language and 'English' is set as the output language.

먼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영어로 구성된 대기 화면을 표시한다(410). 이때, 상기 대기 화면은, 현재 상태 정보, 즉 시간 정보 및 진입 가능한 동작 정보(예를 들어, 대기 화면 하단에 표시된 'Menu'(412), 'OK', 'Search'를 칭함)를 영어로 표시한다.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standby screen composed of English (410). In this case, the standby screen displays current status information, that is, time information and accessible operation information (eg, 'Menu' 412, 'OK', and 'Search'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tandby screen in English). do.

이때, 상기 'Menu'(412)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뉴를 구성하는 복수의 항목들을 영어로 표시한다(420).In this case, when the 'Menu' 412 is selec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plurality of items constituting the menu in English (420).

그리고, 상기 표시된 메뉴 항목들 중에서 'Message'(422)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세부 메뉴 항목들을 영어로 표시한다(430).When the message 422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menu item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plurality of detailed menu items constituting the message in English (430).

이때, 상기 표시된 세부 메뉴 항목들 중에서 'Write message'(432)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면 우측 하단에 'ㄱㄴㄷ'(442)를 표시함에 따라,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용 언어가 한국어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되는 문자 메시지 내용을 문자 메시지 내용창(con., 444)에 한국어로 표시한다.In this case, when 'Write message' 432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detailed menu item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ㄱㄴㄷ' 442 at the bottom right of the screen, and an input language for receiving message contents is displayed. Indicates that is Korea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input text message contents in a text message contents window (con. 444) in Korean.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제외한 상태 정보 또는 메뉴 정보를 영어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 정보 또는 메뉴 정보는, 현재 상태가 문자 메시지 작성 모드임을 알리는 상태 정보(화면 상단에 표시된 'Write message'), 입력창 명칭들(화면 좌측에 표시된 'con.', 'to', 'from', 'save'), 소프트 키 명칭들(화면 하단에 표시된 'Menu', 'Send')을 의미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status information or menu information except the contents of the text message in English. For example, the status information or menu information may include status information ('Write messag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indicating that the current status is a text message writing mode, input window names ('con.', 'To ',' from ',' save ') and soft key names (' Menu ',' Send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한편, 문자 메시지 내용을 영어로 변경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ㄱㄴㄷ'(442)에 해당하는 소프트 키(soft key)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용 언어를 영어로 변경하여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기 입력용 언어가 영어로 변경되었다고 하더라도, 현재 작성되는 문자 메시지에 한하여 입력용 언어가 영어로 변경된 것에 불과하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change the text message content in English, by using a soft key (soft key) corresponding to the 'bb' (442), the input language can be changed to English input. However,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input language is changed to English, the input language is changed to English only for the text message currently being writte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general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용 언어와 별도로 입력용 언어를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문자 입력시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변경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키 조작의 번거로움이 해소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input language can be set to a language desired by the user separately from the output language, the trouble of the key operation performed to change the user's desired language during character input is eliminated.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용 언어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정된 입력용 언어들의 설정 빈도를 파악하여 가장 설정 빈도가 높은 입력용 언어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입력용 언어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의사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입력용 언어에 대한 사용 패턴이 고려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setting the input language, not only can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but also the input language having the highest setting frequency is automatically determined by grasping the setting frequency of the existing input language. It can also be set. That is, in setting the language for input, not only the user's intention but also a usage pattern for the language for the user's input may be considered.

Claims (6)

문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 text input signal; 이전에 설정된 입력용 언어들 중에서 설정 빈도가 가장 높은 입력용 언어의 설정 정보와, 출력용 언어의 설정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A storage unit for storing setting information of input language having the highest setting frequency among the previously set input languages and setting information of output language; And 상기 입력용 언어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용 언어의 설정 정보에 따라 메뉴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o display charac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put language, and to control to display menu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output languag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전에 설정된 입력용 언어들 중에서 설정 빈도가 가장 높은 입력용 언어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toring setting information of an input language having the highest setting frequency among previously set input languages; 출력용 언어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toring setting information of an output language; 문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Generating a character input signal; And 상기 입력용 언어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출력용 언어 설정 정보에 따라 메뉴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Displaying 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menu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language setting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128557A 2006-12-15 2006-12-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reof KR1013146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557A KR101314606B1 (en) 2006-12-15 2006-12-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557A KR101314606B1 (en) 2006-12-15 2006-12-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339A KR20080055339A (en) 2008-06-19
KR101314606B1 true KR101314606B1 (en) 2013-10-07

Family

ID=3980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557A KR101314606B1 (en) 2006-12-15 2006-12-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60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889A (en) * 2002-07-31 2004-02-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interface for multi-language user interface and cellular phone implemen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889A (en) * 2002-07-31 2004-02-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interface for multi-language user interface and cellular phone implemen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339A (en)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72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94049B1 (en) Method for data information displaying of mobile station
US8584040B2 (en) Mobile terminal
JP418061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08740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ssage display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0289662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eipt and presentation of input and feedback
KR10077418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SMS therefor
JP2000270075A (en) Enhanced graphic user interface for mobile radiophone
KR100663435B1 (en) Method for setting initial displa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131460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reof
KR10075463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ast menus in idle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51307A (en) Message creation method through screen divis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1988B1 (en) Method of making a multimedia messag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101054572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2867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input memo and its operating method
JP2009230727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0605961B1 (en) 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 by using direction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06282B1 (en) Telephone number editing method using the short message
KR101259104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241889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Having Function for Displaying Data
KR10065188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 character message of mobile terminal
KR100688194B1 (e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nput mode Change
KR10068021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take a memo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70025095A (en) Method for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 wireless terminal
JP2005157951A (en) Information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