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210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take a memo and its operating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take a memo and its opera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210B1
KR100680210B1 KR1020050105594A KR20050105594A KR100680210B1 KR 100680210 B1 KR100680210 B1 KR 100680210B1 KR 1020050105594 A KR1020050105594 A KR 1020050105594A KR 20050105594 A KR20050105594 A KR 20050105594A KR 100680210 B1 KR100680210 B1 KR 100680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data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연
엄명준
구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2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2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function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et memo data having a frequently-used form, perform conversion into a memo screen of a preset form and enable an input mode to be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a text mode of a corresponding form without operating a special button, thereby significantly increasing convenience of a us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function comprises the followings: a display(30) on which memo data is outputted; and a controller(10) which sets memo data having a certain form and enables the display(30) to be converted into a memo screen of a selected form and outputted. The controller(10) comprises the followings: a data processor(12) for generating a memo list for the set memo data; and an input/output controller(13) which reads out memo data selected from the memo list and enables the memo screen of a corresponding form to be outputted.

Description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take a memo and its operating method}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memo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take a memo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어부 11: 판단부10: control unit 11: determination unit

12: 데이터 처리부 13: 입출력 제어부12: data processing unit 13: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

20: 입력부 30: 표시부20: input unit 30: display unit

40: 메모리 50: 통신모듈40: memory 50: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주 사용되는 메모 형식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메모 형식 선택 시 해당 형식의 메모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memo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a memo function for setting a frequently used memo format so that a memo screen of a corresponding type is displayed when the memo format is selected.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 메뉴를 실행하면 빈 화면이 표시되고, 버튼 조작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때,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메모가 메모리에 저장된다.In general, when the memo menu is execu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blank screen and outputs input data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At this time, when a storage command is input, the input memo is stored in a memory.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를 입력 시, 형식에 상관없이 빈 공간에 입력해야 하며, 또한, 해당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문자 변환 버튼을 여러번 조작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greatly deteriorated because the user must input the memo in an empty space regardless of the format, and in order to inpu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everal times. .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주 사용되는 메모 형식을 설정하고, 선택된 형식의 메모 입력 시 문자 변환을 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해당 형식의 문자로 변환되어 사용자의 편이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set to a frequently used memo format, and automatically converted to the character of the corresponding format without converting the character when inputting the memo of the selected format, the user's convenien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having a memo function for increasing.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와, 일정 형식의 메모 데이터를 설정하고, 메모 입력 시 상기 표시부가 선택된 형식의 메모화면으로 전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 1특징으로 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memo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set the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memo data, the memo data of a certain format, and when the memo is input,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the memo screen of the selected format The first feature is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nd output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메모 메뉴를 실행 시, 선택된 형식의 메모 화면으로 전환하는 제1단계와, 입력된 메모 저장 시, 대기화면 표시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메모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 2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memo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switching to a memo screen of a selected format when executing a memo menu, and determining whether to display a standby screen when storing an input memo. The second feature includes a second step and a third step of setting and storing a display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memo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embodiment of the is illustrated.

본 발명에 따른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형식의 문자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20)와,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50)과, 메모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40)와, 일정 형식의 메모 데이터를 설정하고, 메모 입력 시 상기 표시부(30)가 선택된 형식의 메모화면으로 전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memo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an input unit 20 to which text data of a selected format is input, a display unit 30 to which data is output,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controller 10 sets a module 50, a memory 40 in which memo data is stored, and memo data in a predetermined format, and when the memo is input, the display unit 30 switches to a memo screen in a selected format and outputs the memo dat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메모 메뉴 실행 시, 선택된 형식의 메모화면으로 전환되어 출력된다.When the memo menu is executed, the display unit 30 is converted to a memo screen of a selected format and output.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메모리(40)에 '생일', '주민번호', '주소' 등의 형식을 갖는 메모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메모 데이터 중 '주민번호'가 선택되면, '〔 〕의 주민번호, □□□□□□­□□□□□□□'과 같이 선택된 주민번호 형식의 메모 화면으로 전환되어 출력된다.For example, when memo data having a format such as' birthday ',' resident number ',' address', etc. is stored in the memory 40, the display unit 30 may include ' When the social security number is selected,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memo screen of the selected social security number format such as the social security number of [], □□□□□□□□□□□□□ '.

또한, 상기 표시부(30)는 대기모드 시,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된 메모 중 상기 제어부(10)로부터 대기화면 표시 설정된 메모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대기화면 표시 설정된 메모가 기 설정된 위치에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a memo set on the standby screen display from the controller 10 among memos stored in the memory 40 in the standby mode. In this case, the standby screen display memo is output to a preset position.

상기 메모리(40)는 일정 형식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에 대한 리스트가 저장되어, 메모 메뉴 실행 시 상기 제어부(1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The memory 40 stores at least one memo data having a predetermined format, a list of stored memo data is stored, and provides the stored data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ler 10 when executing the memo menu.

또한, 상기 메모리(40)는 저장되는 메모에 대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In addition, the memory 40 stores setting data for memos to be stored.

즉, 상기 메모리(40)는 저장되는 메모에 대한 대기화면 표시설정여부, 표시위치, 크기, 색상 등의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That is, the memory 40 stores setting data such as whether or not to display a standby screen display, display position, size, and color of the memo to be stored.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설정된 메모 데이터에 대한 메모 리스트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12)와, 상기 메모 리스트 중 선택된 메모 데이터를 판독하여, 해당 형식의 메모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는 입출력 제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ler 10 may include a data processor 12 for generating a memo list for the set memo data, and an input / output controller 13 for reading a memo data selected from the memo list and outputting a memo screen of a corresponding form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일정 메모 형식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되도록 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생일', '주민번호', ' 주소'와 같은 형식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되도록 한다.The data processor 12 generates data in a predetermined memo format and stores the data in the memory 40. That is, the data processor 12 generates data in a format such as 'birthday', 'resident number', and 'address', and stores the data in the memory 40.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 〕의 생일, □/□/□', 또는 〔 〕의 주민번호, □□□□□□­□□□□□□□' 등과 같이, 일정 형식을 갖는 메모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12 may be in a certain format, such as' birth of [], □ / □ / □ ', or social security number of [], □□□□□□□□□□□□□', or the like. To generate memo data having a so as to be stored in the memory (40).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상기 메모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가 입력되는 부분의 입력모드를 각각 설정한다.In this case, the data processing unit 12 sets input modes of portions where data is input to the memo data.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 〕의 생일, □/□/□'와 같은 형식의 메모 데이터 생성 시, '〔 〕'에 대해서는 입력모드를 '한글'로 설정하고, '□/□/□'에 대해서는 입력모드를 '숫자'로 설정한다. For ex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12 sets the input mode to 'Korean' for '[]' and generates' □ 'when generating memo data in a format such as' []' s birthday and □ / □ / □ '. / □ / □ ', set the input mode to' number '.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상기 설정된 메모 데이터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data processor 12 generates a list of the set memo data and stores the list in the memory 40.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상기 표시부(30)가 선택된 메모 데이터 형식의 메모 화면으로 전환 시, 설정된 메모 형식에 따라 입력모드도 자동 전환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ata processor 12 automatically switches the input mode according to the set memo format when the display unit 30 switches to the memo screen of the selected memo data format.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메모 데이터의 설정 형식에 따라 문자(한글, 영문), 숫자, 기호 중 어느 하나로 자동 전환되도록 한다.That is, the data processor 12 automatically switches to one of letters (Korean, English), numbers, and symbols according to the setting format of the memo data selected according to the button manipulation.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생일', '주민번호', '계좌번호' 등과 같은 메모 데이터 중 '생일'이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30)가 '〔 〕의 생일, □/□/□'와 같은 형식의 메모 화면으로 전환 시, 설정에 따라 '〔 〕'에 데이터 입력 시는 입력모드가 '한글'모드로 전환되고, '□/□/□'에 데이터 입력 시는 입력 모드가 '숫자'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data processing unit 12 selects 'birthday' among memo data such as 'birthday', 'resident number', 'account number', etc., the display unit 30 may display 'birthday', '/' When switching to the memo screen such as '/', the input mode changes to 'Hangul' mode when entering data in '[]', and when entering data in '□ / □ / □'. Allows the mode to automatically switch to 'numeric' mode.

상기 입출력 제어부(13)는 메모 메뉴 실행 시, 해당 메모 화면이 상기 표시부(30)에 출력되도록 한다.When the memo menu is executed,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3 outputs the corresponding memo screen to the display unit 30.

이때, 상기 입출력 제어부(13)는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된 메모 데이터에 대한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리스트 중 선택된 메모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표시부(30)가 해당 형식의 메모 화면으로 전환되어 출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3 outputs a list of memo data stored in the memory 40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and reads selected memo data from the list so that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a memo screen of a corresponding format. To be outputted.

상기 제어부(10)는 입력된 메모 저장 시, 해당 메모에 대한 대기화면 표시설정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ler 10 further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11 that determines whether to set a standby screen display for the memo when storing the input memo.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상기 판단부(1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입력된 메모에 대한 대기화면 표시설정 시,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위치에 대해 해당 메모에 대한 대기화면 표시 위치를 설정하고, 입력된 메모 및 상기 메모별 설정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data processor 12 sets the standby screen display position for the memo for the selected position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when setting the standby screen display for the input memo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11 The input memo and setting data for each memo are stored in the memory 40.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상기 메모의 대기화면 표시 위치뿐만 아니라 그 외에도 대기화면 표시 설정된 메모에 대한 메모 배경, 크기, 색상 등을 설정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or 12 may set not only the standby screen display position of the memo but also a memo background, size, color, etc. of the memo set in the standby screen display.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대기모드 시, 상기 표시부(30)에 출력된 특정 메모에 대한 수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메모의 표시위치, 크기, 색상, 배경, 메모 내용 등의 수정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data processor 12 inputs a correction command for a specific memo output to the display unit 30 in the standby mod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the display position, size, and color of the memo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Switch to edit mode such as, background, memo contents.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대기화면 표시 설정된 메모 데이터의 표시 위치 또는 메모 크기에 대한 수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메모 위치 이동 모드 또는 크기 수정모드로 전환되도록 하고, 상기 메모 데이터의 메모 내용에 대한 수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메모 수정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That is, the data processor 12 ca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witch to a memo position movement mode or a size correction mode when a correction command for a display position or a memo size of the memo data set on the standby screen is input, and the memo When a correction command for the memo content of the data is inp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the memo correction mode.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에 대해 대기화면 표시 해지설정을 할 수도 있다.The data processor 12 may set a standby screen display termination of the memo according to a command.

또한, 상기 입출력 제어부(13)는 입력된 메모 저장 시, 대기화면 표시 설정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13 outputs a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set the standby screen display when storing the input memo.

이때, 상기 입출력 제어부(13)는 상기 판단부(11)의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메모에 대해 대기화면 표시 설정하지 않는 경우, 해당 메모 저장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13 does not set the standby screen display for the memo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1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the standby screen after storing the corresponding memo.

한편, 상기 입출력 제어부(13)는 해당 메모에 해대 대기화면 표시 설정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30)가 대기화면으로 전환되어 출력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메모의 위치가 지정되도록 상기 대기화면에 해당 메모가 표시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3 sets the display of the standby screen for the memo, the display unit 30 is switched to the standby screen and outputted. Make sure the note is displayed.

또한, 상기 입출력 제어부(13)는 대기모드 시, 기 설정된 위치에 따라 해당 메모가 상기 표시부(30)에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13 may output the corresponding memo to the display unit 30 according to a preset position in the standby mode.

이때, 상기 입출력 제어부(13)는 대기화면 표시 설정된 하나 이상의 메모가 상기 표시부(30)에 출력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3 outputs one or more memos set on the standby screen display to the display unit 30.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입력에 따른 제1실시예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메뉴 선택 시, 도 2b와 같이 '내용을 입력하세요'와 같은 메시지와 함께 빈 여백의 메모화면으로 전환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emo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A, when selecting a memo menu, as shown in FIG. Is switched to.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뉴' 버튼이 조작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된 일정 형식을 갖는 메모 데이터의 리스트 'e-mail, 계좌번호, 위치'가 표시되며, 상기 표시된 리스트 중 'e-mail'이 선택되면, 도 2d와 같이 'e-mail' 형식의 메모 화면이 출력되고, 또한 상기 출력된 리스트 중 '계좌번호'가 선택되면, 도 2e와 같이 계좌번호 형식의 메모 화면이 출력된다.In this case, when the 'menu' button is oper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list of memo data having a predetermined format stored in the memory 40 as shown in FIG. 2C is displayed, 'e-mail, account number and location'. If 'e-mail'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list, a memo screen in the form of 'e-mail' is output as shown in FIG. 2D. Also, if 'account number' is selected from the output list, an account as shown in FIG. 2E is provided. A memo screen in number format is displaye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d 및 도 2e와 같이, '이름' 또는 '은행명'을 입력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가 '한글'모드로 자동 전환되고, 'e-mail' 입력 시에는 입력모드가 '영문'모드로 자동 전환되며, '계좌번호' 입력 시에는 입력모드가 '숫자'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이때, 별도의 버튼 조작 없이 설정에 따라 입력모드가 해당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한다.2D and 2E, when the name or bank name is input, the input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Korean mode, and the e-mail is input. The input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English' mode, and when the 'account number' is input, the input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numeric' mode. At this time, the input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corresponding character, number, or symbol mode according to the setting without a separate button operation.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출력에 따른 제2실시예는 입력된 'e-mail' 저장 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화면 표시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이때 버튼 조작에 따라 '예'가 선택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화면에 해당 메모 '김태희의 e-mail: lovelove@abc.com'가 표시되어 상기 메모의 표시 위치가 지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memo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display the standby screen, as shown in Figure 3a, when the input 'e-mail' is stored,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If 'Yes' is selected, as shown in FIG. 3B, the corresponding note 'Kim Tae-Hee's e-mail: lovelove@abc.com' is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to designat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memo.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버튼 조작에 따라 해당 위치가 선택되면,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메모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 '김태희의 e- mail: lovelove@abc.com'가 대기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selected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the mobile terminal stores the memo as shown in FIGS. 3C and 3D, and the memo 'Kim Tae Hee's e-mail: lovelove@abc.com' is waiting.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메모 메뉴가 실행되고(S1), 이때 '메뉴' 버튼이 조작되면(S2),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일정 형식을 갖는 메모 데이터의 리스트를 출력하고(S3), 상기 출력된 리스트 중 선택된 메모 데이터 형식의 메모화면으로 전환되어 출력되도록 한다(S4).When the memo menu is executed (S1), and the 'menu' button is operated (S2), a list of memo data having a certain format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put (S3), and selected memo data among the output lists Switch to the memo screen of the format to be output (S4).

이때, 메모 입력 시, 상기 선택된 메모 데이터의 설정에 따라 입력모드가 문자, 숫자, 기호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At this time, when the memo is input, the input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any one mode among letters, numbers, and symbols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selected memo data.

즉, '주소', '속담', '명언' 등과 같이 문자(한글, 영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설정에 따라 '한글' 또는 '영문' 모드로 자동 전환되고, '전화번호', '계좌번호' 등과 같은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숫자'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In other words, if you enter letters (Korean, English) such as 'address', 'proverb', 'meaning', etc., depending on the setting, the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Korean' or 'English' mode, and 'phone number' and 'account number' If you enter a number such as ',' it will automatically switch to 'number' mode.

이때, 설정에 따라 특정 형식의 메모 입력 시 '기호' 모드로도 자동 전환된다.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setting, when a memo of a specific type is entered, the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ymbol' mode.

상기 입력된 메모에 대한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S5), 대기화면 표시 설정여부를 판단하여(S6),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위치에 대하여 해당 메모의 대기화면 표시 위치를 설정하고(S7), 메모리에 저장한다(S8).When the storage command for the input memo is input (S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tandby screen display setting is set (S6), and the standby screen display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memo is set for the selected position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S7) Store in (S8).

이때, 설정에 따라 해당 메모의 표시 위치뿐만 아니라, 메모 배경화면, 색생, 메모 출력크기 등에 대해서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not only the display position of the memo, but also the memo background, color, memo output size, etc. may be set according to the setting.

상기 메모가 저장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전환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해당 메모가 표시되도록 한다(S9). When the memo is stor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es to the standby mode, the memo is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9).

이때, 상기 메모가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도록 하며, 대기화면 표시 설정된 메모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각 메모가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memo is displayed at a preset position, and if more than one memo is set on the standby screen display, each memo is displayed at the set position.

또한, 명령에 따라 대기화면에 출력된 메모에 대해 표시위치, 색상, 크기, 메모 내용 등을 수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position, color, size, memo contents, etc. may be modified with respect to the memo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according to the comman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memo func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the technical concept is protected. It can be applied within the rang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자주 사용되는 형식의 메모 데이터를 설정하고, 메모 입력 시 기 설정된 형식의 메모 메모화면으로 전환하며, 이때 별도의 버튼 조작 없이도 입력모드가 해당 형식의 문자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memo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ets a memo data of a frequently used format, and switches to a memo memo screen of a preset format when a memo is input. The user's convenience is greatly increased by allowing the input mode to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character mode of the corresponding format without button manipulation.

Claims (11)

메모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memo data; 일정 형식의 메모 데이터를 설정하고, 메모 입력 시 상기 표시부가 선택된 형식의 메모화면으로 전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 unit for setting memo data in a predetermined format, and outputting the memo screen of the selected format when the memo is inpu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메모 데이터에 대한 메모 리스트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와;The control unit comprises a data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memo list for the set memo data; 상기 메모 리스트 중 선택된 메모 데이터를 판독하여, 해당 형식의 메모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는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And an input / output controller configured to read the selected memo data from the memo list, and output a memo screen of a corresponding forma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해당 형식의 메모 입력 시, 기 설정된 문자, 숫자, 기호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data processo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input of the memo of the format, to automatically switch to any one of the preset text, numbers, symbol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메모에 대해 대기화면 표시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control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display the idle screen for the input memo.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입출력 제어부는 입력된 메모에 대한 대기화면 표시 설정 시,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위치에 해당 메모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memo is output to the selected position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when setting the display of the standby screen for the input memo.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대기화면에 표시된 메모의 위치, 크기, 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The data processing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size, color of the memo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부는 대기모드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display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memo is output in the standby mode. 메모 메뉴를 실행 시, 선택된 형식의 메모 화면으로 전환하는 제1단계와;A first step of switching to a memo screen of a selected format when executing a memo menu; 입력된 메모 저장 시, 대기화면 표시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o display a standby screen when storing an input memo;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메모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제3단 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a third step of setting and storing a display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memo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일정 형식을 같는 메모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The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generating and storing memo data having a predetermined forma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단계는 설정에 따라 문자, 숫자, 기호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The first step is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mem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utomatically switching to any one mode of letters, numbers, symbols according to the setting.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3단계는 대기모드 시, 설정된 위치에 따라 해당 메모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The third step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corresponding memo according to the set position in the standby mode.
KR1020050105594A 2005-11-04 2005-11-0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take a memo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6802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594A KR100680210B1 (en) 2005-11-04 2005-11-0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take a memo and its ope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594A KR100680210B1 (en) 2005-11-04 2005-11-0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take a memo and its operat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210B1 true KR100680210B1 (en) 2007-02-08

Family

ID=3810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594A KR100680210B1 (en) 2005-11-04 2005-11-0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take a memo and its opera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210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2173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mail reading method, and e-mail reading program
US86891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navigational and other commands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94049B1 (en) Method for data information displaying of mobile station
JP418061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074767B2 (en) Interactive phone book
JP5260144B2 (en) Mobile phone
JP2009294885A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preview display method and program equipped with display function
KR10068021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take a memo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80096732A (en) Touch type information inputting terminal, and method thereof
JP4937377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mail reading method, and e-mail reading program
JP442520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122208A (en) Apparatus for simplified and traditional chinese exchange method thereof
CA2602877C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navigational and other commands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1290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essage preview and its operating method
JP2009110537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and program for marking mail as read
KR100688194B1 (e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nput mode Change
JP2003060741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07005583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input memo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131460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reof
JP4647005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mail reading method, and e-mail reading program
JP2007264090A (en) Built-in device provided with font change function, and program thereof
KR100324274B1 (en) Method of Managing Short Paragraph in the Terminal Contained a Touch Panel
JP4651707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mail reading method, and e-mail reading program
KR101054572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63442B1 (en) Telephone number input method using long 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