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104B1 -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104B1
KR101259104B1 KR1020060075263A KR20060075263A KR101259104B1 KR 101259104 B1 KR101259104 B1 KR 101259104B1 KR 1020060075263 A KR1020060075263 A KR 1020060075263A KR 20060075263 A KR20060075263 A KR 20060075263A KR 101259104 B1 KR101259104 B1 KR 101259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user
condition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13574A (en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104B1/en
Publication of KR2008001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5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1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련 정보를 조절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복수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조건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메모리와, 상기 입력받은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dition for adjusting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to a user, a memory for classifying and managing a plurality of the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for each condition, and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di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information from the memory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control unit, and a method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조건에 따라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set by the user can be adjusted.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 Application, application-specific information

Description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방법{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display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건별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실시예 도면.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displaying conditional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건별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실시예 도면.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displaying application-specific information for each condi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건별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제 3 실시예 도면.FIG. 2C is a third embodiment showing application-specific information for each condi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건별 애플리케이션 관련 편집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실시예 도면.3A illustrates a first embodiment of displaying conditional application related editing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건별 애플리케이션 관련 편집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실시예 도면.3B illustrates a second embodiment of displaying application-specific editing information for a condi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건별 애플리케이션 관련 편집 정보를 표시하는 제 3 실시예 도면.FIG. 3C is a third embodiment of displaying conditional application related editing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종래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follow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에 관련된 정보로써 날짜 및 시간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신호 수신 강도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초기 화면 문구 또는 화면을 표시한다.In the standby st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lly displays an initial screen text or a screen set by a user, including date and time information, battery level information, and signal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a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한편, 호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 단말기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vent such as call reception or message reception occu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screen for notifying the user that a call or message has been received.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terminal that originated the call or message may be displayed or contents included in the message may be displayed.

또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성된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per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menu list composed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specific application is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the selected specific selection.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단말 사용이 능숙하지 않은 초보 사용자이거나 나이가 많은 사용자의 경우에, 설정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사용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이 많다. 한편, 단말 사용 능력이 능숙하여, 좀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원하는 사용자도 있다. 그러나,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한다.In the case of a novice user who is not good at using a terminal or an old user, many applications are not used among a plurality of configured applica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user who is good at using a terminal and wants more various applications. However,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consider the user's ability to use the application at all, and uniformly provides the same application information for the same application.

또한, 상술한 종래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높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not possible to preferentially provide information on an application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by a use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조건에 상응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capable of providing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ndition received from a user.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단말 사용 능력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the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terminal usage capabilities.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빈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n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pplication of the us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 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련 정보를 조절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복수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조건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메모리와, 상기 입력받은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dition for adjusting the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to the user, and a plurality of the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A memory for classifying and managing the data according to conditions,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dition from the memory,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은,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련 정보를 조절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a condition for adjusting the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to the user, a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dition Extracting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which is considered to be a possibility of blur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 관련 정보를 조절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 입력부(110),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조건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메모리(120), 입력받은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130) 및 추출된 애플리 케이션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a condition for adjusting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a memory 120 for classifying and manag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for each conditi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130 for extracting the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ndition and the display unit 140 for displaying the extracted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입력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복수의 기능 중에서 특정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The input unit 110 generat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operation from the user. In this case, the input signal means a signal for operating a specific function among a plurality of functions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조절하기 위한 조건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condition from the user for adjusting an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to the user.

여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목록,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 목록, 각 애플리케이션 기능에 대한 편집 정보 등을 의미한다.Here, the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means, for all applications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application list, a function list for each application, edit information for each application function, and the like.

예를 들어, 상기 애플리케이션 목록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명칭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화번호부', '메시지', '음향 벨소리 설정', '카메라', 'MP3', '환경 설정', '화면 설정', '일정 관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 목록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수의 기능들의 명칭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전화번호부'인 경우에, '전화번호 등록', '전화번호 찾기', '통화기록', '통화시간', '단축번호 관리', '그룹관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기능에 대한 편집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기능에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아 설정되는 정보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기능이 '전화번호 등록'인 경우에, '이름', '전화번호', '메모', 'E-mail 주소', '벨소리 설정', '이미지 설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application list is composed of the names of the applications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phone book', 'message', 'sound ringtone setting', 'camera', 'MP3', 'environmental setting', It includes at least one of 'screen setting', 'schedule management'. In addition, the function list for the application is made up of the names of a plurality of functions for a specific application, and when the specific application is a 'phone book', 'register phone number', 'find a phone number', and 'call record'. It includes at least one of ',' talk time ',' shortcut number management ',' group management '. The editing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function is information set by receiv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user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function. When the application function is a phone number registration, the name and the phone number , 'Notes', 'E-mail Address', 'Set Ringtone', and 'Image Set'.

상기 입력부(110)는, 복수의 조건 중에서 임의의 조건을 선택받기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한다.The input unit 110 includes input means for receiving an arbitrary condi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conditions.

여기에서, 상기 조건은,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조절하기 위한 조건을 의미한다.Here, the condition means a condition for adjusting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to the user.

예를 들어, 상기 조건은,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에 따라 복수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조건은,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 또는 '제 1 단계, 제 2 단계, 제 3 단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건은,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빈도에 따라 복수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조건은,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빈도에 따라, '주(main) 사용', '사용 안함', '일정 횟수 이상 사용'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dition may be set in plural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usage capability of the user. That is, the condition may be set to 'beginner, intermediate, advanced' or 'first step, second step, third step'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user's ability to use the application. Alternatively, the condition may be set to a pluralit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hat is, the condition may be set to 'main use', 'not use', 'us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etc.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pplication of the user.

상기 입력 수단에는 상기에서 설명된 복수의 조건들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된 복수의 조건 중에서 원하는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conditions described above are displayed on the input means,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condition from the plurality of displayed conditions using the input means.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수단에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에 따른 조건으로서 '초급, 중급, 고급'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 사용 능력이 매우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고급'을, 비교적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중급'을,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초급'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 수단에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빈도에 따른 조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는, 주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원하는 경우에 '주 사용'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원 하는 경우에 '사용 안함'을, 일정 횟수 이상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원하는 경우에 '일정 횟수 이상 사용'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수단에는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에 따른 복수의 조건 및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빈도에 따른 복수의 조건이 함께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For example, when 'beginner, intermediate, advanced' is displayed on the input means as a condi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usage ability of the user, when the user determines that his terminal use ability is very excellent, Advanced, "Intermediate," if it is determined to be relatively good, or "Beginner," if deemed insufficient. Alternatively, when a condi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pplication of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input means, when the user wants information related to an application to be mainly used, the user is associated with an application that rarely uses 'main use'. You can select 'Disable' if you want information, or 'Use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if you want information related to an application that has been used a certain number of times.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the input means may display a plurality of condition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usage capability of the user and a plurality of condition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usage frequency of the user.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수단은, 조그 셔틀(jog shuttle), 조그 다이얼(jog dial), 조그 스틱(jog stick),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put means may be at least one of a jog shuttle, a jog dial, a jog stick, a touch pad, and a touch screen. have.

상기 메모리(120)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출력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The memory 120 stores all data input and out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a program for operating a function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메모리(12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조건별로 분류하여 관리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20 classifies and manages a plurality of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for each condition.

이하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에 따른 복수의 조건으로서 '초급, 중급, 고급'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as a plurality of conditions according to the user's ability to use an application.

상기 메모리(120)는, '초급'의 조건에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목록으로서 '전화번호부, 메시지, 음향 벨소리 설정'을, '전화번호부'의 기능 목록으로서 '전화번호 등록, 전화번호 찾기'를, '전화번호 등록'의 편집 정보로서 '이름,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관리한다.The memory 120, in relation to the condition of 'beginner', 'set phone book, message, sound ringtone setting' as a list of applications, 'register phone number, find a phone number' as a function list of the 'phone book', It manages by saving 'name, phone number' as edit information of 'register phone number'.

또한, 상기 메모리(120)는, '중급'의 조건에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목록으로서 '전화번호부, 메시지, 음향 벨소리 설정, 카메라, MP3'을, '전화번호부'의 기능 목록으로서 '전화번호 등록, 전화번호 찾기, 통화기록, 통화시간'을, '전화번호 등록'의 편집 정보로서 '이름, 전화번호, 메모, E-mail 주소'를 저장하여 관리한다.In addition, the memory 120, in relation to the conditions of 'intermediate', 'phone book, message, sound ring setting, camera, MP3' as a list of applications, 'phone number registration, It finds and manages phone number, call log, call time, and saves 'name, phone number, memo and e-mail address' as edit information of 'register phone number'.

또한, 상기 메모리(120)는, '고급'의 조건에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목록으로서 '전화번호부, 메시지, 음향 벨소리 설정, 카메라, MP3, 환경설정, 화면설정, 일정관리'를, '전화번호부'의 기능 목록으로서 '전화번호 등록, 전화번호 찾기, 통화기록, 통화시간, 단축번호 관리, 그룹관리'를, '전화번호 등록'의 편집 정보로서 '이름, 전화번호, 메모, E-mail 주소, 벨소리 설정, 이미지 설정'을 저장하여 관리한다.In addition, the memory 120, in relation to the conditions of the "advanced", as a list of applications, 'phone book, message, sound ringtone setting, camera, MP3, preferences, screen settings, schedule management', 'phone book' 'List phone number, phone number search, call log, call time, speed dial number management, group management' as a list of functions, and 'name, phone number, memo, e-mail address, Save and manage ringtone settings and image settings.

한편, 상기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메모리(120)는,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빈도에 따른 복수의 조건, 예를 들어, '주 사용', '사용 안함', '일정 횟수 이상 사용'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Although not described above, the memory 120 includes a plurality of conditions, for example, 'main use', 'not use', and 'us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application use of the user. The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is classified and stored.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 즉,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일정 기간 동안의 사용 횟수, 설정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일정 기간 동안의 사용 순위,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마지막 사용 시기 등을 포함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120)는,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수집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colle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requency of use of all applications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pplication is collected, including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each applic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order of use of all applicatio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last time of use of each application. In addition, the memory 120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pplication collected by the controller 130.

상기 제어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받 은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120)로부터 추출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extracts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ondition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10 from the memory 120.

상기 메모리(120)는 조건별로 분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받은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12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Since the memory 120 stores the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classified by conditions, the controller 130 may extract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dition from the memory 120.

상기 표시부(140)는,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동작이 있거나 이벤트(event)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40 generally displays state related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s corresponding information when an input operation or an event occurs from a user.

특히,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control unit 130.

이하에서는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에 따른 조건으로서 '초급, 중급, 고급' 중에서 하나를 입력받은 경우에, 상기 표시부(140)를 통하여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설명한다. 특히,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 중에서 애플리케이션 목록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 목록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A, 2B, and 2C,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when one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is received as a condition according to the user's ability to use the application. Explain.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list or the function list for the application among the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도 2a는, '초급'을 입력받은 경우에 그에 상응하여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도시한다.FIG. 2A illustrates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correspondingly when 'beginner' is input.

제 1 화면(210)은, 애플리케이션 목록으로서, '전화번호부, 메시지, 음향 벨소리 설정'을 표시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초급'이 선택되었다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매우 미흡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 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하게 된다.The first screen 210 displays a phone book, a message, and a sound ring setting as a list of applications. Since 'beginner' is selected by the user means that the user's ability to use the application is very poor,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suitable applications for the user who has insufficient application use ability. To control.

그리고, 제 2 화면(220)은,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목록 중에서 '전화번호부'가 선택된 경우에, '전화번호부'에 대한 기능 목록으로서, '전화번호 등록, 전화번호 찾기'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전화번호부' 관련 기능들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다.The second screen 220 displays a phone number registration and a phone number search as a function list for the phone book when the phone book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application list.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phone book' related functions suitable for a user who lacks the ability to use an application.

도 2b는, '중급'을 입력받은 경우에 그에 상응하여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도시한다.FIG. 2B illustrates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correspondingly when 'intermediate' is input.

제 1 화면(230)은, 애플리케이션 목록으로서, '전화번호부, 메시지, 음향 벨소리 설정, 카메라, MP3'를 표시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중급'이 선택되었다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비교적 능숙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비교적 능숙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다.The first screen 230 displays a phone book, a message, a sound ring setting, a camera, and an MP3 as a list of applications. Since 'intermediate' is selected by the user means that the user's ability to use the application is relatively good,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applications suitable for a user who has a relatively good use of the application. To control.

그리고, 제 2 화면(240)은,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목록 중에서 '전화번호부'가 선택된 경우에, '전화번호부'에 대한 기능 목록으로서, '전화번호 등록, 전화번호 찾기, 통화기록, 통화시간'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비교적 능숙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전화번호부' 관련 기능들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creen 240 is a function list for the 'phone book' when the 'phone book'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application list, and 'register phone number, search phone number, call log, call time'. Display.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phone book' related functions suitable for a user who is relatively skilled in using an application.

도 2c는, '고급'을 입력받은 경우에 그에 상응하여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도시한다.FIG. 2C illustrates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correspondingly when 'advanced' is input.

제 1 화면(250)은, 애플리케이션 목록으로서, '전화번호부, 메시지, 음향 벨소리 설정, 카메라, MP3, 환경설정, 화면설정, 일정관리'를 표시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고급'이 선택되었다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매우 능숙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매우 능숙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다.The first screen 250 displays, as a list of applications, a phone book, a message, a sound ring setting, a camera, an MP3, an environment setting, a screen setting, and a schedule management. Since 'advanced' is selected by the user means that the user's ability to use the application is very good, and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applications suitable for the user who is very good at using the application. To control.

그리고, 제 2 화면(260)은, 상기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목록 중에서 '전화번호부'가 선택된 경우에, '전화번호부'에 대한 기능 목록으로서, '전화번호 등록, 전화번호 찾기, 통화기록, 통화시간, 단축번호 관리, 그룹관리'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매우 능숙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전화번호부' 관련 기능들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creen 260 is a function list for the 'phone book' when the 'phone book'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application list, and the 'phone number registration, phone number search, call log, call time, shortening'. Number management, group management.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phone book' related functions suitable for a user who is very skilled in using an application.

이하에서는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에 따른 조건으로서 '초급, 중급, 고급' 중에서 하나를 입력받은 경우에, 상기 표시부(140)를 통하여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편집 정보를 설명한다. 특히, '전화번호 등록' 기능에 대한 편집 정보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A, 3B, and 3C, when one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is input as a condition according to the user's ability to use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related edit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Explain the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editing information for the 'register phone number' function will be described.

도 3a는, '초급'을 입력받은 경우에 그에 상응하여 표시되는 '전화번호 등록' 기능에 대한 편집 정보를 도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14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310)은, 상기 편집 정보로서, '이름',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사용자에 의해 '초급'이 선택되었다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매우 미흡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부족한 사 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수정될 수 있는 사항에 해당하는 편집 정보들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다.FIG. 3A illustrates edit information for a 'telephone number registration' function displayed correspondingly when 'beginner' is input. That is, the screen 310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name' and 'phone number' as the edit information. Since 'beginner' is selected by the user means that the user's ability to use the application is very inadequate, the controller 130 corresponds to a matter that can be input or modified by a user who has insufficient application use ability. The display unit 140 is controlled to display edit information.

도 3b는, '중급'을 입력받은 경우에 그에 상응하여 표시되는 '전화번호 등록' 기능에 대한 편집 정보를 도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14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320)은, 상기 편집 정보로서, '이름', '전화번호', '메모', 'E-mail 주소'를 표시한다. 사용자에 의해 '중급'이 선택되었다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비교적 능숙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비교적 능숙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수정될 수 있는 사항에 해당하는 편집 정보들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다.FIG. 3B illustrates editing information for a 'telephone number registration' function displayed correspondingly when 'intermediate' is input. That is, the screen 320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name', 'phone number', 'note', and 'e-mail address' as the edit information. Since 'intermediate' is selected by the user means that the user's ability to use the application is relatively good, and the controller 130 corresponds to a matter that can be input or modified by a user who has a relatively good use of the application. The display unit 140 is controlled to display edit information.

도 3c는, '고급'을 입력받은 경우에 그에 상응하여 표시되는 '전화번호 등록' 기능에 대한 편집 정보를 도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14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330)은, 상기 편집 정보로서, '이름', '전화번호', '메모', 'E-mail 주소', '벨소리 설정', '이미지 설정'을 표시한다. 사용자에 의해 '고급'이 선택되었다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매우 능숙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이 매우 능숙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수정될 수 있는 사항에 해당하는 편집 정보들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40)를 제어한다.FIG. 3C illustrates edit information for a 'telephone number registration' function displayed correspondingly when 'advanced' is input. That is, the screen 330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140, as the edit information, 'name', 'phone number', 'memo', 'E-mail address',' ring tone ',' image setting 'Is displayed. 'Advanced' is selected by the user means that the user's ability to use the application is very good, so that the controller 130 corresponds to a matter that can be input or modified by a user who is very good at using the application. The display unit 140 is controlled to display edit information.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4, the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the components as shown in FIG.

메모리(12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조건별로 분류하여 관리한다(S410).The memory 120 classifies and manages a plurality of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for each condition (S410).

이하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에 따른 복수의 조건으로서 '초급, 중급, 고급'이 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is set as a plurality of condition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usage capability of the us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메모리(120)는, '초급'의 조건에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목록으로서 '전화번호부, 메시지, 음향 벨소리 설정'을, '전화번호부'의 기능 목록으로서 '전화번호 등록, 전화번호 찾기'를, '전화번호 등록'의 편집 정보로서 '이름,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관리한다.The memory 120, in relation to the condition of 'beginner', 'set phone book, message, sound ringtone setting' as a list of applications, 'register phone number, find a phone number' as a function list of the 'phone book', It manages by saving 'name, phone number' as edit information of 'register phone number'.

또한, 상기 메모리(120)는, '중급'의 조건에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목록으로서 '전화번호부, 메시지, 음향 벨소리 설정, 카메라, MP3'을, '전화번호부'의 기능 목록으로서 '전화번호 등록, 전화번호 찾기, 통화기록, 통화시간'을, '전화번호 등록'의 편집 정보로서 '이름, 전화번호, 메모, E-mail 주소'를 저장하여 관리한다.In addition, the memory 120, in relation to the conditions of 'intermediate', 'phone book, message, sound ring setting, camera, MP3' as a list of applications, 'phone number registration, It finds and manages phone number, call log, call time, and saves 'name, phone number, memo and e-mail address' as edit information of 'register phone number'.

또한, 상기 메모리(120)는, '고급'의 조건에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목록으로서 '전화번호부, 메시지, 음향 벨소리 설정, 카메라, MP3, 환경설정, 화면설정, 일정관리'를, '전화번호부'의 기능 목록으로서 '전화번호 등록, 전화번호 찾기, 통화기록, 통화시간, 단축번호 관리, 그룹관리'를, '전화번호 등록'의 편집 정보로서 '이름, 전화번호, 메모, E-mail 주소, 벨소리 설정, 이미지 설정'을 저장하여 관리한다.In addition, the memory 120, in relation to the conditions of the "advanced", as a list of applications, 'phone book, message, sound ringtone setting, camera, MP3, preferences, screen settings, schedule management', 'phone book' 'List phone number, phone number search, call log, call time, speed dial number management, group management' as a list of functions, and 'name, phone number, memo, e-mail address, Save and manage ringtone settings and image settings.

한편, 상기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메모리(120)는,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빈도에 따른 복수의 조건, 예를 들어, '주 사용', '사용 안함', '일정 횟수 이상 사용'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Although not described above, the memory 120 includes a plurality of conditions, for example, 'main use', 'not use', and 'us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application use of the user. The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입력부(110)는,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조절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다(S420).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condition for adjusting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to the user (S420).

여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목록,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 목록, 각 애플리케이션 기능에 대한 편집 정보 등을 의미한다.Here, the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means, for all applications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application list, a function list for each application, edit information for each application function, and the like.

상기 입력 단계는, 복수의 조건 중에서 임의의 조건을 선택받기 위하여, 상기 입력부(110)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이용한다.The input step uses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input unit 110 to receive a selection of a plurality of conditions.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수단에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에 따른 '초급, 중급, 고급'의 조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 사용 능력이 매우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고급'을, 비교적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중급'을,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초급'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 수단에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빈도에 따른 조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는, 주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원하는 경우에 '주(main) 사용'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원하는 경우에 '사용 안함'을, 일정 횟수 이상 사용된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원하는 경우에 '일정 횟수 이상 사용'을 선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dition of 'beginner, intermediate, advanc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usage ability of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input means, the user, if it is determined that his terminal use ability is very excellent, You can choose 'Intermediate' if you think it's relatively good, or 'Beginner' if you think it's not good enough. Alternatively, when a condi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pplication of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input means, when the user wants information related to an application to be mainly used, the user is associated with an application that rarely uses 'main use'. If you want the information, you can select 'disabled', and if you wan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us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you can select 'use a certain number of times'.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받은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120)로부터 추출한다(S430).The controller 130 extracts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dition from the memory 120 (S430).

상기 메모리(120)는 조건별로 분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받은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12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Since the memory 120 stores the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classified by conditions, the controller 130 may extract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dition from the memory 120.

표시부(140)는,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S440).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extracted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S440).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a 내지 도 3c를 참조한 상기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생략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the same as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3C and will be omitted below.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 received from the user.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단말 사용 능력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빈도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terminal usage ability or the user's application usage frequency.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의 표시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조건 중에서 특정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원하는 조건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input means for selecting a specific condi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conditions for adjusting the display degree of the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the desired condition can be conveniently selected.

Claims (10)

표시부;A display section;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편집 정보를 조절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 입력부;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dition for adjusting application editing information from a user;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편집 정보를 조건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메모리; 및A memory for classifying and manag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edit information for each condition; And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입력받은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편집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입력받은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편집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tract application edi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dition from the memory and to display the application edi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dition on the display unit. 상기 애플리케이션 편집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가 입력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정보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The application edit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information input fields into which text can be input by a user; 각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편집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정보 입력 필드의 개수 및 종류는 상기 조건별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number and type of the information input field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edi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dition are different for each of the condi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복수의 상기 조건 중에서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comprising an input means for receiving one of a plurality of conditio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조건은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에 따른 복수의 조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dition for receiving an input from the user is one of a plurality of condition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usage capability of the us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mory,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에 따른 복수의 조건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편집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application edit information are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condition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usage capability of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조건은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빈도에 따른 복수의 조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condition for receiving the input from the us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a plurality of condition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pplic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mory, 상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빈도에 따른 복수의 조건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편집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application edit information are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conditions according to an application usage frequency of the user.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편집 정보를 조절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condition for adjusting application editing information from a user; 상기 입력받은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편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Extracting application edi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dition; And 상기 입력받은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편집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And displaying application edi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dition. 상기 애플리케이션 편집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가 입력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정보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The application edit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information input fields into which text can be input by a user; 각 조건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편집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정보 입력 필드의 개수 및 종류는 상기 조건별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The number and type of the information input field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edi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dition are different for each of the condition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put step,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조건은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능력에 따른 복수의 조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And the condition of receiving the input from the user is one of a plurality of condition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usage capability of the user.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조건은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빈도에 따른 복수의 조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And a condition for receiving the input from the user is one of a plurality of condition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pplication by the us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조건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And classifying and manag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for each condition.
KR1020060075263A 2006-08-09 2006-08-09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2591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263A KR101259104B1 (en) 2006-08-09 2006-08-09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263A KR101259104B1 (en) 2006-08-09 2006-08-09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574A KR20080013574A (en) 2008-02-13
KR101259104B1 true KR101259104B1 (en) 2013-04-26

Family

ID=3934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263A KR101259104B1 (en) 2006-08-09 2006-08-09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10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009A (en)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agent in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009A (en)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agent in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574A (en)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4808C (en) Device with a graphic user interface
US6195569B1 (en) Phone displaying alternative functionality menu
KR100677382B1 (en) Method for converting display panel in a mobile terminal
RU2363033C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controlling user interface
KR101346931B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Using Same
US20080125180A1 (en) User-Interface and Architecture for Portable Processing Device
US7369880B2 (en) Mobile phone apparatus
US6931258B1 (en) Radiophone provided with an operation key with multiple functionality for handling access to a menu structure
GB2370192A (en) Mobile phone with electronic trash can
EP34135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coming and outgoing cal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189753A (en) Phone
KR20070048499A (en) Display method for event information in mobile device
JP4458763B2 (en) Mobile phone
US20050130614A1 (en) Function call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function calling process
CN101370217B (en) The method and mobile terminal of a kind of optimizing operation sequence of mobile terminal
KR100641223B1 (en) Mobile terminal having user hot-key and method for direct execution using it
KR101259104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22464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human data management function and method of human data displaying the same
KR100609579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call log of scheduler interface
US7221965B2 (en) Multiple page sound tone dialog in communication device
KR100524746B1 (en) Mobile terminal mode change method considering purposes
KR20040061645A (en) Frame split apparatus in mobile terminal, scheduling method using it
KR10131460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reof
JP2005204039A (en) Mobile terminal
KR2008006983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