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216B1 - Crop harvesting device - Google Patents

Crop harves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216B1
KR101313216B1 KR1020110129378A KR20110129378A KR101313216B1 KR 101313216 B1 KR101313216 B1 KR 101313216B1 KR 1020110129378 A KR1020110129378 A KR 1020110129378A KR 20110129378 A KR20110129378 A KR 20110129378A KR 101313216 B1 KR101313216 B1 KR 101313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ag
frame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3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3071A (en
Inventor
연재득
Original Assignee
연재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재득 filed Critical 연재득
Priority to KR1020110129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216B1/en
Publication of KR2013006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0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2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혼자서 농작물 수확장치를 쉽게 작동함으로 인건비를 감소시키며, 프레임부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대형 트랙터뿐만 아니라 소형 트랙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함으로 부식을 방지하는 것과 벼, 호밀, 수단글라스, 목초수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농작물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농작물을 이동 수확하기 위해 트랙터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견인대(170)가 구비되며, 상기 견인대(170) 일측에 견인고리(171)가 구비되는 트레일러 부(100); 상기 트레일러 부(100) 상단에 사각의 틀로 구비되어 뼈대를 이루는 수직기둥(210)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기둥(210) 상면에 고정대(22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기둥(210) 간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면 상하단에 측면보강대(211)가 구비되며, 정면 상하단에 정면 보강대(212)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기둥(210) 상단에 상부 보강대(213)가 구비되는 프레임 부(200); 상기 프레임 부(200) 상측에 구동부 프레임(310)에 형성된 구동부 고정홈(311)이 상기 프레임 부(200) 상면에 형성된 고정대(220)와 결합되는 구동부(300); 상기 고정대(220)에 지지대(420)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420)에 가이드 벽(410)이 결합되는 가변 가이드부(400); 상기 구동부(30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정면 하단의 정면 보강대(212)에 제어부 고정대(51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 고정대(510)에 제어부 케이스(520)가 결합되는 제어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장치.
본 발명은 가이드 벽이 작업자의 작업형태에 따라 여러 형태로 탈부착 되어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와, 트레일러 차체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대형 트랙터뿐만 아니라 소형 트랙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함으로 부식을 방지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벼, 호밀, 수단글라스, 목초수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와, 투입홀이 작업 내용물에 따라 홀의 크기 또는 모양이 다른 투입홀을 탈부착함으로 변화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각각의 기둥에 상하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며, 수용자루를 고정해주는 걸쇠가 자리하고, 승하강 및 멈춤기능을 구비하고, 또, 내측 수용자루를 집게가 고정해줌으로 작물 수용에 처짐이 발생되는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수용자루를 받치고 있으며 수용자루에 내용물이 적재시 바닥판의 중심부근을 기준으로 경사를 이루게 하여 수용자루의 하차가 이루어지는 효과와, 자체이동이 가능하며 바닥판이 용이하게 경사를 이룰 수 있도록 프레임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많은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제공하며, 여덟째, 수용자루가 하차시 기울어진 바닥판을 미끄러져 내려올 때 수용자루가 넘어지지 않도록 고리줄이 구비되어 수용자루에 적재되는 작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구동부는 수용자루에 내용물이 충실히 적재되도록 내용물을 압착하여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harvesting device,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crop harvester alone to reduce labor costs, the frame portion is made of a light aluminum material can be used in small tractors as well as large tractors, by using aluminum material to prevent corros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harvesting device tha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preventing, rice, rye, sudan glass, grass harves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owing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tractor connecting portion for moving harvesting crops, trailer unit 100 is provided with a towing ring 171 on one side of the towing unit 170; A vertical pillar 21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trailer unit 100 in a rectangular frame to form a skeleton. A fixing rod 22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illar 210, and shakes between the vertical pillars 210. Frame reinforcement (211)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to prevent, the front reinforcement (212)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the frame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n upper reinforcement (213) on the top of the vertical column (210); A driving part 300 having a driving part fixing groove 311 formed in the driving part frame 310 above the frame part 200 coupled with a fixing part 220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200; A variable guide part 400 having a support 420 coupled to the holder 220 and a guide wall 410 coupled to the support 420; A control unit 500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ixing unit 510 on the front reinforcing bar 212 at the front lower end to control the driving unit 300 in sequence, and a control unit case 520 coupled to the control unit fixing unit 510; Crop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guide wall is detachable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working type of the operator to enable the conversion, the trailer body is made of light aluminum material can be used in small tractors as well as large tractors, by using the aluminum material It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corrosion.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ice, rye, sudan glass, grass harvest, and the effect that the input hole can be changed by attaching and detaching an input hole having a different size or shape depending on the work contents. The lifting and lowering is made up and down on the column, and the latch is fixed to the bag, and the lifting and stopping function is provided, and the inner bag is fixed to the tongs so that the sag does not occur when the crop is received. Has
In addition, it supports the bag, and when the contents are loaded on the bag, it makes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drop off of the bag is possible, and the frame can be easily inclined so that the bottom plate can be easily inclined. Equipped with the effect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put a lot of force, and eighth, the rope is provided so that the bag does not fall when the bag is slid down the inclined bottom plate that the crop loaded on the bag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provides an effect of compressing the contents so that the contents are faithfully loaded on the bag.

Description

농작물 수확장치{Crop harvesting device}Crop harvesting device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혼자서 농작물 수확장치를 쉽게 작동함으로 인건비를 감소시키며, 프레임부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대형 트랙터뿐만 아니라 소형 트랙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함으로 부식을 방지하는 것과 벼, 호밀, 수단글라스, 목초수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농작물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harvesting device,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crop harvester alone to reduce labor costs, the frame portion is made of a light aluminum material can be used in small tractors as well as large tractors, by using aluminum material to prevent corros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harvesting device tha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preventing, rice, rye, sudan glass, grass harvest.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소 또는 말 등의 보충사료로 옥수수 또는 수수와 같은 농작물은 하베스터를 이용하여 옥수수 또는 수수의 열매 및 줄기를 채취하는 동시에 작물을 여러 단으로 절단하여 수확한다.In general, crops such as corn or sorghum are supplemented with cows or horses in winter, harvesting corn or sorghum and harvesting crops in multiple stages using harvesters.

종래의 경우 수확한 옥수수와 수수 등의 농작물을 땅에 매립하여 놓고 이를 겨울에 파내어 가축에게 먹이고 있다. 이러한 경우 겨울철 땅의 습기 및 낮은 온도로 인해 절단된 농작물이 해동과 냉동이 반복해 관리 및 사료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와 추운 겨울철에 파내어 가축에게 주기엔 많은 노동력과 시간의 비효율성이라는 문제가 발생한다.In the conventional case, the crops such as harvested corn and sorghum are buried in the ground and dug it in winter to feed the livestock. In such a case, crops that are cut due to moisture and low temperature of winter lands are repeatedly thawed and frozen, resulting in low value as a management and feed, and a problem of labor and time inefficiency for digging in cold winters for livestock. .

또한, 절단된 농작물을 땅에 매립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를 별도의 수용자루에 담는 작업의 경우에는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In addition, even if the cut crops are not buried in the ground, the work to put them in a separate bag is required by manual labor and requires a lot of labor and time.

또한, 수용자루에 절단된 농작물의 경우 용량이 600KG에 육박하므로 별도의 장비 없이는 작업자가 손쉽게 옮기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rops cut in the bag, the capacity is close to 600KG,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worker to move easily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현재 농작물을 대량으로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판매중에 있으나 수입품이며, 고가이므로 농가에 큰 부담을 주고 있는 형편이다.At present, a device for harvesting a large amount of crops is on sale, but imported and expensive, placing a heavy burden on farmers.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개특허 10-2011-0042715호 수수작물 수확장치를 제안하였으며, 상기의 기술은 옥수수와 사탕수수와 같은 수수작물의 줄기를 수확하는 장치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rop harvesting device has been proposed. The above technique is a device for harvesting a stem of a cane crop such as corn and sugar cane.

하지만, 상기의 기술은 다양한 트랙터에 맞게 가이드 벽의 변경이 불가하여 한정되는 트랙터만을 사용하며, 바닥판이 롤러로 이루어져, 수확기의 이동시 수용자루가 밀리게 되며, 수용자루에 절단된 작물이 적재되어 하차시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technique uses only a tractor that is limited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guide wall to fit a variety of tractors, the bottom plate is made of a roller, the bag is pushed when the harvester moves, the crop cut in the bag is loaded There is a problem of falling.

또한, 실린더를 사용함으로 수확기의 무게 또는 사용 전력량이 많아짐으로 유지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cost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harvester or the amount of power used by using the cylind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 벽이 작업자의 작업형태에 따라 여러 형태로 탈부착 되어 변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guide wall to be attached and detach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working form of the operator to be able to convert.

또한, 트레일러 차체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대형 트랙터뿐만 아니라 소형 트랙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함으로 부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iler body is made of light aluminum material can be used in small tractors as well as large tractors, and the purpose of preventing corrosion by using aluminum material.

또한, 벼, 호밀, 수단글라스, 목초수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aims to be able to use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ice, rye, Sudan glass, grasses harvest.

또한, 투입홀이 작업 내용물에 따라 홀의 크기 또는 모양이 다른 투입홀을 탈부착함으로 변화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hat the input hole can be changed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input hole different in size or shape of the hole depending on the work content.

또한, 각각의 기둥에 상하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며, 수용자루를 고정해주는 걸쇠가 자리하고, 승하강 및 멈춤기능을 구비하고, 또, 내측 수용자루를 고정해주는 집게가 구비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and lowering is made up and down on each column, the clasp for fixing the receiving bag is located, has a lifting and stopping function, and the purpose is provided with a clamp for fixing the inner receiving bag.

또한, 수용자루를 받치고 있으며 수용자루에 내용물이 적재시 바닥판의 중심부근을 기준으로 경사를 이루게 하여 수용자루의 하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supports the bag and aims to get off the bag by making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when the contents are loaded on the bag.

또한, 자체이동이 가능하며 바닥판이 용이하게 경사를 이룰 수 있도록 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hat can move itself and the frame is provided so that the bottom plate can be easily inclined.

또한, 수용자루가 하차시 기울어진 바닥판을 미끄러져 내려올 때 수용자루가 넘어지지 않도록 고리줄이 구비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loop so that the bag does not fall when the bag is slid down the inclined bottom plate when getting off.

또한, 고리부재를 각각 승하강 할 수 있도록 하여 수용자루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user to be able to lift and lower the ring member to be fixed to the desired heigh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g.

또한, 구동부는 수용자루에 내용물이 충실히 적재되도록 내용물을 압착하여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drive unit is intended to compress the contents so that the contents are faithfully loaded on the ba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작물을 이동 수확하기 위해 트랙터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견인대(170)가 구비되며, 상기 견인대(170) 일측에 견인고리(171)가 구비되는 트레일러 부(100); 상기 트레일러 부(100) 상단에 사각의 틀로 구비되어 뼈대를 이루는 수직기둥(210)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기둥(210) 상면에 고정대(22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기둥(210) 간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면 상하단에 측면보강대(211)가 구비되며, 정면 상하단에 정면 보강대(212)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기둥(210) 상단에 상부 보강대(213)가 구비되는 프레임 부(200); 상기 프레임 부(200) 상측에 구동부 프레임(310)에 형성된 구동부 고정홈(311)이 상기 프레임 부(200) 상면에 형성된 고정대(220)와 결합되는 구동부(300); 상기 고정대(220)에 지지대(420)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420)에 가이드 벽(410)이 결합되는 가변 가이드부(400); 상기 구동부(30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정면 하단의 정면 보강대(212)에 제어부 고정대(51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 고정대(510)에 제어부 케이스(520)가 결합되는 제어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trailer (170) to be connected to the tractor connection portion for moving harvesting crops, trailer section that is provided with a towing ring 171 on one side of the tractor (170) ( 100); A vertical pillar 21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trailer unit 100 in a rectangular frame to form a skeleton. A fixing rod 22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illar 210, and shakes between the vertical pillars 210. Frame reinforcement (211)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to prevent, the front reinforcement (212)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the frame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n upper reinforcement (213) on the top of the vertical column (210); A driving part 300 having a driving part fixing groove 311 formed in the driving part frame 310 above the frame part 200 coupled with a fixing part 220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200; A variable guide part 400 having a support 420 coupled to the holder 220 and a guide wall 410 coupled to the support 420; A control unit 500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ixing unit 510 on the front reinforcing bar 212 at the front lower end to control the driving unit 300 in sequence, and a control unit case 520 coupled to the control unit fixing unit 510;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트레일러 부(100)는 "ㅂ"형의 트레일러 프레임(110)이 구비되며,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110) 하면에 프레임 지지대(111)가 구비되며,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110) 상면에 수직기둥(210)이 접합되는 수직기둥 홈(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iler unit 100 is provided with a "ㅂ" type trailer frame 110, a frame support 111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iler frame 110, a vertical colum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iler frame 1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pillar groove 112 is bonded 210 is formed.

또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110)에 형성된 프레임 지지대(111) 상측으로 바닥판(190)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190) 하면에 바닥판 손잡이(191)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190) 하면에 바닥판 회전부재(130)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지지대(111)와 상기 바닥판 회전부재(130)가 결합되며,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110) 하단 양측에 바퀴축(140)이 구비되고, 상기 바퀴 축(140)에 바퀴(141)가 삽입되며, 일측에 구비되는 프레임 지지대(111) 상면에 손잡이 고정핀(151)이 구비된 핀 고정부재(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19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support 111 formed in the trailer frame 110, the bottom plate 190 is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handle 191, the bottom plate 190 The bottom plate rotating member 13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the frame support 111 and the bottom plate rotating member 130 are coupled, the wheel shaft 14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trailer frame 110, The wheel 141 is inserted into the wheel shaft 140, and a pin fixing member 150 having a handle fixing pin 151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support 111 provided on one side.

또한, 상기 견인대(170)의 일측면에 견인대(170)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지면고정대(180)가 구비되며, 상기 지면고정대(180) 하단에 지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지면고정바퀴(181)가 구비되며, 상기 지면고정대(180) 상단에 핸들(18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ground fixing stand 18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wing unit 170 for fixing the towing unit 170 to the ground, ground fixing wheel 181 which is slidable from the ground at the bottom of the ground fixing unit 180 Is provided, the handle 18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of the ground fixture 180 is provided.

또한, 상기 수직기둥(210) 상단에 각각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조절부재(240)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재(240) 일측에 조절핸들(241)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부재(240) 타측에 수용자루 고정쇠(2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member 240 is provided on each of the top of the vertical column 210 to enable the lifting and lowering, the control handle 24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member 240, the other side of the control member 240 Receptor bag fastener 24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또한, 상기 수직기둥(210) 상단에 구비되는 돌기에 집게 와이어(31)가 탈부착되도록 집게고정돌기(32)가 구비되어 상기 돌기에 고정되며, 상기 집게 와이어(31) 하단에 수용자루(60)의 내측자루(62) 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집게(30)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자루 고정쇠(242)에 수용자루(60)의 외측자루 손잡이(61)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수용자루(60) 하차시 뒤로 쳐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시 외측자루 손잡이(61)를 고정하는 하차보조체인(40)이 구비된 하차보조고리(4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ongs fixed to the protrusions 32 is provided so that the tongs wire 31 is attached to the protrusions provided on the top of the vertical column 210 is fixed to the protrusions, the receiving bag 60 at the bottom of the tongs wire 31 Fixing tongs (30) are provided to fix the inner bag (62) of the, is provided to fix the outer bag handle 61 of the container bag 60 to the container bag clamp 242, the container bag ( 60) In order to prevent falling down when getting off, when the dischar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sidiary ring 41 is provided with a subsidiary chain 40 for fixing the outer bag handle (61).

또한, 상기 고정대(220)에 투입관(20)이 구비되며, 상기 투입관(20)은 고정대(220)를 중심으로 탈부착하기 위해 상기 투입관(20) 모서리에 투입관 고정홈(21)이 구비되며, 상기 투입관(20) 하면에 절단된 작물을 배출하기 위한 투입홀(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let tube 20 is provided on the stator 220, the inlet tube 20 is the inlet tube fixing groove 21 in the corner of the inlet tube 20 in order to detachable around the stator 220 It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hole 22 for discharging the crop cut in the lower surface of the input pipe 20 is provided.

또한, 상기 구동부 프레임(310) 중앙 내측으로 +형의 고정판 지지대(32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 지지대(321) 중앙에 실린더 고정판(320)이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고정판(320) 상면에 유압실리더(330)가 구비되며, 하측으로 관통되는 실린더 축(331)에 플랜지(340)를 통해 모터(350)와 결합되고, 상기 모터(350)의 모터 축(352)과 회전날(36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xed plate support 321 of the + type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drive unit frame 310, a cylinder fixing plate 320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ixing plate support 321, the hydraulic cham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fixing plate 320 Reader 330 is provided, coupled to the motor 350 through the flange 340 to the cylinder shaft 331 penetrating downward, the motor shaft 352 and the rotary blade 360 of the motor 350 i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bined.

또한, 상기 모터(350)는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35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모터케이스(35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otor 35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or case 351 is coupled to both sides around the motor 350 to prevent contamination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가이드 벽이 작업자의 작업형태에 따라 여러 형태로 탈부착 되어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guide wall is attached and detach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operator's work type to provid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converted.

또한, 트레일러 차체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대형 트랙터뿐만 아니라 소형 트랙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함으로 부식을 방지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railer body is made of light aluminum material can be used in small tractors as well as large tractors, and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corrosion by using aluminum material.

또한, 벼, 호밀, 수단글라스, 목초수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use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ice, rye, Sudan glass, grasses harvest.

또한, 투입홀이 작업 내용물에 따라 홀의 크기 또는 모양이 다른 투입홀을 탈부착함으로 변화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input hole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changed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input hole different in size or shape of the hole depending on the work content.

또한, 각각의 기둥에 상하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며, 수용자루를 고정해주는 걸쇠가 자리하고, 승하강 및 멈춤기능을 구비하고, 또, 내측 수용자루를 집게가 고정해줌으로 작물 수용에 처짐이 발생되는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lifting and lowering is made up and down on each column, the latch is fixed to the bag, and the lifting and stopping function is provided, and the inner bag is clamped to fix the sag in the crop receiving occurs. Has the effect of avoiding

또한, 수용자루를 받치고 있으며 수용자루에 내용물이 적재시 바닥판의 중심부근을 기준으로 경사를 이루게 하여 수용자루의 하차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bearing bag is supported, and when the contents are loaded on the bag, the container is made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getting off the bag.

또한, 자체이동이 가능하며 바닥판이 용이하게 경사를 이룰 수 있도록 프레임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많은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elf-moving and the frame is provided so that the bottom plate can be easily inclined to provide the effect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put a lot of force.

또한, 수용자루가 하차시 기울어진 바닥판을 미끄러져 내려올 때 수용자루가 넘어지지 않도록 고리줄이 구비되어 수용자루에 적재되는 작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rope is provided so that the bag does not fall when the bag is slid down the inclined bottom plate to provid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rops loaded on the bag.

또한, 고리부재를 각각 승하강 할 수 있도록 하여 수용자루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 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aise and lower each of the ring member to provide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be fixed to the desired heigh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g.

또한, 구동부는 수용자루에 내용물이 충실히 적재되도록 내용물을 압착하여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provides an effect of compressing the contents so that the contents are faithfully loaded on the bag.

도 1은 본 발명 농작물 수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a, 2b, 2c, 2d는 본 발명 농작물 수확장치에 대한 각 부의 분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 농작물 수확장치에 대한 구동부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농작물 수확장치에 대한 손잡이 고정핀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농작물 수확장치에 대한 바닥판 상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 농작물 수확장치에 대한 수용자루 적재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op harve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2b, 2c, 2d is an exploded view of each part for the crop harve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riving state diagram for the crop harve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of the handle fixing pin for the crop harve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ottom plate state diagram for the crop harve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tainer bag loading state diagram for the crop harve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 농작물 수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a, 2b, 2c, 2d는 상기 사시도의 각 분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구동부 상태도를 나타내며, 도 4는 손잡이 고정핀의 상태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바닥판 상태도이며, 도 6은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용자루 적재 상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op harve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2b, 2c, 2d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perspective view, Figure 3 shows a drive state diagram, Figure 4 shows a state diagram of the handle fixing pin, Figure 5 is a bottom plate state diagram, and FIG. 6 is a container bag loading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상기 각각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respective drawings.

본 발명 수확장치(10)의 구성으로는 크게 트레일러부(100), 프레임부(200), 구동부(300), 가변가이드부(400), 제어부(500)로 나뉘며, 투입관(20), 투입관 고정홈(21), 투입홀(22), 고정집게(30), 집게 와이어(31), 집게고정돌기(32), 하차보조체인(40), 하차보조고리(41), 분사노즐(50), 노즐 고정부재(51), 튜브(52), 수용자루(60), 외측자루 손잡이(61), 내측자루(62)로 이루어진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rvesting device 10 is largely divided into a trailer unit 100, a frame unit 200, a driving unit 300, a variable guide unit 400, a control unit 500, the input pipe 20, input Pipe fixing groove (21), inlet hole (22), fixing forceps (30), forceps wire (31), forceps fixing protrusion (32), getting off chain (40), getting off ring (41), spray nozzle (50) ), The nozzle fixing member 51, the tube 52, the receiving bag 60, the outer bag handle 61, the inner bag 62.

상기 트레일러부(100)는 트레일러 프레임(110), 프레임 지지대(111), 수직기둥 홈(112), 바닥판 회전부재(130), 바퀴 축(140), 바퀴(141), 핀 고정부재(150), 손잡이 고정핀(151), 약품보관 케이스(160), 약품보관함(161), 견인대(170), 견인고리(171), 지면고정대(180), 지면고정바퀴(181), 핸들(182), 바닥판(190), 바닥판 손잡이(191), 바닥판 고정홈(192)으로 이루어진다.The trailer unit 100 is a trailer frame 110, frame support 111, vertical pillar groove 112, bottom plate rotating member 130, wheel shaft 140, wheel 141, pin fixing member 150 ), Handle fixing pin (151), chemical storage case 160, chemical storage box 161, tow table 170, tow hook 171, ground fixing rack 180, ground fixing wheel 181, handle 182 ), The bottom plate 190, the bottom plate handle 191, the bottom plate consists of a fixing groove 192.

또한, 프레임부(200)는 수직기둥(210), 측면보강대(211), 정면보강대(212), 상부보강대(213), 고정대(220), 지지판(230), 판 고정홈(231), 조절부재(240), 조절핸들(241), 수용자루 고정쇠(242)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rame portion 200 is vertical column 210, side reinforcement 211, front reinforcement 212, the upper reinforcement 213, the fixing table 220, the support plate 230, plate fixing groove 231, adjustment The member 240, the adjusting handle 241, and the receiving bag fastener 242 are formed.

또한, 구동부(300)는 구동부 프레임(310), 구동부 고정홈(311), 실린더 고정판(320), 고정판 지지대(321), 유압실린더(330), 실린더 축(331), 플랜지(340), 모터(350), 모터케이스(351), 모터 축(352), 회전날(360)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300 includes a driving unit frame 310, a driving unit fixing groove 311, a cylinder fixing plate 320, a fixing plate support 321, a hydraulic cylinder 330, a cylinder shaft 331, a flange 340, and a motor. 350, the motor case 351, the motor shaft 352, and the rotary blade 360.

또한, 가변가이드부(400)는 가이드 벽(410), 가이드 홈(411), 고정부재(412), 지지대(420)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variable guide portion 400 is composed of a guide wall 410, a guide groove 411, a fixing member 412, the support 420.

또한, 제어부(500)는 제어부 고정대(510), 제어부 케이스(520)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500 includes a controller holder 510 and a controller case 520.

또한, 절단된 작물이 투입관(20)으로 투입될 때, 약품 처리하기 위해 상부 보강대(213) 일측에 노즐고정부재(51)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고정부재(51)에 분사노즐(50)이 구비되고, 상기 분사노즐(50)과 약품보관함(161)과 제어부 케이스(520) 간의 튜브(52)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cut crops are introduced into the input pipe 20, the nozzle fixing member 5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reinforcing table 213 for chemical treatment, the injection nozzle 50 on the nozzle fixing member 51 Is provided, it is made of a connection between the injection nozzle 50 and the drug storage box 161 and the tube 52 between the control case 520.

각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작물 수확장치는 농작물을 이동 수확하기 위해 트랙터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견인대(170)가 구비되며, 상기 견인대(170) 일측에 견인고리(171)가 구비되는 트레일러 부(100); 상기 트레일러 부(100) 상단에 사각의 틀로 구비되어 뼈대를 이루는 수직기둥(210)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기둥(210) 상면에 고정대(22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기둥(210) 간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면 상 하단에 측면보강대(211)가 구비되며, 정면 상 하단에 정면 보강대(212)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기둥(210) 상단에 상부 보강대(213)가 구비되는 프레임 부(200); 상기 프레임 부(200) 상측에 구동부 프레임(310)에 형성된 구동부 고정홈(311)이 상기 프레임 부(200) 상면에 형성된 고정대(220)와 결합되는 구동부(300); 상기 고정대(220)에 지지대(420)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420)에 가이드 벽(410)이 결합되는 가변 가이드부(400); 상기의 구동부(30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정면 하단 정면 보강대(212)에 제어부 고정대(51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 고정대(510)에 제어부 케이스(520)가 결합되는 제어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each drawing, the crop harve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ow 170 to be connected to the tractor connecting portion for mobile harvesting the crop, the tow ring 17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w 170 Trailer unit 100; A vertical pillar 21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trailer unit 100 in a rectangular frame to form a skeleton. A fixing rod 22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illar 210, and shakes between the vertical pillars 210. In order to prevent the side reinforcement 21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n both sides, the front reinforcement 212 is provided on the lower front and the front, the frame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n upper reinforcement 213 on the top of the vertical column (210) ; A driving part 300 having a driving part fixing groove 311 formed in the driving part frame 310 above the frame part 200 coupled with a fixing part 220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200; A variable guide part 400 having a support 420 coupled to the holder 220 and a guide wall 410 coupled to the support 420; A control unit 500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ixing unit 510 on the front lower front reinforcing bar 212 to sequentially control the driving unit 300, and a control unit 500 coupled to the control unit fixing unit 510;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상기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각 부를 설명하였으며, 도 2a 내지 도 2d를 참고하여 각 부의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above, each par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each p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D.

상기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레일러 부(100)는 "ㅂ"형의 트레일러 프레임(110)이 구비되며, 상기 "ㅂ"형의 트레일러 프레임(110)은 적재물 하차시 수용자루가 뒤로 쉽게 나가도록 하기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110) 중앙에 프레임 지지대(111)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110)을 지지해주기 위한 보강대 역할을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 2a, the trailer unit 100 is provided with a "110" type of trailer frame 110, the "ㅂ" type of trailer frame 110 to allow the bag to easily go out when the load unloading Is provided for, the frame support 111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trailer frame 110, and serves as a reinforcement for supporting the trailer frame (110).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110) 상면에는 수직기둥(210)이 볼트 또는 용접을 통해 접합되도록 수직기둥 홈(1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 vertical pillar groove 1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iler frame 110 so that the vertical pillar 210 is joined by bolts or welding.

또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110) 내측 중앙에 구비되는 프레임 지지대(111) 상면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회전이 가능한 바닥판 회전부재(130)가 구비되며,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110) 하단 양측에 바퀴 축(140)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support 111 provid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trailer frame 110, and the bottom plate rotating member 130 is rotatable in the groove, and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trailer frame 110. The wheel shaft 140 is provided.

따라서, 상기 바퀴 축(140)에 바퀴(141)가 결합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wheel 141 is coupled to the wheel shaft 140.

또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110)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대(111) 중에 정면에 위치한 프레임 지지대(111) 상면 일측에 손잡이 고정핀(151)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고정핀(151)을 지지하는 핀 고정부재(15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handle fixing pin 15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support 111 located in the front of the frame support 111 for supporting the trailer frame 110, the pin fixing for supporting the handle fixing pin 151 The member 150 is provided.

또한, 견인대(170) 일측에 수직으로 지면고정대(180)가 고정되며, 상기 견인대(170) 일측 끝단에 견인고리(171)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ground fixture 18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tow 170 vertically, the tow ring 17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tow 170 is provided.

또한, 상기 바닥판 회전부재(130) 상면에 바닥판(190)이 볼트로 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190) 하면 일측에 바닥판 손잡이(191)가 구비되어, 수용자루(60)를 배출하기 위해 바닥판 손잡이(191)를 들어올리는 것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19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rotating member 130 by a bolt and detachable, and the bottom plate 190 is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handle 191 on one side, the receiving bag ( Lifting the bottom plate handle 191 to discharge 60).

또한, 상기 바닥판(190) 일측 끝단에 수직실린더 고정부재(194)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실린더 고정부재(194)에 수직실런더(193)의 일측이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vertical cylinder fixing member 19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ttom plate 190, and one side of the vertical cylinder 193 is fixed to the vertical cylinder fixing member 194.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200)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으로 수직기둥(210) 상단에 집게와이어(31)가 탈부착 되도록 집게고정돌기(32)가 구비되며, 상기 상 하측으로 구비되는 정면 보강대(212) 중앙에 수직으로 수직실린더 지지대(25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 2b, showing the exploded view of the frame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 clamping protrusion 32 to be detachable to the forceps wire 31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column 210, the front reinforcement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Vertical cylinder support 250 is provided vertically in the center (212).

상기 수직실린더 지지대(250) 중앙 일측면에 수직실린더 고정돌기(251)가 구비되어, 수직실린더(193)의 일측이 고정되는 것으로, 수직실린더 고정부재(194)에 타측이 고정됨으로 연결되는 것이다.The vertical cylinder fixing protrusion 25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vertical cylinder support 250, and one side of the vertical cylinder 193 is fixed,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vertical cylinder fixing member 194.

또한, 상기 수직기둥(210)에서 각각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조절부재(240)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재(240)에 형성되는 수용자루 고정쇠(242)는 수용자루(60)의 외측자루 손잡이(61)를 절단된 작물을 적재할 때에 고정해주기 위한 것으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member 240 is provided to enable each of the lifting and lowering in the vertical column (210), the receiving bag clamp 242 is formed on the adjusting member 240 is the outer bag handle of the receiving bag (60) ( 61) is provided for fixing when the cut crops are loaded.

상기 조절부재(240) 일측에 조절핸들(241)이 구비되며, 나사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adjusting handle 24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djusting member 240, and is made of a screw type to be fixed to a desired height by the user.

또한, 수용자루(60) 배출시 배출되는 방향에 구비되는 하차보조고리(41)에 외측자루 손잡이(61)를 걸어 줌으로, 배출시 완전히 밀려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by hanging the outer bag handle 61 to the secondary support ring 41 provided in the discharge direction when the container bag 60 is discharged, it is made to prevent being completely pushed down during discharge.

또한, 상기 수직기둥(210)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대(220)에 투입관(20)이 구비되며, 상기 투입관(20)은 고정대(220)를 중심으로 탈부착하기 위해 상기 투입관(20) 모서리에 투입관 고정홈(21)이 구비되며, 상기 투입관(20) 하면에 절단된 작물을 배출하기 위한 투입홀(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inlet pipe 20 is provided on the holder 2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column 210, the inlet pipe 20 is the edge of the inlet pipe 20 to detachable around the holder 220 An input pipe fixing groove 21 is provided in the input pipe 20, and an input hole 22 for discharging the cut crop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put pipe 20.

상기 투입홀(22)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절단되는 작물에 따라 투입홀(22)의 크기 또는 모양이 다른 투입관(20)을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inlet hole 22 is made of various forms, and consists of installing an inlet pipe 20 having a different size or shape of the inlet hole 22 according to the crop to be cut.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부 프레임(310) 중앙 내측으로 +형의 고정판 지지대(32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 지지대(321) 중앙에 원형의 실린더 고정판(32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C, a fixed plate support 321 of + type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driving unit frame 310, and a circular cylinder fixed plate 32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support 321.

상기 실린더 고정판(320) 상면에 유압실린더(330)가 구비되며, 상기 유압실린더(330)의 실린더 축(331)은 상기 실린더 고정판(320)을 관통하여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축(331) 하면에 플랜지(340)가 구비된다.The hydraulic cylinder 330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fixing plate 320, the cylinder shaft 331 of the hydraulic cylinder 330 is provided to penetrate downward through the cylinder fixing plate 320, and the cylinder shaft ( 331 is provided with a flange 340 on the lower surface.

상기 플랜지(340)와 모터(350)에 구비되는 플랜지(340)가 볼트로 결합됨으로, 상기 실린더 축(331) 하측 방향에 모터(350)가 구비되는 것이다.Since the flange 340 provided in the flange 340 and the motor 350 are coupled by bolts, the motor 350 is provided below the cylinder shaft 331.

또한, 상기 모터(350)에 구비되는 모터 축(352)에 회전날(360)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날(360)의 회전에 따라 수용자루(60) 내에 구비되는 작물의 적재가 중앙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tary blade 360 is provided on the motor shaft 352 provided in the motor 350, the load of the crop provided in the bag 6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blade 360 is in the center It is provided to prevent stacking.

또한, 상기 모터(350)는 절단된 작물이 이동되는 경로에 위치함으로, 작물들로부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350)를 중심으로 양측에 모터케이스(351)가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otor 350 is located in the path that the cut crop is moved, the motor case 351 is coupled to both sides around the motor 350 to prevent contamination from the crops.

또한, 수직기둥(210) 양 측면에 수용자루(6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23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230)은 작물이 수용자루(60)에 적재시 틀에 끼어 배출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230 for supporting the receiving bag 60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column 210 is provided. The support plate 230 is provided to prevent the crops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mold when loaded on the bag 60.

도 2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변 가이드 부(400)를 나타낸 것이며 수직기둥(210) 상면에 형성된 고정대(220)에 지지대(420)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420)에 가이드 홈(411)이 형성된 가이드 벽(410)이 삽입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2d, the variable guide portion 400 is shown and the support 420 is coupled to the support 2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column 210, the guide groove 411 is formed on the support 420 Guide wall 410 consists of being inserted.

또한, 상기 가이드 벽(410)은 트랙터의 위치에 따라 변경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guide wall 410 is made to be changeab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ractor.

상기와 같이 각 부의 분해도를 참고하여 구성 간의 결합을 상세히 나타내었으며, 다음은 각 도면을 참고하여 상태로를 설명한다.Referring to the exploded view of each part as described above shown in detail the coupling between the configuration, the following describes the state road with reference to each drawing.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부(3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절단된 작물이 투입관(20)을 통해 투입홀(22)로 배출될 때, 수용자루(60)에 적재되게 되는데, 이때 적재되는 위치가 중앙을 중심으로 쌓이게 된다.As shown in Figure 3, it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drive unit 300 and when the cut crop is discharged into the input hole 22 through the input pipe 20, it is loaded in the bag 60, this time loading Positions are stacked around the center.

따라서, 구동부(300)의 유압실린더(330)가 작동하여 모터(350)가 아래로 내려오면서 작동하게 된다.Therefore, the hydraulic cylinder 330 of the driving unit 300 is operated to operate while the motor 350 descends.

상기 모터(350)의 작동으로 회전날(360)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날(360)의 회전으로 인해 적재물이 중앙이 아닌 측면부터 적재가 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rotary blade 36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350, and the load is loaded from the side rather than the center due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blade 360.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 고정핀(151)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핀 고정부재(150)에 결속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 고정핀(151)이 측면으로 이동되며, 바닥판 손잡이(191)가 움직일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 4, it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handle fixing pin 151 and the handle fixing pin 151 which is bound to the pin fixing member 150 is moved to the side, the bottom plate handle 191 to move It will be possible.

따라서, 바닥판 손잡이(191)는 손잡이 고정핀(151)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bottom plate handle 191 is to be fixed through the handle fixing pin 151.

또한, 바닥판 손잡이(191)의 작동시 바닥판(190)에 구비되는 수직실린더(193)에 의해 빠르게 작동되지 않고 천천히 움직이도록 하여 바닥판(190) 또는 수용자루(6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bottom plate handle 191 is operated by the vertical cylinder (193) provided in the bottom plate 190 to move slowly, so that the bottom plate 190 or the receiving bag 60 is not damaged. It is.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판 손잡이(191)의 작동에 따라 바닥판(190)이 움직이는 것을 나타내주고 있으며, 수용자루(60)를 배출하기 위해 회전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bottom plate 190 is mov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ottom plate handle 191, and is rotated to discharge the bag 60.

또한, 도 6은 수용자루(60)가 수확장치(10)에 적재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외측자루 손잡이(61)는 하차보조체인(40)에 고정되며, 내측자루(62)는 고정집게(30)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Figure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g 60 is loaded on the harvesting device 10, the outer bag handle 61 is fixed to the subsidiary chain 40, the inner bag 62 is fixed to the tongs ( 30).

또한, 상기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수용자루(60)의 하차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getting off the bag 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as follows.

내측자루(62)와 외측자루로 이루어진 수용자루(60)를 수확장치(10)에 고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In order to fix the receiving bag 60 consisting of the inner bag 62 and the outer bag to the harvesting device 10 as follows.

상기 내측자루(62)는 고정집게(30)를 통해 내측자루(62) 일측을 고정하고, 외측자루 손잡이(61)를 수용자루 고정쇠(242)에 걸어 구비시킨다.The inner bag 62 is fixed to one side of the inner bag 62 through the fixing forceps 30, and the outer bag handle 61 is provided to hang on the receiving bag clamp 242.

이때, 상기 내측자루(62)는 외측자루 내부와 삽입되어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inner bag 62 is provided and inserted into the outer bag.

상기와 같이 구비된 수용자루(10)에 절단된 작물이 수용되게 되며, 적재작업이 완료된 후 수용자루(60)를 하차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내측자루(62)에 고정된 고정집게(30)를 제거하며, 외측자루 손잡이(61)가 수용자루 고정쇠(242)에서 제거된 뒤, 수용자루(60)가 뒤로 쳐지지 않도록 수용자루(60)가 배출되는 방향에 구비되는 하차보조고리(41)에 하차방향의 외측자루 손잡이(61)를 걸어 구비시킨다.The crop cut into the receiving bag 1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s accommodated, and as a method for getting off the receiving bag 60 after the load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fixing tongs 30 fixed to the inner bag 62 are fixed. After removing, the outer bag handle 61 is removed from the bag holder clamp 242, the drop bag auxiliary ring 41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g 60 is discharged so that the bag 60 is not knocked back. Hang the outer bag handle 61 in the direction of getting off.

상기 작업이 완료되며, 트레일러 부(100)에 구비되는 손잡이 고정핀(151)을 제거함과 동시에 수용자루(60) 무게에 의해 수용자루(60)가 약간 뒤로 쳐지게 된다.The operation is completed, and while removing the handle fixing pin 151 provided in the trailer unit 100, the receiving bag 60 is slightly struck by the weight of the receiving bag 60.

이때, 수직실린더(193)에 의해 천천히 작동되게 된다.At this time, it is operated slowly by the vertical cylinder (193).

상기 수용자루(60)가 약간 뒤로 쳐짐에 하차보조고리(41)에 의해 쓰러지지 않고 고정되며, 바닥판 손잡이(191)를 들게 되면 수용자루(60)가 완전히 뒤로 쳐져 바닥에 닿게 된다.The receiver 60 is fixed to fall slightly behind the subsidiary ring 41 to fall down, and when the bottom plate handle 191 is lifted, the receiver 60 is completely struck back to touch the floor.

이때, 트랙터가 앞으로 진행하게 되며, 트랙터의 진행과 동시에 수용자루(60)는 완전히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tractor is going forward, and at the same time as the progress of the tractor bag 60 is completely dropped to the floor.

상기 수용자루(60)가 바닥에 떨어질 때 트랙터가 멈추며, 수용자루(60)의 외측자루 손잡이(61)에 걸린 하차보조고리(41)를 제거하며, 작업이 완료된 수용자루(60)의 내측자루(62)를 묶어줌으로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The tractor stops when the container 60 falls to the floor, removes the auxiliary subtire ring 41 caught on the outer bag handle 61 of the container 60, and the inner bag of the container 60 is completed. The operation is completed by tying (62).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l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10 : 수확장치 20 : 투입관
21 : 투입관 고정홈 22 : 투입홀
30 : 고정집게 31 : 집게 와이어
32 : 집게고정돌기 40 : 보조체인
41 : 하차보조고리 50 : 분사노즐
51 : 노즐 고정부재 52 : 튜브
60 : 수용자루 61 : 외측자루 손잡이
62 : 내측자루
100 : 트레일러부 110 : 트레일러 프레임
111 : 프레임 지지대 112 : 수직기둥 홈
130 : 바닥판 회전부재 140 : 바퀴 축
141 : 바퀴 150 : 핀 고정부재
151 : 손잡이 고정핀 160 : 약품보관 케이스
161 : 약품보관함 170 : 견인대
171 : 견인고리 180 : 지면고정대
181 : 지면고정바퀴 182 : 핸들
190 : 바닥판 191 : 바닥판 손잡이
192 : 바닥판 고정홈 193 : 수직실린더
194 : 수직실린더 고정부재
200 : 프레임부 210 : 수직기둥
211 : 측면보강대 212 : 정면보강대
213 : 상부보강대 220 : 고정대
230 : 지지판 231 : 판 고정홈
240 : 조절부재 241 : 조절핸들
242 : 수용자루 고정쇠 250 : 수직실린더 지지대
251 : 수직실린더 고정돌기
300 : 구동부 310 : 구동부 프레임
311 : 구동부 고정홈 320 : 실린더 고정판
321 : 고정판 지지대 330 : 유압실린더
331 : 실린더 축 340 : 플랜지
350 : 모터 351 : 모터케이스
352 : 모터 축 360 : 회전날
400 : 가변가이드부 410 : 가이드 벽
411 : 가이드 홈 412 : 고정부재
420 : 지지대
500 : 제어부 510 : 제어부고정대
520 : 제어부 케이스
10: harvesting device 20: input pipe
21: input tube fixing groove 22: input hole
30: clamping forceps 31: forceps wire
32: clamping protrusion 40: auxiliary chain
41: get off auxiliary ring 50: spray nozzle
51 nozzle fixing member 52 tube
60: receiving bag 61: outer bag handle
62: inner bag
100: trailer unit 110: trailer frame
111: frame support 112: vertical column groove
130: bottom plate rotating member 140: wheel shaft
141: wheel 150: pin fixing member
151: handle fixing pin 160: chemical storage case
161: medicine storage box 170: tow table
171: towing hook 180: ground fastener
181: ground fixing wheel 182: steering wheel
190: bottom plate 191: bottom plate handle
192: bottom plate fixing groove 193: vertical cylinder
194: vertical cylinder holding member
200: frame portion 210: vertical column
211: side reinforcement 212: front reinforcement
213: upper reinforcement table 220: fixing table
230: support plate 231: plate fixing groove
240: adjusting member 241: adjusting handle
242: bag holder 250: vertical cylinder support
251: vertical cylinder fixing protrusion
300: driving unit 310: driving unit frame
311: driving part fixing groove 320: cylinder holding plate
321: fixed plate support 330: hydraulic cylinder
331 cylinder axis 340 flange
350: motor 351: motor case
352: motor shaft 360: rotary blade
400: variable guide portion 410: guide wall
411: guide groove 412: fixing member
420: support
500 control unit 510 control unit
520 control case

Claims (9)

농작물을 이동 수확하기 위해 트랙터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견인대(170)가 구비되며, 상기 견인대(170) 일측에 견인고리(171)가 구비되는 트레일러 부(100);
상기 트레일러 부(100) 상단에 사각의 틀로 구비되어 뼈대를 이루는 수직기둥(210)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기둥(210) 상면에 고정대(22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기둥(210) 간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면 상하단에 측면보강대(211)가 구비되며, 정면 상하단에 정면 보강대(212)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기둥(210) 상단에 상부 보강대(213)가 구비되는 프레임 부(200);
상기 프레임 부(200) 상측에 구동부 프레임(310)에 형성된 구동부 고정홈(311)이 상기 프레임 부(200) 상면에 형성된 고정대(220)와 결합되는 구동부(300);
상기 고정대(220)에 지지대(420)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420)에 가이드 벽(410)이 결합되는 가변 가이드부(400);
상기 구동부(30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정면 하단의 정면 보강대(212)에 제어부 고정대(51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 고정대(510)에 제어부 케이스(520)가 결합되는 제어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장치.
A trailer unit (100) provided with a towing unit (170) to be connected to the tractor connection unit for moving and harvesting the crop, and a towing ring (171) at one side of the towing unit (170);
A vertical pillar 21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trailer unit 100 in a rectangular frame to form a skeleton. A fixing rod 22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illar 210, and shakes between the vertical pillars 210. Frame reinforcement (211)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to prevent, the front reinforcement (212)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the frame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n upper reinforcement (213) on the top of the vertical column (210);
A driving part 300 having a driving part fixing groove 311 formed in the driving part frame 310 above the frame part 200 coupled with a fixing part 220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200;
A variable guide part 400 having a support 420 coupled to the holder 220 and a guide wall 410 coupled to the support 420;
A control unit 500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ixing unit 510 on the front reinforcing bar 212 at the front lower end to control the driving unit 300 in sequence, and a control unit case 520 coupled to the control unit fixing unit 510;
Crop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부(100)는 "ㅂ"형의 트레일러 프레임(110)이 구비되며,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110) 하면에 프레임 지지대(111)가 구비되며,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110) 상면에 수직기둥(210)이 접합되는 수직기둥 홈(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iler unit 100 is provided with a "ㅂ" type trailer frame 110, the frame support 111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iler frame 110, vertical pillar 2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iler frame 110. Crop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pillar groove 112 is formed to be bond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110)에 형성된 프레임 지지대(111) 상측으로 바닥판(190)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190) 하면에 바닥판 손잡이(191)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190) 하면에 바닥판 회전부재(130)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지지대(111)와 상기 바닥판 회전부재(130)가 결합되며,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110) 하단 양측에 바퀴축(140)이 구비되고, 상기 바퀴 축(140)에 바퀴(141)가 삽입되며, 일측에 구비되는 프레임 지지대(111) 상면에 손잡이 고정핀(151)이 구비된 핀 고정부재(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ttom plate 19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support 111 formed in the trailer frame 110, the bottom plate handle 191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90, 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90. The bottom plate rotating member 130 is provided, the frame support 111 and the bottom plate rotating member 130 is coupled, the wheel shaft 14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trailer frame 110, the wheel The wheel 141 is inserted into the shaft 140, the crop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fixing member 150 is provided with a handle fixing pin 15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support 111 provided on on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대(170)의 일측면에 견인대(170)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지면고정대(180)가 구비되며, 상기 지면고정대(180) 하단에 지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지면고정바퀴(181)가 구비되며, 상기 지면고정대(180) 상단에 핸들(18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ground fixing stand 18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wing board 170 to fix the towing board 170 to the ground, and a ground fixing wheel 181 slidable from the ground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ground fixing stand 180. Crop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182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ground fixture (18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기둥(210) 상단에 각각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조절부재(240)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재(240) 일측에 조절핸들(241)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부재(240) 타측에 수용자루 고정쇠(2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djusting member 240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vertical column 210 to allow each to move up and down, and the adjusting handle 24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djusting member 240, and the receiving bag at the other side of the adjusting member 240. Crop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mp 242 is form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기둥(210) 상단에 구비되는 돌기에 집게 와이어(31)가 탈부착되도록 집게고정돌기(32)가 구비되어 상기 돌기에 고정되며, 상기 집게 와이어(31) 하단에 수용자루(60)의 내측자루(62) 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집게(30)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자루 고정쇠(242)에 수용자루(60)의 외측자루 손잡이(61)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수용자루(60) 하차시 뒤로 쳐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측자루 손잡이(61)를 고정하는 하차보조체인(40)이 구비된 하차보조고리(4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tongs fixing protrusion 32 is provided to fix the tongs wire 31 to the protrusion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llar 210 so as to be fixed to the protrusions. Fixing tongs 30 are provided for fixing the bag 62, and are provided to fix the outer bag handle 61 of the bag 60 to the bag holder 242, the bag 60 Crop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auxiliary ring (40) is provided with a secondary auxiliary chain (40) for fixing the outer sack handle (61) in order to prevent falling behi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220)에 투입관(20)이 구비되며, 상기 투입관(20)은 고정대(220)를 중심으로 탈부착하기 위해 상기 투입관(20) 모서리에 투입관 고정홈(21)이 구비되며, 상기 투입관(20) 하면에 절단된 작물을 배출하기 위한 투입홀(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injection tube 20 is provided at the fixing rod 220, and the feeding tube 20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tube fixing groove 21 at a corner of the input tube 20 in order to attach and detach the center of the fixing tube 220. , Crop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hole is provided for discharging the cut crop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put pipe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프레임(310) 중앙 내측으로 +형의 고정판 지지대(32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 지지대(321) 중앙에 실린더 고정판(320)이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고정판(320) 상면에 유압실리더(330)가 구비되며, 하측으로 관통되는 실린더 축(331)에 플랜지(340)를 통해 모터(350)와 결합되고, 상기 모터(350)의 모터 축(352)과 회전날(36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late support 321 of the + type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drive unit frame 310, the cylinder fixing plate 320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ixing plate support 321, the hydraulic cylinder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fixing plate 320) 330 is provided and coupled to the motor 350 through the flange 340 to the cylinder shaft 331 penetrating downward, the motor shaft 352 and the rotary blade 360 of the motor 350 is coupled Crop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350)는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35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모터케이스(35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otor 350 is a crop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or case 351 is coupled to both sides around the motor 350 to prevent contamination from the outside.

KR1020110129378A 2011-12-06 2011-12-06 Crop harvesting device KR1013132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378A KR101313216B1 (en) 2011-12-06 2011-12-06 Crop harves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378A KR101313216B1 (en) 2011-12-06 2011-12-06 Crop harves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071A KR20130063071A (en) 2013-06-14
KR101313216B1 true KR101313216B1 (en) 2013-10-14

Family

ID=4886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378A KR101313216B1 (en) 2011-12-06 2011-12-06 Crop harves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21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790A (en) 2017-04-18 2018-10-26 연재득 Crop harvest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319Y1 (en) * 1995-08-18 1998-12-01 김완수 Grain hopper using trailer of tractor
US6624363B2 (en) * 2001-08-02 2003-09-23 Franklin P. Orlando Bulk material trailer
KR20100003285U (en) * 2008-09-16 2010-03-25 태호(주) Outflow control apparatus of grain transportation machine
KR101008800B1 (en) * 2010-09-03 2011-01-14 오성택 Grain harves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319Y1 (en) * 1995-08-18 1998-12-01 김완수 Grain hopper using trailer of tractor
US6624363B2 (en) * 2001-08-02 2003-09-23 Franklin P. Orlando Bulk material trailer
KR20100003285U (en) * 2008-09-16 2010-03-25 태호(주) Outflow control apparatus of grain transportation machine
KR101008800B1 (en) * 2010-09-03 2011-01-14 오성택 Grain harves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790A (en) 2017-04-18 2018-10-26 연재득 Crop harves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071A (en)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40436A1 (en) Bale handling implement
US20140331629A1 (en) Fruit Harvesting Machine and Method
USRE46048E1 (en) Skid steer bale spear
US7669398B1 (en) Harvesting machine
KR101670901B1 (en) Apparatus for harvesting watermelon
US6282878B1 (en) Produce catcher
US20120308340A1 (en) Grabber accessory for prime mover
KR101313216B1 (en) Crop harvesting device
CN105519307A (en) Harvester
KR20130063068A (en) Crop harvesting device
CN112273049A (en) Multifunctional self-propelled orchard picking equipment
KR101035424B1 (en) Glutinous Kaoliang Harvester
KR100845177B1 (en) A farming machines car
US20050217170A1 (en) Tree stand
SE542207C2 (en) Planting device
CN209618709U (en) A kind of green house of vegetables with transfer device
KR20100007113U (en) Grain hoper sub-oulet
KR101741451B1 (en) One-stop harvest method by forage harvester
KR200176914Y1 (en) Carrying things apparatus for tractor connection
KR200368490Y1 (en) Grass grip for tractor loader
KR101699885B1 (en) Wrapping device with formed wrap-cradle change-over device for integrated forage baler
CN219780956U (en) Portable fruit receiving vehicle
CN212798273U (en) Automatic turn over grain elevator device of going into hopper guardrail
KR102224565B1 (en) Ton Bag Spreader
US10368489B2 (en) Seed harvester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