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191B1 -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191B1
KR101313191B1 KR1020110116024A KR20110116024A KR101313191B1 KR 101313191 B1 KR101313191 B1 KR 101313191B1 KR 1020110116024 A KR1020110116024 A KR 1020110116024A KR 20110116024 A KR20110116024 A KR 20110116024A KR 101313191 B1 KR101313191 B1 KR 101313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swing
connecting shaft
propulsion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781A (ko
Inventor
이영진
서종수
유성선
최윤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1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50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axial thrust in a rotary shaft, e.g. of propulsion pl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B63H2005/103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of co-rotative type, i.e.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e.g. twin propell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는, 선회식 추진기의 추진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 추진축과 수직으로 연결되며,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추진축에 전달하는 중간 연결축; 및 선회식 추진기 내에 마련되어 추진축의 토크 및 추력을 계측하는 추진축 센서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Test apparatus for azimuth propulsion system}
본 발명은,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회식 추진기의 추진성능을 계측하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 목적에 맞는 선체의 형상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선형시험(船型試驗)을 실시한다. 선형시험은 실제로 선박을 제작하기 전에 상사법칙(相似法則)에 따른 모형선박을 제작하고, 예인수조에서 이 모형선박을 이용한 다양한 시험을 행하여 실제 선박의 성능을 예측해 본 후, 시험 결과를 선박의 설계에 반영하여 선박이 최적의 형상을 갖도록 설계한다.
모형선박의 속도성능의 추정을 위해서는 예인수조에서 선박의 형상에 따른 물의 저항 및 프로펠러의 곡면형상에 따른 추진력 등과 같은 다양한 측정 시험이 이루어진다.
예인수조에서 수행되는 시험 중의 하나는 선체의 자항, 즉 추진감소계수, 반류비 및 상대회전효율 등을 측정하는 것이며, 이 경우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동력장치의 추력(스러스트)과 토크에 관한 데이터가 필요하므로, 시험용의 모형선박에는 축계에 자항 검력계가 설치된다.
지금까지 일반적인 프로펠러 추진기를 가진 선박의 추진성능 시험은 일반 자항검력계를 이용한 시험을 통해 테스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최근 유가 급등으로 인하여 특수추진 선박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Azipod, Azimuth 등 선회식 추진기를 장착한 선박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선회식 추진기는 360도 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추진기로서, 추진기의 성능이 선박의 속도성능을 크게 좌우하게 되어,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회식 추진기를 종래와 같이 모형선박에 장착한 상태로 자항검력계를 이용하여 예인수조에서 성능 측정을 하는 경우, 선회식 추진기 만의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선회식 추진기를 모형선박에 장착하기에 앞서, 선회식 추진기 만의 정확한 추진성능을 계측할 수 있는 선회식 추진기의 성능 시험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 공개특허 제2001-0037419호 2001.05.07. 삼성중공업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회식 추진기 만의 단독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회식 추진기의 추진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 상기 추진축과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상기 추진축에 전달하는 중간 연결축; 및 상기 선회식 추진기 내에 마련되어 상기 추진축의 토크 및 추력을 계측하는 추진축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추진축 센서모듈은, 상기 추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추진축에 작용하는 토크를 계측하는 토크센서; 및 상기 토크센서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추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추진축에 작용하는 추력을 측정하는 스러스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회식 추진기 내에 배치되어 상기 토크센서와 상기 스러스트 센서로부터 계측된 신호를 상기 선회식 추진기의 외부로 송신하는 슬립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회식 추진기의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에 작용하는 추력을 측정하는 덕트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연결축에 결합되며, 상기 선회식 추진기에 작용하는 6분력을 측정하는 6분력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6분력계는 역 변환 메트릭스 연산을 통하여 간섭을 제거하는 신호 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회식 추진기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선회식 추진기 주변의 불균일 유동을 감소시키는 파도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도 방지부는, 상기 선회식 추진기 상부의 상기 중간 연결축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선회식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가 균일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평판; 상기 가이드 평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회식 추진기 주변의 유체 흐름을 균일하게 유도하는 스트럿; 및 상기 스트럿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회식 추진기의 가동에 의해 발생한 파도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파도방지 평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럿은 익형단면을 가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회식 추진기와 상기 가이드 평판 사이의 상기 중간 연결축의 외주연에 결합하여, 상기 중간 연결축의 수밀성을 확보하는 튜브 어댑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회식 추진기는 상기 추진축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포드부와, 프로펠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포드부와 결합되는 프로펠러 허브를 포함하되, 상기 포드부에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상기 포드부와 상기 프로펠러 허브의 결합부위에 개재되는 수밀용 리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연결축은, 상기 추진축과 스파이럴 베벨기어에 의해 연결되는 내측 연결축; 및 상기 내측 연결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중공 형태를 갖는 외측 연결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물 속에서 회전하는 프로펠러의 추진축에 작용하는 토크 및 추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실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실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회식 추진기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실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실험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회식 추진기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는, 선회식 추진기(10)의 추진축(1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110)와, 구동장치(110)의 구동력을 추진축(11)에 전달하는 중간 연결축(120)과, 선회식 추진기(10)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 및 추력을 계측하는 추진축 센서모듈(131)와, 선회식 추진기(10)의 상부에 결합하여 선회식 추진기(10) 주변의 불균일 유동을 감소시키는 파도 방지부(140)와, 선회식 추진기(10)의 6분력을 측정하는 6분력계(150)를 포함한다.
측정대상이 되는 선회식 추진기(10)는 프로펠러(13a)의 360도 선회가 가능한 전(全)방향 추진기인 아지무스식 추진기, 예를 들어,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 또는 아지포드(azipod)와 상사관계에 있는 모형의 선회식 추진기(10)가 사용된다.
선회식 추진기(10)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면,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회식 추진기(10)는, 포드부(12)와, 포드부(12)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로펠러 허브(13)와, 프로펠러 허브(13)의 후방에 연결되는 엔드캡(14)과, 포드부(12)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덕트(15)를 포함한다.
포드부(12)의 헤드캡(12a)과, 헤드캡(12a)의 후방에 연결되는 리어캡(12b)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에는 추진축(11)이 수용되며, 추진축(11)은 프로펠러(13a)가 회전 구동되는 프로펠러 허브(13)에 연결된다.
프로펠러 허브(13)는 프로펠러(13a)가 고정 결합되며, 추진축(11)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러한 프로펠러 허브(13)는 포드부(12)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포드부(12)의 프로펠러 허브(13) 측 경계에서 포드부(12)로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하는 수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리어캡(12b)의 프로펠러 허브(13) 측에는 수밀용 리테나(16)가 삽입된다. 수밀용 리테나(16)는 추진축(11)의 외주면 둘레 및 리어캡(12b)의 추진축(11)이 관통하는 부분이 수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수밀용 리테나(16)를 추진축(11)의 회전에 따라 리어캡(12b)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하면, 수밀용 리테나(16)에 의해 추진축(11)에 가해지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덕트(15)는 포드부(12) 측 입구의 직경에 비하여 프로펠러(13a) 측 출구의 직경이 작은 원추형이며, 리어캡(12b)에 지지부재(15a)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선회식 추진기(10)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선회식 추진기(10)를 모형선박(미도시)에 장착하기에 앞서 선회식 추진기(10) 만의 단독성능 시험이 필요하다. 선회식 추진기(10)의 성능 측정은 선회식 추진기(10)의 구동 시 발생하는 토크와 추력 등을 측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선회식 추진기(10)의 구동은 선회식 추진기(10)의 상부에 마련된 구동장치(110)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동장치(110)는 구동축(111)을 회전시키는 장치로, 전동기와 같은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동축(111)의 회전력은 중간 연결축(120)으로 전달된다.
구동축(111)과 중간 연결축(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112)에 의해 연결된다. 커플링(112)을 적용하는 이유는 구동축(111)의 중심축 및 중간 연결축(120)의 중심축 사이의 미세한 오차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구동축(111) 및 중간 연결축(120) 각각의 중심축들이 일직선을 형성하면 안정적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반면, 두 중심축들 사이에 미세한 각도 차이 또는 위치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중간 연결축(120)에 굽힘 모멘트가 작용되거나 진동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커플링(112)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커플링(112)으로는 올덤 커플링(Oldham's coupling),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중간 연결축(120)은 구동장치(110)의 회전력을 선회식 추진기(10)에 전달하는 축으로, 추진축(11)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내측 연결축(121)과, 내측 연결축(121)이 삽입되도록 중공 형태를 갖는 외측 연결축(122)을 포함한다.
내측 연결축(121)의 일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식 추진기(10)의 포드부(12) 내측에 마련된 추진축(11)과 연결된다. 내측 연결축(121)과 추진축(11)의 연결은 수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하므로 한 쌍의 베벨기어(123)가 사용된다.
한 쌍의 베벨기어(123) 중의 하나는 내측 연결축(121)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내측 연결축(121)의 하단부에 설치된 베벨기어(123)와 치합되도록 추진축(11)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다.
그런데 치합된 한 쌍의 베벨기어(123)가 회전할 때에는 진동이 발생되며, 이러한 진동은 고속으로 회전할수록 심해지므로,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스파이럴 베벨기어(spiral bevel gear)를 사용할 수 있다.
외측 연결축(122)은, 내측 연결축(121)이 추진축(11)에 연결되어 회전구동할 때, 선회식 추진기(10)의 포드부(12)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외측 연결축(122)의 하단부는 선회식 추진기(10)의 리어캡(12b)에 수밀 상태가 되도록 고정 연결된다.
이러한 외측 연결축(122)과 내측 연결축(121) 사이에는 내측 연결축(121)이 회전 가능하도록 간극이 마련되는데, 선회식 추진기(10)의 가동에 따른 추력으로 외측 연결축(122)이 변형될 때, 외측 연결축(122)과 내측 연결축(121)이 접하지 않도록 충분한 간극으로 마련된다.
외측 연결축(122)의 상단부는 후술되는 6분력계(150)를 지나, 6분력계(150)의 상부에 마련된 연결축 지지부재(124)에 연결됨으로써, 선회식 추진기(10)에 걸리는 힘과 모멘트를 6분력계(15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6분력계(150)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센서부(130)는 추진축(11)의 토크와 추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추진축 센서모듈(131)과, 덕트(15)의 추력을 측정하는 덕트센서(132)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추진축 센서모듈(131)는, 추진축(11)에 결합하여 추진축(11)과 함께 회전하는 토크센서(131a)와, 스러스트 센서(131b)를 포함한다.
토크센서(131a)와 스러스트 센서(131b)는 프로펠러 허브(13)에 인접한 추진축(11)에 직접 결합하여 토크 및 추력을 측정함으로써, 다른 장치에 의해 받을 수 있는 영향을 배제하고 추진축(11)에 작용하는 토크와 추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토크센서(131a)와 스러스트 센서(131b)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토크센서(131a)는 추진축(11)의 굽힘변형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스러스트 센서(131b)는 추진축(11)의 전단변형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사용될 수 있다.
추진축(11)의 전방 측에는 토크센서(131a)와 스러스트 센서(131b)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슬립링(131c)이 결합된다. 슬립링(131c)을 통해 전달되는 전기신호는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된다.
덕트(15)에 작용하는 추력은 덕트센서(132)에 의해 측정된다. 덕트센서(132)는 덕트(15)를 외측 연결축(122)에 고정하는 덕트 고정부재(132a)의 말단부에 장착되며, 덕트(15)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부에 전달한다. 여기서, 덕트 고정부재(132a)는 덕트(15)를 고정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덕트(15)에 작용하는 힘을 외측 연결축(122)을 통해 6분력계(150)에 전달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한편, 파도 방지부(140)는, 선회식 추진기(10)의 상부에 결합하는 가이드 평판(141)과, 가이드 평판(141) 상부에 결합되는 스트럿(143)과, 스트럿(143)의 상부에 결합되는 파도방지 평판(142)을 포함한다.
가이드 평판(141)은 프로펠러(13a) 가동 시 발생하는 불균일한 유동이 선회식 추진기(10)에 유입되어, 선회식 추진기(10)에 비 정상적인 로드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선회식 추진기(10) 상부의 중간 연결축(120)의 외주연에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 평판(141)과 선회식 추진기(10)의 포드부(12) 사이에는, 중간 연결축(120)의 수밀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튜브 어댑터(141a)가 삽입된다.
스트럿(143)은 가이드 평판(141)과 파도방지 평판(142) 사이에 개재되어 선회식 추진기(10) 주변의 유체 흐름을 균일하게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스트럿(143)은 불균일한 유동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익형 단면으로 마련된다. 즉, 유체 유입구에 비하여 뒤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유선형 단면으로 마련됨으로써 스트럿(143) 주위의 유체 흐름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파도방지 평판(142)은 선회식 추진기(10)의 가동에 의해 발생한 파도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파도방지 평판(142)에 의해 파도가 6분력계(150) 및 그 상부에 설치되는 다른 장치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방지된다. 파도방지 평판(142)의 상부에는 6분력계(150)가 고정 설치되고, 6분력계(150)의 상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연결축(122)을 고정하는 연결축 지지부재(124)가 고정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파도 방지부(140)가 설치됨으로서, 선회식 추진기(130) 내로 유입되는 유체 유동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유체에 잠기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장치가 파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6분력계(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도방지 평판(142)의 상부에 마련되고, 외측 연결축(122)이 6분력계(150)에 결합된다. 6분력계(150)는 선회식 추진기(10) 전체에 작용하는 3방향의 힘과 모멘트의 6분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작용점에 걸리는 힘과 모멘트를 동시에 계측하는 기기이다. 하나의 작용점에서의 3방향의 힘과 모멘트를 동시에 측정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다.
선회식 추진기(10)의 프로펠러(13a)가 가동되면, 선회식 추진기(10)에 작용하는 힘과 모멘트는 외측 연결축(122)을 통해 6분력계(150)에 전달된다. 6분력계(150)는 외측 연결축(122)을 통해 전달되는 힘과 모멘트의 6분력을 측정함으로써, 선회식 추진기(10) 전체에 작용하는 힘의 분력을 측정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6분력계(150)는 한 방향의 힘 또는 모멘트만 작용되어도 나머지 방향의 힘 또는 모멘트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검력계 설계 시 각각의 성분에 대한 성형성 및 이력성이 좋아야 함은 물론이고, 다른 성분과의 간섭성이 가능한 작게 나타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6분력계(150)는 다른 성분과의 간섭성을 처리하기 위해 신호처리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6분력계(150)는 보통 알려진 힘과 모멘트에 대해서 6분력계(150)가 계측한 출력치와 가해진 힘과 모멘트와의 관계를 분석 및 검증하여 교정치를 산출한 후에, 실제 6분력계(150)로 측정한 힘과 모멘트에 상기 교정치를 적용하여, 보다 정확한 실측치를 얻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신호처리장치는 6분력계(150)의 각각의 교정을 실시하고, 역변환 메트릭스 연산을 통하여 간섭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는, 선회식 추진기(10)의 추진축(11)과 덕트(15)에 마련된 센서들을 통해 다른 장치의 간섭없이 선회식 추진기(10)의 추력 및 토크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아울러, 선회식 추진기(10) 전체에 작용하는 6분력을 간섭을 제거하는 신호처리 장치가 내장된 6분력계(150)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선회식 추진기(10)의 정확한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선회식 추진기 11: 추진축
110: 구동장치 120: 중간 연결축
121: 외측 연결축 122: 내측 연결축
130: 센서부 131: 추진축 센서모듈
131a: 토크센서 131b: 스러스트 센서
132: 덕트센서 140: 파도 방지부
150: 6분력계

Claims (12)

  1. 선회식 추진기의 추진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
    상기 추진축과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상기 추진축에 전달하는 중간 연결축;
    상기 선회식 추진기 내에 마련되어 상기 추진축의 토크 및 추력을 계측하는 추진축 센서모듈; 및
    상기 선회식 추진기의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에 작용하는 추력을 측정하는 덕트센서를 포함하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축 센서모듈은,
    상기 추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추진축에 작용하는 토크를 계측하는 토크센서; 및
    상기 토크센서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추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추진축에 작용하는 추력을 측정하는 스러스트 센서를 포함하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식 추진기 내에 배치되어 상기 토크센서와 상기 스러스트 센서로부터 계측된 신호를 상기 선회식 추진기의 외부로 송신하는 슬립링을 더 포함하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축에 결합되며, 상기 선회식 추진기에 작용하는 6분력을 측정하는 6분력계를 더 포함하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6분력계는 역 변환 메트릭스 연산을 통하여 간섭을 제거하는 신호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식 추진기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선회식 추진기 주변의 불균일 유동을 감소시키는 파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도 방지부는,
    상기 선회식 추진기 상부의 상기 중간 연결축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선회식 추진기로 유입되는 유체가 균일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평판;
    상기 가이드 평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회식 추진기 주변의 유체 흐름을 균일하게 유도하는 스트럿; 및
    상기 스트럿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회식 추진기의 가동에 의해 발생한 파도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파도방지 평판을 포함하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은 익형단면을 가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식 추진기와 상기 가이드 평판 사이의 상기 중간 연결축의 외주연에 결합하여, 상기 중간 연결축의 수밀성을 확보하는 튜브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식 추진기는 상기 추진축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포드부와, 프로펠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포드부와 결합되는 프로펠러 허브를 포함하되,
    상기 포드부에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상기 포드부와 상기 프로펠러 허브의 결합부위에 개재되는 수밀용 리테나를 더 포함하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축은,
    상기 추진축과 스파이럴 베벨기어에 의해 연결되는 내측 연결축; 및
    상기 내측 연결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중공 형태를 갖는 외측 연결축을 포함하는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KR1020110116024A 2011-11-08 2011-11-08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KR101313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024A KR101313191B1 (ko) 2011-11-08 2011-11-08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024A KR101313191B1 (ko) 2011-11-08 2011-11-08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781A KR20130050781A (ko) 2013-05-16
KR101313191B1 true KR101313191B1 (ko) 2013-09-30

Family

ID=4866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024A KR101313191B1 (ko) 2011-11-08 2011-11-08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1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487A (ko) * 2014-06-05 2015-12-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추력 계측 시스템
CN105691573A (zh) * 2016-01-13 2016-06-22 中国海洋大学 一种水下推进器测试平台
KR20220161678A (ko) 2021-05-31 2022-12-07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선박 전방위 추진기의 수밀 및 부하 테스트를 위한 장치
KR20230092148A (ko) 2021-12-17 2023-06-26 (주)한국알앤드디 선박용 드라이브 시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4319A (zh) * 2016-03-03 2016-07-20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八研究所 一种受力测量装置
CN106813891B (zh) * 2016-11-04 2019-04-09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空气螺旋桨电推进系统动态响应特性试验方法
CN106768576A (zh) * 2016-11-30 2017-05-31 无锡明珠增压器制造有限公司 螺旋桨的推力和扭矩的测量设备
CN106838262A (zh) * 2016-11-30 2017-06-13 无锡明珠增压器制造有限公司 螺旋桨动力仪的传动机构
CN106989902B (zh) * 2017-05-27 2019-03-19 上海船舶运输科学研究所 一种船模操纵性实验系统
CN107961713B (zh) * 2017-12-15 2019-01-15 安徽绿园肥业有限公司 一种水溶性颗粒混合搅拌设备
CN112781766B (zh) * 2020-12-29 2022-10-18 上海空间推进研究所 带微推进模块的火箭发动机微小推力测量系统和方法
CN113567022B (zh) * 2021-06-16 2022-08-23 湖北东湖实验室 抗耦合力干扰的轮缘推进器推力测试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715983B (zh) * 2021-09-27 2022-11-11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用于海洋工程动力定位实验的可升降全回转推进装置
CN114166398A (zh) * 2021-12-07 2022-03-11 中船重工(重庆)西南装备研究院有限公司 一种无轴推进器静推力测试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857A (ko) * 1997-05-19 1998-12-05 정명세 6분력 로드셀
KR20080056147A (ko) * 2005-07-05 2008-06-20 마린 프로펄션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선박용 다중 노즐 벤투리 시스템
KR20100057405A (ko) * 2008-11-21 2010-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예인수조 시험용 아지무스 자항검력계
KR101070335B1 (ko) * 2009-12-09 2011-10-06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운동체 수조 시험용 반전 동력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857A (ko) * 1997-05-19 1998-12-05 정명세 6분력 로드셀
KR20080056147A (ko) * 2005-07-05 2008-06-20 마린 프로펄션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선박용 다중 노즐 벤투리 시스템
KR20100057405A (ko) * 2008-11-21 2010-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예인수조 시험용 아지무스 자항검력계
KR101070335B1 (ko) * 2009-12-09 2011-10-06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운동체 수조 시험용 반전 동력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487A (ko) * 2014-06-05 2015-12-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추력 계측 시스템
KR101874148B1 (ko) * 2014-06-05 2018-07-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추력 계측 시스템
CN105691573A (zh) * 2016-01-13 2016-06-22 中国海洋大学 一种水下推进器测试平台
KR20220161678A (ko) 2021-05-31 2022-12-07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선박 전방위 추진기의 수밀 및 부하 테스트를 위한 장치
KR20230092148A (ko) 2021-12-17 2023-06-26 (주)한국알앤드디 선박용 드라이브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781A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191B1 (ko) 선회식 추진기의 단독성능 시험장치
KR101401498B1 (ko) 프로펠러와 후류핀의 추력 및 토크 계측이 가능한 동력계
CN103698231B (zh) 一种扭转刚度测试装置
US81579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side of pipe
CN205066989U (zh) 一种螺旋桨拉力和扭矩测量装置及其系统
KR101070335B1 (ko) 수중 운동체 수조 시험용 반전 동력계
CN108254118B (zh) 船用测量电力直驱螺旋桨推力和扭矩的装置和方法
JP2013181896A (ja) 舶用推進機構の性能試験装置
KR101078426B1 (ko) 예인수조 시험용 아지무스 자항검력계
KR101557379B1 (ko) 강제 선회 수조 시험용 수중 모터 동력계 전체 하중 측정 장치
KR20130132195A (ko)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CN108313198A (zh) 一种水下航行器模型敞水自航动力仪
US20120099692A1 (en) Submersible machine structured to carry a tool to a limited access location within a nuclear containment
KR101304923B1 (ko) 방향타 동력계 캘리브레이션 장치
CN103712798B (zh) 一种带检测功能的发动机对接旋转机构
CN110132537A (zh) 一种适用于实海域船舶阻力试验的测量装置
CN110823507A (zh) 一种螺旋桨动力仪及螺旋桨冰切削状态下的空气试验平台
CN104787238A (zh) 一种可以直接测量操舵倒航机构操纵力的装置
CN214843882U (zh) 一种实验用深海立管涡激振动响应测试装置
CN109186979B (zh) 一种斜交传动型吊舱试验装置
CN110914147B (zh) 确定向船用推进舱施加的力的方向和幅度的方法和设备
KR20150007165A (ko) 선박용 러더 스톡과 넥 베어링 사이의 갭 예측 장치
CN109357808B (zh) 一种水下叶轮激振力的测试试验平台
CN102980946B (zh) 一种参数可调式炉管蠕变损伤超声检测探头架
US20210108989A1 (en) Spindle carriag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