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185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185B1
KR101312185B1 KR1020110066096A KR20110066096A KR101312185B1 KR 101312185 B1 KR101312185 B1 KR 101312185B1 KR 1020110066096 A KR1020110066096 A KR 1020110066096A KR 20110066096 A KR20110066096 A KR 20110066096A KR 101312185 B1 KR101312185 B1 KR 101312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erver
remote user
user device
addr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810A (ko
Inventor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18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기 등록된 원격지 사용자 기기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격지 사용자 기기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주소 정보에 의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Display apparatus and video data push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서버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상황에서 상기 서버 또는 인접한 대리장치가 중앙 통제 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원격지 사용자기기에 직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보안 시스템이 연결되고 서비스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영상 보안 시스템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 경우, 중앙 통제 시스템에서 원격지의 영상을 관찰하는 형태가 보편적이다.
이때, 상기 중앙 통제 시스템에서 관찰되는 영상에 이상 징후 포착되는 경우, 이 사실을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전화나 무전기 등의 전통적인 통신 수단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이상 징후가 포착된 영상을 원격지의 사용자 기기에 표시되도록 하여, 실시간으로 원격지 사용자 기기에서 현장의 상황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보안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때,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에 상기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방법은 2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원격지 사용자 기기가 원격지에서 상기 영상을 요청하는 경우(Pull)와, 통제 시스템과 같은 특정 상대방이 상기 영상을 상기 원격지의 사용자기기에 전송 요청하는 경우(Push)이다.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가 상기 영상을 요청하도록 하는 풀(Pull) 방식은 다수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소스가 존재할 경우, 요청하는 영상 소스를 먼저 선택해야 하며, 또한 영상 소스의 위치를 지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신속하게 영상을 확인해야 하는 상황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상대방이 일방적으로 상기 영상을 원격지 사용자 기기에 전송 요청하는 푸쉬(push) 방식은 원격지 사용자 기기에 표시되어야 할 영상을 특정 상대방이 판단하여 전송해주는 방식이므로, 특정 영상을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에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푸쉬 방식의 경우, 중앙 통제 시스템에서 원격자 사용자 기기로 영상이 전송되는 경로가 광역통신망(Wide Area Network,WAN)인 경우가 빈번하므로, 대역폭 비용이 증가하고, 통제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은 영상 소스로부터 이미 품질 저하가 일어난 상태이므로 최적의 영상을 원격지 사용자에게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새로운 방식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기 등록된 원격지 사용자 기기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격지 사용자 기기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주소 정보에 의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원격지 사용자 기기를 등록하는 단계, 기 설정된 영상 데이터의 푸쉬 조건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푸쉬 조건이 감지되면, 상기 서버로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의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주소 정보에 의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중앙 통제 시스템과 원격지 사용자 간의 통신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광역통신망(WAN) 우회(bypass)를 통한 대역폭 비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최적의 전송 경로를 통해 영상 데이터가 원격지 사용자 기기로 전송되도록 하여 최적의 영상 품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영상 소스 혹은 근접 대리장치의 대역폭 조절 기능과 같은 특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 푸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서버(100), 디스플레이장치(200) 및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를 포함한다.
서버(100)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100)는 네트워크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촬영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영상 관제 시스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서버(100)는 상기 관제할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서버(100)는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 카메라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별도의 대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관제 장치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에 이상 징후가 발생하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가 기등록된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로 푸쉬되도록 한다.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는 사용자의 PC, TV, 이동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이상 징후가 있으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의 주소 정보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상기 파악한 주소 정보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에서 직접적으로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로 상기 영상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버(1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며, 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특정 주소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특정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에도 전달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서버(100)에서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전송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서버(100)에서 제공받은 영상 데이터를 자신이 직접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로 전송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서버(100)와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 사이의 전송 경로의 상태에 따라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30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경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우선적으로 상기 서버(100)와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 만을 포함하는 제 1 전송 경로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전송 경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자신을 경유하는 서버(100), 디스플레이장치(200) 및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를 포함하는 제 2 전송 경로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제 1 전송 경로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서버(100)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고, 그에 따라 상기 전송받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로 재전송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제 1 전송 경로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온 경우, 상기 제 1 전송 경로를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로 전송될 영상 데이터 푸쉬 조건을 저장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푸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의 주소 정보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푸쉬 조건에는 사용자 입력 조건이나, 영상 데이터 분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조건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를 관찰하는 관찰자로부터 영상 데이터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이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관찰하며, 그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명령을 입력하며, 상기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기등록된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의 주소 정보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 조건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이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데이터가 특정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다시 말해서, 화재 발생시, 상기 영상 데이터에는 붉은 계열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붉은 계열의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의 주소 정보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 데이터 분석 조건은 이전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에 차이가 발생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침입자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에는 차이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의 주소 정보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촬영 영상일 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방송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제 1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이고,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는 제 2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서버(100)는 상기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사용자는 자신이 시청하고 있는 방송 콘텐츠에 흥미를 느낀 경우, 이를 상기 제 2 사용자와 함께 시청하기 위해 푸쉬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푸쉬 명령에 따라 전송되는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를 상기 제 2 사용자에게도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200)는 통신부(210), 영상 처리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저장부(240), 영상 분석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상기 서버(100) 및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22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전달받아 이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영상 처리부(220)를 통해 신호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저장부(24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4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추후 상기 서버(100)와 원격지 사용자 기기 사이의 전송 경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분석부(25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한다. 특히, 영상 분석부(250)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평균 휘도 레벨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평균 휘도 레벨이 기설정된 휘도 레벨에 대응되는 경우에 이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25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별로 비교하고, 그에 따라 프레임별 영상 데이터에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이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60)는 외부 관리자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푸쉬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100)에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의 주소 정보를 전달하고, 그에 따라 상기 서버(100)에서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즉, 상기 제어부(260)는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가 등록되면, 상기 등록된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한 주소 정보를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추후 상기 영상 데이터의 푸쉬 조건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60)는 저장된 주소 정보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영상 분석부(250)를 통해 영상 데이터의 이상 징후에 따른 이상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의 주소 정보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전송한 주소 정보에 의해 상기 서버(100)에서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전송 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변경한다.
즉, 제어부(260)는 상기 서버(100)와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 사이의 전송 경로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자신이 직접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60)는 추후 상기 서버(100)와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 사이의 전송 경로가 정상으로 돌아오면, 상기 전송 경로를 다시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중앙 통제 시스템과 원격지 사용자 간의 통신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광역통신망(WAN) 우회(bypass)를 통한 대역폭 비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최적의 전송 경로를 통해 영상 데이터가 원격지 사용자 기기로 전송되도록 하여 최적의 영상 품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영상 소스 혹은 근접 대리장치의 대역폭 조절 기능과 같은 특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디스플레이장치(200)에는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 및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100)가 등록된다(310, 320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와 서버(100)가 등록되면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 중 영상 데이터를 푸쉬할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와, 서버(100)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결정된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 및 서버(100)의 주소 정보를 저장한다(330단계).
즉,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결정된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에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연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로부터 전성되는 응답 신호를 토대로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의 주소 정보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상기 파악한 주소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주소 정보가 저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현 시점이 기설정된 영상 데이터 푸쉬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인지를 확인한다.
즉, 관리자로부터 영상 데이터 푸쉬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또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분석 결과 이상 징후가 발생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현 시점을 영상 데이터 푸쉬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장한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의 주소 정보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340단계).
상기 서버(1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상기 주소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전송된 주소 정보를 토대로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350단계).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서버(100)에서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파악한다(410단계). 즉, 상기 서버(100)와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 사이의 전송 경로에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서버(100)와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 사이의 전송 경로가 정상인지 아이면 비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420단계).
상기 판단결과(420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서버(100)와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 사이의 전송 경로가 정상이면, 계속적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상기 서버(100)와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 사이의 전송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430단계).
한편, 상기 판단결과(420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서버(100)와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 사이의 전송 경로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서버(100)와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시킨다(440단계).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서버(100)에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자신이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로 전송한다(450, 460, 470단계).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서버(100)와 원격지 사용자 기기(300) 사이의 전송 경로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면, 상기 단계(430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서버
200: 디스플레이장치
300: 원격지 사용자 기기

Claims (13)

  1.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기 등록된 원격지 사용자 기기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격지 사용자 기기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주소 정보에 의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영상 데이터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주소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상태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제 1 경로 또는 제 2 경로로 변경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 순으로 형성된 전송경로이고,
    상기 제 2 경로는 상기 서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 순으로 형성된 전송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원격지 사용자 기기를 등록하는 단계;
    기 설정된 영상 데이터의 푸쉬 조건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푸쉬 조건이 감지되면, 상기 서버로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의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주소 정보에 의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네트워크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를 등록하는 단계는,
    등록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사용자 기기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조건이 감지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의 푸쉬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며,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푸쉬 명령이 입력되는 시점에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조건이 감지되는 단계는,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영상 데이터의 상태가 기설정된 분석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상태가 기설정된 분석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원격지 사용자 기기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상태에 따라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상태가 정상이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원격지 사용자 기기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직접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상태가 비정상이면,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
KR1020110066096A 2011-07-04 2011-07-0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 KR101312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096A KR101312185B1 (ko) 2011-07-04 2011-07-0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096A KR101312185B1 (ko) 2011-07-04 2011-07-0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10A KR20130004810A (ko) 2013-01-14
KR101312185B1 true KR101312185B1 (ko) 2013-09-26

Family

ID=4783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096A KR101312185B1 (ko) 2011-07-04 2011-07-0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1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0389A (ja) * 2003-02-25 2004-09-16 Bmc:Kk デジタル映像の取込み、デジタル映像の圧縮、デジタル映像の記録をベースにモーション記録検知、映像のマルチ再生、映像のスケジュール記録またセンサー動作検知記録などを可能にすると同時にそれらの映像信号を狭域ネットワークlanや広域ネットワークwan、又はインターネット経由で遠隔送受信をも可能とした映像信号を記録すると同時に映像表示や映像検索及び映像再生等が可能な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ー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処理可能な装置。
KR100805255B1 (ko) * 2006-08-10 2008-02-2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086067A (ja) * 2008-09-29 2010-04-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画面共有システム及び画面共有方法
KR20100071335A (ko) * 2008-12-19 2010-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0389A (ja) * 2003-02-25 2004-09-16 Bmc:Kk デジタル映像の取込み、デジタル映像の圧縮、デジタル映像の記録をベースにモーション記録検知、映像のマルチ再生、映像のスケジュール記録またセンサー動作検知記録などを可能にすると同時にそれらの映像信号を狭域ネットワークlanや広域ネットワークwan、又はインターネット経由で遠隔送受信をも可能とした映像信号を記録すると同時に映像表示や映像検索及び映像再生等が可能な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ー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処理可能な装置。
KR100805255B1 (ko) * 2006-08-10 2008-02-2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086067A (ja) * 2008-09-29 2010-04-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画面共有システム及び画面共有方法
KR20100071335A (ko) * 2008-12-19 2010-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10A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01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closed caption content of video assets
US8583076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87445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home monitoring
US201503815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mpt video-data message transfer to personal devices
US88131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on-based monitoring of video assets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KR200433431Y1 (ko) 독립형 감시 시스템
US90718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ng term monitoring of video assets
CN113329240A (zh) 投屏的方法及装置
JP5779380B2 (ja) 監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829826B2 (ja) 監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117989A (ko) 스마트 단말기와 IoT 디바이스간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31218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영상 데이터 푸쉬 방법
KR101581400B1 (ko) 감시카메라의 트래픽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감시 방법
EP3550814B1 (en) Mobile terminal, ev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event information display program, and intercom system
KR20100043579A (ko) 인터넷 tv를 이용한 방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4232922A (ja) 映像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1614386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CN110213524B (zh) 视联网会议异常处理方法及装置
WO2024075183A1 (ja) エレベーターの防犯システム、防犯装置、サーバ、及びエレベーターの防犯方法
KR20120033920A (ko) 통합 서비스 운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086725A (zh) 基于浏览器的远程同屏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M481553U (zh) 雲端警報裝置
KR20170034114A (ko) 방송 센터, 그 알림 서비스 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 및 셋탑박스의 제어 방법
CN116680157A (zh) 一种信息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