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058B1 -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058B1
KR101312058B1 KR1020130031808A KR20130031808A KR101312058B1 KR 101312058 B1 KR101312058 B1 KR 101312058B1 KR 1020130031808 A KR1020130031808 A KR 1020130031808A KR 20130031808 A KR20130031808 A KR 20130031808A KR 101312058 B1 KR101312058 B1 KR 10131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ics
visual
symbol
han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원
Original Assignee
서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원 filed Critical 서창원
Priority to KR1020130031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의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한국어 학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소에 상응하는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검출하는 제어 수단; 및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와 함게 상기 음소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STUDYING KOREAN LANGUAGE USING VISUAL PHONIC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국어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 모양, 혀의 움직임과 모양, 조음기관의 모양, 소리의 성질, 한글과 연계라는 소리의 다감각적 촉각적 표현을 고려하여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구현하고 그 구현된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이용하여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단어를 순차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닉스 학습은 아이들의 스키마나 눈높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알파벳의 명칭과 소리를 단순히 반복적으로 암기하도록 해 왔다. 그리하여 긴 시간과 노력을 들임에도 불구하고 알파벳의 음, 소리가 정확하게 기억에 남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 낯선 외국어를 학습할 때 쉽게 지루함을 느끼게 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아의 경우 기존에 갖고 있는 스키마 자체에 글자의 개념도 잘 정립되어 있지 않은데, 그런 상태에서 무조건적으로 A (애, 에이)와 같은 소리를 반복적으로 입력시킨다하더라도 유아들은 "애"는 글자의 소리이고 " 에이"는 글자의 명칭이라는 것을 구분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용도를 이해하기도 힘들 뿐더러 수 많은 소리가 기억에 남아 있는 것도 힘들어 알파벳이 조합된 글에 그 소리를 적용하여 읽어내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 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파닉스 학습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806682호를 들 수 있는 데, 상기 문헌은 영어 단어를 형성하는 다수의 알파벳을 블럭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와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문헌은 다수의 알파벳 블럭과, 알파벳 블럭이 삽입되면 이를 인식하는 알파벳 블럭 인식수단과, 다수의 이미지 카드와, 이미지 카드를 인식하는 이미지 카드 인식수단과,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이미지 카드의 삽입여부를 확인하여 이미지 카드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알파벳 블럭이 삽입되는 순서대로 알파벳 발음과 해당 단어의 발음을 출력하는 자습과정과, 상기 이미지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단어 학습, 듣기 학습, 질문 및 응답 학습, 수리 학습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장치와 방법은 알파벳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들이 쉽게 단어와 문장을 학습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해당되는 것이지 알파벳의 발음과 명칭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지 못한 유아들에게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영어의 비쥬얼 파닉스가 한국어에 그대로 적용되기 어려우며 영어의 음소를 중심으로 한국어에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한국어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 모양, 혀의 움직임과 모양, 조음기관의 모양, 소리의 성질, 한글과 연계라는 소리의 다감각적 촉각적 표현을 고려하여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구현하고 그 구현된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이용하여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단어를 순차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 모양, 혀의 움직임과 모양, 조음기관의 모양, 소리의 성질, 한글과 연계라는 소리의 다감각적 촉각적 표현을 고려하여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구현하고 그 구현된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이용하여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단어를 순차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의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한국어 학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소에 상응하는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검출하는 제어 수단; 및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와 함게 상기 음소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음소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음소에 상응하는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와 함게 상기 음소를 상기 표시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징기호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상징기호에 상응하는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손단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손단서와 함께 상기 상징기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손단서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손단서에 상응하는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함께 상기 손단서를 상기 표시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징 기호는 상기 음소가 모음인 경우 입 모양에 따라 /ㅗ/, /ㅜ/는 원 모양 [○]으로 표시하고, /ㅏ/, /ㅓ/는 세로타원형 [
Figure 112013025818833-pat00001
]으로 표시하며, /ㅡ/, /ㅣ/는 가로타원형의 모양 [
Figure 112013025818833-pat00002
]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징 기호는 상기 음소가 모음인 경우, 상기 입 모양에 따른 모양, 혀의 위치 또는 소리의 성질에 따른 점, 화살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로부터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의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 단계;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한국어 학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소에 상응하는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검출하는 제어 단계; 및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와 함게 상기 음소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음소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음소에 상응하는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와 함게 상기 음소를 표시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상징기호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상징기호에 상응하는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손단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손단서와 함께 상기 상징기호를 표시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손단서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손단서에 상응하는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함께 상기 손단서를 표시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징 기호는 상기 음소가 모음인 경우 입 모양에 따라 /ㅗ/, /ㅜ/는 원 모양 [○]으로 표시하고, /ㅏ/, /ㅓ/는 세로타원형 [
Figure 112013025818833-pat00003
]으로 표시하며, /ㅡ/, /ㅣ/는 가로타원형의 모양 [
Figure 112013025818833-pat00004
]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징 기호는 상기 음소가 모음인 경우, 상기 입 모양에 따른 모양, 혀의 위치 또는 소리의 성질에 따른 점, 화살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입 모양, 혀의 움직임과 모양, 조음기관의 모양, 소리의 성질, 한글과 연계라는 소리의 다감각적 촉각적 표현을 고려하여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구현하고 그 구현된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이용하여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단어를 순차적으로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아동이나 장애 아동의 한국어 학습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글에 익숙하지 않은 아동이나 한글의 발음습득이 자연스럽지 못한 장애 아동의 한국어 실력을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글에 익숙하지 않은 아동이나 한글의 발음습득이 자연스럽지 못한 장애 아동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 상징기호를 설명하기 위한 상징 기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모음 상징기호의 구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자음 상징기호의 구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소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모음 손단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자음 손단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입 모양, 혀의 움직임과 모양, 조음기관의 모양, 소리의 성질, 한글과 연계라는 소리의 다감각적 촉각적 표현을 고려하여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구현하고 그 구현된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이용하여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단어를 순차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새로운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징기호는 발음적 요소를 형상화한 문자기로호 발음의 원리를 담고 있는 시각적 코드이고 손단서는 손모양과 동작을 시각적 보조 도구로 촉각적 운동감각적 접근을 통하여 해당 음소의 특징을 인지하고 체득할 수 있도록 개발된 코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쥬얼 파닉스(visual phonics)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는 통신 수단(110), 입력 수단(120), 제어 수단(130), 표시 수단(140), 및 저장 수단(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수단(11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 기호, 손단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수단(120)은 사용자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의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 수단(130)은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한국어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한국어 학습은 자음이나 모음의 음소에 대한 학습이나 단어에 대한 학습 등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1)음소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선택된 음소에 상응하는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음소와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2)상징기호나 손단서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상징기호나 손단서에 상응하는 음소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소를 상징기호나 손단서와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 수단(14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는 한국어 학습에 관련된 정보 예컨대, 자음이나 모음의 음소, 상징기호, 손단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 수단(150)은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는 한국어 학습에 관련된 정보 예컨대, 자음이나 모음의 음소, 음소에 상응하는 상징기호나 손단서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기본 방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소가 발음되고 조음되는 소리의 성질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아동이 기호를 통해 음소를 생각하고 따라 말할 수 있으므로 음소가 발음될 때 혀의 위치, 입모양, 조음방법, 혀의 모양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한국어 자음/모음과 연관성을 지녀야 한다. 이는 지화를 이용하는 청각장애학생들이 발음을 학습함에 도움을 받을 가능성을 확보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한글지화와의 연계가능성은 학생들이 지화를 통해 한극자모음을 습득하는 경우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지화는 한글철자의 모양을 형상화하고 있으므로 향후 철자교육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지화와 형태적 유사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모음 상징기호를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서 기본 모음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가 된다.
이러한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모음 상징기호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구현된다.
첫째, 입모양을 원, 타원세로, 타원가로로 표시하도록 한다. 예컨대, 1)원순모음의 경우, 입모양이 동그란 것을 강조하여 /ㅗ/, /ㅜ/에 해당하는 상징기호는 원 모양 [○]으로 표시하고, 2)비원순모음의 경우, /ㅏ/, /ㅓ/는 입모양이 비교적 위로 벌어지는 것에 착안하여 세로타원형 [
Figure 112013025818833-pat00005
]으로 표시하며, /ㅡ/는 가로타원형의 모양 [
Figure 112013025818833-pat00006
]으로 표시하며, 평순 /ㅢ/, /ㅣ/, /ㅔ/, /ㅐ/도 가로타원형의 모양 [
Figure 112013025818833-pat00007
]으로 표시한다.
둘째, 입주위의 긴장은 "ㆍ" 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예컨대, /ㅔ/, /ㅐ/는 [
Figure 112013025818833-pat00008
],[
Figure 112013025818833-pat00009
]로 표시한다.
셋째, 혀의 위치 또는 높낮이 또는 전후는 원안의 점 또는 화살표로 표시하도록 한다. 예컨대, /ㅜ/의 경우 고설이므로 위쪽에 표시하며, /ㅗ/는 저설에 해당하므로 중간 조금 아래 위치하도록 표시한다.
넷째, 소리의 성질은 화살표로 표시하도록 한다. 예컨대, /ㅏ/는 바깥으로 나가는 모양, /ㅓ/는 안쪽으로 들어오는 모양을 형상화하도록 표시한다.
다섯째, [y + 단모음], [w + 단모음], [
Figure 112013025818833-pat00010
+ 단모음]은 모음기호를 붙여서 표시하도록 한다. 즉, 이중 모음과 삼중모음의 경우 단모음을 기본으로 발음됨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자음 상징기호를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서 기본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이 된다.
이러한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자음 상징기호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구현된다.
첫째, 양순음의 경우 조음시에 입술모양을 표시하도록 한다. 예컨대, /ㅂ/의 경우로 붙었다가 양 입술이 붙었다가 부드럽게 떨어지는 모양을 형상화하고 입술모양 /ㅁ/의 경우 닫힌 입에서 비성의 진동을 형상화하도록 표시한다.
둘째, 연구개음의 경우 조음점과 조음시의 혀의 모양이 동시에 형상화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ㄱ/의 경우 조음시 혀의 모양과 조음점은 언어지도를 위한 매우 중요한 강조점이다.
셋째, 마찰음과 파찰음의 경우 소리의 성질을 형상화한 Guberina의 어조청각법에서 제시된 소리 운동의 성질을 적용하여 촉각, 운동적 특징이 설명되어야 한다. 예컨대, /ㅈ/의 경우 소리가 마찰을 일으키는 모양 그리고 /ㅅ/의 경우 소리가 마찰 후 바람으로 시옷을 표시한다.
넷째, 치경음, 경구개치조음의 경우 혀의 움직임으로 표현되도록 한다. 예컨대, /ㄷ/ 의 경우 소리가 튀는 모양, 혀가 부드럽게 치면서 튀는 모양을 표시하며 /ㄴ/의 경우 코(비성)이 울림을 표현하도록 한다. /ㄹ/의 경우 혀가 뒤로 후퇴함을 표시한다.
다섯째, 성문음의 경우는 조음의 위치와 더불어 조음의 방법이 설명되도록 한다. 예컨대, /ㅇ/ 의 경우 연구개가 후두벽을 막음을 표현하며 /ㅎ/의 경우는 성문의 마찰이 일어남을 표현한다.
여섯째, 경음 /ㄸ/, /ㅉ/, /ㅆ/, /ㄲ/는 발음의 초기에 긴장이 모이는 것을 /ㄷ/, /ㅈ/, /ㅅ/, /ㄱ/에 더하여 표현하도록 한다.
일곱째, 격음 /ㅌ/, /ㅊ/, /ㅋ/는 성문의 기류가 강항 마찰을 통해 터지는 모양을 평음에 더하여 형상화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 상징기호를 설명하기 위한 상징 기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징기호는 도 2에서 설명한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자음 상징기호를 설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5명의 청각장애교육 전문가와의 면담을 바탕으로 6개의 구인을 찾고 이 구인에 맞도록 상징기호를 제작하였다. 상징기호의 제작을 위한 6가지 구인은 입모양, 혀의 움직임/모양, 조음기관의 모양, 소리의 성질, 한글과 연계로 이러한 6가지 구인인 소리의 다감각적 촉각적 표현으로 상징기호를 제작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모음 상징기호의 구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모음 상징기호의 구인을 보여주고 있는데, /ㅏ/, /ㅐ/, /ㅓ/, /ㅔ/, /ㅗ/, /ㅟ/, /ㅜ/, /ㅚ/, /ㅡ/, /ㅣ/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자음 상징기호의 구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자음 상징기호의 구인을 보여주고 있는데,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ㄸ/, /ㅉ/, /ㅆ/, /ㄲ/, /ㅃ/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ㄱ/의 상징기호는 혀모양과 조음점의 관점에서 각각의 상징을 제작하였다. /ㄷ/의 상징기호도 미국 비쥬얼파닉스의 /t/와 같은 상징으로 조음시 혀의 운동을 의미하는 상징과 조음점을 의미하는 상징을 따로 제작하였다. /ㅂ/의 상징기호는 양입술의 운동모양을 상징화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따로 제작하였다. /ㅁ/과 /ㄴ/의 상징기호는 입모양과 비강 진동을 의미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한국어 상징기호 중 /ㅈ/와 /ㅅ/의 경우는 Guberina의 어조청각법에서 제시된 소리 운동의 성질을 적용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이하 학습 장치라고 한다)는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S610).
다음으로, 학습 장치는 음소를 선택하여 입력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620).
다음으로, 학습 장치는 그 확인한 결과로 음소를 선택하여 입력하였다고 판단되면 선택된 음소에 상응하는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검출하고(S630) 검출된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음소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S64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소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장치는 음소를 선택하여 입력하였다고 판단되면 선택된 음소에 상응하는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함께 표시하게 된다.
예컨대, 음소 /ㅂ/를 선택하여 입력하였다고 판단되면, 선택된 음소에 상응하는 상징기호 (c)와 손단서 (a), (b)를 함께 표시하되, 정면에서 본 손단서 (a)와 측면에서 본 손단서 (b)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반면, 학습 장치는 그 확인한 결과로 음소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상징기호나 손단서를 선택하여 입력하였다고 판단되면, 선택된 상징기호나 손단서에 상응하는 음소를 검출하고(S650) 검출된 음소를 상징기호나 손단서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S66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모음 손단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모음 손단서를 보여주고 있는데, 전체 모음 손단서, 음소, 상징 기호를 함께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자음 손단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한국어 비쥬얼 파닉스의 자음 손단서를 보여주고 있는데, 전체 자음 손단서, 음소, 상징 기호를 함께 보여주고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 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일 예로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통신 수단
120: 입력 수단
130: 제어 수단
140: 표시 수단
150: 저장 수단

Claims (12)

  1. 사용자로부터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의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한국어 학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소에 상응하는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검출하는 제어 수단; 및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와 함게 상기 음소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상징 기호는,
    상기 음소가 모음인 경우 입 모양에 따라 /ㅗ/, /ㅜ/는 원 모양 [○]으로 표시하고, /ㅏ/, /ㅓ/는 세로타원형 [
    Figure 112013056933565-pat00024
    ]으로 표시하며, /ㅡ/, /ㅣ/는 가로타원형의 모양 [
    Figure 112013056933565-pat00025
    ]으로 표시하며,
    상기 음소가 자음인 경우 /ㄱ/은 조음점과 조음시의 혀의 모양이 동시에 형상화하도록 표시하고, /ㄴ/은 코(비성)이 울림을 표현하며, /ㄷ/은 소리가 튀는 모양, 혀가 부드럽게 치면서 튀는 모양을 표시하며, /ㄹ/은 혀가 뒤로 후퇴함을 표시하며, /ㅁ/은 닫힌 입에서 비성의 진동을 형상화하도록 표시하며, /ㅂ/은 양 입술이 붙었다가 부드럽게 떨어지는 모양을 형상화하도록 표시하며, /ㅅ/은 소리가 마찰 후 바람으로 시옷을 표시하며, /ㅇ/은 연구개가 후두벽을 막음을 표현하며, /ㅈ/은 소리가 마찰을 일으키는 모양을 표시하며, /ㅌ/, /ㅊ/, /ㅋ/는 성문의 기류가 강항 마찰을 통해 터지는 모양을 평음에 더하여 형상화하도록 표시하며, /ㅎ/은 성문의 마찰이 일어남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음소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음소에 상응하는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와 함게 상기 음소를 상기 표시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징기호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상징기호에 상응하는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손단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손단서와 함께 상기 상징기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손단서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손단서에 상응하는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함께 상기 손단서를 상기 표시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징 기호는,
    상기 음소가 모음인 경우, 상기 입 모양에 따른 모양, 혀의 위치 또는 소리의 성질에 따른 점, 화살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7. 사용자로부터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의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 단계;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한국어 학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소에 상응하는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검출하는 제어 단계; 및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와 함게 상기 음소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상징 기호는,
    상기 음소가 모음인 경우 입 모양에 따라 /ㅗ/, /ㅜ/는 원 모양 [○]으로 표시하고, /ㅏ/, /ㅓ/는 세로타원형 [
    Figure 112013056933565-pat00026
    ]으로 표시하며, /ㅡ/, /ㅣ/는 가로타원형의 모양 [
    Figure 112013056933565-pat00027
    ]으로 표시하며,
    상기 음소가 자음인 경우 /ㄱ/은 조음점과 조음시의 혀의 모양이 동시에 형상화하도록 표시하고, /ㄴ/은 코(비성)이 울림을 표현하며, /ㄷ/은 소리가 튀는 모양, 혀가 부드럽게 치면서 튀는 모양을 표시하며, /ㄹ/은 혀가 뒤로 후퇴함을 표시하며, /ㅁ/은 닫힌 입에서 비성의 진동을 형상화하도록 표시하며, /ㅂ/은 양 입술이 붙었다가 부드럽게 떨어지는 모양을 형상화하도록 표시하며, /ㅅ/은 소리가 마찰 후 바람으로 시옷을 표시하며, /ㅇ/은 연구개가 후두벽을 막음을 표현하며, /ㅈ/은 소리가 마찰을 일으키는 모양을 표시하며, /ㅌ/, /ㅊ/, /ㅋ/는 성문의 기류가 강항 마찰을 통해 터지는 모양을 평음에 더하여 형상화하도록 표시하며, /ㅎ/은 성문의 마찰이 일어남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음소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음소에 상응하는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손단서와 함게 상기 음소를 표시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상징기호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상징기호에 상응하는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손단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손단서와 함께 상기 상징기호를 표시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손단서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 손단서에 상응하는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비쥬얼 파닉스의 상징기호와 함께 상기 손단서를 표시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방법.
  11. 삭제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징 기호는,
    상기 음소가 모음인 경우, 상기 입 모양에 따른 모양, 혀의 위치 또는 소리의 성질에 따른 점, 화살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방법.
KR1020130031808A 2013-03-26 2013-03-26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312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808A KR101312058B1 (ko) 2013-03-26 2013-03-26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808A KR101312058B1 (ko) 2013-03-26 2013-03-26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058B1 true KR101312058B1 (ko) 2013-09-25

Family

ID=4945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808A KR101312058B1 (ko) 2013-03-26 2013-03-26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0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527B1 (ko) 2014-10-16 2015-04-13 서창원 큐드 스피치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28424B1 (ko) * 2017-09-29 2018-12-12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소리조합 원리가 구현된 실감형 블록 놀이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440A (ko) * 1997-06-30 1999-01-25 김영환 시스템 감시기능을 가진 타이머 장치
JP2000089660A (ja) 1998-09-09 2000-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手話学習支援装置および手話学習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806682B1 (ko) 2006-10-13 2008-02-26 김달호 알파벳 블록을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그 방법
JP2012073299A (ja) 2010-09-27 2012-04-12 Panasonic Corp 言語訓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440A (ko) * 1997-06-30 1999-01-25 김영환 시스템 감시기능을 가진 타이머 장치
JP2000089660A (ja) 1998-09-09 2000-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手話学習支援装置および手話学習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806682B1 (ko) 2006-10-13 2008-02-26 김달호 알파벳 블록을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그 방법
JP2012073299A (ja) 2010-09-27 2012-04-12 Panasonic Corp 言語訓練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527B1 (ko) 2014-10-16 2015-04-13 서창원 큐드 스피치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28424B1 (ko) * 2017-09-29 2018-12-12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소리조합 원리가 구현된 실감형 블록 놀이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9066405A1 (ko) *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소리조합 원리가 구현된 실감형 블록 놀이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0520917A (zh) * 2017-09-29 2019-11-29 Dh伊贝姿有限公司 使用声音组合原理的现实方块游戏教学装置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nderhill Sound foundations
Knight Phonetics: A coursebook
Grant Prologue to the myths: What teachers need to know
Schwartz et al. How do kids learn to read? What the science says
Yoshida Understanding and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Nikbakht EFL pronunciation teaching: A theoretical review
KR20100092541A (ko) 중국어 학습장치 및 방법
Brinton Epilogue to the myths: Best practices for teachers
Huwari et al. Review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pronunciation in the Arab society
KR101312058B1 (ko) 비쥬얼 파닉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MacKay Phonetics and speech science
Indah The Communication Methods in English Classroom for Indonesian Deaf Students
Fidan Teaching soft G (˂ Ğ˃) in acquisition of literacy processing
US20190114938A1 (en) Sound Symbols Speaking and Reading Approach
KR102006758B1 (ko) 외국어 학습교재
US20210027008A1 (en) Reading proficiency system and method
Mäkinen The role of pronunciation in Finnish EFL textbooks and EFL teaching
Copeman Performing English: Adapting actor voice training techniques for TESOL to improve pronunciation intelligibility
Bustos-Orosa et al.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ecoding error patterns among Filipino beginning readers transitioning to the Marungko approach
Ren Reflecting on the primary phonetic learning based on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in language acquisition
Swanson Some Arabic phonemes as the problematic ones for English-speaking learners of Arabic: the reasons and the possible solutions
Furlonger et al. Understanding the diverse literacy needs of profoundly deaf sign-dominant adults in Australia
Genelza et al.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Decoding Ability of Second Year BSED-English Students in USEP–Tagum Campus
Przedlacka An overview of phonetics for language teachers
KR101632055B1 (ko) 중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