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932B1 -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932B1
KR101311932B1 KR1020110053313A KR20110053313A KR101311932B1 KR 101311932 B1 KR101311932 B1 KR 101311932B1 KR 1020110053313 A KR1020110053313 A KR 1020110053313A KR 20110053313 A KR20110053313 A KR 20110053313A KR 101311932 B1 KR101311932 B1 KR 101311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ound
speaker
film layer
tempere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424A (ko
Inventor
유원근
Original Assignee
유원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근 filed Critical 유원근
Priority to KR1020110053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932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창과 스피커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부착되어 전자기기를 보호하는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기기에 부착시 스피커가 구비된 영역이 개방되도록 일부 영역이 천공 형성된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을 덮도록 상기 필름층에 부착되되, 상기 필름층의 천공된 부분이 일부만 개방되고 나머지는 덮이도록 복수의 음향채널이 각각 상이한 크기로 형성된 강화유리층;을 포함하여, 상기 음향채널이 형성된 상기 강화유리층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필름층의 천공된 부분이 음향 믹싱 공간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전자기기의 스피커 음향이 맑고 투명하게 들릴 수 있도록 전자기기의 스피커 음향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film assembly for protect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부착되어 전자기기의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스피커 음향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는 액정 표시창과 함께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기기에 구비된 스피커는 대부분 전자기기의 전면이나 후면 또는 측면과 같은 부위에 판면으로부터 그리 깊지 않은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1)가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전자기기(1)에 부착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기기 보호필름(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의 스피커(5)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 스피커 개방창(11)이 천공 형성된다.
도 1의 (a)는 액정 표시창(3)과 스피커(5)가 전면에 구비된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1)에 종래의 전자기기 보호필름(10)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자기기 보호필름(10)은 스피커 개방창(11)이 형성되더라도 전자기기 보호필름(10)의 두께가 얇고 스피커(5)를 통해 나오는 음향이 스피커 개방창(11)을 통해 그대로 외부로 나와 퍼지기 때문에 저음은 제대로 재생되지 않고, 고음은 음질이 저하되는 등 스피커 음향의 특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기기 보호필름(10)은 단순히 스피커(5)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만 스피커 개방창(11)이 천공 형성되기 때문에 스피커(5)를 통해 나오는 음향을 주파수의 특성에 맞춰 자유롭게 믹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전자기기 보호필름(10)에 형성된 스피커 개방창(11)에 의하면 스피커(5)를 통해 나오는 음향이 무지향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인근에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까지도 소리가 전달되어 소음 공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 음향이 맑고 투명하게 들릴 수 있도록 스피커 음향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 음향을 주파수의 특성에 맞춰 자유롭게 믹싱할 수 있는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스피커 음향이 지향 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아닌 인근의 다른 사람들에게는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는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액정 표시창과 스피커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부착되어 전자기기를 보호하는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에 있어서, 전자기기에 부착시 스피커가 구비된 영역이 개방되도록 일부 영역이 천공 형성된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을 덮도록 상기 필름층에 부착되되, 상기 필름층의 천공된 부분이 일부만 개방되고 나머지는 덮이도록 복수의 음향채널이 각각 상이한 크기로 형성된 강화유리층;을 포함하여, 상기 음향채널이 형성된 상기 강화유리층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필름층의 천공된 부분이 음향 믹싱 공간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음향 믹싱 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되도록 상기 필름층의 천공된 부분은 상기 음향채널에 대응되게 복수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층에 천공된 각 부분의 크기는 상기 각 음향채널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향채널은 입구에서 출구를 향해 점차 확장되거나 점차 협소해진 후 다시 점차 확장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는 상기 필름층 및 상기 강화유리층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음향 믹싱 공간을 함께 이루도록 구비된 환 형상의 진동박막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층은 비산 방지 점착제에 의해 상기 강화유리층의 후면에 점착된 수지계열의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강화유리층의 전면은 AF(Anti Finger) 코팅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스피커 음향이 맑고 투명하게 들릴 수 있도록 전자기기의 스피커 음향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스피커 음향을 주파수의 특성에 맞춰 자유롭게 믹싱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기기의 스피커 음향이 지향 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아닌 인근의 다른 사람들에게는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기기 보호필름이 전자기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가 전자기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가 전자기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C-C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믹싱 공간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를 전자기기에 부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표시창(3)과 스피커(5)가 구비된 전자기기(1)에 부착되어 전자기기(1)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에 부착시 스피커(5)가 구비된 영역이 개방되도록 일부 영역이 천공 형성된 필름층(110)과, 필름층(110)을 덮도록 필름층(110)에 부착되되 필름층(110)의 천공된 부분이 일부만 개방되고 나머지는 덮이도록 복수의 음향채널(121)이 각각 상이한 크기로 형성된 강화유리층(12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채널(121)이 형성된 강화유리층(120)의 내측에 배치된 필름층(110)의 천공된 부분이 음향 믹싱 공간(111)이 됨으로써 전자기기(1)의 스피커 음향이 맑고 투명하게 들릴 수 있도록 전자기기(1)의 스피커 음향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자유음장에서 음의 강도는 음원에서 떨어진 거리의 역제곱으로 비례한다. 이러한 성질을 갖는 음파는 반사, 흡수, 투과, 회절, 굴절, 간섭, 공진 등을 일으키며 진행된다.
이러한 음파는 속도가 느린 곳으로 굴절되어 진행되기 때문에 음속이 최소가 되는 층에서 발생되는 음향은 좁은 통로로 형성된 음향채널(121)을 벗어나지 못하고 음향 믹싱 공간(111) 내에 갇히게 되어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된 상태로 비교적 먼 거리까지 도달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1)의 스피커(5)를 통해 나오는 음향이 그대로 외부로 나와 퍼지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필름층(110)과 강화유리층(120)에 의해 형성된 음향 믹싱 공간(111)과 음향채널(121)에 의해 스피커(5)의 모든 진동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음이 축상(on-axis)에서는 동일한 위상으로 청취위치에 도달되기 때문에 진동에 비례하는 음압파형을 얻게 되고, 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off-axis)에서는 위치에 따라 보강 또는 상쇄되어 청취각도에 따라 음압레벨에 차이가 발생되는 지향 특성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100)가 부착된 전자기기(1)의 스피커(5)는 음향 믹싱 공간(111)에 의해 호온형 스피커(horn type speaker)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음파가 자유공간으로 부드럽게 방출되게 하여 음향의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피커(5)에서 나오는 음향이 음향 믹싱 공간(111)을 빠져 나와 음향채널(121)로 들어가게 되는 입구를 스피커 인클로져(speaker enclosure)의 목(throat)이라 부를 수 있고, 음향이 음향채널(121)로부터 빠져 나오는 출구를 스피커 인클로져의 마우스(mouth)라고 부를 수 있다. 스피커 인클로져의 목에서 마우스까지의 형상을 코니컬(conical), 익스포넨셜(exponential), 하이퍼볼릭(hyperbolic) 등으로 다양하게 마련함으로써 스피커 음향이 그 특성에 따라 개선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100)가 부착된 전자기기(1)의 스피커(5)는 음향 믹싱 공간(111)과 음향채널(121)에 의해 인클로져 내에 구비된 스피커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자기기(1)의 스피커(5)를 통해 나오는 음향이 그대로 외부로 나와 퍼지는 것이 아니라, 저음은 원음에 가깝게 그대로 재생될 수 있고, 고음은 음질이 향상되어 스피커 음향의 특성이 전반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향채널(121)에 의해 전자기기(1)의 스피커(5)가 호온형 스피커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음향의 명료도가 높아질 수 있고, 전자기기(1)의 스피커 음향이 지향 특성을 갖게 되어 음향이 전달되는 임계 거리가 길어지게 되며, 음향의 집중도가 향상되어 보다 명료하고 입체적인 음향이 청취위치까지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1)의 사용자는 편안하고 뛰어난 음장감과 현장감,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의 스피커 음향이 지향 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1)의 사용자가 아닌 인근의 다른 사람들에게는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필름층(110)은 유성이나 아크릴 또는 실리콘 계열의 비산 방지 점착제에 의해 강화유리층(120)의 후면에 점착된 수지계열의 필름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층(120)과 필름층(110)의 사이에는 비산 방지 점착제가 도포된 비산 방지 점착층(110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1)의 액정 표시창(3)에 충격이 가해져 강화유리가 깨지더라도 유리조각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필름층(11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또는 PC(polycarbonate) 필름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ET 필름과 PC 필름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투명도가 높은 범용 수지의 일종이다.
필름층(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믹싱 공간(111)에 해당되는 영역만이 천공되더라도 강화유리층(120)과 같이 투명하게 마련되어 액정 표시창(3)이 외부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지만, 액정 표시창(3)에 필름층(110)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액정 표시창(3)이 보여지는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도 천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음향 믹싱 공간(111)을 이루도록 필름층(110)에 천공된 천공 단면은 스피커(5)의 끝단과 일치시키지 않고 음향 믹싱 공간(111)이 스피커(5)보다 더 큰 영역을 포함하도록 스피커(5)의 끝단으로부터 대략 1 ~ 2 mm 정도 바깥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필름층(110)과 전자기기(1) 사이에 도포된 점착액이 음향 믹싱 공간(111)까지 누설되어 스피커(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강화유리층(120)에 천공 형성되어 음향채널(121)을 이루는 강화유리층(120)의 천공 단면의 형상을 다양하게 마련하여 스피커 인클로져로서의 목에서 마우스까지의 형상을 코니컬, 익스포넨셜, 하이퍼볼릭 등으로 다양하게 마련함으로써 음향의 특성을 고려하여 음파의 통로가 단순한 직선형이 아닌 곡선형이나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거나 음향채널(121)의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거리, 즉 목에서 부터 마우스까지의 거리와 음향 믹싱 공간(111)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전자기기(1)의 스피커 음향을 주파수의 특성에 맞춰 자유롭게 믹싱하여 음원 튜닝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강화유리층(120)의 전면은 AF(Anti-Finger) 코팅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층(120)의 전면에는 AF 코팅층(120a)이 형성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강화유리층(120)은 유리의 강도를 화학적 처리 방법으로 강화시킨 것으로서 강화유리층(120)에서 AF 코팅층(120a)과의 사이의 전면과 후면에는 화학 강화층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1)의 사용자가 액정 표시창(3)의 위치에 해당되는 강화유리를 터치하여 전자기기(1)를 사용하더라도 강화유리에 지문 흔적이 남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층(110)에 천공되어 음향 믹싱 공간(111)을 이루는 천공 영역의 형상은 대략 장방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강화유리층(120)에 천공 형성되는 음향채널(121)의 형상은 대략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복수의 음향채널(121)이 천공된 전체의 크기는 스피커(5)의 면적보다 넓게 천공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음향채널(121)이 천공된 전체의 크기는 스피커(5)의 면적보다 좁게 천공될 수도 있다.
이때, 강화유리층(120)에 형성되는 음향채널(121)의 크기가 클 수록 저음의 특성이 좋아지고, 음향채널(121)의 크기가 작을 수록 고음의 특성이 좋아진다.
한편, 강화유리층(120)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음향채널(121)의 갯수, 형상 또는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음향 믹싱 공간(111)과 함께 음향의 특성을 고려하여 음파의 통로를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전자기기(1)의 스피커(5)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튜닝하여 다양한 다채널의 음향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1)의 사용자가 음향채널(121)의 갯수, 형상 또는 크기가 다양하게 마련된 여러 종류의 강화유리층(120)들과 음향 믹싱 공간(111)을 이루는 천공 단면의 형상, 천공 영역의 크기 또는 두께가 다양하게 마련된 여러 종류의 필름층(110)들 중에서 스피커 음향의 특성에 맞는 것을 취사 선택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100)의 강화유리층(120)과 필름층(110)은 각각 별개의 제품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강화유리층(120)은 복수개로 천공 형성된 음향채널(121)에 의해 미세 홀 가공이 추가되어 강화 특성이 더욱 우수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믹싱 공간(111)이 복수개로 구획되도록 필름층(110)의 천공된 부분은 음향채널(121)에 대응되게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필름층(110)에 천공된 각 부분의 크기는 각 음향채널(12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스피커 음향의 직진 방향성이 우수해질 수 있고, 특히 고음 영역의 특성이 우수해질 수 있다.
한편, 음향채널(1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입구에서 출구를 향해 점차 확장되거나 점차 협소해진 후 다시 점차 확장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필름층(110)의 두께는 대략 25 ~ 100 μm 정도이고, 강화유리층(120)의 두께는 대략 200 ~ 500 μm 정도로 마련된다. 필름층(110) 대신에 인쇄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강화유리층(120) 대신에 수지계열의 강화필름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필름층(110)의 두께는 너무 얇기 때문에 스피커 인클로져의 목과 마우스 형상은 음향채널(121)을 형성하는 강화유리층(120)의 천공 단면의 형상을 변경하여 다양하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강화유리층(120)의 두께가 200 μm 이하인 경우에는 도 4의 (a)와 같은 형태로 음향채널(121)을 형성하고, 강화유리층(120)의 두께가 200 μm 초과 300 μm 이하인 경우에는 도 4의 (b)와 같은 형태로 음향채널(121)을 형성하며, 강화유리층(120)의 두께가 300 μm 초과 500 μm 이하인 경우에는 도 4의 (c)와 같은 형태로 음향채널(12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강화유리층(120)에 천공 형성되어 음향채널(121)을 이루는 강화유리층(120)의 천공 단면의 형상을 스피커 음향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여 전자기기(1)의 스피커 음향을 주파수의 특성에 맞춰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층(110) 및 강화유리층(120) 사이에 구비되되 음향 믹싱 공간(111)을 함께 이루도록 구비된 환(環) 형상의 진동박막층(130)을 더 포함한다. 진동박막층(13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필름층(110) 및 강화유리층(1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모두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음향 믹싱 공간(111) 내에 진동박막층(130)이 더 구비됨으로써 전자기기(1)의 스피커(5)를 통해 나오는 음파가 진동박막층(130)을 진동시키게 되어 스피커 음향이 진동박막층(130)에서 더욱 명료하게 재생될 수 있다.
이때, 진동박막층(130)의 내주면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피커 음향의 특성에 따라 나선형, 물결형 또는 소용돌이 형상 등의 다양한 형태의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음향 믹싱 공간(111)과 음향채널(121)에 의해 전자기기(1)의 스피커 음향이 맑고 투명하게 들릴 수 있도록 전자기기(1)의 스피커 음향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전자기기(1)의 스피커 음향을 주파수의 특성에 맞춰 자유롭게 믹싱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1)의 스피커 음향이 지향 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1)의 사용자가 아닌 인근의 다른 사람들에게는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110 : 필름층 111 : 음향 믹싱 공간
120 : 강화유리층 121 : 음향채널
130 : 진동박막층

Claims (7)

  1. 액정 표시창과 스피커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부착되어 투광성을 가지면서 전자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에 있어서,
    전자기기에 부착시 스피커가 구비된 영역이 개방되도록 일부 영역이 수직 방향으로 천공 형성된 음향 믹싱 공간을 갖는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을 덮도록 상기 필름층에 부착되되, 상기 음향 믹싱 공간과 연통하여 상기 스피커가 수직 방향으로 개방되어 노출되고 나머지는 덮이도록 복수의 음향채널이 각각 상이한 크기로 형성된 강화유리층;
    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믹싱 공간이 복수개로 구획되도록 상기 필름층의 천공된 부분은 상기 음향채널에 대응되게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에 천공된 각 부분의 크기는 상기 각 음향채널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채널은 입구에서 출구를 향해 점차 확장되거나 점차 협소해진 후 다시 점차 확장되는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 및 상기 강화유리층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음향 믹싱 공간을 함께 이루도록 구비된 환 형상의 진동박막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비산 방지 점착제에 의해 상기 강화유리층의 후면에 점착된 수지계열의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층의 전면은 AF(Anti Finger)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KR1020110053313A 2011-06-02 2011-06-02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KR101311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313A KR101311932B1 (ko) 2011-06-02 2011-06-02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313A KR101311932B1 (ko) 2011-06-02 2011-06-02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424A KR20120134424A (ko) 2012-12-12
KR101311932B1 true KR101311932B1 (ko) 2013-09-26

Family

ID=4790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313A KR101311932B1 (ko) 2011-06-02 2011-06-02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9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0558A (ja) * 2001-11-01 2003-05-16 Toyo Bussan Kk 携帯型表示装置用保護板
JP2008167097A (ja) * 2006-12-28 2008-07-17 Nec Saitama Ltd 電子機器
JP2010245700A (ja) * 2009-04-02 2010-10-28 Denso Corp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0558A (ja) * 2001-11-01 2003-05-16 Toyo Bussan Kk 携帯型表示装置用保護板
JP2008167097A (ja) * 2006-12-28 2008-07-17 Nec Saitama Ltd 電子機器
JP2010245700A (ja) * 2009-04-02 2010-10-28 Denso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424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5661U (ja) 携帯端末機器における音声誘導装置及び音声誘導部材
US8131329B2 (en) Distributed mode speaker for mobile devices
US11417138B2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5360213B2 (ja) 電子機器
TWI689209B (zh) 揚聲器、揚聲裝置及行動終端
US10432778B2 (en)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s
JP2006157464A (ja) 音響装置
TWI599241B (zh) 可加強低音音效的揚聲裝置及相關電子裝置
US201501176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speaker
US7654362B2 (en) Speaker and method of outputting acoustic sound
KR101311932B1 (ko) 전자기기 보호필름 어셈블리
US20140291065A1 (en) Loudspeaker having external extension
EP1748673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offset sound openings
CN110012397B (zh) 一种扬声器
JP5835225B2 (ja) 電子機器
TW201505519A (zh) 手持式電子裝置及其護套
CN115696122A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05812989A (zh) 扬声器
CN111163396B (zh) 扬声器及其电子装置
CN115696121A (zh) 电子设备
EP3133830A1 (en) Speak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peaker
WO2023199667A1 (ja) 吸音部材、吸音パネル及び吸音壁
TWI583203B (zh) 揚聲器與設有該揚聲器的電子裝置
US858886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an improved acoustic mesh system
EP36146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