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579B1 - 문서관리를 위한 자동 제어 서랍 시스템 - Google Patents

문서관리를 위한 자동 제어 서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579B1
KR101311579B1 KR1020110081016A KR20110081016A KR101311579B1 KR 101311579 B1 KR101311579 B1 KR 101311579B1 KR 1020110081016 A KR1020110081016 A KR 1020110081016A KR 20110081016 A KR20110081016 A KR 20110081016A KR 101311579 B1 KR101311579 B1 KR 101311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ovement
drawer
pulley
screw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9075A (ko
Inventor
성낙윤
김영근
조수근
Original Assignee
(주)라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스테크 filed Critical (주)라스테크
Priority to KR102011008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5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48Pin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having both self-opening and self-closing mechanisms which interact with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나 서류 등이 보관된 서랍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 개폐 서랍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서랍 중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서랍을 자동으로 인출 및 인입할 수 있는 자동 개폐 서랍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서관리를 위한 자동 제어 서랍 시스템{system automatically controlling cabinet for document management}
본 발명은 문서나 서류 등이 보관된 서랍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 개폐 서랍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서랍 중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서랍을 자동으로 인출 및 인입할 수 있는 자동 개폐 서랍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랍 설치대에는 다수개의 서랍이 탑재되어 있고, 각각의 서랍에는 다수개의 문서나 서류 등이 보관되어 있으므로, 어느 서랍에 어떤 종류의 문서나 서류 등이 보관되어 있는지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나 서류를 찾고자 하는 경우 다수개의 서랍을 무작위로 직접 인출하여야 하므로 시간 및 노력이 많이 요구되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35679(1998.09.15)에 '컴퓨터와 연결된 서랍'이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서랍 중 특정 서랍을 자동으로 인출 및 인입할 수 있는 자동 개폐 서랍 설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외부 단말기에 다수의 서랍에 보관된 서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놓고, 외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특정 서랍의 인출 신호에 의하여 상기 특정 서랍을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는 자동 개폐 서랍 설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서랍(110)이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서랍 설치대(100); 상기 다수의 서랍(110) 중 어느 하나의 서랍(110)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서랍(110)을 인출 및 인입시키기 위한 자동 개폐부; 상기 자동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어느 하나의 서랍(110)을 개폐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무빙 엘리먼트; 상기 다수의 서랍(110) 중 특정 서랍(110)이 인출 및 인입되도록 상기 자동 개폐부 및 상기 무빙 엘리먼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 서랍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랍(110)의 일측면에는 래크(1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자동 개폐부는 상기 래크(120)와 치합하여 상기 서랍(110)을 인출 및 인입시키기 위한 피니언(4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460)은 상기 래크(120)에 치합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서랍 설치대(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동 개폐부는, 스크류 회전 모터(410)에 연결되며 상기 서랍(110)의 일측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크류(420); 상기 스크류(4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크류(420)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스크류(420)에 끼워지는 수평 이동대(430); 상기 수평 이동대(430)에 탑재된 압박부 회전 모터(440)에 연결되며 상기 피니언(460)을 압박하여 회전시키는 압박부(45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빙 엘리먼트는, 상기 스크류 회전 모터(410)가 탑재되는 상하 이동대(210)가 끼워져 안내되도록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하 안내봉(310);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일측에 설치된 상하 이동모터(320)에 연결되는 상하 이동 구동풀리(330);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상하 이동 안내풀리(340); 상기 상하 이동대(2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하 이동대 풀리(350); 상측단이 상하 이동 안내풀리(340)와 이격되며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상측단에 고정되고, 하측단이 상기 상하 이동 구동풀리(330)에 고정되며, 상측단과 하측단 사이가 상기 상하 이동대 풀리(350)의 하측부에 감긴 뒤 상기 상하 이동 안내풀리(340)의 상측부에 감기며 텐션을 유지하는 상하 이동 벨트(36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빙 엘리먼트는, 상기 스크류 회전 모터(410)가 탑재되는 상하 이동대(210)가 끼워져 안내되도록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하 안내봉(310); 상기 상하 이동대(210)에 설치된 상하 이동모터(1320)에 연결되는 상하 이동 구동풀리(1330); 상기 상하 이동대(210)에 고정된 제1 아암(13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하 이동 구동풀리(1330) 상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1); 상기 상하 이동대(210)에 고정된 제2 아암(134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하 이동 구동풀리(1330) 하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2); 상측단이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상측단에 고정되고, 하측단이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하측단에 고정되며, 상측단과 하측단 사이가 상기 상하 이동 구동풀리(1330)의 일측에 감기어 텐션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1) 및 상기 제2 상하 이동풀리(1352)에 감기며 안내되는 상하 이동 타이밍 벨트(136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서랍(110)을 인출 및 인입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단말기(500)로부터 상기 특정 서랍(110)을 인출 및 인입하기 위한 신호를 통신받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단말기에 다수의 서랍에 보관된 서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놓고, 외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특정 서랍의 인출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가 상기 특정 서랍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특정 서랍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에 특정 서류에 대응하는 특정 서랍에 관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일일히 다수의 서랍을 확인하지 않고도 원하는 특정 서랍을 한 번에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도.
도2 및 도3은 도1의 서랍 설치대 내부의 주요 부분의 사시도.
도4는 도1의 서랍 설치대 내부의 주요 부분의 측면도.
도5는 도1의 서랍의 인출 상태도.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서랍 설치대 내부의 주요 부분의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2 및 도3은 도1의 서랍 설치대 내부의 주요 부분의 사시도를, 도4는 도1의 서랍 설치대 내부의 주요 부분의 측면도를, 도5는 도1의 서랍의 인출 상태도를,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서랍 설치대 내부의 주요 부분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수의 서랍(110)이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서랍 설치대(100)를 가진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서랍(110)의 일측면에는 래크(120)가 돌출 형성된다. 래크(120)는 서랍(110)의 인출 및 인입 방향을 따라 서랍(110)의 일측면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수의 서랍(110) 중 어느 하나의 서랍(110)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서랍(110)을 인출 및 인입시키기 위한 자동 개폐부(도면부호 미부여)를 가진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 개폐부(도면부호 미부여)는 스크류 회전 모터(410), 스크류(420), 수평 이동대(430), 압박부 회전 모터(440), 압박부(450) 및 피니언(460)을 포함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피니언(460)은 래크(120)와 치합된 상태를 이루며 측면 가이더(102)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측면 가이더(102)는 서랍(100)의 인출 및 인입시 서랍(110)의 측면을 안내하기 위해 서랍 설치대(100)에 형성되는 가이더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스크류 회전 모터(410)는 상하 이동대(210)에 설치된다. 상하 이동대(210)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스크류(420)는 스크류 회전 모터(410)에 연결되며 서랍(110)의 일측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스크류(420)는 설랍(110)의 일측면과 직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수평 이동대(430)는 스크류(420)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420)를 따라 이동하도록 스크류(420)에 끼워진다. 따라서, 수평 이동대(430)에는 스크류(420)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하 이동대(210)에는 수평 이동대(430)와 스크류(420)의 상대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수평 이동대 가이더(도면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42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수평 이동대 가이더(도면 미도시)에 의하여 수평 이동대(430)가 스크류(420)를 따라 직선 운동하게 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압박부 회전 모터(440)는 수평 이동대(430)에 설치된다. 따라서, 압박부 회전 모터(440)는 수평 이동대(430)와 함께 스크류(420)를 따라 이동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압박부(450)는 압박부 회전 모터(440)에 연결된다. 압박부(450)는 압박부 회전 모터(440)가 스크류(420)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피니언(460)을 압박하여, 압박부 회전 모터(440)의 회전력에 의하여 피니언(46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4를 함께 참조하면 압박부(450)는 둘레면이 잘린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피니언(460)에는 압박부(450)의 외형 대응하는 삽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압박부(450)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압박부(450)가 피니언(460)을 압박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피니언(460)이 회전한다. 도5를 참조하면 피니언(460)이 회전함에 따라 피니언(460)과 치합된 래크(120)가 직선 운동을 하여 서랍(110)을 인출 및 인입시킨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자동 개폐부(도면부호 미부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어느 하나의 서랍(110)을 개폐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무빙 엘리먼트(도면부호 미부여)를 가진다. 상기 무빙 엘리먼트(도면부호 미부여)는 서랍 설치대 일측에 설치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무빙 엘리먼트(도면부호 미부여)는 상하 안내봉(310), 상하 이동모터(320), 상하 이동 구동풀리(330), 상하 이동 안내풀리(340), 상하 이동대 풀리(350) 및 상하 이동 벨트(360)를 포함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하 안내봉(310)은 서랍 설치대(100)의 일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상하 안내봉(310)에는 스크류 회전 모터(410)가 탑재되는 상하 이동대(21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즉, 상하 안내봉(310)은 상하 이동대(2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하 안내봉(310)은 상호 이격되며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하 이동모터(320)는 서랍 설치대(100)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된다. 상하 이동 구동풀리(330)는 상하 이동모터(320)에 연결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상하 이동 안내풀리(340)는 서랍 설치대(100)의 상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하 이동대 풀리(350)는 상하 이동대(2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상하 이동 벨트(360)는 상측단이 상하 이동 안내풀리(340)와 이격되며 서랍 설치대(100)의 상측단에 고정되고, 하측단이 상하 이동 구동풀리(330)에 고정된다. 또한, 상하 이동 벨트(360)는 상측단과 하측단 사이가 상하 이동대 풀리(350)의 하측부에 감긴 뒤 상하 이동 안내풀리(340)의 상측부에 감김으로써 텐션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수의 서랍(110) 중 특정 서랍(110)이 인출 및 인입되도록 상기 자동 개폐부(도면부호 미부여) 및 상기 무빙 엘리먼트(도면부호 미부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부 단말기(500)로부터 특정 서랍(110)을 인출 및 인입하기 위한 신호를 통신받는 통신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500)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데스크탑PC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서랍(110)을 인출 및 인입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각각의 서랍에는 표시부(102)가 설치된다. 표시부(102)는 특정 문서가 보관된 특정 서랍(110)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외부 단말기(500)로부터 특정 문서가 특정 서랍(100)에 보관된 것으로 검색되면 외부 단말기(500)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특정 서랍(100)의 표시부(102)는 상기 제어부(도면 미도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표시부(102)는 엘이디 등을 이용한 발광소자일 수 있다.
한편,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무빙 엘리먼트(도면부호 미부여)로서, 상하 안내봉(310, 도2 참조) 이외에 상하 이동모터(1320), 상하 이동 구동풀리(1330), 제1 아암(1341), 제1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1), 제2 아암(1342), 제2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2) 및 상하 이동 타이밍 벨트(1360)를 포함한다.
도6을 참조하면 상하 이동모터(1320)는 상하 이동대(210)에 설치되고, 상하 이동모터(1320)에는 상하 이동 구동풀리(1330)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하 이동모터(1320) 및 상하 이동 구동풀리(1330)는 상하 이동대(21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한다.
도6을 참조하면 제1 아암(1341)은 상하 이동대(210)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하 이동대(210)에 고정 설치되고, 제2 아암(1342)는 상하 이동대(210)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하 이동대(210)에 고정 설치된다.
도6을 참조하면 제1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1)는 상하 이동대(210)에 고정된 제1 아암(134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1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1)는 상하 이동 구동풀리(1330) 상방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1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1)는 타이밍 풀리이다.
도6을 참조하면 제2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2)는 상하 이동대(210)에 고정된 제2 아암(134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2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2)는 상하 이동 구동풀리(1330) 하방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2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2)는 타이밍 풀리이다.
도6을 참조하면 상하 이동 타이밍 벨트(1360)는 상측단이 서랍 설치대(100)의 상측단에 고정되고, 하측단이 서랍 설치대(100)의 하측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하 이동 타이밍 벨트(1360)는 상측단과 하측단 사이가 상하 이동 구동풀리(1330)의 일측에 감기어 텐션을 유지하도록, 제1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1) 및 제2 상하 이동풀리(1352)에 감기며 안내된다.
본 발명은 외부 단말기(500)에 다수의 서랍(110)에 보관된 서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놓고, 외부 단말기(500)로부터 송신된 특정 서랍(110)의 인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도면 미도시)가 상기 자동 개폐부(도면부호 미부여) 및 상기 무빙 엘리먼트(도면부호 미부여)를 제어하여 상기 특정 서랍(110)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특정 서랍(110)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500)에 특정 서류에 대응하는 특정 서랍(11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일일히 다수의 서랍(110)을 확인하지 않고도 원하는 특정 서랍(110)을 한 번에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서랍 설치대 102:표시부
110:서랍 120:래크
210:상하 이동대
310:상하 안내봉 320:상하 이동모터
330:상하 이동 구동풀리 340:상하 이동 안내풀리
350:상하 이동대 풀리 360:상하 이동 벨트
410:스크류 회전 모터 420: 스크류
430:수평 이동대 440:압박부 회전 모터
450:압박부 460:피니언
1320:상하 이동모터 1330:상하 이동 구동풀리
1341:제1 아암 1342:제2 아암
1351:제1 상하 이동 안내풀리 1352:제2 상하 이동 안내풀리
1360:상하 이동 타이밍 벨트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다수의 서랍(110)이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서랍 설치대(100);
    상기 다수의 서랍(110) 중 어느 하나의 서랍(110)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서랍(110)을 인출 및 인입시키기 위한 자동 개폐부;
    상기 자동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어느 하나의 서랍(110)을 개폐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무빙 엘리먼트;
    상기 다수의 서랍(110) 중 특정 서랍(110)이 인출 및 인입되도록 상기 자동 개폐부 및 상기 무빙 엘리먼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서랍(110)의 일측면에는 래크(1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자동 개폐부는 상기 래크(120)와 치합하여 상기 서랍(110)을 인출 및 인입시키기 위한 피니언(460)을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460)은 상기 래크(120)에 치합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서랍 설치대(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동 개폐부는,
    스크류 회전 모터(410)에 연결되며 상기 서랍(110)의 일측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크류(420);
    상기 스크류(4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크류(420)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스크류(420)에 끼워지는 수평 이동대(430);
    상기 수평 이동대(430)에 탑재된 압박부 회전 모터(440)에 연결되며 상기 피니언(460)을 압박하여 회전시키는 압박부(4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를 위한 자동 제어 서랍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엘리먼트는,
    상기 스크류 회전 모터(410)가 탑재되는 상하 이동대(210)가 끼워져 안내되도록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하 안내봉(310);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일측에 설치된 상하 이동모터(320)에 연결되는 상하 이동 구동풀리(330);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상하 이동 안내풀리(340);
    상기 상하 이동대(2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하 이동대 풀리(350);
    상측단이 상하 이동 안내풀리(340)와 이격되며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상측단에 고정되고, 하측단이 상기 상하 이동 구동풀리(330)에 고정되며, 상측단과 하측단 사이가 상기 상하 이동대 풀리(350)의 하측부에 감긴 뒤 상기 상하 이동 안내풀리(340)의 상측부에 감기며 텐션을 유지하는 상하 이동 벨트(3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를 위한 자동 제어 서랍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엘리먼트는,
    상기 스크류 회전 모터(410)가 탑재되는 상하 이동대(210)가 끼워져 안내되도록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하 안내봉(310);
    상기 상하 이동대(210)에 설치된 상하 이동모터(1320)에 연결되는 상하 이동 구동풀리(1330);
    상기 상하 이동대(210)에 고정된 제1 아암(13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하 이동 구동풀리(1330) 상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1);
    상기 상하 이동대(210)에 고정된 제2 아암(134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하 이동 구동풀리(1330) 하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2);
    상측단이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상측단에 고정되고, 하측단이 상기 서랍 설치대(100)의 하측단에 고정되며, 상측단과 하측단 사이가 상기 상하 이동 구동풀리(1330)의 일측에 감기어 텐션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상하 이동 안내풀리(1351) 및 상기 제2 상하 이동풀리(1352)에 감기며 안내되는 상하 이동 타이밍 벨트(13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를 위한 자동 제어 서랍 시스템.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서랍(110)을 인출 및 인입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를 위한 자동 제어 서랍 시스템.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500)로부터 상기 특정 서랍(110)을 인출 및 인입하기 위한 신호를 통신받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를 위한 자동 제어 서랍 시스템.
KR1020110081016A 2011-08-16 2011-08-16 문서관리를 위한 자동 제어 서랍 시스템 KR101311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016A KR101311579B1 (ko) 2011-08-16 2011-08-16 문서관리를 위한 자동 제어 서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016A KR101311579B1 (ko) 2011-08-16 2011-08-16 문서관리를 위한 자동 제어 서랍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075A KR20130019075A (ko) 2013-02-26
KR101311579B1 true KR101311579B1 (ko) 2013-09-26

Family

ID=4789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016A KR101311579B1 (ko) 2011-08-16 2011-08-16 문서관리를 위한 자동 제어 서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349B1 (ko) * 2017-09-22 2022-10-28 배소정 멀티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가정용 봉안함
DE202020101296U1 (de) * 2020-03-10 2021-06-16 Grass Gmbh Möbelteil-Bewegungssteuerungsvorrichtung und Möb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2140A (ja) * 1997-02-27 1998-11-13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KR20090075271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자동 개폐식 서랍 도어를 갖는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자동개폐 방법
KR20110014331A (ko) * 2009-08-05 2011-02-11 김화선 다단 서랍 개폐장치의 다단 서랍 자동 개폐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2140A (ja) * 1997-02-27 1998-11-13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KR20090075271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자동 개폐식 서랍 도어를 갖는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자동개폐 방법
KR20110014331A (ko) * 2009-08-05 2011-02-11 김화선 다단 서랍 개폐장치의 다단 서랍 자동 개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075A (ko)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093271U (zh) 可隐藏摄像头的移动终端
US9014393B2 (en) Stationary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1808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201625A1 (en) Flat cable arranging structure and slider electronic apparatus therewith
US8981720B2 (en) Charging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3167065B (zh) 滑动机构及使用该滑动机构的电子装置
CN106983322B (zh) 一种电子产品放置展示装置
CN104539764A (zh) 可根据使用状态自动形变的移动终端及其实现形变的方法
KR101311579B1 (ko) 문서관리를 위한 자동 제어 서랍 시스템
CN212588391U (zh) 一种摄像模块和电子设备
CN209694681U (zh) 一种艺术设计产品展示装置
CN210091422U (zh) 一种中文语音教学教具
CN204517897U (zh) 一种手机夹持装置
CN211315602U (zh) 一种移动式led显示屏挂架
CN211450196U (zh) 一种电子信息显示装置
KR20080002055U (ko) 승하강용 전동 기구장치
KR200452085Y1 (ko) 멀티미디어 교탁용 모니터 장치
CN214510485U (zh) 一种展示柜
CN216556161U (zh) 一种可交互的数字展台
CN212086297U (zh) 终端设备
CN203099263U (zh) 一种便携式电子设备支撑装置
CN202864594U (zh) 一种网线卷线装置
KR101504510B1 (ko) 휴대용 컴퓨터 수납이 가능한 키보드
CN204406737U (zh) 移动式计算机教学装置
CN220268977U (zh) 一种企业形象设计用推演展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