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515B1 -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증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증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515B1
KR101311515B1 KR1020060128602A KR20060128602A KR101311515B1 KR 101311515 B1 KR101311515 B1 KR 101311515B1 KR 1020060128602 A KR1020060128602 A KR 1020060128602A KR 20060128602 A KR20060128602 A KR 20060128602A KR 101311515 B1 KR101311515 B1 KR 101311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usability
network management
management system
compon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022A (ko
Inventor
이희원
황찬규
유재형
조기용
김범수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128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5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0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6Software re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5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model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증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망 관리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컴포넌트를 설계하여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증대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집 모듈에서의 기능 합집합, 애플리케이션 모듈에서의 기능 교집합,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에서의 개념 모델링(Conceptual Modeling)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재사용성을 증진한다.
본 발명은 산규 서비스를 위한 망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경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재사용성, 망 관리 시스템, 개념 모델, 아키텍처

Description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증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Reusability of Software Componentand and its Method for Processing Using the Same}
도 1은 망 관리 시스템에서 플랫폼을 적용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망 관리 시스템에서 플랫폼을 적용한 경우 재사용성 비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의 아키텍처 기반 재사용성 증진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 Core NMS와 VoIP NMS의 수집단 기능을 집합 표시를 이용하여 분류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 Core NMS와 VoIP NMS의 애플리케이션단 기능을 집합 표시를 이용하여 분류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 아키텍처에 따른 컴포넌트 사이즈 조정을 통한 재사용성 증대 기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의 통합 토폴로지 모델로 이큅 앤 스콥(Equip/Scope)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재사용성 증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증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망 관리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증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망 사업자가 신규 서비스를 도입하여 운영하면 해당 서비스에 필요한 망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한다. 신규 서비스가 도입될 때마다 망 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 이하 'NMS'라 칭함)이 구성되는 것이다. 대부분의 망 관리 시스템의 아키텍처는 유사하지만, 개별 서비스에 따라 관리 대상, 관리 범위 및 수집 정보가 상이하기 때문에 서비스가 신규로 도입됨에 따라 신규 망 관리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망 관리 시스템에서 플랫폼을 적용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망 관리 시스템은 망 관리 시스템을 위한 플랫폼이 개발되면서 재사용성이 향상되었다. 망 관리 시스템의 플랫폼 아키텍처는 3계층 구조, 즉 수집 모듈(Network Adaptor)(10), 애플리케이션 모듈(Application Server)(2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User Interface)(30)로 구성된다.
도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시스템은 수집 모듈(Network Adaptor)(10)이 공 통으로 적용되어 있다. 수집 모듈(10)의 주요 기능은 핑(Ping) 장애, 핑 딜레이(Ping Delay), 핑 로스(Ping Loss), 인터페이스 트래픽, 트랩(Trap), CPU/Memory 사용률 등의 관리 장비 정보 수집이다.
플랫폼은 망 관리 시스템의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는 관리 대상 장비로부터의 데이터 수집 모듈(10)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도 2는 망 관리 시스템에서 플랫폼을 적용한 경우 재사용성 비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정 서비스를 구현하는 망 관리 시스템은 수집 모듈(10)을 10%, 애플리케이션 모듈(20)을 5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0)을 90%의 각 모듈에서 업무 로직을 제공한다.
이러한 망 관리 시스템은 공통적인 업무 로직을 수집 모듈(10)을 90%, 애플리케이션 모듈(20)을 5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0)을 10%가 재사용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모듈(20)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0)은 각 서비스에 따라 기능 차이가 커서 공통화할 수 있는 부분을 찾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재사용성 비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망 관리 시스템은 플랫폼을 개발하여 적용했을 때 수집 모듈(10)의 재사용성 비율이 증가하였지만, 애플리케이션 모듈(2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30)의 재사용성이 크게 떨어져 전체적인 재사용성 비율이 20% 정도에 머무르는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망 관리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증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증진시키는 장치는, 상기 망 관리 시스템들의 개별 기능들을 합집합으로 포함하는 컴포넌트를 형성하는 수집 모듈; 및 상기 망 관리 시스템들의 상기 개별 기능들로부터 공통 기능을 추출하여 컴포넌트를 형성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에서 재사용성 증진 방법은, 수집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한 망 관리 시스템에서 재사용성을 증진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특정 장비가 하나의 스콥(Scope)―상기 스콥은 운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장비들의 관리 단위임―에 마스터(Master) 또는 슬레이브(Slave)로 포함될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특정 장비에 대한 등록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듈에서 상기 수신한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장비를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에서 재사용성 증진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상기 망 관리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상기 망 관리 시스템들의 개별 기능들을 합집합으로 포함하는 제1 컴포넌트를 형성하는 기능; 상기 망 관리 시스템들의 상기 개별 기능들로부터 공통 기능을 추출하는 제2 컴포넌트를 형성하는 기능; 및 특정 장비가 하나의 스콥―상기 스콥은 운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장비들의 관리 단위임―에 마스터(Master)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특정 장비의 복사본이 다른 스콥에 슬레이브(Slave)로 포함될 수 있는 개념 모델을 설계한 제3 컴포넌트를 형성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증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 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망 관리 시스템은 아키텍처를 고려하지 않고 플랫폼을 개발했을 때 재사용성 비율이 20% 정도로 한계를 갖는다.
망 관리 시스템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망 관리 시스템 아키텍처에 따라 플랫폼을 개발해야 한다.
망 관리 시스템 아키텍처는 3 계층 구조이고 계층 간에 미들웨어가 자리잡고 각 계층 모듈 간 통신을 담당하고 있다. 맨 하단 계층의 수집 계층은 각 서비스 고유의 업무와의 관련성이 크지 않다. 즉 어떤 서비스에 대해서도 이를 구성하고 있는 관리 장비에서 관리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은 거의 동일하다. 예를 들면, 망 관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핑 장애, 인터페이스 트래픽, 시스로그 트랩(Syslog Trap) 등을 수집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은 수집 모듈에서 처리한다. 그러나 중간 계층의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각 서비스에 따라 많이 달라진다.
기본적으로 각 서비스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가 달라지므로 이를 기반으로 하는 업무 로직은 각 서비스마다 모두 달라지게 된다.
맨 상단 계층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각 서비스의 운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기능부터 디자인까지 완전히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재사용할 수 있는 모듈이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되어 재사용률 비율이 높지 않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의 아키텍처 기반 재사용성 증진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성 증진 장치는 수집 모듈(100), 애플리케이 션 모듈(11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포함한다.
수집 모듈(100)은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각 망 관리 시스템의 개별 기능들을 합집합(Union)으로 묶는다. 또한, 수집 모듈(100)은 특정 프로토콜을 처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컴포넌트와 수집된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여 애플리케이션 모듈(11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수집 모듈(100)은 데이터 전송 컴포넌트를 공통으로 사용하므로 컴포넌트 사이즈를 줄이고 신규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컴포넌트만 신규로 개발하여 모듈에 추가함으로써 재사용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집 모듈(100)에서 사용하는 합집합 개념을 아이피 코어 망 관리 시스템(Internet Protocol Core Network Management System, 이하 'IP Core NMS'라 칭함)(200)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망 관리 시스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하 'VoIP NMS'라 칭함)(2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IP Core NMS(200)와 VoIP NMS(210)의 수집단 기능을 집합 표시를 이용하여 분류한 것이다.
IP Core NMS(200)와 VoIP NMS(210)는 공통적으로 핑(Ping) 장애 관리,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이하 'SNMP'라 칭함) 자원 정보 관리, SNMP Operstatus 상태 관리, 트랩(Trap) 수집, SNMP 에이전트(Agent) 장애 상태 관리, 중앙 처리 장치(CPU) 부하율 관리, 메모리(Memory) 부하율 관리, 인터페이스 트래픽 관리, 데이터베이스(DB) 성능 관리, 애플리케이션(AP) 성능 관리, 게이트웨이(GW) 성능 관리, 시스로그(Syslog) 정보 관리 등이 있다.
한편, IP Core NMS(200)는 공통 라인 인터페이스(Command Line Interface, 이하 'CLI'라 칭함) 정보 수집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VoIP NMS(210)는 핑 딜레이(Ping Delay) 수집, 핑 로스(Ping Loss) 수집, 시스로스(Syslog) 장애, 프로세스(Process) 장애 관리, 프로세스(Process) 성능 관리, 디스크(Disk) 사용량 수집, 콜수 수집 기능 등 가지고 있다. 수집 모듈(100)은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플랫폼을 구성할 때 전술한 기능들을 합한다.
예를 들면, VoIP NMS(210)에 핑 딜레이(Ping Delay)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이 존재하고, IP Core NMS(200)에 CLI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이 존재하면, 플랫폼의 수집 모듈(100)은 2가지 기능을 모두 가진다. 수집 모듈(100)은 2가지 기능을 합치는 경우 컴포넌트 사이즈를 줄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핑 딜레이(Ping Delay)와 CLI의 데이터 수집 방법은 다르지만 데이터를 수집해서 애플리케이션 모듈(110)로 수집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을 해 주어야 한다는 측면은 동일하다. 그러므로 핑 딜레이(Ping Delay) 데이터를 수집하는 컴포넌트와 CLI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컴포넌트를 더 작은 컴포넌트, 즉 수집 모듈(100)이 핑 딜레이(Ping Delay)와 CLI방식의 수집을 처리하는 컴포넌트와 수집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모듈(110)로 전송하는 컴포넌트로 분리해서 공통 부분을 생산한다. 그러면, 추후 새로운 종류의 데이터(즉, 신규 프로토콜)를 처리하는 기능이 필요하면, 신규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컴포넌트만 신규로 개발하면 되므로, 신규 프로토콜을 처리해서 애플리케이션 모듈(110)까지 전달하는 기능을 하나로 하는 컴포넌트를 만드는 것보다 재사용성이 증가하게 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 모듈(100), 애플리케이션 모듈(11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에서 컴포넌트 크기를 일정 부분 작게 하면, 재사용의 효과가 증가한다는 개념을 확인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모듈(110)은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각 망 관리 시스템의 기능들을 교집합(Intersection)으로 묶어야 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110)은 각 망 관리 시스템의 개별 기능 중 공통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재사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모듈(110)에서 사용하는 교집합 개념을 IP Core NMS(200)와 VoIP NMS(21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IP Core NMS(200)와 VoIP NMS(210)의 애플리케이션 모듈(110)의 기능을 집합 표시를 이용하여 분류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 Core NMS(200)와 VoIP NMS(210)는 공통적으로 장애 인지/조치/해제, 장비 핑(Equip Ping) 장애 관리, 권한 관리, 온 디맨드(On-demand) SNMP 시험, 핑 시험, 이력 데이터 조회 기능을 갖는다. 한편, IP Core NMS(200)는 블록 앤 스콥(Block and Scope) 토폴로지, 인터페이스 핑 장애 관리, 성능 데이터와 트래픽 데이터의 정보성화 기능을 갖는다.
VoIP NMS(210)는 이큅 앤 스콥(Equip and Scope) 토폴로지, 콜 트래픽 장애 관리, 콜 트래픽 성능 관리, 단문 메시지 발송 기능, 성능 데이터와 트래픽 데이터의 장애화 기능을 갖는다.
애플리케이션 모듈(110)의 기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부분 과 통신을 통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각 시스템의 고유 기능을 플랫폼의 공통 기능으로 가져와도 다른 시스템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IP Core NMS(200)와 VoIP NMS(210)의 공통 기능을 플랫폼으로 사용해야 컴포넌트의 재사용률이 높아진다. 즉, 애플리케이션 모듈(110)에서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 망 관리 시스템의 기능들을 교집합(Intersection)으로 묶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수집 서버에서 데이터를 전송받는 모듈, 수신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모듈,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모듈 등이 교집합 기능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망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장애 표현을 위해서 공통으로 필요한 토폴로지를 유연하게 하는 통합 토폴로지 모델을 세운 후 이를 컴포넌트화 한다.
다음, 도 7를 참조하여 통합 토폴로지 모델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의 통합 토폴로지 모델로 이큅 앤 스콥(Equip/Scope)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재사용률을 높이는 것은 애플리케이션 모듈(110)보다 어렵다. 왜냐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고객의 요구에 따라 쉽게 변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플랫폼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률은 10%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의 컴포넌트 재사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업무 로직에 무관하게 컴포넌트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지만, 컴포넌 트 사이즈가 너무 작아지는 경우 개발해야 하는 부문이 너무 많아져서 재사용률의 의미를 상살하게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경우 재사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망 관리 시스템의 요구에 맞는 개념 모델(Conceptual Model)을 세워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의 통합 토폴로지 모델을 위해 이큅 앤 스콥(Equip/Scope) 개념을 도입한다.
도 7은 이큅 앤 스콥(Equip/Scope) 개념을 도입한 통합 트리 화면과 통합 트리 구성을 위한 테이블들을 보여준다. 각 망 관리 시스템들은 사용자 요구 사항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된다. 각 토폴로지를 통합할 수 있는 통합 토폴로지를 개념 모델(Conceptual Model)을 이용하여 설계하고, 이를 컴포넌트화하면 재사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큅 앤 스콥(Equip/Scope) 개념은 망 관리 시스템에서 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개념 모델을 제공한다. 도 7은 VoIP NMS(210)에서 조직/서비스/존의 3가지 토폴로지를 가지는 VoIP NMS(210)를 하나의 통합 토폴로지로 구현하는 개념 모델이다.
이러한 개념에서 스콥(Scope)은 운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장비들의 관리 단위이다. 장비들은 하나의 스콥(Scope)에 마스터(Master)로 포함될 수 있지만, 또한 장비의 복사본이 다른 스콥(Scope)에 슬레이브(Slave)로 포함될 수 있다. 망 관리 시스템에서 장애 관리를 할 경우, 한 장비는 여러 토폴로지 레벨에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도 7에서 GW#1이 존 1에서 서비스 2로 복사되면, GW#1은 존 1과 서비스 2 양쪽에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존 1에 있는 GW#1은 마스 터(Master)가 되고 서비스 2에 있는 GW#1은 슬레이브(Slave)가 된다. GW#1의 마스터(Master)인지 슬레이브(Slave) 인지 여부를 애플리케이션 모듈(110)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기록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큅 아이디(Equip ID)(300)가 01이고 스콥 인덱스(310)가 1006인 경우 마스터 여부가 예스(Yes)로 표현되어 있고, 이큅 아이디(Equip ID)(300)가 01이고 스콥 인덱스(310)가 1005인 경우 아니오(No)로 기재되어 슬레이브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에서 장비의 장애 상태가 존1과 서비스 2의 양 토폴로지에서 관리된다. 이러한 개념을 사용해서 토폴로지를 구성해서 모듈화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재사용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수집 모듈(100), 애플리케이션 모듈(11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0)로 구성되어 있는 망 관리 시스템은 재사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아키텍처에 기반해서 컴포넌트를 개발해야 한다. 수집 모듈(100)은 각 망 관리 시스템의 수집 기능을 합집합으로 묶고, 애플리케이션 모듈(110)은 각 망 관리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교집합으로 묶는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망 관리 시스템의 공통 기능을 통합할 수 있는 개념 모델을 설계한 후 이를 컴포넌트화 한다.
본 발명은 수집 모듈(100)을 위한 기능 합집합과 애플리케이션 모듈(110)을 위한 기능 교집합을 IP Core NMS(200)와 VoIP NMS(210)를 이용해서 설명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에서는 개념 모델로써 이큅 앤 스콥(Equip/Scope) 모델을 도입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에서 재사용성 증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에서는 특정 장비가 하나의 스콥에 마스터인지 슬레이브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 모듈(110)로 전송한다(S100).
애플리케이션 모듈(110)은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정보를 등록한다(S10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애플리케이션 모듈(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특정 장비가 하나의 스콥에 마스터로 포함될 수 있고 특정 장비의 복사본이 다른 스콥에 슬레이브로 포함될 수 있는 개념 모델을 설계하여 컴포넌트화 한다.
이러한 개념 모델을 컴포넌트화 하여 토폴로지를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산규 서비스를 위한 망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경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0)

  1. 망 관리 시스템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증진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 관리 시스템들의 개별 기능들을 합집합으로 포함하는 컴포넌트를 형성하는 수집 모듈;
    상기 망 관리 시스템들의 상기 개별 기능들로부터 공통 기능을 추출하여 컴포넌트를 형성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특정 장비가 하나의 스콥―상기 스콥은 운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장비들의 관리 단위임―에 마스터(Master)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특정 장비의 복사본이 다른 스콥에 슬레이브(Slave)로 포함될 수 있는 개념 모델을 설계하여 컴포넌트화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을 포함하는 재사용성 증진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모듈은, 특정 프로토콜을 처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컴포넌트와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컴포넌트로 분리한 후, 공통 기능을 처리하는 컴포넌트를 추출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성 증진 장치.
  4. 망 관리 시스템에서 재사용성을 증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특정 장비가 하나의 스콥(Scope)―상기 스콥은 운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장비들의 관리 단위임―에 마스터(Master) 또는 슬레이브(Slave)로 포함될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특정 장비에 대한 등록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장비를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사용성 증진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비에 대한 등록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장비가 상기 하나의 스콥에 마스터(Master)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특정 장비의 복사본이 다른 스콥에 슬레이브(Slave)로 포함될 수 있는 개념 모델을 설계하여 컴포넌트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성 증진 방법.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망 관리 시스템의 개별 기능들을 합집합으로 포함하는 컴포넌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성 증진 방법.
  7.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망 관리 시스템들의 개별 기능들로부터 공통 기능을 추출하여 컴포넌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성 증진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60128602A 2006-12-15 2006-12-15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증진 장치 및 방법 KR101311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602A KR101311515B1 (ko) 2006-12-15 2006-12-15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증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602A KR101311515B1 (ko) 2006-12-15 2006-12-15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증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022A KR20090000022A (ko) 2009-01-07
KR101311515B1 true KR101311515B1 (ko) 2013-09-25

Family

ID=4048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602A KR101311515B1 (ko) 2006-12-15 2006-12-15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증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5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733A (ko) 2017-05-30 2018-12-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업 의존성 기반 컴포넌트 재사용 추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8586B2 (en) 2013-12-05 2018-01-02 Googl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rules for assigning attribution credit across a plurality of ev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071A (ko) * 1999-12-29 2002-12-05 베이커 휴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생성하기 위한 n-계층 소프트웨어아키텍처 디자인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071A (ko) * 1999-12-29 2002-12-05 베이커 휴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생성하기 위한 n-계층 소프트웨어아키텍처 디자인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733A (ko) 2017-05-30 2018-12-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업 의존성 기반 컴포넌트 재사용 추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022A (ko)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51565B (zh) 一种等级软件定义网络控制器的架构系统及实现方法
CN104243496A (zh) 一种软件定义网跨域安全代理方法和系统
JPH09200269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通って改訂を伝播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WO2001084329A1 (en)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EP2106647A1 (en) Web services and telecom network management unification
CN109412877B (zh) 一种基于utn网络的网络能力开放系统
CN104468254A (zh) 网络流量统计上报处理方法、装置、控制器及交换机
CN110019312A (zh) 读写数据分离调度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4157715B (zh) 一种骨干网络控制器的网络信息管理方法及系统
CN101431698B (zh) 业务路由建立方法及设备
KR101311515B1 (ko)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증진 장치 및 방법
CN113300952B (zh) 一种用于云安全资源池的分布式引流系统及其引流方法
JP5436597B2 (ja) 仮想化ネットワークインフラ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CN102904739A (zh) 一种实现事件转发的方法及通用信息模型cim服务器
JP2012150567A (ja) 資源予約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516628B (zh) 一种实现网络策略更新的方法、装置及系统
JP5461448B2 (ja) 資源予約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075914B (zh) Ngn中具备动态发现功能的racf系统及设备
CN101198077A (zh) 自动交换光网络中的连接控制方法
CN103095481A (zh) 北向接口处理信息的方法、装置及北向接口
US69679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MN in IMT-2000 system
JP5001797B2 (ja) ネットワーク情報設定方法、ネットワーク情報設定システムおよびノード装置
TW202123627A (zh) 保護光纖通道電路供裝方法及伺服器
CN115150406B (zh) 跨数据中心分布式esb配置管理系统
CN104135478A (zh) 基于xml的元能力管理配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