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133B1 -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133B1
KR101311133B1 KR1020120051379A KR20120051379A KR101311133B1 KR 101311133 B1 KR101311133 B1 KR 101311133B1 KR 1020120051379 A KR1020120051379 A KR 1020120051379A KR 20120051379 A KR20120051379 A KR 20120051379A KR 101311133 B1 KR101311133 B1 KR 101311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thickness
foam sheet
adjusting
materia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근
Original Assignee
정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근 filed Critical 정영근
Priority to KR1020120051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원료가 저장되는 원료공급부와 상기 원료공급부를 통해 투입된 원료를 용융시켜 용융된 원료가 이동하는 원료공급관과 상기 원료공급관에 의해 이동된 원료가 발포 압출되는 발포시트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켜 부풀린 상태로 이동시키는 가이드체와 상기 가이드체의 외주연과 이격되어 냉기를 통해 발포시트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에 의해 냉각되어 이동되는 발포시트의 하부측을 절개시키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이드체, 냉각부, 절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체로 구성되어 발포시트를 발포 압출시 두께를 조절하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관의 선단부와 결합되는 외부다이스가 구성되고 외부다이스의 내부에 축형태로 이루어져 선단으로 나사형태인 제1조절나사부가 형성되는 내부다이스가 구성되어 원료를 발포 압출시키는 압출다이스와,상기 압출다이스의 제1조절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발포 압출되는 원료의 두께가 조절되도록 이동되는 두께조절체와, 상기 가이드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두께조절체를 회전시킴과 더불어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두께조절체와 탈부착되는 회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Thickness control device Molding Extrusion Dies Polyolefin foam sheet}
본 발명은 압출다이스로 인해 성형되어 배출되는 발포시트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두께조절장치가 구비된 압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나 폴리스티렌(polystyrene)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발포하는 동시에 시트상으로 성형함에 있어서, 압출다이스는 용융된 원료가 배출되는 통로이며 발포시트의 두께를 결정하는 압출다이스와 압출다이스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조절부재의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되도록 압출다이스의 선단부와 나사결합하여 회전에 의한 간격을 조절하는 두께조절체를 구비하고 상기 두께조절체와 결합하여 두께조절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체을 구비함으로써 압출다이스와 두께조절체의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등의 발포체는 탄성, 유연성, 내마모성, 내화학약품성 및 전기적 특성이 뛰어나고, 기계적 특성은 경질인 폴리스티렌(polystyrene)발포체와 연질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발포체의 중간 수준으로 대부분 반경질이고 독립폐쇄기포(closed-cell) 구조로 이루어져 각종 포장재를 비롯하여 건축자재, 자동차 내장재, 전기 전자부품 자재 및 일용잡화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발포공정은 사용기기 및 처리조건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으나, 비교적 단순하고 연속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연속 압출발포 공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속 압출발포 공정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원료를 투입하여 용융하고 압출시켜 공급관 단부에 설치된 압출다이스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정 두께 또는 형상으로 성형되며, 배출된 발포시트가 가이드를 따라 이동할 때 송풍기 등의 냉각장치를 통해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발포시트를 생산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이러한 연속 발포 압출 공정에서는 규격이 다른 제품생산을 위해 작업자가 직접 압출다이스와 압출다이스 선단부에 설치된 조절부재의 사이 간격을 조절해야 하며, 압출다이스와 조절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경우 제조장치를 정지시키고, 관형태로 배출되는 발포시트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압출다이스와 조절부재의 사이 간격을 조절해야 한다.
그래서 정지시간 동안 제조장치가 냉각되어 압출다이스와 조절부재의 간격조절 후 제조장치를 다시 가동시켰을 때는 연속 공정의 특성상 제조장치가 정상 연속운전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수지가 발포되어야 하고, 그 동안 발포되는 수지와 절개된 수지는 규격에 부적합하므로 폐기해야 했다.
이로 인해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발포시트를 생산해야 하는 경우 압출다이스와 조절부재의 간격조절 후 제조장치의 재가동시 불량 발포체가 발생되어 제품 원료비가 증가하며, 압출다이스와 조절부재의 간격조절시간에 의해 발포시트의 생산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연속발포공정에서 두께를 가지는 발포시트를 생산하기 위해 압출다이스와 결합하여 회전을 통해 간격을 조절하는 두께조절체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를 결합시켜 간격조절을 함으로써, 압출다이스로부터 배출되는 발포시트의 두께조절을 위해 제조장치를 정지시키고 작업자가 직접 압출다이스의 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없어 발포시트의 생산성 향상, 제품 원료의 절감 및 불량 발포체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원료가 저장되는 원료공급부와 상기 원료공급부를 통해 투입된 원료를 용융시켜 용융된 원료가 이동하는 원료공급관과 상기 원료공급관에 의해 이동된 원료가 발포 압출되는 발포시트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켜 부풀린 상태로 이동시키는 가이드체와 상기 가이드체의 외주연과 이격되어 냉기를 통해 발포시트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에 의해 냉각되어 이동되는 발포시트의 하부측을 절개시키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이드체, 냉각부, 절개부를 이동시키는 이동체로 구성되어 발포시트를 발포 압출시 두께를 조절하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관의 선단부와 결합되는 외부다이스가 구성되고 외부다이스의 내부에 축형태로 이루어져 선단으로 나사형태인 제1조절나사부가 형성되는 내부다이스가 구성되어 원료를 발포 압출시키는 압출다이스와,상기 압출다이스의 제1조절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발포 압출되는 원료의 두께가 조절되도록 이동되는 두께조절체와, 상기 가이드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두께조절체를 회전시킴과 더불어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두께조절체와 탈부착되는 회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원료를 발포 압출시 압출다이스와 결합된 두께조절체의 이동에 따라 배출부에 간격의 조절하여 성형되어 나오는 발포시트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두께를 가진 발포시트의 생산이 가능하고, 발포시트의 두께에 따라 압출다이스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장비의 구입비용이 절감되어 제품단가가 낮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장치를 정지시키고 압출다이스와 조절부재의 간격조절할 시간이 필요없어 생산성 향상, 제품 원료의 절감 및 불량 발포시트와 인력 낭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압출다이스, 두께조절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부분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발포시트의 제조공정을 알 수 있는 측단면도,
도 6 및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출다이스, 두께조절체 및 회전체의 작동공정을 알 수 있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부재의 작동공정을 알 수 있는 부분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는 원료공급관(200)의 선단부와 결합되는 외부다이스(11)가 설치되고 외부다이스(11)의 내부에 축형태로 이루어져 선단으로 나사형태인 제1조절나사부(16)가 형성되는 내부다이스(15)가 설치되어 원료를 발포 압출시키는 압출다이스(10)와, 상기 압출다이스(10)의 제1조절나사부(16)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발포 압출되는 원료의 두께가 조절되도록 이동되는 두께조절체(20)와, 상기 가이드체(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두께조절체(20)를 회전시킴과 더불어 이동체(600)의 이동에 따라 두께조절체(20)와 탈부착되는 회전체(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출다이스(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원료공급관(200)의 선단부에 외부다이스(11)의 제1몸체(11a)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게 설치한다.
또한 외부다이스(11)의 제1몸체(11a) 내부에는 원료공급관(200)으로부터 원료가 공급되도록 원료공급구멍(12)을 형성한다. 이때 제1몸체(11a) 내부에 형성되는 원료공급구멍(12)은 원료가 투입되는 방향(이하, “전방”이라함)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투입되는 원료가 경사부를 지나면서 원형형태로 압착되어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1a)의 선단부와 결합되도록 지지부재(14)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부재(14)는 일측단부로부터 내부방향으로 수평하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공(14a)을 형성하여 이동하는 원료가 관통공(14a)을 통과시 한층 더 원료의 혼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4)의 중심부에 후방부는 내측이 좁고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뿔형태로 형성하고, 전방부는 후방부에 형성되는 원뿔형태와 반대방향인 원뿔형태로 형성하되, 그 선단부로부터 봉형태인 축이 전방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되는 내부다이스(15)를 설치한다.
상기 내부다이스(15)의 선단부는 나사형태인 제1조절나사부(16)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내부다이스(15)의 전방부가 수용되도록 지지부재(14)의 선단부에 외부다이스(11)인 제2몸체(11b)를 설치한다.
상기 제2몸체(11b) 내부에 지지부재(14)의 관통공(14a)을 통과한 원료가 이동되도록 원료공급구멍(12)을 형성하며, 제2몸체(11b) 선단부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결합홈에 노즐관(13)을 설치하고, 노즐관(13)의 선단부를 내부가 외측으로 만곡지게 형성하여 원료공급구멍(12)에 의해 이동하는 원료가 발포 압출시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압출다이스(10)에 의해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는 발포시트(2)의 두께(T)를 조절하기 위해 노즐관(13)의 선단부와 간격이 조절되도록 내부다이스(15)의 전방부에 봉형태인 축에 끼워져 축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조절부재(25)를 구비한다.
상기 조절부재(25)의 후단부를 노즐관(13)의 선단부에 형성된 만곡진 형태와 대응되도록 만곡지게 배출부(26)를 형성하여 원료가 발포 압출시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부재(25)를 축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압출다이스(10)의 제1조절나사부(16)와 대응되게 제2조절나사부(22)가 형성되는 조절너트(21)를 조절부재(25)의 선단부와 조절너트(21)의 후단부가 밀착되어 회전되도록 압출다이스(10)의 제1조절나사부(16)와 조절너트(21)의 제2조절나사부(22)를 결합시킨다.
상기 조절너트(21)의 제2조절나사부(22)와 압출다이스(10)의 제1조절나사부(16)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나사의 특성상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방향이 달라짐으로 조절너트(21)의 후단부에 밀착된 조절부재(25)가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너트(21)의 내부에 수용되게 스러스트 볼베어링(24)을 구비하여 조절부재(25)의 선단부와 조절너트(21)의 후단부가 밀착되어 회전시 마찰력을 줄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너트(21)를 회전시키도록 회전체(30)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조절너트(21)가 회전체(30)에 의해 회전시 걸림되어 회전되도록 조절너트(21)의 선단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부 연장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홈(23)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은 두께조절체(20)를 구성하여 압출다이스(10)에서 발포 압출하는 발포시트(2)의 두께(T)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두께조절체(20)를 작업시 회전시킴과 더불어 두께조절체(20)와 탈부착되도록 이동하는 회전체(30)를 구성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체(30)는 관형태로 발포 압출되는 발포시트(2)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켜 부풀린 상태로 이동시키는 가이드체(30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수용관(31)을 설치하고, 수용관(31)의 내부와 선단부에 중심부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각각의 지지판(32a,32b)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32a,32b)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샤프트(33)를 설치하며, 샤프트(33)의 일측단부에 결합하여 두께조절체(20)를 회전시 걸림되어 회전시키기 위해 조절너트(21)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홈(23)가 대응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핀(36)이 일측단부에 구비되는 회전판(35)을 설치하고, 회전판(35)을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33)의 타측단부와 연결되어 구동하는 모터(34)를 지지판(32b)의 일측단부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체(30)를 두께조절체(20)에 탈부착되도록 가이드체(300)의 하부에 레일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대차를 설치하고, 이동대차는 가이드체(3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용관(31)의 하부측과 결합되어 지지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동대차가 레일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가이드체(300)의 내부에 수용된 회전체(30)가 두께조절체(20)에 탈부착하게 된다.
한편 도 8의 (a)에서와 같이 가이드체(300)에 의해 관형태로 발포 압출되는 발포시트(2)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부풀린 상태로 이동되어 가이드체(300)의 하부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절개부(500)에 의해 관형태인 발포시트(2)의 하부측이 절개되어 펼쳐진 사각형태로 발포시트(2)가 전방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발포시트(2)가 회전체(30)에 설치되는 모터(34)의 일측에 가이드부재(37)를 설치한다
도 8의 (b)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37)는 절개부(500)에 의해 절개되어 이동되는 발포시트(2)를 펼쳐지게 이동되도록 힌지결합되는 가이드대(37a)를 수평되게 조절하여 발포시트(2) 하부에서 지지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의 동작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4에서와 같이 발포시트(2)를 생산하기 위해 먼저 이동대차를 이동시켜 가이드체(300)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체(30)와 압출다이스(10)의 선단부에 설치된 두께조절체(2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원료가 원료공급부(100)를 통해 투입되어 용융되면서 원료공급관(200)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류(210)에 의해 압출다이스(10)로 원료가 이동한다.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압출다이스(10)로 이동한 원료는 외부다이스(11)의 원료공급구멍(12)에 의해 원료는 원형형태로 압착하며, 원형형태로 압착한 원료는 이동하면서 외부다이스(11)의 내부에 수용된 원뿔형태인 내부다이스(15)에 의해 관형태로 원료가 변형하여 이동하고, 관형태로 원료는 노즐관(13)으로 이동되어 발포 압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즐관(13)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동안 발포시트(2)의 두께(T)가 조절되도록 압출다이스(10)의 전방부에 결합된 두께조절체(20)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 두께조절체(20)를 조작하기 위해 두께조절체(20)의 조절너트(21)와 결합된 회전체(30)의 회전판(35)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판(35)이 회전시 조절너트(21)의 연결홈(23)과 회전판의 연결핀(36)이 대응되게 결합함으로써 걸림되어 회전하며, 압출다이스(10)의 제1조절나사부(16)와 조절너트(21)의 제2조절나사부(22)를 나사결합하여 나사의 특성상 회전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조절너트(21)와 밀착된 조절부재(25)가 이동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노즐관(13)의 선단부와 조절부재(25)의 후단부에 형성된 배출부(26)의 간격이 조절되어 노즐관(13)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발포시트(2)의 두께(T)가 조절된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체(30)를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압출다이스(10)의 전방부에 나사결합한 조절너트(21)도 왼쪽으로 회전하여 나사의 특성상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조절너트(21)와 밀착된 조절부재(25)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노즐관(13)의 선단부와 조절부재(25)의 배출부(26)의 간격이 좁아져 노즐관(13)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발포시트(2)의 두께(T)가 얇게 형성되어 진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상기 회전체(30)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체(30)와 결합된 조절너트(21)도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나사의 특성상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조절너트(21)와 밀착된 조절부재(25)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노즐관(13)의 선단부와 조절부재(25)의 배출부(26)의 간격이 넓어져 노즐관(13)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발포시트(2)의 두께(T)가 두껍게 형성되어 진다.
상기 발포시트(2)의 두께(T)가 0.5mm이하로 배출되면 발포시트(2)의 두께(T)가 너무 얇아지므로 이동시 파손되기 쉬우며, 또한 상기 발포시트(2)의 두께(T)가 2mm이상으로 배출되면 내부까지 냉각시키기 어려워 이동시 변형되어 균일한 발포시트(2)를 제조할 수 없다.
그로 인해 상기 두께조절체(20)에 의해 두께(T)가 조절되는 발포시트(2)의 두께(T)는 0.5mm ~ 2mm로 두께(T)가 조절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두께조절체(20)와 회전체(30)에 의해 두께(T)가 조절되어 압출다이스(10)로부터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관형태인 발포시트(2)는 가이드체(30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체(300)로 이동되는 관형태인 발포시트(2)의 내부에 가이드체(300)의 단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주입시켜 관형태인 발포시트(2)가 부풀린 상태로 가이드체(30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체(300)로 이동되는 발포시트(2)는 가이드체(300)의 외주연과 이격되게 설치된 냉기를 배출하는 냉각부(400)에 의해 발포시트(2)가 냉각되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냉각부(400)를 통과한 발포시트(2)는 가이드체(300)의 하부와 이격되게 설치된 절개부(500)에 의해 하부측이 절개되어 이동하며, 하부측이 절개된 발포시트(2)는 회전체(30)에 설치되는 모터(34)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부재(37)에 의해 펼쳐진 사각형태로 발포시트(2)가 전방방향으로 이동하여 권취롤러(700)에 권취된다.
상기와 같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원료를 발포 압출시 압출다이스(10)와 결합된 두께조절체(20)의 이동에 따라 배출부(26)에 간격의 조절하여 성형되어 나오는 발포시트(2)의 두께(T)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두께(T)를 가진 발포시트(2)의 생산이 가능하고, 발포시트(2)의 두께(T)에 따라 압출다이스(10)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장비의 구입비용이 절감되어 제품단가가 낮아지게 된다.
또한 제조장치를 정지시키고 압출다이스(10)와 조절부재(25)의 간격조절할 시간이 필요없어 생산성 향상, 제품 원료의 절감 및 불량 발포시트와 인력 낭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2 : 발포시트 10 : 압출다이스
11 : 외부다이스 11a : 제1몸체
11b : 제2몸체 12 : 원료공급구멍
13 : 노즐관 14 : 지지부재
15 : 내부다이스 16 : 제1조절나사부
20 : 두께조절체 21 : 조절너트
22 : 제2조절나사부 23 : 연결홈
24 : 스러스트 볼베어링 25 : 조절부재
26 : 배출부 30 : 회전체
31 : 수용관 32a,32b : 지지판
33 : 샤프트 34 : 모터
35 : 회전판 36 : 연결핀
37 : 가이드부재 100 : 원료공급부
200 : 원료공급관 300 : 가이드체
400 : 냉각부 500 : 절개부
600 : 이동체

Claims (5)

  1.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원료가 저장되는 원료공급부(100); 상기 원료공급부(100)를 통해 투입된 원료를 용융시켜 용융된 원료가 이동하는 원료공급관(200); 상기 원료공급관(200)에 의해 이동된 원료가 발포 압출되는 발포시트(2)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켜 부풀린 상태로 이동시키는 가이드체(300); 상기 가이드체(300)의 외주연과 이격되어 냉기를 통해 발포시트(2)를 냉각시키는 냉각부(400); 상기 냉각부(400)에 의해 냉각되어 이동되는 발포시트(2)의 하부측을 절개시키는 절개부(500); 상기 절개부(50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이드체(300), 냉각부(400), 절개부(500)를 이동시키는 이동체(600)로 구성되어 발포시트(2)를 발포 압출시 두께를 조절하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관(200)의 선단부와 결합되는 외부다이스(11)가 구성되고, 외부다이스(11)의 내부에 축형태로 이루어져 선단으로 나사형태인 제1조절나사부(16)가 형성되는 내부다이스(15)가 구성되어 원료를 발포 압출시키는 압출다이스(10);
    상기 압출다이스(10)의 제1조절나사부(16)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발포 압출되는 원료의 두께가 조절되도록 이동되는 두께조절체(20);
    상기 가이드체(300)의 내부에 수용되어 두께조절체(20)를 회전시킴과 더불어 이동체(600)의 이동에 따라 두께조절체(20)와 탈부착되는 회전체(3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다이스(10)의 외부다이스(11)는 제1몸체(11a)와 제2몸체(11b)로 각각 나누어져 결합되게 설치되어 내부에 원료가 공급되도록 원료공급구멍(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부다이스(11)의 제2몸체(11b) 선단부에 결합되어 원료가 발포 압출시 외부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선단부의 내부가 외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노즐관(13)이 설치되며,
    상기 외부다이스(11)의 제1몸체(11a)와 제2몸체(11b)의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4)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14)의 중심부에 축형태로 결합되어 원형형태로 이동되는 원료를 관형태로 바꾸어주기 위해 원뿔형태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내부다이스(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조절체(20)는, 압출다이스(10)의 제1조절나사부(16)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제1조절나사부(16)와 대응되게 제2조절나사부(22)가 중심부에 형성되는 조절너트(21)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너트(21)가 회전체(30)에 의해 회전시 걸림되도록 조절너트(21)의 선단부로부터 내부방향으로 일부연장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홈(23)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너트(21)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시 마찰력을 줄여주는 스러스트 볼베어링(24)이 구비되고,
    상기 스러스트 볼베어링(24)과 조절너트(21)의 후단부에 밀착되어 조절너트(21)에 의해 이동되어 발포시트(2)의 두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25)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재(25)의 후단부에 만곡지게 형성되는 노즐관(13)의 선단부와 대응되게 만곡지게 형성되는 배출부(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0)는, 가이드체(30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수용관(31)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관(31)의 내부와 선단부는 중심부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각각의 지지판(32a,32b)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32a,32b)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축형태로 이루어져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샤프트(33) 및 상기 샤프트(33)에 동력을 인가하는 모터(34)가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33)의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두께조절체(20)를 회전시키기 위해 두께조절체(20)에 걸림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핀(36)이 구비되는 회전판(35)이 설치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0)에 설치되는 모터(34)의 일측에는 절개부(500)에 의해 절개되어 이동되는 발포시트(2)의 하부측이 지지되도록 가이드대(37a)의 폭이 조절되게 힌지결합되는 가이드부재(37)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
KR1020120051379A 2012-05-15 2012-05-15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 KR101311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379A KR101311133B1 (ko) 2012-05-15 2012-05-15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379A KR101311133B1 (ko) 2012-05-15 2012-05-15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133B1 true KR101311133B1 (ko) 2013-09-25

Family

ID=4945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379A KR101311133B1 (ko) 2012-05-15 2012-05-15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1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122U (ja) * 1991-07-24 1993-02-1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パリソン肉厚調整装置
JPH05185428A (ja) * 1992-01-14 1993-07-27 Japan Steel Works Ltd:The パリソン肉厚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178782Y1 (ko) * 1999-11-10 2000-04-15 주식회사세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고발포용 원형압출다이
KR101005872B1 (ko) * 2010-09-17 2011-01-06 주식회사 승진기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122U (ja) * 1991-07-24 1993-02-1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パリソン肉厚調整装置
JPH05185428A (ja) * 1992-01-14 1993-07-27 Japan Steel Works Ltd:The パリソン肉厚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178782Y1 (ko) * 1999-11-10 2000-04-15 주식회사세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고발포용 원형압출다이
KR101005872B1 (ko) * 2010-09-17 2011-01-06 주식회사 승진기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4603B2 (en) Dynamically controlled screw-driven extrusion
US20210016481A1 (en) Plasticizing device, injection device, mold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lded parts
CN203637196U (zh) 一种生产聚烯烃发泡塑料产品的设备
ES2929589T3 (es) Máquina de moldeo y método para moldear una pieza
CN101066620B (zh) 挤出法制备发泡烯烃聚合物制品的装置及方法
KR101311133B1 (ko) 폴리올레핀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다이스의 두께조절장치
US20080048356A1 (en) Molding die
KR20100024814A (ko) 액상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기재용 폴리프로필렌발포시트 제조방법
CN209937617U (zh) 一种eps片材生产系统
CN110936585A (zh) 一种高效的智能卧式吹塑机合模系统
WO2014162827A1 (ja) チューブ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0984493B1 (ko) 플라스틱 펠릿 형성 장치
CN203344298U (zh) 一种温控防震挤出机
KR101653132B1 (ko) 3중 구조의 비납계 피브이씨 관 제작시스템의 혼합분말이송장치
KR101760776B1 (ko) 예열구조를 갖는 고무압출장치
JP2012081675A (ja) 発泡剤を含むプラスチックの押出成形方法及び押出成形機
KR101801522B1 (ko) 피브이씨 관 성형용 혼합분말 압출 스크류
KR20080101589A (ko) 내주면에 쐐기형 돌기가 형성된 파이프 압출성형장치
KR200386820Y1 (ko) 합성수지 발포 시트 압출기의 헤드
KR101401021B1 (ko) 냉각수 분사링 및 이를 이용한 압출 성형물 냉각장치
US200802243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lastic Film
CN116198105A (zh) 一种抗菌生物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
KR102067871B1 (ko) 텐덤 압출기
RU48868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одульная линия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пленки, гранул и погонажных изделий из термопластов
JP2017144607A (ja) ゴム押出機へのゴム材料供給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