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266B1 - Grain tea maker - Google Patents

Grain tea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266B1
KR101310266B1 KR1020130054189A KR20130054189A KR101310266B1 KR 101310266 B1 KR101310266 B1 KR 101310266B1 KR 1020130054189 A KR1020130054189 A KR 1020130054189A KR 20130054189 A KR20130054189 A KR 20130054189A KR 101310266 B1 KR101310266 B1 KR 101310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container
grain
li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가인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가인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가인콥
Priority to KR102013005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2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266B1/en
Priority to CN201310506967.2A priority patent/CN1041465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A47G19/145Drip catchers for coffee or tea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76Packages provided with an electrical circuit, e.g. resistances, for heating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6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Abstract

PURPOSE: A grain tea maker with a basket is provided to simplify the boiling process of grain tea and to improve the flavor of the grain tea. CONSTITUTION: A grain tea maker with a basket comprises a container unit including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water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a basket (330) for accommodating grains, a basket lifting unit, and a lid unit (300) including a lid for covering the container. The basket lifting unit includes a motor installed on the lid, a pillar unit (320) extended downwards from the lid, and a basket fixing unit (325) which moves along the pillar as a motor operates. The basket includes a fixing member.

Description

곡물차 제조기 {Grain tea maker}Grain Tea Maker {Grain tea maker}

본 발명은 곡물차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리, 옥수수 등의 볶은 곡물이 들어있는 바스켓을 자동으로 물 안에 넣고 차를 끓인 후에 다시 바스켓을 물 밖으로 꺼내어주는 곡물차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tea m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in tea maker which automatically puts a basket containing roasted grains such as barley and corn into water and takes out the basket again after boiling tea.

보리차, 옥수수차 등의 곡물차를 끓이려면 보리나 옥수수 등을 볶은 곡물을 끓는 물에 넣어서 끓이고, 끓인 다음에는 남은 곡물 찌꺼기를 꺼내어 버려야 한다. 그런데, 곡물을 끓는 물에 집어넣거나 빼서 처리하는 작업은 귀찮을 뿐만 아니라 곡물차를 끓인 후에 곡물을 꺼내더라도 곡물에서 나온 찌꺼기가 잔류하게 되어 불편하다.To brew grain teas, such as barley tea and corn tea, boil the barley or corn with roasted grains in boiling water, and after boiling, take out the remaining grain residues. However, the process of putting grains in boiling water or removing them is not only annoying, but even after removing the grains after boiling the tea, the residues from the grains remain uncomfortable.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하여 물에 넣고 끓이기만 하면 되는 일회용 티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회용 티백을 사용한 곡물차는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유통과정에서 맛과 향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In order to eliminate such inconveniences, disposable tea bags that only need to be boiled in water are widely used. However, grain tea using disposable tea bags may be expensive and deteriorate taste and aroma during distribution.

또한, 일회용 티백 대신에 볶은 곡물을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바스켓에 넣고 곡물차를 끓이기도 하지만, 물의 온도에 따라 바스켓을 넣거나 빼내는 시점을 조절해야 하는 곡물의 경우에는 이러한 타이밍을 맞추기가 어렵다. 또한, 곡물차가 다 끓은 이후에도 바스켓을 꺼내지 않고 그대로 놓아두면 맛이 없어지거나 곡물로부터의 찌꺼기가 바스켓을 통해 나오게 되기도 한다.In addition, roasted grains are put in a basket having a large number of holes instead of disposable tea bags, but the grain tea is boiled, bu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timing in the case of grains that need to control the timing of adding or removing baskets according to the water temperature. In addition, even after the tea has been boiled, if the basket is left without it, the taste may be lost or residue from the grain may come out of the basket.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곡물차를 끓이는 과정이 간편하면서도 맛과 향이 우수하고 곡물차 재료비가 저렴한 곡물차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poin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tea maker which has a simple process of brewing grain tea and has excellent taste and aroma and a low grain tea material cos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차 제조기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아래에 위치하며 용기에 담긴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용기부; 및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바스켓과, 바스켓을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바스켓 승강수단과, 상기 용기를 덮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는 뚜껑부를 구비한다. Grain tea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unit for receiving water, and a container unit including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located below the container; And a lid including a basket for accommodating grains, basket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basket up and down, and a lid for covering the container.

바스켓 승강수단은 뚜껑에 설치된 모터와, 뚜껑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부와,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기둥부를 따라 승강하는 바스켓 고정부을 구비한다. 바스켓에는 바스켓 고정부에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된다. The basket lifting means includes a motor installed on the lid, a pillar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id, and a basket fixing portion lifting up and down along the pillar portion by rotation of the motor. The basket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for fixing to the basket fixing portion.

기둥부의 안쪽에는 기둥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가 위치한다. 바스켓 고정부는, 스크류에 삽입되어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나사 결합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너트와, 너트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자석을 포함한다. 고정부재는 기둥부의 표면을 사이에 두고 제1 자석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Inside the pillar portion is installed a screw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portion to rotate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The basket fixing part includes a nut inserted into the screw and raised or lowered by screwing as the screw rotates, and a first magnet coupled to the nut. The fixing member may be implemented as a second magnet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magnet by a magnetic force with the surface of the pillar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스켓은 기둥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뚜껑의 하부에는 상기 바스켓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바스켓의 재질은 철제이며, 기둥부의 재질은 반자성체이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ket is rotatable around the pillar. To this end, the lower portion of the lid is provided with a stopper for limi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basket. Preferably, the basket is made of iron, and the pillar portion is made of a diamagnetic material.

용기의 일 측면에는 뚜껑부로 전력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전달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container may be provided with a signal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and control signals to the lid portion.

곡물차 제조기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수단과, 조작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제어수단은 조작수단을 통해 입력된 곡물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에 전력을 인가하고 모터에 모터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The grain tea maker includes operation means for receiving a user's operation command and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command input through the operation means. The control means applies power to the heating means and the motor control signal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of grain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means.

곡물차 제조기는 용기부의 아래에 탈착 가능하게 위치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조작수단과 제어수단은 받침부에 위치한다. 받침부는 용기부에 전력을 제공하고 용기부와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신호연결수단을 더 포함한다. Grain tea maker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detachably located below the container portion. In this case, the operation means and the control means are located in the support portion. The supporting part further includes signal connection means for providing power to the container part and exchanging a signal with the container part.

용기부에는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수단은 조작수단을 통해 곡물의 종류와 물의 양을 선택되고 시작 버튼이 눌려지면, 가열수단에 전력을 인가하고,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온이 소정의 온도가 되면 모터의 회전방향이 정방향이 되도록 모터를 구동하여 바스켓을 하강시켜 물 안으로 넣고, 그후 곡물의 종류와 물의 양에 따라 정해지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모터의 회전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모터를 구동하여 바스켓을 상승시켜 물 밖으로 꺼낸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수단은 곡물차를 끓이는 동안에 일정한 수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온이 제1의 온도 이상이 되면 가열수단에의 전력 인가를 중단하고, 다시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온이 상기 제1의 온도보다 낮은 제2의 온도 이하가 되면 가열수단에의 전력 인가를 재개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ainer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temperature. The control means selects the type of grain and the amount of water through the operation means, and when the start button is pressed, the power is applied to the heating means, and when the wate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is Drive the motor to lower the basket into the water, and th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grain and the amount of water, drive the motor so tha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is reversed, and lift the basket out of the water.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means stops applying power to the heating means when the water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becomes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temperature during boiling the grain tea. When the water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becomes less than the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is made to resume the application of power to the heating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곡물을 넣은 바스켓을 자동으로 물에 넣어다가 일정 시간 후에 또는 일정 온도가 되면 바스켓을 자동으로 물 밖으로 꺼내므로, 곡물차를 끓이는 과정이 간편하면서도 곡물에 맞는 온도로 곡물차를 끓이는 시간만큼 끓일 수 있어서 맛과 향이 우수한 곡물차를 끓일 수 있다. 또한, 뚜껑을 들어올리면 물에서 꺼낸 바스켓도 뚜껑과 함께 딸려오므로 끓이고 남은 곡물을 수거하기가 편리하다. 또한, 일회용 티백을 사용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곡물차를 끓일 수 있으므로 곡물차 끓이는 비용이 저감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sket is automatically put in the water into the water after a certain time or at a certain temperature, the basket is automatically taken out of the water, so that the process of boiling grain tea is easy to brew grain tea at a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grain. It can be boiled for an hour, allowing you to boil grain tea with excellent taste and aroma. Also, when the lid is lifted, the basket taken out of the water comes with the lid, so it is convenient to collect the boiled and leftover grain. In addition, since the grain tea can be easily boiled without using disposable tea bags, the cost of boiling grain tea is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차 제조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차 제조기의 뚜껑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곡물을 담기 위한 바스켓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차 제조기의 뚜껑부의 일부 절개 측면도로서, 바스켓이 초기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차 제조기의 뚜껑부의 일부 절개 측면도로서, 바스켓이 하단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6은 뚜껑부를 밑에서 바라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뚜껑부를 밑에서 바라본 일부 절개 사시도로서, 바스켓을 180도 회동시킨 모습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곡물차 제조기의 전기적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grain tea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lid portion of the grain tea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basket for containing grai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cut portion of the lid portion of the grain tea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asket in the initial posi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cut portion of the lid portion of the grain tea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that the basket in the lower position.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lid portion from below.
7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lid from below, showing the basket rotated 180 degrees.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lectrical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grain tea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차 제조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grain tea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차 제조기는 용기부(200)와 뚜껑부(300)를 구비한다. 용기부(200)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210)와, 용기(210)의 아래에 위치하며 용기(210)에 담긴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223)과, 용기(210)의 측면에 부착된 손잡이(230)를 포함한다. 가열수단(223)은 용기(210) 아래의 몸체(220) 안에 수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곡물차 제조기는, 용기부(200)의 아래에 탈착 가능하게 위치하는 받침부(1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Grain tea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portion 200 and the lid portion 300. The container part 200 includes a container 210 for receiving water, a heating means 223 for he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10 under the container 210, and a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210. It includes a handle 230 attached to. The heating means 223 is received in the body 220 under the vessel 210. In addition, the grain tea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100 that is detachably positioned below the container portion 200.

받침부(100)에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수단(11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받침부(100)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용기부(200)에 전력을 제공하고 신호를 주고받기하기 위한 신호연결수단(150)과, 조작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신호연결수단(150)을 통해 용기부(2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120)과, 상용전원으로부터 곡물차 제조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부(140)와, 제어수단(120)의 제어에 따라 전원부(140)로부터의 모터용 전원과 가열수단용 전원을 모터(313) 및 가열수단(223)에 끊거나 이어주기 위한 스위치(130)가 마련되어 있다. The receiving unit 100 is provided with operation means 110 for receiving a user's operation command.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100 is provided through the signal connection means 150 and the operation means 110 for providing power to the container portion 200 and send and receive a signal as shown in FIGS. 8 and 9. Control means 120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ainer 200 through the signal connection means 150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operation command, and a power supply 140 for generating the power required by the grain tea maker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a switch 130 for disconnecting or connecting the motor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40 and the power for the heating means to the motor 313 and the heating means 22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120. .

조작수단(110)으로는 버튼(111), LCD(113), LED(115) 등의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 등과 같이 표시수단과 입력수단이 일체화된 조작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As the operation means 110, various means such as a button 111, an LCD 113, and an LED 115 may be us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operation means in which display means and input means are integrated, such as a touch panel.

도 8에서는 신호연결수단(150)으로서 3개의 원형 단자(151a, 151b, 151c)가 도시되어 있다. 단자의 수는 필요한 신호선의 수에 따라 적절하게 가감할 수 있다. 용기부(200)의 바닥에는 원형 단자(151a, 151b, 151c)에 대응되는 단자(225)가 마련되지만,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원주 상의 일부에만 단자를 마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용기부(200)의 바닥에 원형 단자를 마련하고 바닥부에는 원주 상의 일부에만 단자를 마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무선전력전송 방법과 RFID 등의 근거리 무선신호전송 등의 비접촉식으로 전력과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 8, three circular terminals 151a, 151b, and 151c are shown as signal connection means 150. The number of terminals can be appropriately added or subtracted according to the required number of signal lines. Although the terminal 225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terminal 151a, 151b, 151c is provided i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part 200, it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circular, It can also be comprised so that a terminal may be provided only in a part on the circumference.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ircular terminal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portion 200 and to provide the terminal only on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the power and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in a non-contact manner such as short-rang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such as RFID.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용기부(200)와 바닥부(100)를 일체화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ainer 200 and the bottom 100 may be integrated together.

용기(210)의 일 측면에는 뚜껑부(300)로 전력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전달수단이 구비된다. 신호전달수단은 바닥부(100)와의 단자연결부(225)에서 용기(210)의 측면을 따라 뚜껑부(300)와의 단자연결부(227)까지 연결되는 신호선들을 의미한다. 신호선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230) 안에 신호선을 매립하거나, 용기(210)의 측면에 신호선을 덮기 위한 세로 띠 형태의 커버를 몸체(220)에서 뚜껑(310)이 닿는 부위까지 마련할 수 있다. 용기(210)의 뚜껑(310)이 닿는 부위와, 뚜껑부(300)의 용기(210)에 닿는 부위에는 각각 단자연결부(227, 315)가 마련되어, 이 단자연결부(227, 315)를 통해 모터 제어를 위한 전력 및 신호가 연결된다. 용기부(210)에는 또한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container 210 is provided with a signal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and control signals to the lid portion (300). The signal transmission means means signal lines connected from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225 with the bottom portion 100 to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227 with the lid portion 300 along the side of the container 210. In order to prevent the signal lin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 signal line is embedded in the handle 230, or a vertical band-shaped cover is provided to cover the signal line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210 from the body 220 to the portion where the cap 310 touches. can do. Terminal connecting portions 227 and 315 are provided at portions where the lid 310 of the vessel 210 touches and portions which touch the vessel 210 of the lid portion 300, respectively. Power and signals for control are connected. The container portion 210 may also be further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temperature.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모터(313)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와 가열수단(223)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모터(313)에 인가되는 전력과 가열수단(223)에 인가되는 전력을 스위치(130)를 사용하여 온/오프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전원은 항상 연결시켜놓고 별도의 제어신호를 사용하여 모터 및 가열수단을 구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9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신호선과 2개의 전원선이 받침부와 용기부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신호선의 수와 전원선의 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가감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9, the power applied to the motor 313 and the power applied to the heating means 223 are not used separately, without using a signal for driving the motor 313 and a signal for driving the heating means 223. It is configured to turn on / off using the switch 130,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power to drive the motor and heating means using a separate control signal always connected.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9, three signal lines and two power lines are shown to be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container portion, but the number of signal lines and the number of power lines can be appropriately added or subtracted as necessary.

제어수단(120)은 사용자가 조작수단(110)을 사용하여 곡물의 종류와 물의 양을 선택하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스위치(130)를 제어하여 가열수단(223)에 전력을 인가하고, 온도센서(221)에 의해 감지된 수온이 소정의 온도가 되면 스위치(130)를 제어하여 모터(313)가 정회전하도록 하는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바스켓을 하강시켜 물 안으로 넣고, 그후 곡물의 종류와 물의 양에 따라 정해지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스위치(130)를 제어하여 모터(313)가 역회전하도록 하는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모터(313)의 회전방향을 역으로 하여 바스켓을 상승시켜 물 밖으로 꺼낸다. 또한, 곡물에 따라서는 곡물차를 끓이는 동안에 일정한 수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센서(221)에 의해 감지된 수온이 소정의 제1 온도 이상이 되면 가열수단(223)에의 전력 인가를 중단하고, 다시 온도센서(221)에 의해 감지된 수온이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이하가 되면 가열수단(223)에의 전력 인가를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trol means 120, when the user selects the type of grain and the amount of water using the operation means 110 and presses the start button, controls the switch 130 to apply power to the heating means 223, the temperature sensor When the water temperature sensed by 221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voltage is applied to control the switch 130 so that the motor 313 rotates forward, and the basket is lowered and put into the water, and then the type of grain and the amount of wat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switch 130 is controlled again so that a voltage is applied to the motor 313 to rotate in reverse, thereby raising the basket by revers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313 and taking it out of the water. .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grain, when the wate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21 becomes a predetermined first temperature or more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temperature during boiling of the grain tea, the application of power to the heating means 223 is stopped, and the temperature again. When the water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or 221 is lower than the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o resume the application of power to the heating means 223.

뚜껑부(300)는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바스켓과, 바스켓을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바스켓 승강수단을 구비하여, 용기에 물을 넣고 바스켓을 곡물을 넣은 다음에 뚜껑을 닫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바스켓 승강수단에 의해 바스켓이 내려가서 용기 내의 물에 잠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lid unit 300 includes a basket for accommodating grain and a basket lifting means for elevating the basket up and down, putting water into the container and putting the basket into the grain, then closing the lid and pressing the start button. The basket is lowered so that the basket is submerged in water in the container.

바스켓 승강수단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the basket lifting mea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차 제조기의 뚜껑부의 측면도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뚜껑부(300)는 용기(210)를 덮기 위한 뚜껑(310)과,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바스켓(330)과, 바스켓(330)을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하여 뚜껑(310) 내에 설치되는 모터 및 뚜껑 아래에 설치되는 기둥부(320)를 포함한다.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lid portion of the grain tea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lid 300 includes a lid 310 for covering the container 210, a basket 330 for accommodating grain, and a lid 310 for elevating the basket 330 up and down. It includes a motor installed inside and a pillar portion 320 installed under the lid.

바스켓(3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에 곡물을 담을 수 있도록 속이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원통 형상의 측면(331) 및/또는 바닥에는 물이 드나들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바스켓(330)의 측면(331)의 기둥부(320)를 바라보는 면에는 안에 자석을 설치할 수 있도록 자석 홀더(333)가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asket 330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to accommodate grain therein. In addition,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331 and / or the bottom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so that water can enter. The magnet holder 333 is attached to the surface facing the pillar 320 of the side surface 331 of the basket 330 to install a magnet therein.

바스켓의 승강 동작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차 제조기의 뚜껑부의 일부 절개 측면도로서, 바스켓이 초기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도 5는 바스켓이 하단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The lifting operation of the baske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cut portion of the lid portion of the grain tea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appearance of the basket in the initial position, Figure 5 shows the appearance of the basket in the lower position.

본 실시예에서 바스켓 승강수단은 뚜껑(310)에 설치된 모터(미도시)와, 뚜껑(310)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부(320)와, 모터(313, 도 9 참조)의 회전에 의해 기둥부(320)를 따라 승강하는 바스켓 고정부(325)를 구비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basket lifting means is a motor (not shown) installed in the lid 310, by the rotation of the pillar portion 3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id 310, the motor 313 (see Fig. 9) It is provided with a basket fixing portion 325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pillar (320).

본 실시예에서 바스켓 고정부(325)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으며, 바스켓(330)에는 바스켓 고정부(325)에 설치된 자석과 자력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자석 홀더(333) 내에 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바스켓 고정부(325)가 상하로 이동하면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바스켓(330)도 같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a magnet is installed in the basket fixing part 325, and a magnet is installed in the magnet holder 333 so that the basket 330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magnet installed in the basket fixing part 325 by magnetic force. have. Therefore, when the basket fixing part 325 moves up and down, the basket 330 coupled by the magnetic force also moves up and down as well.

기둥부(320)의 안쪽에는 스크류(321)가 기둥부(3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스크류(321)는 뚜껑(3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31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이를 위하여 스크류(321)가 모터(313)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기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he screw 321 is install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320 inside the pillar 320. The screw 321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313 installed in the lid 310. For this purpose, the screw 32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313 or connected through a gear.

스크류(321)에는 너트(323)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스크류(321)가 회전하면 너트(323)도 나사 결합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한다. 너트(323)에 부착되어 있는 바스켓 고정부(325)에는 자석이 부착되어 있어서, 바스켓(330)의 자석 홀더(333)를 바스켓 고정부(325)가 있는 면에 갖다대면 자석 홀더(333) 내의 자석과 바스켓 고정부(325)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이 서로 자력에 의해 끌어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자석 홀더(333)가 기둥부(320)의 표면에 붙게 된다. 즉, 자석 홀더(333) 내의 자석과 바스켓 고정부(325)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은 기둥부(320)의 표면을 사이에 두고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기둥부(320)는 너트(323)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바스켓의 자석이 기둥부(320)의 표면에 붙어있는 채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그 재질을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매끄러운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스켓(330) 및 자석홀더(333)의 재질은 철제 등의 자성체로 하고, 기둥부(320)의 재질은 반자성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ut 323 is screwed to the screw 321. When the screw 321 rotates, the nut 323 also rises or falls by screwing. A magnet is attached to the basket fixing portion 325 attached to the nut 323, and when the magnet holder 333 of the basket 330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basket fixing portion 325, the magnet holder 333 is placed in the magnet holder 333. The magnets attached to the magnet and the basket fixing part 325 are attract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and thus the magnet holder 333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illar 320. That is, the magnet in the magnet holder 333 and the magnet attached to the basket fixing part 325 are coupled by magnetic force with the surface of the pillar 320 interposed therebetween. On the other hand, the pillar portion 320 is made of a smooth material such as glass or plastic so that as the nut 323 is raised or lowered, the magnet of the basket can be raised or lowered while being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illar 320.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of the basket 330 and the magnet holder 333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and the material of the pillar part 320 be made of a diamagnetic material.

스크류(321)의 상부 및 하부에는 너트(323)의 상승 및 하강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327, 329)가 마련되어 있다. 즉, 너트(323)는 스톱퍼(327, 329)에 의해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 사이에서만 상승/하강이 가능하다. 기둥부(320)에는 또한 너트(323)가 상한 위치에 도달했는지 또는 하한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311, 도 9 참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311)는 스톱퍼(327, 329)에 각각 마련된 스위치나 광센서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어수단은 위치감지센서(311)에 의해 너트(323)가 상한 위치 또는 하한 위치에 도달하면 모터(313)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crew 321 are provided with stoppers 327 and 329 for limiting the rise and fall of the nut 323. That is, the nut 323 can be raised and lowered only between the upper limit position and the lower limit position by the stoppers 327 and 329. The pillar 320 may also be further provided with a position detecting sensor 311 (see FIG. 9) for detecting whether the nut 323 has reached the upper limit position or the lower limit position.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311 may be implemented by a switch or an optical sensor provided in the stoppers 327 and 329, respectively. The control means stops the rotation of the motor 313 when the nut 323 reaches the upper limit position or the lower limit position by the position sensor 3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바스켓(330)을 기둥부(320)를 중심으로 180도 정도 회동시킬 수 있다. 이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뚜껑부(300)를 밑에서 바라본 일부 절개 사시도로서 바스켓(330)이 정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7은 바스켓(330)을 정위치에서 180도 회동시킨 모습을 보여준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ket 330 may be rotated about 180 degrees around the pillar 32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6 and 7 are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lid 300 from the bottom showing the basket 330 in the correct position, Figure 7 shows the basket 330 is rotated 180 degrees in the correct position Shows.

사용자는 바스켓(330) 내에 곡물을 넣거나 끓인 곡물을 바스켓에서 꺼내기 위하여 바스켓(330)을 기둥부(320)를 중심으로 180도 정도 회동시킨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뚜껑부(300)를 용기부(200)로부터 분리한 다음에, 바스켓(330)을 화살표(317) 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바스켓(330)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 홀더(333) 내의 자석이 기둥부(3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자석 홀더(333) 내의 자석과 자력에 의해 기둥부(320) 표면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있는 바스켓 고정부(325)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에 의해 바스켓 고정부(325) 및 너트(323)도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180도 정도 회동시켰을 때의 모습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The user rotates the basket 330 about 180 degrees about the pillar 320 to put grain in the basket 330 or to remove boiled grain from the basket.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lid part 30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part 200, and then the basket 330 is turn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317. Then, the magnet in the magnet holder 333 attached to the basket 330 rotates around the pillar 320, and the magnet 320 in the magnet holder 333 is interposed between the surfaces of the pillar 320 by magnetic force. The basket fixing portion 325 and the nut 323 are also rotated by the magnet attached to the basket fixing portion 325 which is coupled to each other. The state when rotated about 180 degrees is shown in FIG.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뚜껑(310)의 하부에는 바스켓(330)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319)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의 상태에서 바스켓(330)을 다시 화살표(317)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톱퍼(319)에 의해 바스켓(330)은 정위치에 멈추게 된다.
As can be seen in Figure 7, the lower portion of the lid 310 is provided with a stopper 319 for limiting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basket 330. Therefore, when the basket 330 is rotated agai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rrow 317 in the state of FIG. 7, the basket 330 is stopped at the correct position by the stopper 319.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를 곡물차를 끓이는 경우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곡물차 이외에도 커피, 녹차 등의 다른 종류의 차를 끓이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case of boiling grain te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case of boiling other types of tea such as coffee and green tea in addition to grain te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ll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as us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i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further including other element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받침부, 110 조작수단,
200 용기부, 210 용기,
300 뚜껑부, 320 기둥부,
321 스크류부, 323 너트부,
330 바스켓. 333 자석홀더.
100 feet, 110 controls,
200 containers, 210 containers,
300 caps, 320 pillars,
321 screw part, 323 nut part,
330 baskets. 333 Magnet Holder.

Claims (12)

삭제delete 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아래에 위치하며 용기에 담긴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용기부; 및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바스켓과, 바스켓을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바스켓 승강수단과, 상기 용기를 덮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는 뚜껑부
를 구비하며,
상기 바스켓 승강수단은 상기 뚜껑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뚜껑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기둥부를 따라 승강하는 바스켓 고정부을 구비하며,
상기 바스켓에는 상기 바스켓 고정부에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곡물차 제조기.
A container portion including a container for receiving water and heating means positioned below the container for heating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A lid portion including a basket for accommodating grains, basket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basket up and down, and a lid for covering the container
Equipped with
The basket lifting means includes a motor installed on the lid, a pillar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id, and a basket fixing portion for lifting up and down along the pillar portion by rotation of the motor,
The basket is a grain tea maker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for fixing to the basket fix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안쪽에는 상기 기둥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가 위치하며,
상기 바스켓 고정부는, 상기 스크류에 삽입되어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나사 결합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너트와, 상기 너트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기둥부의 표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자석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차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2,
Inside the pillar portion is installed a screw extending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portion to rotate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The basket fixing part includes a nut inserted into the screw and rising or falling by screwing as the screw rotates, and a first magnet coupled to the nut.
And the fixing member is a second magnet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magnet by a magnetic force with the surface of the pillar interposed therebetwee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기둥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룸차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basket tea m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ket can be rotated around the pilla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부에는 상기 바스켓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차 제조기.
5. The method of claim 4,
Grain tea m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lid is provided with a stopper for limi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bask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의 재질은 철제이며, 상기 기둥부의 재질은 반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차 제조기.4. The grain tea mak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asket is made of iron and the pillar portion is made of a diamagnetic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일 측면에는 상기 뚜껑부로 전력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전달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차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2,
Grain tea m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and control signals to the lid portion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차 제조기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차 제조기.
The grain tea mak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And a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 user's operation command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command input through the operation mea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수단을 통해 입력된 곡물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에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모터에 모터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차 제조기.
9. The method of claim 8,
And said control means applies electric power to said heating means and applies a motor control signal to said motor in accordance with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of grain input through said operating mea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차 제조기는 용기부의 아래에 탈착 가능하게 위치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받침부에 위치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용기부에 전력을 제공하고 용기부와 신호를 주고받기하기 위한 신호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차 제조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rain tea maker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ortion detachably located below the container portion,
The operation means and the control means is located in the support portion,
The suppor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ignal connection means for providing power to the container portion and send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container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에는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조작수단을 통해 곡물의 종류와 물의 양을 선택되고 시작 버튼이 눌려지면, 가열수단에 전력을 인가하고,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온이 소정의 온도가 되면 모터의 회전방향이 정방향이 되도록 모터를 구동하여 바스켓을 하강시켜 물 안으로 넣고, 그후 곡물의 종류와 물의 양에 따라 정해지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모터의 회전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모터를 구동하여 바스켓을 상승시켜 물 밖으로 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차 제조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ainer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temperature,
The control means selects the type of grain and the amount of water through the operation means, and when the start button is pressed, the electric power is applied to the heating means, and when the wate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is positive. Drive the motor so that the basket is lowered and put into the water. Th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determined by the type of grain and the amount of water, the motor is driven so tha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is reversed. Grain tea maker, characterized in tha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곡물차를 끓이는 동안에 일정한 수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온이 제1의 온도 이상이 되면 가열수단에의 전력 인가를 중단하고, 다시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온이 상기 제1의 온도보다 낮은 제2의 온도 이하가 되면 가열수단에의 전력 인가를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차 제조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means stops applying power to the heating means when the water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becomes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temperature while boiling the grain tea, and again the wate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when the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to resume the application of power to the heating means.

KR1020130054189A 2013-05-14 2013-05-14 Grain tea maker KR1013102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189A KR101310266B1 (en) 2013-05-14 2013-05-14 Grain tea maker
CN201310506967.2A CN104146561A (en) 2013-05-14 2013-10-24 Grain tea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189A KR101310266B1 (en) 2013-05-14 2013-05-14 Grain tea m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266B1 true KR101310266B1 (en) 2013-09-23

Family

ID=49456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189A KR101310266B1 (en) 2013-05-14 2013-05-14 Grain tea mak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0266B1 (en)
CN (1) CN104146561A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5156A (en) * 2014-01-24 2014-04-23 宁波西摩电器有限公司 Kettle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ea basket to lift up and down
CN104172912A (en) * 2014-07-30 2014-12-03 广东新功电器有限公司 Electric kettle
CN104274018A (en) * 2014-09-23 2015-01-14 中山市德斯邦电子科技有限公司 Teapot
GB2520768A (en) * 2013-12-02 2015-06-03 Kenwood Ltd Tea-steeping appliances
CN106820964A (en) * 2016-12-23 2017-06-13 宁波江北臻和设计发展有限公司 A kind of electric kettle for preventing forgetting to close pot lid
CN107865586A (en) * 2016-09-28 2018-04-03 广州市拓璞电器发展有限公司 A kind of hot beverage machine
CN109090959A (en) * 2018-09-14 2018-12-28 厦门意树创意设计有限公司 A kind of lift filter structure
WO2019243397A1 (en) * 2018-06-21 2019-12-26 Emsa Gmbh Tea preparation device for thermos jugs and vacuum mugs
FR3082716A1 (en) * 2018-06-21 2019-12-27 Emsa Gmbh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BY INFUSION FOR ISOTHERMAL CONTAINERS AND ISOTHERMAL BOTTLES
KR102111391B1 (en) * 2018-11-21 2020-06-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Tea brewing device
KR20200002217U (en) * 2019-03-28 2020-10-08 웬-쳉 창 Intelligent chiller for cooling extracted beverages
RU2777593C2 (en) * 2018-06-21 2022-08-08 Эмза Гмбх Tea making device for thermo-jugs and vacuum cups
KR20220135461A (en) * 2021-03-30 2022-10-07 이재철 automatic fried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0059A (en) * 2015-08-27 2015-11-11 湖南城市学院 Bluetooth music dark tea boiling pot
CN105433691A (en) * 2015-11-27 2016-03-30 无锡市茗雅东方茶艺科技有限公司 Teapot capable of conducting automatic filtration
WO2017177368A1 (en) * 2016-04-11 2017-10-19 Top Electric Appliances Industrial Ltd An appliance for processing a beverage
CN208755571U (en) * 2017-08-25 2019-04-19 虞松昌 A kind of electric kettle with tea caddy
CN107440481B (en) * 2017-09-09 2022-11-25 中山市雅信电器有限公司 Electromagnetic health preserving kett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8008A (en) * 2005-10-07 2007-04-19 Mitsubishi Electric Corp Tea drink extraction apparatus
US20120318148A1 (en) * 2006-10-24 2012-12-20 Breville Pty Limited Tea Ma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8008A (en) * 2005-10-07 2007-04-19 Mitsubishi Electric Corp Tea drink extraction apparatus
US20120318148A1 (en) * 2006-10-24 2012-12-20 Breville Pty Limited Tea Maker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0768A (en) * 2013-12-02 2015-06-03 Kenwood Ltd Tea-steeping appliances
US20160270581A1 (en) * 2013-12-02 2016-09-22 Kenwood Limited Tea-steeping appliances
GB2520768B (en) * 2013-12-02 2017-10-04 Kenwood Ltd Tea-steeping appliances
CN103735156A (en) * 2014-01-24 2014-04-23 宁波西摩电器有限公司 Kettle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ea basket to lift up and down
CN104172912A (en) * 2014-07-30 2014-12-03 广东新功电器有限公司 Electric kettle
CN104274018A (en) * 2014-09-23 2015-01-14 中山市德斯邦电子科技有限公司 Teapot
CN107865586A (en) * 2016-09-28 2018-04-03 广州市拓璞电器发展有限公司 A kind of hot beverage machine
CN106820964A (en) * 2016-12-23 2017-06-13 宁波江北臻和设计发展有限公司 A kind of electric kettle for preventing forgetting to close pot lid
RU2777593C2 (en) * 2018-06-21 2022-08-08 Эмза Гмбх Tea making device for thermo-jugs and vacuum cups
WO2019243397A1 (en) * 2018-06-21 2019-12-26 Emsa Gmbh Tea preparation device for thermos jugs and vacuum mugs
FR3082716A1 (en) * 2018-06-21 2019-12-27 Emsa Gmbh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BY INFUSION FOR ISOTHERMAL CONTAINERS AND ISOTHERMAL BOTTLES
CN109090959A (en) * 2018-09-14 2018-12-28 厦门意树创意设计有限公司 A kind of lift filter structure
KR102111391B1 (en) * 2018-11-21 2020-06-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Tea brewing device
KR20200002217U (en) * 2019-03-28 2020-10-08 웬-쳉 창 Intelligent chiller for cooling extracted beverages
KR200493689Y1 (en) 2019-03-28 2021-05-18 차이 첸-셍 Intelligent chiller for cooling extracted beverages
KR20220135461A (en) * 2021-03-30 2022-10-07 이재철 automatic fried device
KR102500573B1 (en) * 2021-03-30 2023-02-15 이재철 automatic frie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46561A (en)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266B1 (en) Grain tea maker
JP7257660B2 (en) electric kettle
AU2013254828B2 (en) User-interface for beverage preparaton machines
CN101557741B (en) Tea maker
CN103735156B (en) The kettle of automatic control tealeaves basket lifting
US8584576B2 (en) Portable automatic beverage brewing drinking vessel
TW201534259A (en) Single-serve beverage production machine
CN104172911A (en) Electric kettle
CN203220186U (en) Filter core transmission lifting structure of boiled tea kettle
WO2012118455A2 (en) Universal device for energy control in the form of a button
JP3178503U (en) Tumbler with heating function
CN205197787U (en) Container is steeped to portable dashing
KR102017001B1 (en) Cup Holder Operated by Sensor
CN104172912A (en) Electric kettle
KR101739781B1 (en) electric cooker
CN204670933U (en) Wireless operated intelligent disinfecting tea set
CN203873538U (en) Novel electric cooker with weighing function
CN203873539U (en) Electric cooker with top having weighing function
CN209377259U (en) A kind of automatic sensing heating cup pad
CN207285898U (en) A kind of full-automatic coffee machine and control device with intelligent-induction coffee cup device
CN107280385A (en) A kind of cup with prompting function
CN204635813U (en) Auto-manual sterilization tea set
CN117064206A (en) Tea basket assembly, tea making pot and tea making device
JPWO2020054254A1 (en) teapot
JP5545852B2 (en) Water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