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991B1 -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 Google Patents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991B1
KR101309991B1 KR1020120045599A KR20120045599A KR101309991B1 KR 101309991 B1 KR101309991 B1 KR 101309991B1 KR 1020120045599 A KR1020120045599 A KR 1020120045599A KR 20120045599 A KR20120045599 A KR 20120045599A KR 101309991 B1 KR101309991 B1 KR 101309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kin
shoe
elastic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현
Original Assignee
오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현 filed Critical 오창현
Priority to KR102012004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8Resilient uppers, e.g. shock absorbing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 착용시 부은 발에 의한 통증을 저감시키고, 발의 볼이 넓은 사람의 경우에도 신축성에 의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보행시와 착지시 발이 옆으로 퍼지더라도 선포부 또는 측피부에 의한 압력을 저감시켜 편안한 보행감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구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구두의 갑피의 측면부분을 구성하며, 발의 측면부분을 지지하는 측피부(1); 상기 측피부와 결합되어 구두의 외피의 상측면 부분을 구성하며 발의 발등 부분을 덮어 지지하는 선포부(2); 및 상기 선포부(2)가 측피부(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도록 상기 측피부(1)과 선포부(2)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신축성 부재의 신축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SHOES WITH THE STRUCTURE INCLUDING ELASTIC PART REDUCING PAINS FROM SWELLING OF THE FEET}
본 발명은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는 가죽 또는 비닐 등의 소재로 제작한 서양식 신발을 통칭하는 명칭으로, 내구성과 외형 유지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없고, 견고한 외피 소재 및 내피 부재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구두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발은 매우 복잡한 기관으로서, 도5에서와 같이, 26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어 이 26개의 뼈들은 3부분(후족부, 중족부, 전족부)으로 정렬되어 있다. 7개의 덩어리 뼈로 구성된 후족부, 5개의 길고 가는 뼈들로 구성된 중족부, 그리고 14개의 매우 작은 발가락 뼈들로 구성된 전족부로 정렬되어 있으며, 종골, 거골, 주상골, 입방골, 설상골이 정렬되어 후족부를 이루고, 중족부에는 5개의 중족골들이 후족부와 발가락 뼈들인 전족부를 연결하고 있다.
각각의 중족골은 전방의 머리부분, 가운데 부분의 골간, 후방의 기저부로 구성되어 아치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중족골 머리부분들은 문의 둥근 손잡이 형상으로, 첫번째와 다섯번째 중족골의 머리 부분은 손가락으로 감지할 수 있는데 이것들은 각각 몸의 내측, 외측의 체중을 지탱하는 부분이다.
한편, 구두를 착용하는 착용자는 질병 등 기타 건강상의 이유로, 발이 붓는 증상을 경험하게 되며, 특히, 견고한 외피 소재 및 내피 부재를 사용하는 구두를 착용하는 착용자는 발이 부을 경우 구두의 착용으로 인하여 발, 특히, 발등 부분의 통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별한 질병이 없더라도, 통상 피로로 인하여 오후 또는 저녁에 발이 부어 구두의 착용시 불편함 및 통증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발의 부음으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착용자는 구두를 벗고, 편안한 신발 즉, 슬리퍼나 운동화 같은 신발로 교체하여 착용하는 조치로 해결하고 있으나, 불가피하게 구두를 신고 있어야 하는 경우 통증을 감수하는 실정이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구두 형태의 컴포트화가 출시되어 있으나, 이들 대부분이 보행시 발바닥 부분의 편안함에 촛점을 맞추어 밑창 부분이 개량된 것이며, 발의 부음으로 인한 통증 특히 발등 부분의 통증에는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신발의 일부 또는 전부분에 신축성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문헌 1과 같이, 단순히 신발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로서 발의 부음으로 인한 통증 감소시킬 수 없는 구조이거나, 문헌 2와 같이 구두로서의 내구성과 외형 유지와 견고한 외피 소재에서 오는 구두 본연의 미감을 훼손하거나 복잡한 구조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1-0012012호 (밴드타입 구두용 발등신축조절장치 ; 2011년 12월 29일 공개)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7-0063910호 (갑피가 이중구조인 신발; 2007년 06월20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종래의 구두의 외관 특성과 미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발이 편안한 구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구두의 외관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부은 발로 인한 발등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구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제조 방법 및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종래의 구두의 외관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부은 발로 인한 발등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구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의 볼이 넓은 사람이 신어도 신축성에 의하여 발이 편안하고, 특히 보행시 발이 옆으로 퍼지더라도 편안한 보행을 할 수 있는 구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구두의 갑피의 측면부분을 구성하며, 발의 측면부분을 지지하는 측피부; 상기 측피부와 결합되어 구두의 외피의 상측면 부분을 구성하며 발의 발등 부분을 덮어 지지하는 선포부; 및 상기 선포부가 측피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도록 상기 측피부과 선포부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신축성 부재의 신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축부는 착용자의 발의 중족부 부분의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부는 측피부와 선포부의 발의 안쪽 측면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외측신축부와 발의 바깥쪽 측면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내측신축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측피부는 발의 바깥쪽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측피부와 발의 안쪽 측면을 지지하는 내측 측피부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측피부와 내측측피부 및 상기 선포부는 신발의 앞코부분까지 연장되어 결합됨으로써 구두의 선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포부는 발등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구두의 설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구두의 끈 또는 반도를 지탱하는 구목부를 포함하여, 구두의 갑피의 측면 후미부분을 구성하고 발의 측면부분의 후미를 지지하는 후미측피를 포함하여, 후미측피의 발의 바깥쪽 측면의 구목부의 하단에는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측 보강 신축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후미 측피는 발의 바깥쪽 측면의 후미부분을 지지하는 외측 후미측피부와 발의 안쪽 측면의 후미부분을 지지하는 내측 후미측피부로 구성되어, 신발의 뒷굼치 부분까지 연장되어 결합됨으로써 구두의 종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미측피의 내측 후미측피부는 상기 구목부의 발의 안쪽 측면의 하단에는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내측 보강 신축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구두의 외관 특성과 미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발이 편안한 구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구두의 외관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부은 발로 인한 발등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구두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조 방법 및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종래의 구두의 외관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부은 발로 인한 발등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구두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의 볼이 넓은 사람이 신어도 신축성에 의하여 발이 편안하고, 특히 보행시 발이 옆으로 퍼지더라도 편안한 보행을 할 수 있는 구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보강 신축부를 갖는 실시예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보강 신축부를 갖는 실시예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인간의 발을 구성하는 뼈에 대한 참고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의 측면 구성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구두의 갑피의 측면부분을 구성하며, 발의 측면부분을 지지하는 측피부(1); 상기 측피부와 결합되어 구두의 외피의 상측면 부분을 구성하며 발의 발등 부분을 덮어 지지하는 선포부(2); 및 상기 선포부(2)가 측피부(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도록 상기 측피부(1)과 선포부(2)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신축성 부재의 신축부(3)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갑피(upper)는 신발의 앞코 부분을 감싸 지지하는 부위인 선피부(5: Tip 또는 toe cap), 신발의 뒷꿈치 부분을 감싸 지지하는 종피부(6: Foxing), 구두 끈을 위한 구멍 또는 착탈가능한 벨크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인 반도가 형성된 구목부(43), 상기 구목부 부분의 발등 부분을 감싸는 설포(21: Tongue)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밑창(7)과 재봉 또는 접착 및 열성형 등의 방법으로 결합됨으로써 구두가 완성된다.
상기 측피부(1: Quarter) 및 선포부(2: Vamp)는 통상의 구두용 갑피 소재가 사용되며, 구두 착용시 사용자의 발이 구두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확실한 착용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신축성 부재의 신축부(3)로는 신축성 있는 고무와 같이 내구성 및 탄성복원력이 뛰어난 재질로 제작된 밴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두의 갑피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통상의 재봉에 의한 방법 또는 접착 또는 열성형 등에 의한 방법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신발 착용시 부은 발에 의한 통증을 저감시키고, 부수적으로 발의 볼이 넓은 사람의 경우에도 신축성에 의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보행시와 착지시 발이 옆으로 퍼지더라도 선포부 또는 측피부에 의한 압력을 저감시켜 편안한 보행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3)는 착용자의 발의 중족부 부분의 측면에 형성된다. 착용자의 발의 중족부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에 걸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의 편암함과 디자인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그 위치 및 길이와 폭이 조절될 수 있으며, 고무 밴드 등의 부재의 선택에 의하여 신축성이 조절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발의 각각의 중족골은 전방의 머리부분,가운데 부분의 골간, 후방의 기저부로 구성되어 아치형 구조를 가지고 있고, 중족골 머리부분들은 문의 둥근 손잡이 형상으로, 첫번째와 다섯번째 중족골의 머리 부분은 손가락으로 감지할 수 있는데 이것들은 각각 몸의 내측, 외측의 체중을 지탱하는 부분으로서, 아치형이고 발에서 가장 큰 두께를 가지므로, 발이 부을 경우 구두의 선포부(2)로부터 가장 강한 압력을 받아 통증을 일으키는 부분임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신축부(3)가 착용자의 발의 중족부 부분의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최소한의 신축부의 도입만으로도 부은 발에 의한 통증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3)는 측피부(1)과 선포부(2)의 발의 안쪽 측면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외측신축부(31)과 발의 바깥쪽 측면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내측신축부(32)로 구성된다. 내측신축부(32)는 외측신축부(31)와 대응되는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의 편암함과 디자인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그 위치 및 길이와 폭이 조절될 수 있으며, 고무 밴드 등의 부재의 선택에 의하여 신축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렇게 신축부를 외측 신측부와 내측 신축부로 구성한 것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부은 발에 의한 통증 저감효과를 증대시키고, 대칭성에 의하여 보행시 발의 편안함과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피부(1)는 발의 바깥쪽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측피부(11)과 발의 안쪽 측면을 지지하는 내측 측피부(12)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측피부(11)와 내측측피부(12) 및 상기 선포부(2)는 신발의 앞코부분까지 연장되어 결합됨으로써 구두의 선피부(5)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부은 발로 인한 발등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구두를 제작함에 있어 제작 방법 및 구조가 단순해지며, 발이 부을 경우 본 발명의 신축부(3)와 측피부(1) 및 선포부(2)가 일체로 작용하여, 신축부의 신축작용이 발 전체에 효과적으로 미쳐 발의 편안함과 통증감소 효과가 증대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포부(2)는 발등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구두의 설포(21: tongue)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은 발로 인한 발등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구두를 제작함에 있어 제작 방법 및 구조가 단순해진다.
이하에서는, 보강 신축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에 있어서, 구두의 갑피의 측면부분을 구성하며, 발의 측면부분을 지지하는 측피부(1); 상기 측피부와 결합되어 구두의 외피의 상측면 부분을 구성하며 발의 발등 부분을 덮어 지지하는 선포부(2); 및 구두의 끈 또는 반도를 지탱하는 구목부(43)을 포함하여 구두의 갑피의 측면 후미부분을 구성하고 발의 측면부분의 후미를 지지하는 후미측피(4)를 포함하여, 후미측피(4)의 발의 바깥쪽 측면의 구목부(43)의 하단에는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측 보강 신축부(33)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발등 상단부분의 편안함과 통증감소 효과를 증대시키며, 후미측피가 구목부를 포함하도록 일체로 구성하여 신발 끈 또는 반도의 결합에도 불구하고 보강 신축부의 신축작용이 그대로 발에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미측피(4)는 발의 바깥쪽 측면의 후미부분을 지지하는 외측 후미측피부(41)과 발의 안쪽 측면의 후미부분을 지지하는 내측 후미측피부(42)로 구성되어, 신발의 뒷굼치 부분까지 연장되어 결합됨으로써 구두의 종피부(6)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부은 발로 인한 발등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구두를 제작함에 있어 제작 방법 및 구조가 단순해지며, 발이 부을 경우 본 발명의 보강 신축부(33, 34)과 후미 측피 및 종피부가 일체로 작용하여, 보강 신축부의 신축작용이 발 전체에 효과적으로 미쳐 발의 편안함과 통증감소 효과가 증대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미측피(4)의 내측 후미측피부(42)는 상기 구목부(43)의 발의 안쪽 측면의 하단에는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내측 보강 신축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발이 부을 경우 본 발명의 보강 신축부(33, 34)과 후미 측피 및 종피부가 일체로 작용하여, 보강 신축부의 신축작용이 발 전체에 효과적으로 미쳐 부은 발에 의한 통증 저감효과를 증대시키고, 대칭성에 의하여 보행시 발의 편안함과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1 : 측피부 2 : 선포부
3 : 신축부 4 : 후미측피
5 : 선피부 6 : 종피부
11 : 외측 측피부 12 : 내측 측피부
21 : 설포 31 : 외측 신축부
32 : 내측 신축부 33 : 외측 보강 신축부
34 : 내측 보강 신축부 43 : 구목부

Claims (8)

  1.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에 있어서,
    구두의 갑피의 측면부분을 구성하며, 발의 측면부분을 지지하는 측피부(1); 상기 측피부와 결합되어 구두의 외피의 상측면 부분을 구성하며 발의 발등 부분을 덮어 지지하는 선포부(2); 및
    상기 선포부(2)가 측피부(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도록 상기 측피부(1)과 선포부(2)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신축성 부재의 신축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3)는 착용자의 발의 중족부 부분의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3)는 측피부(1)과 선포부(2)의 발의 안쪽 측면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외측신축부(31)과 발의 바깥쪽 측면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내측신축부(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피부(1)는 발의 바깥쪽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 측피부(11)과 발의 안쪽 측면을 지지하는 내측 측피부(12)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 측피부(11)와 내측 측피부(12) 및 상기 선포부(2)는 신발의 앞코 부분까지 연장되어 결합됨으로써 구두의 선피부(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포부(2)는 발등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구두의 설포(21: tongu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6. 제1항에 있어서,
    구두의 끈 또는 반도를 지탱하는 구목부(43)을 포함하여 구두의 갑피의 측면 후미부분을 구성하고 발의 측면부분의 후미를 지지하는 후미측피(4)를 포함하여, 후미측피(4)의 발의 바깥쪽 측면의 구목부(43)의 하단에는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측 보강 신축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미측피(4)는 발의 바깥쪽 측면의 후미부분을 지지하는 외측 후미측피부(41)과 발의 안쪽 측면의 후미부분을 지지하는 내측 후미측피부(42)로 구성되어, 신발의 뒷꿈치 부분까지 연장되어 결합됨으로써 구두의 종피부(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미측피(4)의 내측 후미측피부(42)는 상기 구목부(43)의 발의 안쪽 측면의 하단에는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내측 보강 신축부(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KR1020120045599A 2012-04-30 2012-04-30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KR101309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599A KR101309991B1 (ko) 2012-04-30 2012-04-30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599A KR101309991B1 (ko) 2012-04-30 2012-04-30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991B1 true KR101309991B1 (ko) 2013-09-24

Family

ID=4945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599A KR101309991B1 (ko) 2012-04-30 2012-04-30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9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273U (ko) * 1989-09-27 1991-05-17
JP2527874Y2 (ja) * 1991-12-05 1997-03-05 日本ヘルスシューズ株式会社 履物及び靴ひも付きの履物
JP4376792B2 (ja) * 2002-12-18 2009-12-02 ナイキ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可融性フィラメントおよび繊維を有する布地を組み入れた履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273U (ko) * 1989-09-27 1991-05-17
JP2527874Y2 (ja) * 1991-12-05 1997-03-05 日本ヘルスシューズ株式会社 履物及び靴ひも付きの履物
JP4376792B2 (ja) * 2002-12-18 2009-12-02 ナイキ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可融性フィラメントおよび繊維を有する布地を組み入れた履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203B2 (en) Dance footwear
GB2526192A (en) Orthotic insole
US20120137540A1 (en) Composite sole assembly
US2780013A (en) Footwear
KR200414204Y1 (ko) 신발
KR100955038B1 (ko) 신발 제조용 라스트
KR100940011B1 (ko)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
US20150013181A1 (en) Happy Heelz--An Anatomically Designed Heeled Shoe
CN208354753U (zh) 一种高跟鞋
JP3195381U (ja) サンダル基板及びサンダル
KR20130001401A (ko) 기능성 신발
JP3206800U (ja) ハイヒールの圧力軽減靴底構造
KR101309991B1 (ko) 부은 발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신축부를 포함한 구조의 구두.
JP5959079B1 (ja) クッション付靴下
KR102239837B1 (ko) 인솔
Mawusi Shoes and Shoe Modifications
KR101509233B1 (ko) 안전화
KR102667891B1 (ko) 교정용 슬리퍼
JP3626175B1 (ja) 靴用中敷パッドおよび靴
US20230180883A1 (en) Footwear system and method having footwear upper linings for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US20200359747A1 (en) Pull-on boot
KR20110065581A (ko) 기능성 신발창
KR20220129456A (ko) 기능성 신발
JP2023136480A (ja) スペーサ及び健康シユーズ
KR200343114Y1 (ko) 아킬레스건 신장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