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682B1 - 블랙박스가 장착된 안전모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블랙박스가 장착된 안전모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682B1
KR101309682B1 KR1020110117393A KR20110117393A KR101309682B1 KR 101309682 B1 KR101309682 B1 KR 101309682B1 KR 1020110117393 A KR1020110117393 A KR 1020110117393A KR 20110117393 A KR20110117393 A KR 20110117393A KR 101309682 B1 KR101309682 B1 KR 101309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orage
storage unit
camera
sens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2130A (ko
Inventor
박준
이상필
하희상
김효근
윤성욱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7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6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2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6Means for detecting that the user is wearing a helme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는 건설 현장과 같은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사고 발생시 원인 규명에 도움이 되며, 작업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고, 그 제조비용이 작게 소요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블랙박스가 장착된 안전모 및, 그 사용 방법{Safety helmet having black box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설 현장과 같은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사고 발생시 원인 규명에 도움이 되며, 작업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고, 그 제조비용이 작게 소요되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안전모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안전모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작업현장에서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모자이다. 이러한 안전모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만들어지고 작업자의 머리를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58987호)
그런데, 안전모로 인해 머리가 눌리는 느낌(중량감), 안전모를 착용한 경우의 통풍 불량과 안전모 내부의 온도 상승 등으로 인해서 작업자가 감독자의 감시를 피해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사고 발생시 작업자의 부상 정도가 더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작업 현장 곳곳에 CCTV를 설치하여 안전모 착용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CCTV는 작업 현장을 촬영하여 감독자의 모니터로 전송하는데, 안전모 착용상태를 감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현장에서 사고 발생시 원인 규명에도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9296호)
그러나, CCTV를 이용하는 방법은 CCTV가 설치되지 않은 사각지대를 감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유,무선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감독자에게 전부 전송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안전모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모에 블랙박스 카메라를 부착함으로써 작업자가 자발적으로 표준안전 지침을 지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에 있다. 요즘 작업현장에서는 거의 100% 안전모 착용이 준수되고 있지만, 관리의 사각지대에서는 작업자의 편의대로 불안전한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작업자 스스로 책잡히지 않는 행동을 추구하려는 심리를 유발하려는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 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원인 규명에 도움이 되는 안전모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모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비용이 작게 소요되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안전모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는, 모자 형상을 가진 몸체; 및, 몸체에 설치된 블랙박스;를 구비한다. 상기 블랙박스는, 작업자가 몸체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 카메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카메라와 데이터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센서, 카메라, 데이터 저장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서가 작업자의 착모(着帽)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면 제어부는 카메라의 촬영을 개시하고, 센서가 작업자의 탈모(脫帽)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면 제어부는 카메라의 촬영을 중단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제1 데이터 저장부와 제2 데이터 저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은 제1 데이터 저장부에 임시로 기록될 수 있는데, 센서가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을 감지하면 그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며, 제어부는 상기 진동이 발생한 시각 전후의 소정 시간 동안에 촬영된 영상을 제2 데이터 저장부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는 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는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송신모듈 및 촬영된 영상을 유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유선 송신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것이 안전모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사용방법은, (a) 작업 현장의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모에 설치된 카메라가 주위 영상을 촬영하고, 안전모에 설치된 데이터 저장부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및, (b) 작업이 완료된 경우 또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안전모를 회수한 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였는지 여부 또는 사고 상황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된 때의 전후(前後) 소정 시간동안에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및 그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건설 현장과 같은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본 발명은 안전모에 블랙박스 카메라를 부착함으로써 작업자가 자발적으로 표준안전 지침을 지킬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작업자 스스로 책잡히지 않는 행동을 추구하려는 심리를 유발할 수 있다.
셋째, 작업 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원인 규명에 도움이 된다.
넷째, 작업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다섯째, 제조비용이 작게 소요되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안전모(100)는 몸체(10)와, 몸체(10)에 설치된 블랙박스(30)를 구비한다.
몸체(10)는 작업자의 머리를 감싸는 모자 형상을 가진다. 몸체(1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내부공간에는 헤드밴드(도면에 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몸체(10)가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그 내부공간에 헤드밴드가 설치되는 것은 안전모의 통상적인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블랙박스(30)는 센서, 카메라(32), 데이터 저장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구비한다.
블랙박스(30)는 몸체(10)와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몸체(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블랙박스(30)가 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은 블랙박스(30)에 형성된 돌기(31)가 몸체(10)에 형성된 홈(12)에 끼워지는 구성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돌기(31)와 홈(12)을 이용하는 구성에 대한 대안으로서, 벨크로 테이프,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블랙박스(30)를 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센서는 작업자가 몸체(1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작업자가 몸체(1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광센서, 적외선 센서, 온도감지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가 작업자의 착모(着帽)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면 제어부는 카메라(32)의 촬영을 개시하고, 센서가 작업자의 탈모(脫帽)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면 제어부는 카메라(32)의 촬영을 중단한다. 따라서, 카메라(32)는 작업자가 안전모(100)를 착용한 동안 작동하고 안전모(100)를 착용하지 않은 동안에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안전모(10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센서와 함께, 또는 상기 센서를 대신하여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가 블랙박스(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로는 진동센서(vibration sens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카메라(32)를 작동 개시시킨다.
한편, 상기 센서는, 블랙박스가 아니라, 몸체(10)에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몸체(10)의 내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카메라(32)는 블랙박스(30)의 앞쪽에 설치된다. 카메라(32)는 그 전방(前方)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다. 카메라(32)로는 소형 카메라 예를 들어, 휴대폰에 설치되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는 카메라(3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는 제1 데이터 저장부와 제2 데이터 저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영상을 임시로 저장한다. 제1 데이터 저장부에 기록된 영상은 저장된 영상 용량이 제1 데이터 저장부의 용량을 초과하면 먼저 저장된 데이터부터 삭제된다. 영상 기록의 용량이 제1 데이터 저장부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먼저 저장된 영상기록부터 삭제되는 구성은 데이터 저장을 위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데이터 저장부는 임시로 저장된 영상 중의 일부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센서가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을 감지하면 그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고 제어부는 상기 진동이 감지된 시점을 전후하여 소정 시간 동안에 촬영된 영상이 제2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고가 발생된 시점 전후가 기록되기 때문에 사고 원인 규명에 도움이 된다.
전원 공급부는 센서, 카메라(32), 데이터 저장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는 블랙박스(30)가 대략 72시간 정도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용량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 공급부는 남아 있는 전원을 표시하는 전원 표시창(34) 및, 남아 있는 전원이 소정량 이하일 때 알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3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전원 공급부는 센서, 카메라(32), 데이터 저장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는 on/off 스위치(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되는 블랙박스(30)는 촬영된 영상 또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송신모듈 및 영상을 유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유선 송신모듈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안전모(100) 및 블랙박스(30)를 소형화 및 경량화시킬 수 있고 그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으로 영상이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작업이 완료된 경우 또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안전모(100) 또는 블랙박스(30)를 회수하여야 하고, 이러한 회수 과정에서 작업자의 요청에 의해 감독자는 작업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만한 영상들을 삭제하고 분석이 필요한 부분만을 별도의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안전모(100)의 작동과정에 대한 설명은 안전모(100)의 사용방법에 대한 설명이기도 하다.
먼저, on/off 스위치를 온(on)으로 하여 블랙박스(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어서, 작업자가 안전모(100)를 착용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카메라(32)를 작동시킨다. 카메라(3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제1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다.
한편, 작업 도중에 사고가 일어난 경우, 예를 들어 작업자가 차량과 충돌한 경우에는 진동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진동센서가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는 상기 충돌을 전후(前後)하여 소정 시간 예를 들어, 상기 충돌을 전후하여 5분 동안에 촬영된 영상을 제2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다.
작업이 완료된 경우 또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안전모(100) 또는 블랙박스(30)를 회수한 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자가 안전모(10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 또는 사고 상황을 분석한다.
이 때, 작업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감독자는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영상을 삭제한 후 필요한 부분만을 별도의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10 : 몸체 30 : 블랙박스
32 : 카메라 100 : 안전모

Claims (8)

  1. 모자 형상을 가진 몸체; 및
    몸체에 설치된 블랙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블랙박스는,
    작업자가 몸체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
    카메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카메라와 데이터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센서, 카메라, 데이터 저장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촬영된 영상이 임시로 기록될 수 있는 제1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어 그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면, 상기 진동이 발생한 시각 전후의 소정 시간 동안에 촬영된 영상이 기록될 수 있는 제2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2. 모자 형상을 가진 몸체;
    몸체에 설치된 블랙박스; 및,
    작업자가 몸체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블랙박스는,
    카메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카메라와 데이터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센서, 카메라, 데이터 저장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촬영된 영상이 임시로 기록될 수 있는 제1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어 그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면, 상기 진동이 발생한 시각 전후의 소정 시간 동안에 촬영된 영상이 기록될 수 있는 제2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센서가 작업자의 착모(着帽)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면 제어부는 카메라의 촬영을 개시하고, 센서가 작업자의 탈모(脫帽)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면 제어부는 카메라의 촬영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블랙박스가 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6. 삭제
  7. (a) 작업 현장의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모에 설치된 카메라가 주위 영상을 촬영하고, 안전모에 설치된 데이터 저장부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및
    (b) 작업이 완료된 경우 또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안전모를 회수한 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였는지 여부 또는 사고 상황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촬영된 영상을 제1 데이터 저장부에 임시로 기록하는 단계; 및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진동이 발생한 시각 전후의 소정 시간 동안에 촬영된 영상을 제2 데이터 저장부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사용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제2 데이터 저장부에 기록하는 단계는,
    센서가 상기 진동을 감지한 후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사용방법.
KR1020110117393A 2011-11-11 2011-11-11 블랙박스가 장착된 안전모 및, 그 사용 방법 KR101309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393A KR101309682B1 (ko) 2011-11-11 2011-11-11 블랙박스가 장착된 안전모 및, 그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393A KR101309682B1 (ko) 2011-11-11 2011-11-11 블랙박스가 장착된 안전모 및, 그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130A KR20130052130A (ko) 2013-05-22
KR101309682B1 true KR101309682B1 (ko) 2013-09-17

Family

ID=4866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393A KR101309682B1 (ko) 2011-11-11 2011-11-11 블랙박스가 장착된 안전모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6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1814A (zh) * 2016-06-03 2016-08-31 太仓市飞鸿塑钢制品有限公司 一种带录像功能的安全帽
WO2016182116A1 (ko) * 2015-05-14 2016-11-17 주식회사 한성세이프티 스마트 안전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1390B2 (en) 2015-11-12 2018-11-06 Donald Kennair, Jr. Helmet point-of-view training and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974918B1 (ko) * 2017-09-01 2019-08-23 김연태 스마트 hud 블랙박스가 구비된 헬멧
CN108968208A (zh) * 2018-07-28 2018-12-11 滁州安阳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全景录像式头盔
CN109236374A (zh) * 2018-11-02 2019-01-18 江苏安科中矿科技有限公司 矿用便携式行为记录仪
CN109393624A (zh) * 2018-11-28 2019-03-01 安徽清新互联信息科技有限公司 多功能防护安全帽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7099A (en) * 1996-06-28 1997-12-16 Siska, Jr.; William D. Helmet with an alarm
KR20090007034U (ko) * 2008-01-08 2009-07-1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안전모 착용관리장치
KR20100117757A (ko) * 2009-04-27 2010-11-04 주식회사 태광이엔시 소형 비디오 녹화장치 및 그가 부착된 헬멧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7099A (en) * 1996-06-28 1997-12-16 Siska, Jr.; William D. Helmet with an alarm
KR20090007034U (ko) * 2008-01-08 2009-07-1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안전모 착용관리장치
KR20100117757A (ko) * 2009-04-27 2010-11-04 주식회사 태광이엔시 소형 비디오 녹화장치 및 그가 부착된 헬멧
KR101071370B1 (ko) * 2009-04-27 2011-10-10 주식회사 태광이엔시 소형 비디오 녹화장치 및 그가 부착된 헬멧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116A1 (ko) * 2015-05-14 2016-11-17 주식회사 한성세이프티 스마트 안전모
CN105901814A (zh) * 2016-06-03 2016-08-31 太仓市飞鸿塑钢制品有限公司 一种带录像功能的安全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130A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682B1 (ko) 블랙박스가 장착된 안전모 및, 그 사용 방법
KR101838383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TWI656456B (zh) 集成智能頭戴式設備
US9833031B2 (en) Safety accessory with situational awareness and data retention
US9445639B1 (en) Embedding intelligent electronics within a motorcyle helmet
KR101103516B1 (ko) 스마트 소방 헬멧
KR10216244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
US20180188813A1 (en) Programmable electronic helmet
KR101482620B1 (ko)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323227B1 (ko) 매립/외장 겸용 다채널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KR20160111173A (ko) 차량 사고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US20120302277A1 (en) Bidirectional microphone system
JP2010185155A (ja) 指標投射手段付きヘルメット
JP7371752B2 (ja)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311401A1 (en) Mobile Security System and Integrated Social Security Network
KR20150058866A (ko) 스마트 블랙박스 헬멧, 이를 이용한 스마트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98041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무선 카메라 장치
JP2004236020A (ja)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12809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32087B1 (ko) 외장형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블랙박스
CN213215573U (zh) 一种具备抬头显示的安全帽
KR102506129B1 (ko)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102020143B1 (ko) 차량 충격 확인 장치
CN204796828U (zh) 用于摩托车手和参与极限活动的人的头盔
KR101571828B1 (ko) 휴대형 녹화기를 이용한 채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