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679B1 -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 온도측정을 위한 측온접점 접촉이 향상된 열전대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 온도측정을 위한 측온접점 접촉이 향상된 열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679B1
KR101309679B1 KR1020120039475A KR20120039475A KR101309679B1 KR 101309679 B1 KR101309679 B1 KR 101309679B1 KR 1020120039475 A KR1020120039475 A KR 1020120039475A KR 20120039475 A KR20120039475 A KR 20120039475A KR 101309679 B1 KR101309679 B1 KR 101309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pring
temperature
cap
heating cylinder
thermocou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인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플라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플라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플라임
Priority to KR1020120039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04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177Location of measurement
    • B29C2945/7618Injection unit
    • B29C2945/76204Injection unit injection piston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4Heating or cooling of the injection unit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 온도측정을 위한 측온점점 접촉이 향상된 열전대에 관한 것으로,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에 형성된 온도측정용 구멍에 나사조립으로 고정 부착되는 장착부품과, 상기 장착부품을 통해 온도측정용 구멍 속으로 삽입 설치되는 측온접점과, 일단은 상기 측온접점에 접속된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가열실린더 외부로 인출되는 열감지선과, 상기 열감지선을 감싸주는 상태로 조립되어 열감지선의 길이방향을 향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인장스프링과, 상기 인장스프링의 선단부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장착부품을 감싸주는 감합부와 상기 장착부품의 돌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절개부 및 상기 돌부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있는 캡으로 구성되는 열전대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 및 캡의 내측에 위치한 채 상기 열감지선을 감싼 상태에서 일단은 측온접점에 용접으로 고정 설치된 채 타단은 열감지선의 길이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인터록 메탈호스와; 상기 인장스프링의 말단부에 고정 연결된 채 상기 캡과 함께 상기 인터록 메탈호스를 감싼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인터록 메탈호스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나사조립되는 이동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 온도측정을 위한 측온접점 접촉이 향상된 열전대{Thermocouple for meperature of heated cylinder in injection molding device}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 온도측정을 위한 측온접점 접촉이 향상된 열전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실린더 내부로 투입되는 합성수지가 설정된 가열온도로 정확하게 용융되고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실린더에 장착되는 장착부품에 삽입 설치되는 열전대의 측온접점을 가열실린더의 측온부분에 지속적으로 정밀하게 접촉하도록 구조 개선된 측온접점 접촉이 향상된 열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제품을 사출 성형하는 사출성형기는 고체상태의 합성수지 원료를 가열실린더에 투입하고 그 투입된 원료를 스크류로 상기 가열실린더의 사출부쪽으로 이송시키는 동안 원료가 완전히 용융되도록 한 다음 용융된 원료를 사출금형 내에 사출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기계이다.
통상 사출성형기는 가열실린더에 투입된 합성수지 원료가 사출부로 이송되는 동안 액체상태가 되도록 완전하게 용융되어야만 사출부의 노즐을 통한 사출작용이 잘 이루어질 뿐 아니라 사출금형에 형성되어 있는 캐비티(cavity)에의 충진작용이 잘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원료를 용융시키는 가열실린더의 가열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그런데, 합성수지 원료는 종류마다 정확한 용융온도가 각기 다르므로 사출성형기로 제품을 사출성형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되는 합성수지 원료의 종류에 따라 가열실린더의 가열온도를 다르게 설정하여야 함과 동시 상기 가열실린더가 설정된 가열온도로 가열되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가열실린더가 설정된 가열온도로 정확하게 가열되지 아니할 경우 사출성형시 용융된 원료의 사출작용 및 충진작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제품이 정상적으로 성형되지 않고 불량품으로 성형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 내부에서 스크류로 이송되는 합성수지 원료를 설정된 가열온도로 용융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가열실린더에 열전대(thermo couple)를 장착하고 있다.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가 설정된 가열온도로 가열되고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열전대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열전대(100)는 가열실린더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조립되는 장착부품(110)과, 상기 장착부품(110) 속으로 삽입되어 가열실린더의 내면에 가까운 위치까지 천공된 측온구멍의 폐구단에 접촉하여 열을 전달받는 측온접점(120)과, 상기 측온접점에 연결되어 측온접점의 열을 온도측정장치(미도시)에 전달하기 위한 두가닥의 열감지선(130)과, 상기 열감지선을 감싼 상태로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40)과, 상기 압축스프링을 감싼 상태로 설치되어 압축스프링(140)의 나선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면에 스레드(thread :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캡(15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열전대(100)의 캡(150)에는 장착부품(110)의 머리부(111)를 감싸도록 조립되는 감합부(151)와 상기 장착부품의 머리부(111) 일측에 돌출된 돌부(112)가 끼워지는 절개부(152) 및 상기 돌부(112)가 걸림되는 걸림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열전대(10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미도시)에 장착부품(110)을 나사조립하여 장착하고, 이어서 상기 캡(150)을 좌,우로 회전조작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 조절한 다음 상기 측온접점(120)을 가열실린더에 장착된 장착부품(110) 속으로 삽입하여 측온접점(120)의 첨단부분이 가열실린더에 형성되어 있는 온도측정용 구멍(미도시)의 폐구단에 접촉하도록 캡(150)이 압축스프링(140)을 탄력적으로 압축하도록 상기 캡(150)을 장착부품(110) 쪽으로 강제 이동시켜서 감합부(151)가 장착부품(110)의 머리부(111)를 감싸도록 돌부(112)가 절개부(152)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돌부(112)가 절개부(152)의 끝부분에 다다르게 되면 상기 캡(150)을 일정각도 회전시켜서 돌부(112)가 걸림부(153)에 걸림되도록 하여 상기 캡(150)을 장착부품(110)에 고정 연결하는 방법으로 열전대(100)를 설치하게 되면 캡(150)이 압축스프링(140)을 강제적으로 압축하게 됨에 따라 압축스프링(140)은 측온접점(120)을 탄력적으로 압축하게 되므로 상기 측온접점(120)의 첨단부분은 가열실린더에 형성된 온도측정용 구멍의 폐구단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전대(100)는 상기 측온접점(120)을 가열실린더의 온도측정용 구멍에 삽입 설치한 당시에는 압축스프링(140)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측온접점(120)이 온도측정용 구멍의 폐구단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가열실린더 내부에서 용융되고 있는 합성수지 원료의 가열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겠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측온접점(120)에 전달된 열이 압축스프링(140)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압축스프링(140)이 가열되면서 탄성력이 감소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상기 측온접점(120)은 설치 당시 온도측정용 구멍의 폐구단에 탄력적으로 접촉될 때의 접촉압력보다 점점 약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사출성형기로 제품을 사출성형할시 가열실린더의 가열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게 되어 사출성형기의 제품생산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도 7에 도시된 열전대(200)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열전대(200)는 기열실린더에 나사조립되는 장착부품(210)과, 상기 장착부품(210) 속으로 삽입되어 가열실린더의 내면과 가까운 위치까지 천공된 측온구멍의 폐구단에 접촉하여 열을 전달받는 측온접점(220)과, 상기 측온접점(220)에 연결되어 측온접점의 열을 온도측정장치(미도시)에 전달하기 위한 두가닥의 열감지선(230)과, 상기 열감지선을 감싼 상태로 설치되는 인장스프링(240)과, 상기 인장스프링(240)의 선단(도면상 좌측단)에 나사조립식이나 용접 등으로 고정 부착된 캡(250)과, 상기 인장스프링(240)을 감싼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체(25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250)에는 장착부품(210)의 머리부(211)를 감싸도록 조립되는 감합부(251)와 상기 장착부품의 머리부(211) 일측에 돌출된 돌부(212)가 끼워지는 절개부(252) 및 상기 돌부(212)가 걸림되는 걸림부(2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체(260)에는 인장스프링(240)의 말단(도면상 우측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구부러지게 하는 볼트(261)가 나사조립되어 있고 상기 볼트(261)의 반대측으로는 인장스프링(240)이 구부러지면서 돌출되도록 하는 노출부(2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열전대(200)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미도시)에 장착부품(210)을 나사조립하여 장착하고, 이어서 상기 캡(250)과 인장스프링(240) 및 고정체(260)를 좌,우로 이동 조절한 다음 상기 고정체(260)의 볼트(261)가 인장스프링(240)을 노출부(262) 쪽으로 밀어내어 상기 인장스프링(240)을 구부러지도록 상기 볼트(261)을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조작한 다음, 상기 측온접점(220)을 장착부품(210) 속으로 삽입하고, 이어서 상기 캡(250)을 장착부품(210) 쪽으로 강제 이동시키게 되면 캡(250)에 고정된 인장스프링(240)의 선단은 탄력적으로 인장되는 반면에, 상기 인장스프링(240)의 말단은 고정체(260)의 볼트(261)에 의해 노출부(262)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캡(250)을 장착부품(210) 쪽으로 강제 이동시킬 때 고정체(260)에 고정된 인장스프링(240)의 말단(도면상 우측부분)은 고정되어 있고 캡(250)에 고정 연결된 선단(도면상 좌측부분)은 상기 캡(250)을 따라 장착부품(210) 쪽을 향해 탄력적으로 인장되므로 상기 캡(250)의 감합부(251)가 장착부품(210)의 머리부(211)를 감싸도록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장착부품(210)의 돌부(212)가 절개부(252)로 삽입되어 걸림부(253)에 걸림되도록 캡(250)을 조립할 수 있는 것인데, 이와 같이 장착부품(210)에 캡(250)을 연결 조립하였을 때에는 상기 인장스프링(240)은 인장력은 상기 측온접점(220)에 집중되므로 측온접점(220)의 첨단부분은 온도측정용 구멍의 폐도측정용 구멍의 폐구단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열전대(200)는 측온접점(220) 부분만 장착부품(210) 속에 삽입되고 인장스프링(240)은 장착부품(210)을 벗어나 있게 되어 측온접점(220)으로 전달된 열이 인장스프링(240)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게 되므로 상기 인장스프링(240)은 열에 의한 탄성 약화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고정체(260)의 볼트(261)에 의한 나사조임력에 의해 노출부(262)로 돌출되도록 U자형으로 구부러진 부분에서 열감지선(230)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어 온도측정에 불안정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왜냐하면, 상기 고정체(260)의 볼트(261)를 느즌하게 나사조임하게 될 경우에는 고정체(260)가 정확하게 고정되지 않게 되어 캡(250)을 장착부품(210)에 고정 연결시켰을 때 고정체(260)가 인장스프링(240)의 인장력에 의해 캡(25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 측온접점(220)이 온도측정용 구멍의 폐구단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와 반대로 고정체(260)의 볼트(261)를 너무 세게 나사조임하게 될 경우에는 인장스프링(240) 내부에 배선되어 있는 열감지선(230)이 과도하게 구부러져 끊어질 우려가 있으며, 또한 사출성형기의 사출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U자형으로 구부러진 부분에서 열감지선(230)이 끊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측온접점에 연결되도록 배선되는 열감지선을 감싼 상태로 조립 설치되는 인터록 메탈호스(inter lock metal hose) 및 상기 인터록 메탈호스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인장스프링의 양단 각각에 캡과 이동체를 고정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기 이동체는 인터록 메탈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인장스프링의 말단(도면상 우측부분)을 고정시키며, 상기 캡은 가열실린더에 나사조립된 장착부품에 고정 연결되어 인장스프링의 선단을 탄력적으로 인장시키면서 상기 장착부품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인장스프링의 인장력이 측온접점에 집중작용토록 하므로써 상기 측온접점이 가열실린더의 가열온도를 지속적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측온접점을 온도측정용 구멍의 폐구단에 탄력적으로 접촉시키는 인장스프링은 가열실린더의 가열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면서 측온접점이 온도측정용 구멍의 폐구단에 항시 동일한 인장탄력으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에 형성된 온도측정용 구멍에 나사조립으로 고정 부착되는 장착부품과, 상기 장착부품을 통해 온도측정용 구멍 속으로 삽입 설치되는 측온접점과, 일단은 상기 측온접점에 접속된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가열실린더 외부로 인출되는 열감지선과, 상기 열감지선을 감싸주는 상태로 조립되어 열감지선의 길이방향을 향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인장스프링과, 상기 인장스프링의 선단부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장착부품을 감싸주는 감합부와 상기 장착부품의 돌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절개부 및 상기 돌부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있는 캡으로 구성되는 열전대에 있어서,
상기 열전대는,
상기 인장스프링 및 캡의 내측에 위치한 채 상기 열감지선을 감싼 상태에서 일단은 측온접점에 용접으로 고정 설치된 채 타단은 열감지선의 길이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인터록 메탈호스와;
상기 인장스프링의 말단부에 고정 연결된 채 상기 캡과 함께 상기 인터록 메탈호스를 감싼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인터록 메탈호스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나사조립되는 이동체;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은 인장스프링의 선단부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이동체는 인장스프링의 말단부에 나사조립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에 형성되어 있는 온도측정용 구멍 속으로는 열전대의 측온접점만 삽입 설치되고 인장스프링은 가열실린더의 온도측정용 구멍을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측온접점에 인장력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여 측온접점의 첨단부분이 가열실린더의 온도측정용 구멍의 폐구단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므로써 가열실린더 내부의 가열온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인장스프링의 말단부에 고정 연결된 이동체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인터록 메탈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조절할 수 있으므로 인장스프링의 인장력 세기를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측온접점이 가열실린더의 온도측정용 구멍 폐구단에 항시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열전대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열전대를 구성하는 장착부품과 캡의 분리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열전대의 측온접점을 가열실린더의 온도측정용 구멍에 삽입 및 고정시키는 작동상태도
도 5 내지 도 8은 종래 기술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 온도측정을 위한 측온접점의 접촉이 향상된 열전대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열전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열전대(1)는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2)에 형성된 온도측정용 구멍(21)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장착부품(3) 속으로 삽입되어 상기한 구멍(21)의 폐구단에 접촉되는 측온접점(4)과, 일단은 상기 측온접점(4)에 연결된 상태에서 절연부(51)로 피복되고 타단은 가열실린더(2) 외부로 인출되어 온도측정장치(미도시)에 연결되는 열감지선(5)과, 상기 열감지선(5)의 절연부(51)를 감싸준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인터록 메탈호스(6)과, 상기 인터록 메탈호스(6)를 감싼 상태로 설치되는 인장스프링(7)과, 상기 인터록 메탈호스(6)를 감싸고 있는 인장스프링(7)의 선단부(71)에 고정 연결되는 캡(8)과, 상기 인장스프링(7)의 말단부(72)에 고정 연결되는 이동체(9)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품(3)은 가열실린더(2)의 온도측정용 구멍(21)에 나사조립되는 수나사부(31)와 상기 수나사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32)와 상기 머리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돌부(33) 및 상기 머리부(32)의 중심에서부터 수나사부(31)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34)을 형성하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측온접점(4)은 열전도가 잘 이루어지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품(3)에 형성된 관통공(34)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가열실린더(2)의 온도측정용 구멍(21)으로 삽입되어 그 구멍(21)의 폐구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감지선(5)은 그 일단이 측온접점(4)에 접속되고, 타단은 가열실린더(2) 외부로 길게 인출되어 사출성형기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측정장치(미도시)에 연결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열감지선(5)은 측온접점(4)에 접속된 일단에서부터 도시하지 아니한 온도측정장치에 연결되는 타단에 인접하는 부분까지 절연부(51)에 의해 피복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터록 메탈호스(6)는 열감기선(5)의 절연부(51)를 감싸준 상태에서 그 일단이 상기 측온접점(4)에 용접으로 고정 연결되어 있다.(도 1 참조)
상기 인장스프링(7)은 인터록 메탈호스(6)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인터록 메탈호스(6)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8)은 인장스프링(7)과 함께 인터록 메탈호스(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인장스프링(7)의 선단부(71)가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캡(8)의 선단부분(도면상 좌측부분)에는 장착부품(3)의 머리부(32)를 감싸주는 상태로 조립되는 감합부(81)와, 상기 감합부(81)의 일측에 절개 된 상태로 형성되어 장착부품(3)의 머리부(32)에 돌출되어 있는 돌부(33)의 삽입을 안내하는 절개부(82) 및 상기 절개부 일측에 형성되어 장착부품(3)의 돌부(33)가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부(8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8)의 감합부(81) 내측에는 인장스프링(7)의 선단부(71)가 걸림된 상태로 고정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9)에는 인터록 메탈호스(6)의 나선홈(61)에 나사식으로 조립되는 이동조절용 암나사(91)와, 상기 인장스프링(7)의 말단부(72)가 나사조립으로 고정되는 고정용 암나사(9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9)는 좌,우로 회전조작함에 따라 이동조절용 암나사(91)가 인터록 메탈호스(6)의 나선홈(61)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이동체(9)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으로 측온접점(4)을 가열실린더(2)의 온도측정용 구멍(21)에 정밀하게 접촉시키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의 도시는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2)에 형성된 온도측정용 구멍(21)에 나사조립으로 고정 설치된 장착부품(3)의 관통공(34) 속으로 열전대(1)의 측온접점(4)을 삽입 설치하지 아니한 상태이며, 이때 사용자는 이동체(9)를 나사조임방향(도 1의 회전표시용 화살표 참조)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이동체(9)의 이동조절용 암나사(91)가 인터록 메탈호스(6)의 나선홈(61)을 따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인장스프링(7)과 이의 선단부(71)에 고정 연결된 캡(8)은 도면상 좌측부분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1의 직선 화살표 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체(9)를 좌,우로 회전조작하여 이동 조절하는 방법으로 상기 캡(8)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체(9)를 회전조작하여 캡(8)의 설치 위치를 조정한 다음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측온접점(4)을 장착부품(3)의 관통공(34)으로 삽입하고, 이어서 상기 캡(8)을 장착부품(3)을 향해 이동시키는데 이때에는 인장스프링(7)의 탄성보다 센 힘으로 캡(8)을 장착부품(3) 쪽으로 강제 이동시켜서 상기 캡(8)의 감합부(81)에 형성된 절개부(82)로 상기 장착부품(3)의 머리부(32)에 형성된 돌부(33)가 삽입되도록 하면 상기 장착부품(3)의 머리부(32)는 캡(6)의 감합부(81) 속으로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절개부(82)의 끝부분으로 돌부(33)가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돌부(33)가 걸림부(83)에 걸림되도록 상기 캡(8) 자체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조작하게 되면 캡(8)은 장착부품(3)의 머리부(32)를 감싸도록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 연결되는 것이며(도 4 참조), 이때 상기 인터록 메탈호스(6)의 나선홈(61)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이동체(9)는 이동 조절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결국 상기 인장스프링(7)은 탄력적으로 인장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캡(8)을 도 4의 도시와 같이 장착부품(3) 쪽으로 강제 이동시켜서 상기 장착부품(3)에 고정 연결시켰을 때에는 탄력적으로 인장된 인장스프링(7)의 인장력은 이동체(9)를 끌어당기는데 집중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체(9)에 집중되는 인장스프링(7)의 인장력은 인터록 메탈호스(6)를 통해 측온접점(4)에 전달되므로 결국 상기 측온접점(4)은 인장스프링(7)의 인장력에 의해 온도측정용 구멍(21)의 폐구단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측온접점(4)은 가열실린더(2)의 내면과 가까운 위치에서 가열실린더(2)의 가열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되므로써 사출성형기에 투입되는 합성수지 원료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 가열온도로 가열되었는지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열전대(1)는 측온접점(4)이 온도측정용 구멍(21)의 폐구단에 탄력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인장스프링(7)이 가열실린더(2)에 고정 부착되는 장착부품(3)의 외측에 위치하여 인터록 메탈호스(6)를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측온접점(4)에 전달된 가열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전대(1)는 종래 기술과 같이 스프링의 탄성을 약화시키거나 또는 열감지선이 끊어지게 하는 요인을 배제하고, 사출성형기로 제품을 사출성형하는 동안 측온접점(4)이 항시 가열실린더(2)의 온도측정용 구멍(21) 폐구단에 동일한 탄력으로 정밀하게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써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1 : 열전대 2 : 가열실린더
21 : 온도측정용 구멍 3 : 장착부품
31 : 수나사부 32 : 머리부
33 : 돌부 4 : 측온접점
5 : 열감지선 51 : 절연부
6 : 인터록 메탈호스 61 : 나선홈
7 : 인장스프링 71,72 : 선단부 및 말단부
8 : 캡 81 : 감합부
82 : 절개부 83 : 걸림부
84 : 암나사부 9 : 이동체
91 : 이동조절용 암나사 92 : 고정용 암나사

Claims (2)

  1.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에 형성된 온도측정용 구멍에 나사조립으로 고정 부착되는 장착부품과, 상기 장착부품을 통해 온도측정용 구멍 속으로 삽입 설치되는 측온접점과, 일단은 상기 측온접점에 접속된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가열실린더 외부로 인출되는 열감지선과, 상기 열감지선을 감싸주는 상태로 조립되어 열감지선의 길이방향을 향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인장스프링과, 상기 인장스프링의 선단부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장착부품을 감싸주는 감합부와 상기 장착부품의 돌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절개부 및 상기 돌부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있는 캡으로 구성되는 열전대에 있어서,
    상기 열전대는,
    상기 인장스프링 및 캡의 내측에 위치한 채 상기 열감지선을 감싼 상태에서 일단은 측온접점에 용접으로 고정 설치된 채 타단은 열감지선의 길이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인터록 메탈호스와;
    상기 인장스프링의 말단부에 고정 연결된 채 상기 캡과 함께 상기 인터록 메탈호스를 감싼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인터록 메탈호스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나사조립되는 이동체;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 온도측정을 위한 측온접점 접촉이 향상된 열전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인장스프링의 선단부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이동체는 인장스프링의 말단부에 나사조립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 온도측정을 위한 측온접점 접촉이 향상된 열전대.
KR1020120039475A 2012-04-17 2012-04-17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 온도측정을 위한 측온접점 접촉이 향상된 열전대 KR101309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475A KR101309679B1 (ko) 2012-04-17 2012-04-17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 온도측정을 위한 측온접점 접촉이 향상된 열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475A KR101309679B1 (ko) 2012-04-17 2012-04-17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 온도측정을 위한 측온접점 접촉이 향상된 열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679B1 true KR101309679B1 (ko) 2013-09-23

Family

ID=4945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475A KR101309679B1 (ko) 2012-04-17 2012-04-17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 온도측정을 위한 측온접점 접촉이 향상된 열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6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09U (ko) * 2015-11-16 2017-05-24 김용국 금형용 열전대 센서
KR101879039B1 (ko) * 2016-07-27 2018-07-17 주식회사 포스코 온도측정장치
CN109228361A (zh) * 2018-10-27 2019-01-18 余姚市亿荣自动化科技有限公司 基于焊接机器人的一种自带缓冲的智能装置
KR20200041462A (ko) * 2018-10-12 2020-04-22 김원철 산업재해 예방 및 비산 먼지 방지용 굴착기 장착용 살수대
KR102265596B1 (ko) * 2021-01-29 2021-06-16 (주)두광엠에프지 세이프티 클로져 스프링 로드 타잎 온도 센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426A (ja) * 1994-07-14 1996-01-30 Nissei Plastics Ind Co 入子型金型装置
KR200153947Y1 (ko) 1996-07-02 1999-08-02 송구복 금형용 온도감지기
JPH11221843A (ja) * 1998-02-06 1999-08-17 Japan Steel Works Ltd:The 加熱シリンダにおける熱電対取付け部の構造
JP2002333372A (ja) 2001-05-07 2002-11-22 Japan Steel Works Ltd:The 温度検出素子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426A (ja) * 1994-07-14 1996-01-30 Nissei Plastics Ind Co 入子型金型装置
KR200153947Y1 (ko) 1996-07-02 1999-08-02 송구복 금형용 온도감지기
JPH11221843A (ja) * 1998-02-06 1999-08-17 Japan Steel Works Ltd:The 加熱シリンダにおける熱電対取付け部の構造
JP2002333372A (ja) 2001-05-07 2002-11-22 Japan Steel Works Ltd:The 温度検出素子取付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09U (ko) * 2015-11-16 2017-05-24 김용국 금형용 열전대 센서
KR200484878Y1 (ko) 2015-11-16 2017-11-02 김용국 금형용 열전대 센서
KR101879039B1 (ko) * 2016-07-27 2018-07-17 주식회사 포스코 온도측정장치
KR20200041462A (ko) * 2018-10-12 2020-04-22 김원철 산업재해 예방 및 비산 먼지 방지용 굴착기 장착용 살수대
KR102133093B1 (ko) * 2018-10-12 2020-07-21 김원철 산업재해 예방 및 비산 먼지 방지용 굴착기 장착용 살수대
CN109228361A (zh) * 2018-10-27 2019-01-18 余姚市亿荣自动化科技有限公司 基于焊接机器人的一种自带缓冲的智能装置
CN109228361B (zh) * 2018-10-27 2024-02-06 宁波亿荣自动化科技有限公司 基于焊接机器人的一种自带缓冲的智能装置
KR102265596B1 (ko) * 2021-01-29 2021-06-16 (주)두광엠에프지 세이프티 클로져 스프링 로드 타잎 온도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679B1 (ko) 사출성형기의 가열실린더 온도측정을 위한 측온접점 접촉이 향상된 열전대
US20140070454A1 (en) Die for insert molding and method for insert molding of collar
RU2579527C1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а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WO2011162097A1 (ja) 射出成形機
KR101514048B1 (ko) 열전대 온도 측정 장치
KR101958196B1 (ko) 치아치료를 위한 충전물 주입용 가열팁
KR200476661Y1 (ko) 핫런너 사출금형에 사용되는 노즐
KR20090003997A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노즐 및 그 제조방법
KR200436665Y1 (ko) 냉장고용 와이어 고정장치
KR102585614B1 (ko) 열가소성 혼합물 압출기용 온도 프로브
CN214820284U (zh) 一种带有保温料筒的注塑机
JP3209156U (ja) 射出成形機用ノズルヒーター
KR101647276B1 (ko) 열전도 차단 및 방수기능을 갖는 리드선 연결부를 구비한 카트리지히터
US2883640A (en) Transformer bushing assembly
CN203901674U (zh) 一种分流板热电偶装置
KR101745607B1 (ko) 커넥터
KR101354186B1 (ko) 사출 성형용 밸브장치
EP0689923B1 (en) A nozzle for the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materials
CN107576412B (zh) 车辆用温度传感器及其制造方法
KR200153947Y1 (ko) 금형용 온도감지기
JP2008105295A (ja) 樹脂成形用金型
KR20160042665A (ko) 사출 성형기용 노즐 조립체
JP2014073606A (ja) 温度計取付け構造および該構造を備えた加熱シリンダ
AU2018102109A4 (en) Encapsulation shroud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101781370B1 (ko) 사출성형기용 노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