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278B1 - Jigsaw puzzle - Google Patents

Jigsaw puzz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278B1
KR101309278B1 KR1020130000856A KR20130000856A KR101309278B1 KR 101309278 B1 KR101309278 B1 KR 101309278B1 KR 1020130000856 A KR1020130000856 A KR 1020130000856A KR 20130000856 A KR20130000856 A KR 20130000856A KR 101309278 B1 KR101309278 B1 KR 101309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s
piece
answer
jigsaw puzzl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경준
Original Assignee
박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준 filed Critical 박경준
Priority to KR1020130000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2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2009/1072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PURPOSE: A jigsaw puzzle is provided to allow a user to find questions and answers described on tools and pieces while assembling puzzles. CONSTITUTION: A jigsaw puzzle (100) includes pieces (1) which are printed with an image and a hint tool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assembly location. The images of the pieces are the same. A question is displayed on one of either the hint tool or the pieces. An answer is displayed on the other of either the hint tool or the pieces. Two or more pieces with the same images have shape similarity and have a discrepant section. The length of the discrepant section is 8-15% against the total length. The area of the discrepant section is 0.5-2% against the total area.

Description

직소 퍼즐{jigsaw puzzle}Jigsaw puzzle

본 발명은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직소 퍼즐에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igsaw puzzle that can expect an educational effect.

직소 퍼즐은 서로 연결 가능한 다수의 피스를 조립하여, 대개 하나의 큰 그림을 형성시키는 놀이 기구이다. 피스들은 때때로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에게 혼동을 주며, 피스 표면에 인쇄된 그림의 형태와 피스의 형상의 특징을 힌트로 하여 사용자가 맞는 위치에 피스들을 연결할 수 있게 하고 있다. A jigsaw puzzle is a play equipment that assembles a plurality of pieces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usually forms one large picture. Pieces sometimes have a similar shape which confuses the user and allows the user to connect the pieces in the right position by hinting at the shape of the figur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pie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of the piece.

직소 퍼즐은 피스가 조립되는 바닥판이 제공되는 것과, 그렇지 아니하는 경우로 구분된다. 바닥판을 제공하는 직소 퍼즐은 대체로 적은 수의 피스를 구비하는 것들로 아동을 대상으로 시판되고 있다. 반면에 바닥판이 없는 직소 퍼즐은 500개, 1000개, 2000개 이상의 피스들을 구비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Jigsaw puzzles are divided into those provided with the base plate on which the pieces are assembled and those that do not. Jigsaw puzzles that provide the bottom plate are generally marketed for children with those having a small number of pieces. On the other hand, jigsaw puzzles without bottom plates are often equipped with 500, 1000, or more than 2000 piece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0041호 (2010.07.0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80041 (2010.07.08)

본 발명은 퍼즐의 피스를 조립하는 과정 중에 텍스트로 기재되어 있는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하여, 퍼즐의 맞히는 재미와 함께 교육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하는 직소 퍼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igsaw puzzle that can learn a variety of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text dur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puzzle piece, to achieve the effect of education with the fun of matching the puzzle.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피스들을 조립하는 과정 중에 텍스트로 정리된 힌트를 찾아보도록 강제할 수 있는 피스들을 제공한다. Specifically, it provides pieces that can force the user to look for hints organized by text during the assembly of the pieces.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표면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피스들과, 상기 피스가 조립되는 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힌트도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각기 조립되는 위치가 서로 치환되지 않는 수준의 외형 유사도를 가지면서, 각 표면의 이미지는 동일하고, 상기 힌트도구와 상기 피스의 배면 중 어느 하나에는 문제가 기재되고, 나머지에는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이 기재되어 있는 직소 퍼즐을 제시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comprising a plurality of pieces with an image printed on the surface, and a hint tool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osition where the pieces are assembled, at least one of the pieces At least two of the surfaces have the same level of similarity in which the assembled positions are not replaced with each other, while the image of each surface is the same, and the problem is described on any one of the hint tool and the back of the piece, and the rest on the problem. Present the jigsaw puzzle with the corresponding answer.

여기서, 상기 외형 유사도는 서로 대응하는 상기 피스들을 상하로 겹쳐 보았을 때에, 외형상 불일치하는 차별구간이 있고, 상기 차별구간은 어느 한 피스의 둘레의 전체 길이 중 8% 내지 15%에서 나타나며, 상기 차별구간의 면적은 상기 피스의 전체 면적 중 0.5% 내지 2%를 차지할 수 있다. Here, when the appearance similarity overlaps the pie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up and down, there is a discrimination section that is inconsistent in appearance, and the discrimination section appears at 8% to 15% of the entire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any one piece, The area of the section may occupy 0.5% to 2% of the total area of the piece.

또한, 각기 조립되는 위치가 서로 치환되지 않는 수준의 외형 유사도와 동일한 이미지를 가지는 복수의 피스는 하나의 집합을 이루고 있고, 상기 집합은 이미지를 달리하며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an image having the same level of image similarity as the level where the respective assembled positions are not replaced with each other form a set, and the se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images.

나아가, 상기 힌트도구는 상기 피스의 배면에 기재된 문제 또는 답에 대응하는 답 또는 문제가 기재되어 있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시트로 제공되고, 상기 시트에 기재되는 답 또는 문제는, 답 또는 문제가 기재된 상기 피스들이 다른 피스들과 조립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시트 상에 분포될 수 있다. Further, the hint tool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r more sheets in which the answer or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or answer described on the back side of the piece is described, and the answer or problem described in the sheet is the above described answer or problem. The pieces may be distributed on the shee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pieces are assembled with the other pieces.

나아가, 상기 시트에 기재되는 답 또는 문제는, 답 또는 문제가 기재된 상기 피스들이 다른 피스들과 조립되는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시트 상에 축소 또는 확대되어 분포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answer or problem described in the sheet may be reduced or enlarged and distributed on the sheet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 pieces in which the answer or problem are described are assembled with the other pieces.

또한, 상기 힌트도구는 각 피스의 조립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hint tool may be a bottom plate on which a guide part indicating an assembly position of each piece is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형 유사도를 가지며 이미지가 동일한 복수의 피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힌트도구를 참고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직소 퍼즐을 맞추어가면서 힌트도구와 피스에 기재된 문제와 답을 찾도록 강제한다. 이와 같은 문제와 답이 가지는 교육적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an appearance similarity and having the same image, the user is referred to the hint tool, thereby forcing the jigsaw puzzle to find the problems and answers described in the hint tool and the piece.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obtain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se questions and answers.

별도의 시트로 제공되는 힌트도구는 제한된 면적을 가지는 피스의 배면에 비하여 섹션의 선정에 따라 얼마든지 확대할 수 있으므로, 긴 문장의 문제, 답 또는 해설 등을 기재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시트에 배치란과 기재란을 개별적으로 표시함으로써, 긴 문장의 문제 등을 공간의 제약 없이 기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문제 등을 긴 문장으로 기재할 수 있으므로, 전문성이 있거나 복잡한 난이도 있는 문제를 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지식의 깊이를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hint tool, which is provided as a separate sheet, can be enlarged as much as the section is selected, compared to the back side of the piece having a limited area, so that a long sentence problem, answer, or commentary can be written. Furthermore, by displaying the arrangement column and the description column separately on the sheet, it is possible to describe the problem of a long sentence and the like without limitation of space. As such, since the problem may be described in a long sentence, it is possible to raise a problem with expertise or a complicated difficulty, and to increase the depth of knowledge that can be delivered to a user.

같은 외형 유사도를 가지면서 동일한 이미지를 가지는 피스들로 이루어진 집합이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직소 퍼즐에 문제와 답의 분포가 가능해진다. 또한 조립된 직소 퍼즐에서 구현할 수 있는 동일한 이미지의 영역이 증대하므로, 다채로운 그림이나 사진의 연출이 가능하여 미적 효과를 늘릴 수 있다.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ets of pieces having the same appearance similarity and having the same image,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problems and answers in a jigsaw puzzle. In addition, since the area of the same image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assembled jigsaw puzzle increase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ariety of pictures or photos, thereby increasing the aesthetic effect.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either through the specific details described below, or during the course of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소 퍼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채용된 피스를 나타낸 것으로, (a)와 (b)는 유사한 관계에 있는 피스의 평면도이고, (c)는 (a)와 (b)에 도시된 두 피스를 겹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채용된 바닥판과 피스들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소 퍼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a)는 직소 퍼즐의 분할 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섹션1을 확대한 도면이며, (c)는 섹션1에 해당하는 힌트도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a)는 직소 퍼즐의 일부분에 대한 평면도이고, (b)는 (a)에 해당되는 힌트도구를 나타낸 평면도.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jigsaw puzz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piece employed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 in which (a) and (b) are plan views of pieces having a similar relationship, and (c) is shown in (a) and (b). Plan view showing overlapped two pieces.
3 shows a bottom plate and pieces employed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jigsaw puzz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relates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4, wherein (a) shows the divisional relationship of the jigsaw puzzle, (b) is an enlarged view of section 1, and (c) corresponds to section 1 Drawing showing a hint tool.
Figure 6 relates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of a part of a jigsaw puzzle, (b) is a plan view showing a hint tool corresponding to (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소 퍼즐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jigsaw pu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embodiments.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constituent elements whose technical meaning is within the same range for convenience. That is, any one configuration may be arbitrarily referred to as a 'first configuration' or a 'second configuration'.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herefore,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by any of the details of the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standpoi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any or all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the shape,

본 발명에서 직소 퍼즐은 퍼즐 조각인 복수의 피스(piece)와, 피스가 놓이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힌트도구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jigsaw puzzle includes a plurality of pieces, which are pieces of a puzzle, and a hint tool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at which the pieces are placed.

각 피스는 2차원 평면에서 조립되는 것들로, 두꺼운 종이나 합성수지 시트를 특정한 곡선을 가지는 패턴에 따라 잘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피스는 3차원적인 결합이 가능한 블록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피스가 2차원 평면에서 조립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Each piece is assembled in a two-dimensional plane, and can be manufactured by cutting a thick sheet of paper or a resin sheet according to a pattern having a specific curve. Alternatively, pieces can be blocks that can be combined in three dimension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iece is limited to being assembled in a two-dimensional plane.

각 피스의 표면에는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다. 이 이미지는 직소 퍼즐을 완성하였을 때에 제시되는 어떤 그림이나 사진의 일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각 피스를 올바르게 조립하면, 각 피스의 이미지는 하나의 큰 그림 또는 사진을 형성한다.An image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each piece. This image occupies part of any picture or photograph presented when completing the jigsaw puzzle. Thus, when each piece is assembled correctly, the image of each piece forms one large picture or photograph.

본 발명에서 일부의 피스들의 외형은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각 피스가 올바르게 조립되어야 하는 제 위치가 아니라 다른 피스의 자리에 오조립된다면, 이후의 피스가 조립되지 아니하여 전체 직소 퍼즐의 조립이 불가능하다. 즉, 일부의 피스들은 각기 조립되는 위치가 서로 치환되지 아니하는 수준의 외형 유사도를 갖는다. 이러한 외형 유사도에 대하여서는 추후 자세히 설명한다. The appearance of some piece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imilar. However, if each piece is misassembled in place of another piece rather than in the correct position, then the subsequent piece is not assembled and the assembly of the entire jigsaw puzzle is impossible. That is, some of the pieces have an appearance similarity level at which the assembled positions are not replaced with each other. The appearance similarity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또한 전술한 외형 유사도의 수준으로 유사한 외형을 갖는 피스들에 인쇄된 이미지는 동일하다. 따라서 외형이 유사한 피스들의 구별은 이미지의 식별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여기서 이미지는 색상, 색감, 무늬나 도형의 반복적 배열 등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images printed on the pieces having similar appearances at the level of appearance similarity described above are the same. Therefore, the distinction of the pieces with similar appearance cannot be made only by the identification of the image. Here, the image is composed of colors, colors, repetitive arrangements of patterns or figures.

외형 유사도를 가지면서 이미지가 동일한 피스는 복수가 구비되어 집합을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집합들은 복수가 될 수 있다. 이때, 집합들은 외형이 서로 다르거나 이미지가 서로 다름으로써 구별된다. 또한, 집합들은 외형과 이미지가 모두 다름으로써 구별될 수 있다. Pieces having the image similarity and the same image are provided in plural to form a set. These sets can be plural. In this case, sets are distinguished by different appearances or different images. In addition, sets can be distinguished by different appearances and images.

하나의 직소 퍼즐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술한 집합이 존재한다. 그러나 모든 피스가 어느 집합에 반드시 속할 필요는 없다. 피스들 중에는 일부는 어느 집합에도 속하지 아니할 수 있다. In one jigsaw puzzle, there is at least one set as described above. But not all pieces necessarily belong to any set. Some of the pieces may not belong to any set.

한편, 힌트도구는 이미지가 동일하고 외형이 유사한 피스가 조립되는 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부재이다. 또한, 힌트도구는 상기 피스의 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문제를 해결하고, 답을 찾도록 강제한다. 힌트도구는 실시예에 따라 피스가 오르는 바닥판이 되거나, 별도의 시트나 책자 등으로 제공되는 설명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판과 시트 등에 대해서는 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hint tool is a memb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osition where the pieces with the same image and similar appearance are assembled. In addition, the hint tool forces the user to solve the problem and find an answer to provide the piece in place. In some embodiments, the hint tool may be a bottom plate on which the piece rises, or a manual provided as a separate sheet or booklet. Such bottom plates and sheet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피스의 배면에는 문제나 답이 기재되어 있으며, 힌트도구에는 피스 배면에 기재된 문제나 답에 대응하는 답이나 문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힌트도구에는 피스의 2차원적 조립 위치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어, 사용자는 힌트도구의 문제에 대한 피스의 답을 맞히는 방식으로, 어느 위치에 어떤 피스가 조립되어야 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와 답의 형식은 일반 상식, 퀴즈, 수학적 연산문제 등 그 분야가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problem or answer is written on the back of the piece, and the hint tool describes the answer or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or answer on the back of the piece. The hint tool also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two-dimensional assembly position of the piece, so that the user can know which piece should be assembled at which position by answering the piece's answer to the problem of the hint tool. The format of these questions and answers is not limited to those areas such as common sense, quiz, and mathematical arithmetic problem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소 퍼즐과 관련된다. 1 to 3 relate to a jigsaw puzz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에 따른 직소 퍼즐(100)은 외형 유사도를 가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피스들(1)과, 이러한 피스들(1)의 조립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힌트도구로써 바닥판(2)을 포함한다. The jigsaw puzz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uses the bottom plate 2 as a hint tool to provide information on at least two or more pieces 1 having an appearance similarity and an assembly position of the pieces 1. Include.

도 1을 참고하면, 조립된 직소 퍼즐(100)은 언덕, 나무, 구름 및 배경을 나타내고 있다. 언덕, 나무의 기둥, 나뭇잎, 구름의 각 영역은 균일한 이미지를 이루고 있다. 일례로, 이미지가 하나의 색상만으로 이루어진다고 보면, 언덕의 영역은 초록의 단색으로 칠해진 복수의 퍼즐들로 이루어지며, 나뭇잎의 영역, 구름의 영역, 나무의 기둥의 영역 및 배경의 영역은 각기 진한 초록색, 회색, 갈색, 하늘색의 단색으로 이루어진다. 각 영역은 복수의 퍼즐들이 조립되어 표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어느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과 경계를 이루는 피스들을 제외한다면, 한 영역의 피스들은 동일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이웃하는 영역들의 경계를 구성하는 피스들은 2종의 색상으로 인쇄되어, 이미지만으로 독자적인 인식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 the assembled jigsaw puzzle 100 shows hills, trees, clouds, and a background. The hills, pillars of trees, leaves, and clouds form a uniform image. For example, if an image consists of only one color, the area of the hill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puzzles painted in solid green, and the area of the leaves, the area of the clouds, the area of the pillars of the tree and the area of the background are dark. It consists of solid colors of green, grey, brown and light blue. Each area represents a plurality of puzzles assembled. Thus, except for a piece that borders another area in one area, the pieces in one area have the same image. Here, the pieces constituting the boundary between neighboring regions are printed in two colors, and can be independently recognized only by the image.

도 1과 도 2에는 언덕의 영역을 구성하면서 외형적으로 매우 유사한 두 개의 피스들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괄호 안은 피스의 배면을 나타낸 것임을 밝혀 둔다. 도 2에서 (a)에 도시된 피스(이하, '제1피스'라 함)와 (b)에 도시된 피스(이하, '제2피스'라 함)는 외형이 유사하다.1 and 2 show two pieces that are very similar in appearance, making up the hill area. Here, it is noted that the parenthesis shown in FIG. 1 represents the back side of the piece. In FIG. 2, the piece shown in (a)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piece') and the piece shown in (b)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piece') are similar in appearance.

제1피스(1a)와 제2피스(1b)는 A 내지 D로 표시된 4 군데의 미소한 차별구간들을 제외하고는 둘레 형상이 동일하다. 이들 차별구간은 피스의 둘레 중 일부분에서 근소하게 곡률이 변경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차별구간이 형성하는 면적이 피스의 전체 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이들을 구별하기가 곤란하다. The first piece 1a and the second piece 1b have the same circumferential shape except for four minute discrimination sections indicated by A to D. FIG. These differentiation sections are formed by changing the curvature slightly in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piece, and since the area formed by the discrimination section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piec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visually distinguish them.

그러나 차별구간의 존재로 인하여, 직소 퍼즐에서 제1피스(1a)가 결합할 자리에 제2피스(1b)가 놓인다면, A 내지 C 또는 D의 차별 구간으로 인하여 제1피스의 좌측과 우측에 연결되어야 하는 또 다른 피스들이 결합될 수 없다. However, if the second piece 1b is placed in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piece 1a is to be combined in the jigsaw puzzle due to the existence of the discrimination sec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piece are disposed due to the discrimination section of A to C or D. Still other pieces to be connected cannot be joined.

사용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직소 퍼즐과 달리, 제1피스(1a)와 제2피스(1b)를 외형의 차이점만으로는 효과적으로 구별할 수 없다. 즉, 사용자는 차별구간을 육안으로 인식하여 제1피스(1a)와 제2피스(1b)의 차이를 거의 알 수 없다. Unlike the jigsaw puzz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user cannot effectively distinguish between the first piece 1a and the second piece 1b only by the difference in appearance. That is, the user recognizes the discrimination section with the naked eye, so that the user hardly kn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iece 1a and the second piece 1b.

또한 제1피스(1a)와 제2피스(1b)는 모두 구름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그 표면의 이미지가 회색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쇄된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1피스(1a)와 제2피스(1b)를 구별할 수 없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piece 1a and the second piece 1b both belong to the cloud area, and the image of the surface thereof is the same in gray, the first piece 1a and the second piece are based on the printed image. The piece 1b cannot be distinguished.

결국, 사용자는 제1피스(1a)와 제2피스(1b)의 조립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힌트도구를 이용하도록 강제된다.
As a result, the user is forced to use a hint tool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first piece 1a and the second piece 1b.

도 2를 참고하여 제1피스와 제2피스의 외형 유사도를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ure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external similarity of the first piece and the second piece.

도 2의 (c)에는 제1피스와 제2피스를 상하로 겹쳐 놓은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 내지 D로 표시한 차별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는 제1피스와 제2피스가 서로 일치한다. In FIG. 2C, the first and second pieces are piled up and dow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pieces coincide with each other except for the discrimination section indicated by A to D.

어느 한 피스의 둘레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차별구간이 나타나는 둘레 길이들의 전체 합은 8% 내지 15%이다. 즉, 제1피스와 제2피스의 둘레 길이 중 85% 내지 92%가 동일하고, 나머지 8% 내지 15%에서 차이가 있게 된다. 이러한 둘레 길이의 차이는 주로 피스의 둘레를 이루는 곡선의 곡률 변경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total sum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s in which the discrimination intervals appear with respect to the total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one piece is 8% to 15%. That is, 85% to 92%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pieces are the same,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maining 8% to 15%. This difference in the circumferential length is mainly caused by the change in the curvature of the curve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ece.

또한, 차별구간의 면적은 어느 한 피스의 전체 면적 중 0.5% 내지 2% 범위 내이다. In addition, the area of the discrimination section is in the range of 0.5% to 2% of the total area of any one piece.

성인 남녀 50명을 실험인으로 하여, 혼합한 제1피스의 3 조각과 제2피스의 3 조각을 동일한 것들끼리 분리하도록 실험하였다. Using 50 adult men and women as experimenters, three pieces of the mixed first piece and three pieces of the second piece were tested to separate the same ones.

제1피스와 제2피스의 차별구간의 길이가 어느 한 피스의 전체 둘레 길이의 15%를 초과하면서, 차별구간의 면적이 어느 한 피스의 전체 면적의 2%를 초과하도록 구성한 경우, 실험자들이 제1피스와 제2피스를 성공적으로 분리하는 경우가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If the length of the discriminating 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eces exceeds 15% of the total circumferential length of any one piece, and the area of the discriminating section is configured to exceed 2% of the total area of any one piece, the experimenter The successful separation of one piece and the second piece began to surge.

한편, 제1피스와 제2피스의 차별구간의 길이가 어느 한 피스의 둘레 길이의 8% 미만이면서, 차별구간의 면적이 어느 한 피스의 0.5% 미만인 경우에는, 제1피스와 제2피스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도, 전체 직소 퍼즐의 조립이 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피스의 제조 오차가 차별구간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로 판단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gth of the discriminating section of the first piece and the second piece is less than 8%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any one piece and the area of the discriminating section is less than 0.5% of any one piece, Even when the position was chang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ssembly of the entire jigsaw puzzle was possible. This is considered to be a problem caused by the manufacturing error of the piece is formed larger than the discrimination section.

이러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사용자가 외형의 유사성으로 인하여 제1피스와 제2피스를 성공적으로 구분할 수 없고, 각기 조립되는 위치가 서로 치환되지 아니하는 수준의 외형 유사도는, 차별구간의 길이는 어느 한 피스의 둘레의 전체 길이 중 8% 내지 15% 이고, 이 차별구간의 면적은 상기 피스의 전체 면적 중 0.5% 내지 2%를 차지하는 경우임을 알 수 있다.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user can not successfully distinguish the first piece and the second piece due to the similarity of the appearance, and the appearance similarity of the level where the assembled positions are not replaced with each other, the length of the discrimination section is It can be seen that it is 8% to 15% of the total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the piece, and the area of the discriminating section occupies 0.5% to 2% of the total area of the piece.

도 3에는 제1실시예의 힌트도구로써 바닥판(2)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a)는 구름의 영역에 해당하는 몇몇의 피스들을 나타낸 것이고, (c)는 나뭇잎 영역에 해당하는 몇몇의 피스들을 나타낸 것이다. 3 shows the bottom plate 2 as a hint tool of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a) of Figure 3 shows some pieces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cloud, (c) shows a few pieces corresponding to the leaf area.

먼저 바닥판(2)을 살펴보면, 바닥판(2)은 퍼즐들이 오르는 판재(21)와, 판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있는 턱부재(22)를 포함한다. 조립되 퍼즐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턱부재(22)는 생략될 수 있다.First, looking at the bottom plate 2, the bottom plate 2 includes a plate 21, the jigsaw rises, and a jaw member 22 protruding along the edge of the plate. The jaw member 22 that is assembled to form the edge of the puzzle can be omitted.

판재(21)에는 각 피스의 조립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11)는 각 피스의 외형에 따라 판재의 표면을 함몰시켜 홈 형성한 것이거나, 각 피스의 외형을 따라 판재의 표면에 그려진 곡선 등이다. 이러한 가이드부(211)는 생략될 수 있다. The board | plate material 21 is provided with the guide part 211 which shows the assembly position of each piece. The guide portion 211 is a groove formed by recessing the surface of the plate according to the outer shape of each piece, or a curve drawn on the surface of the plate along the outer shape of each piece. The guide part 211 may be omitted.

판재(21)에는 피스가 조립될 제 위치에 대응하여 문제 또는 답이 기재되어 있다. 도 3의 (c)에서 바닥판(2)의 좌측 상부(구름의 영역)에는 'WINE'과 '6×9'가 기재되어 있다. 사용자는 정 위치가 어디인지 혼동되는 도 3의 (a)의 2개의 피스를, 'WINE'과 관련된 'GRAPH'의 기재와, '6×9'의 답인 '54'의 기재를 통하여 구분할 수 있다. The plate 21 describes the problem or answ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 which the piece is to be assembled. In FIG. 3C, 'WINE' and '6 × 9' are described in the upper left portion (cloud area) of the bottom plate 2. The user can distinguish the two pieces of (a) of FIG. 3, which are confused where the correct position is, through the description of GRAPH associated with WINE and the description of 54, which is a 6 × 9 answer. .

판재에 기재되는 문제나 답은 해당 피스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므로, 사용자는 판재와 피스에 기재된 문제와 답을 맞히는 과정 중에 피스가 조립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Since the problem or answer described in the sheet corresponds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piece is joined, the user can find information about where the piece will be assembled during the process of matching the problem described in the sheet and the piece.

도면에서는 구름의 영역을 구성하는 피스들 중 2개의 피스(1a, 1b)에 문제 또는 답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달리, 외형 유사도와 이미지의 동일로 인하여 힌트도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는 피스들의 수는 둘 이상의 복수가 될 수 있다. In the figure, a problem or answer is described in two pieces 1a and 1b of the pieces constituting the area of the cloud. Alternatively, the number of pieces that need to refer to the hint tool may be two or more plural due to the appearance similarity and the same image.

나아가, 직소 퍼즐을 구성하는 모든 피스의 배면에는 문제나 답이 기재되고, 바닥판에는 그에 대한 답이나 문제가 기재될 수도 있다.
Furthermore, a problem or answer may be written on the back of every piece constituting the jigsaw puzzle, and the answer or problem may be described on the bottom plate.

한편, 각기 조립되는 위치가 서로 치환되지 않는 수준의 외형 유사도와 동일한 이미지를 가지는 복수의 피스는 하나의 집합을 이루며, 이러한 집합의 수는 복수가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the same image with the same degree of appearance similarity that each of the assembled position is not replaced with each other forms a set, the number of such sets may be a plurality.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구름 영역의 회색 이미지를 가지며, 외형 유사도를 갖는 2개의 피스가 제1집합(C1)을 이루고, 나뭇잎 영역에서는 진한 초록색의 이미지를 가지며 외형 유사도를 갖는 6개의 피스가 제2집합(C2)을 이루고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3, two pieces having a gray image of a cloud area, and having a similarity in appearance form the first set C1, and a dark green image in the leaf area, and 6 having an appearance similarity. Pieces form the second set C2.

이러한 제1집합(C1)과 제2집합(C2)은 서로 다른 이미지에 의해 양자가 구별되지만, 각 집합에 속하며 외형이 유사한 피스들은 동일한 이미지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름 영역과 나뭇잎 영역뿐만 아니라, 배경 영역, 나무의 기둥 영역 및 언덕 영역에도 유사한 외형의 피스들이 각기 집합을 구성할 수 있다. The first set C1 and the second set C2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different images, but pieces belonging to each set and similar in appearance have the same image.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similar pieces may form a set not only in the cloud area and the leaf area but also in the background area, the pillar area and the hill area of the tree.

하나의 직소 퍼즐에 복수의 집합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조립된 직소 퍼즐이 구현하는 그림이나 사진을 다채롭게 하면서도 사용자가 집합별로 유사한 피스를 취합할 수 있게 된다.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ets in one jigsaw puzzle, the user can collect similar pieces for each set while diversifying the pictures or photos implemented by the assembled jigsaw puzzles.

도 4 내지 도 5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직소 퍼즐과 관련된 도면들이다.4 to 5 are views related to the jigsaw puzz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제2실시예에 따른 직소 퍼즐(100)은 복수의 피스들과, 힌트도구로서의 한 장 이상의 시트(3)를 포함한다. 피스들 중에 둘 이상의 피스가 전술한 외형 유사도에 의한 유사 형상을 가지면서 동일한 이미지를 가지는 점과, 이러한 피스들과 힌트도구에는 문제와 답이 기재되어 있는 점, 힌트도구가 조립 위치가 혼동되는 피스들의 제 조립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점 등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The jigsaw puzzl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pieces and at least one sheet 3 as a hint tool. Two or more pieces of the pieces have similar shapes by the above-mentioned appearance similarity and have the same image, the pieces and the hint tool have problems and answers described, and the piece where the hint tool is confused with the assembly position. The point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first assembling position of these parts is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conflict with what is demonstrated below.

도 4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의 직소 퍼즐에 비하여 많은 수의 피스가 구비됨으로써 완성된 직소 퍼즐의 면적이 증대됨을 알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완성된 직소 퍼즐은 달과 구름 그리고 2개의 산맥들을 표현하고 있다. 물론, 완성된 직소 퍼즐의 그림이나 사진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area of the completed jigsaw puzzle is increased by providing a greater number of pieces than the jigsaw puzz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jigsaw puzzle completed in the second embodiment represents the moon, clouds and two mountain ranges. Of course, the picture or photo of the completed jigsaw puzzl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도 5의 (a)에서 전체 직소 퍼즐을 8등분하여 8개의 섹션(S)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섹션들(S)의 사이즈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더 작거나 커질 수 있다. In FIG. 5A, the entire jigsaw puzzle is divided into eight sections and divided into eight sections S. FIG. The size of these sections S may be smaller or larger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manufacturer, as described below.

도 5의 (b)는 도 5의 (a)에서 구획된 섹션들(S) 중 좌측 최상단에 위치한 섹션 1(S1)을 확대한 것이다. 도면에서, 피스에 기재된 문구는 배면에 기재되어 있어, 원래는 직소 퍼즐에 조립되면 보이지 아니하는 것이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시한 것임을 밝혀 둔다.FIG. 5B is an enlarged view of section 1 S1 located at the top left of the sections S partitioned in FIG. 5A. In the drawings, the phrases described in the pieces are written on the back, so that they are originally invisible when assembled in a jigsaw puzzle, but are shown for clarity.

또한 도 5의 (c)는 섹션 1(S1)에 대응하는 힌트도구로 문제 또는 답이 기재된 한 장의 시트(3)이다. 이때, 시트(3)에 기재된 문제 또는 답의 위치는, 외형이 유사하며 동일한 이미지를 가지는 피스들의 각 조립 위치와 1대 1로 매칭된다. 즉, 시트에 기재된 문제들의 배치는 해당 문제 또는 답에 대응하는 답 또는 문제가 배면에 기재되어 있는 피스들의 조립 위치에 대응하는 것이다.5C is a sheet 3 of which a question or answer is described as a hint tool corresponding to section 1 (S1).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problem or answer described in the sheet 3 is matched one-to-one with each assembly position of the pieces whose appearance is similar and have the same image. That is, the arrangement of the problems described in the sheet corresponds to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pieces in which the answer or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or answer is described on the back side.

사용자는 섹션 1이 기재된 시트(3)를 참고하여, 시트(3)의 문제와 피스의 답을 맞추어 보는 방식으로, 외형 유사도를 가지며 이미지가 동일한 피스의 조립 위치를 찾을 수 있게 된다.With reference to the sheet 3 described in section 1, the user is able to find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piece with the appearance similarity and the same image by matching the piece's answer with the problem of the sheet 3.

이러한 시트(3)는 각 섹션 별로 제공됨으로써, 피스들과 함께 복수의 시트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This sheet 3 is provided for each section, whereby a plurality of sheets together with the pieces are provided to the user.

그러나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피스별 문제 또는 답은 한 장의 큰 시트에 모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시트는 한데 묶여 책자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However, depending on the author's choice, the piece-specific questions or answers may all appear on one large sheet.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sheets may be bundled together and provided in a book form.

제2실시예에 따르면 섹션(S)으로 분할하는 사이즈를 작게 할수록, 일정한 규격을 가지는 시트 상에 문제 또는 답을 길게 기재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maller the size to be divided into sections S, the longer the problem or answer can be written on the sheet having a certain standard.

일례로, 도 5에서 한 장의 시트에는 35개의 피스(가로 5 피스들, 세로 7 피스들)에 대한 문제나 답을 기재할 수 있다. 시트의 면적은 동일하다고 할 때에, 섹션을 더욱 작게 설정하면(일례로, 가로 4 피스들, 세로 5 피스들), 시트에 문제나 답을 기재할 공간을 더 많이 획득할 수 있다. 이로써 긴 설명이 요구되는 문제나, 교육적 목적에서 필요한 답에 대한 부가 설명이나 주석 등을 더 기재할 수 있게 된다. 어려운 문제와 답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부가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5, one sheet may describe a question or answer about 35 pieces (5 pieces by 7 pieces). Given that the area of the sheet is the same, setting the section smaller (for example, 4 pieces horizontally and 5 pieces vertically) can give more space to write a question or answer on the sheet. This allows additional explanations or comments on questions requiring long explanations or answers needed for educational purposes.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can be increased by adding sufficient explanations of difficult questions and answers.

도 6에는 제3실시예에 따른 직소 퍼즐과 관련된 도면들이다.6 are diagrams related to a jigsaw puzz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제3실시예에 따른 직소 퍼즐은 복수의 피스들과, 힌트도구로서의 한 장 이상의 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피스들 중에 둘 이상의 피스가 외형 유사도와 동일한 이미지를 가지는 점 등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전술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The jigsaw puzz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pieces and at least one sheet as a hint tool. Further, the point in which two or more pieces of the pieces have the same image as the appearance similarity and the like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not conflicted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6의 (a)에 도시된 도면은, 도 5의 (b)와 마찬가지로 전체 직소 퍼즐의 일부분이다. 도 6의 (b)에 도시된 시트(3)는, 제3실시예에 따른 힌트도구이다. 6A is a part of the entire jigsaw puzzle similarly to FIG. 5B. The sheet 3 shown in Fig. 6B is a hint too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제3실시예에 따른 시트(3)에는 Q1, Q2, Q3 등의 구분자(F)를 통해 목록화되어 있는 문제들이 답들이 기재되어 있는 기재란(31)이 포함된다. 또한, 시트에는 상기 구분자들이, 외형이 유사하며 이미지가 동일한 피스들의 올바른 조립 위치 관계에 따라 축소 또는 확대되어 배치되어 있는 배치란(32)이 포함된다. 생략 가능한 것으로, 어느 섹션을 나타내고 있는 지를 알려주는 섹션안내란(3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sheet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description column 31 in which answers are listed with questions listed through the delimiter F such as Q1, Q2, Q3, and the like. The sheet also includes an arrangement field 32 in which the separators are arranged in a reduced or enlarged manner according to the correct assembly position relationship of the pieces with similar appearances and identical images. As an omission, a section guide column 33 indicating which section is indicated may be further included.

구분자(F)는 시트에 기재된 어느 한 문제나 답을 대표하는 것으로써, 구분자(F)는 문자 외에 도안, 기호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delimiter (F) represents any one of the questions or answers described in the sheet, and the delimiter (F) may be variously changed into a pattern, a symbol, etc. in addition to the character.

배치란(32)에 기재된 구분자들(F)의 배치는, 구분자(F)가 가르키는 문제 또는 답과 짝을 이루는 실제 피스들의 조립 위치 관계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배치란(32)의 구분자(F)는 기재란(31)의 문제와 피스(피스의 배면에 기재된 답)를 매칭시킨다. The arrangement of the separators F described in the arrangement column 32 is made according to the assembly position relationship of the actual pieces paired with the problem or answer indicated by the separator F. That is, the separator F of the arrangement column 32 matches the problem of the base column 31 and the piece (the answer described on the back of the piece).

답이 기재된 피스들의 상대적인 위치는, 배치란(32)에 기재되는 구분자들(F)의 위치 관계에 대응된다. 섹션(S)와 배치란(32)의 축적 관계는, 답이 기재된 피스들 간의 실질적인 배치와 배치란에 기재된 구분자들의 배치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pieces in which the answer is described corresponds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separators F described in the arrangement column 32. The accumulation relationship of the section S and the placement column 32 applies equally to the arrangement of the separators described in the arrangement column and the actual arrangement between the pieces in which the answers are described.

사용자는 피스의 조립 과정 중 외형의 유사성과 이미지의 동일로 인하여 피스의 조립 위치를 알 수 없을 때에, 시트의 배치란(32)을 보고 구분자(F)를 찾고, 구분자(F)가 가리키는 문제를 풀어내 이에 대응하는 답이 기재된 피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cannot know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piece due to the similarity of the appearance and the same image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piece, the user finds the separator (F) by looking at the arrangement field (32) of the sheet, and identifies the problem that the separator (F) points to. You will be able to select the piece whose answer is listed.

제3실시예에 따른 시트(3)는 배치란(32)과 별도로 기재란(31)을 구비함으로써, 기재란에 기재되는 문제나 답의 길이에 사실상 제약이 없다. 또한 기재란에는 문제나 답에 주석이나 부연 설명을 충분히 길게 기재할 수 있어, 전문적이고 복잡한 주제에 대한 교육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The sheet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the base column 31 separately from the arrangement column 32, so that there is virtually no restriction on the length of the problem or the answer described in the base column. In addition, comments and additional explanations can be written long enough to answer questions or answers,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on specialized and complex topics.

도시하지 아니한 또 다른 실시예로, 한 장의 시트는 배치란으로 채우고, 다른 시트에는 기재란만으로 채울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not shown, one sheet may be filled with batch columns, and the other sheet may be filled with only base sheets.

100 : 직소 퍼즐
1 : 피스
1a : 제1피스 1b : 제2피스 C1 : 제1집합 C2 : 제2집합
A, B, C, D : 차별구간 S : 섹션 S1 : 섹션 1
2 : 바닥판
21 : 판재 211 : 가이드부 22 : 턱부재
3 : 시트
31 : 기재란 32 : 배치란 33 : 섹션안내란 F : 구분자
100: Jigsaw Puzzle
1: piece
1a: first piece 1b: second piece C1: first set C2: second set
A, B, C, D: Discrimination S: Section S1: Section 1
2: bottom plate
21: plate 211: guide portion 22: jaw member
3: sheet
31: Field 32: Arrangement 33: Section Guide Field F: Separator

Claims (6)

표면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피스와, 상기 복수의 피스가 조립되는 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힌트도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피스 중 둘 이상은 표면의 이미지가 서로 동일하며,
상기 힌트도구와 상기 피스의 배면 중 어느 하나에는 문제가 기재되고, 나머지에는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답이 기재되어 있고,

이미지가 동일한 상기 복수의 피스 중 둘 이상은 각기 조립되는 위치가 서로 치환되지 않는 수준의 외형 유사도를 가지며,
상기 외형 유사도는 피스들을 상하로 겹쳐 보았을 때에, 외형상 불일치하는 차별구간이 있고,
상기 차별구간은 어느 한 피스의 둘레의 전체 길이 중 8% 내지 15%에서 나타나고,
상기 차별구간의 면적은 어느 한 피스의 전체 면적 중 0.5% 내지 2%를 차지하는 직소 퍼즐.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an image print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a hint tool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pieces are assembled;
Two or more of the plurality of pieces have the same image on the surface,
The problem is described in any one of the hint tool and the back of the piece, and in the rest, the answer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is described.

Two or more of the plurality of pieces having the same image have an appearance similarity level at which each of the assembled positions is not replaced with each other,
The appearance similarity has a discrimination section which is inconsistent in appearance when the pieces are piled up and down,
The discrimination section appears at 8% to 15% of the total length of the perimeter of any one piece,
Jigsaw puzzle of the discrimination section occupies 0.5% to 2% of the total area of any one piece.
삭제delete 제1항에서,
동일한 이미지를 가지는 복수의 피스는 하나의 집합을 이루고 있고,
상기 집합은 이미지를 서로 달리하며 복수가 구비되어 있는 직소 퍼즐.
In claim 1,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the same image form a set,
The set is a jigsaw puzz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images.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힌트도구는
각 피스의 배면에 기재된 문제 또는 답에 대응하는 답 또는 문제가 기재되어 있는 적어도 한 장의 시트로 제공되고,

상기 시트에 기재되는 답 또는 문제는,
문제 또는 답이 기재된 상기 피스들이 올바른 조립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시트 상에 축소 또는 확대되어 분포되어 있는 직소 퍼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hint tool
Provided in at least one sheet describing the answer or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or answer described on the back of each piece,

The answer or problem described in the sheet,
A jigsaw puzzle in which the pieces in which a problem or answer is described are distributed down or enlarged on the sheet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ssembly position.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힌트도구는
상기 피스의 배면에 기재된 문제 또는 답에 대응하는 답 또는 문제가 기재되어 있는 적어도 한 장의 시트로 제공되고,

상기 시트에는
문제 또는 답이 기재된 피스들의 올바른 조립 위치에 대응하여 구분자들이 기재되는 배치란,
상기 구분자에 의해 목록화되어 있으며, 각 상기 구분자와 관련된 피스와 연관된 답 또는 문제가 기재되어 있는 기재란을 포함하는 직소 퍼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hint tool
Provided in at least one sheet describing an answer or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or answer described on the back of the piece,

On the sheet
The arrangement in which the separators are lis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rrect assembly position of the pieces in which the problem or answer is described,
A jigsaw puzzle, listed by the delimiter, comprising a description column describing an answer or question associated with a piece associated with each of the delimiters.
삭제delete
KR1020130000856A 2013-01-04 2013-01-04 Jigsaw puzzle KR101309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856A KR101309278B1 (en) 2013-01-04 2013-01-04 Jigsaw puzz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856A KR101309278B1 (en) 2013-01-04 2013-01-04 Jigsaw puzz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278B1 true KR101309278B1 (en) 2013-09-16

Family

ID=4945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856A KR101309278B1 (en) 2013-01-04 2013-01-04 Jigsaw puzz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27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759U (en) 2017-03-16 2018-10-01 송소혜 Jigsaw puzzle with separated area
KR20210094806A (en) 2020-01-22 2021-07-30 방정태 Puzzle including hidden inform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226A (en) * 1994-06-08 1995-12-19 Kyushu Kaihatsu Kikaku:Kk Jigsaw puzzle
KR20000073746A (en) * 1999-05-13 2000-12-05 전용기 Learning for puzzle
JP2003236260A (en) 2002-02-18 2003-08-26 Apple One:Kk Learning jigsaw puzzle toy
JP2011087718A (en) 2009-10-21 2011-05-06 Tenyo Co Ltd Jigsaw puzzle pieces and tray used to array jigsaw puzzle pie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226A (en) * 1994-06-08 1995-12-19 Kyushu Kaihatsu Kikaku:Kk Jigsaw puzzle
KR20000073746A (en) * 1999-05-13 2000-12-05 전용기 Learning for puzzle
JP2003236260A (en) 2002-02-18 2003-08-26 Apple One:Kk Learning jigsaw puzzle toy
JP2011087718A (en) 2009-10-21 2011-05-06 Tenyo Co Ltd Jigsaw puzzle pieces and tray used to array jigsaw puzzle pie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759U (en) 2017-03-16 2018-10-01 송소혜 Jigsaw puzzle with separated area
KR20210094806A (en) 2020-01-22 2021-07-30 방정태 Puzzle including hidden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86325A (en) Three-dimensional crossword puzzle
US5306153A (en) Educational device for developing vocabulary and spelling skills
US3154863A (en) Teaching means
US20190051213A1 (en) Intelligence toy used with graph cards
KR101309278B1 (en) Jigsaw puzzle
US5575658A (en) Puzzle forming an assembly of characters and a method for forming the puzzle
KR101367172B1 (en) Teaching aids for English alphabet and English study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5171392A (en) Combination intellectual training toy
JP3162580U (en) Number place puzzle set
US5487668A (en) Set of blocks for making designs
US20060005411A1 (en) Template set for drawing three-dimensional shapes
CN108635823B (en) Nine-grid-structure interconnected puzzle
JP6887962B2 (en) Arithmetic learning teaching tools
KR100602589B1 (en) Block toy
JP3227598U (en) Multiplication table card
KR102316584B1 (en) Braille-connected cube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cube
US3158940A (en) Stencil set for producing graphic representations
KR102327701B1 (en) A puzzle card used in a samacube
US4197661A (en) Educational toys
KR200495324Y1 (en) Number studying tool
KR20160136256A (en) Educational puzzle having a repeating function
KR100680169B1 (en) Training book for learning character's writing order by color
KR20150025044A (en) jigsaw puzzle
JP3139060U (en) Arithmetic learning card and arithmetic learning card aggregate
US20230102516A1 (en) Puzzle map sol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