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292B1 - 목재필렛용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목재필렛용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292B1
KR101308292B1 KR1020110073308A KR20110073308A KR101308292B1 KR 101308292 B1 KR101308292 B1 KR 101308292B1 KR 1020110073308 A KR1020110073308 A KR 1020110073308A KR 20110073308 A KR20110073308 A KR 20110073308A KR 101308292 B1 KR101308292 B1 KR 101308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wood fillet
air
wood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869A (ko
Inventor
배홍열
Original Assignee
배홍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홍열 filed Critical 배홍열
Priority to KR1020110073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2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0Under-fe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 F23L5/02Arrangements of fans or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목재필렛용 연소장치(100)는, 전후방으로 개방된 배관 형상의 외통(110)과, 상기 외통(110) 내부에 수용되고 전후방으로 개방된 배관 형상의 내통(120)과, 상기 내통(120)은 외통(110)에서 이격되어 유지되도록 외통(110)과 내통(120)의 양측 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판(130)과, 상기 외통(110)과 내통(120)을 상부에서 관통하여 내통(120) 내부로 목재필렛(F)을 안내하는 공급관(140)과, 상기 외통(110)에 형성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유입관(150)과, 상기 내통(120)의 후방에 장착되어 개폐되는 도어(125)와, 상기 내통(120)의 안팎으로 관통되어 에어가 유입되는 다수의 에어홀(1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재필렛용 연소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140)의 하부 종단부에서 갈라져서 형성된 분기관(145)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내통(120) 내부에 목재필렛(F)을 편만하게 적재되도록 하여 신속한 연소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목재필렛용 연소장치{Burning device for wood fillet}
본 발명은 목재필렛용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목재필렛을 내통에 공급할 때, 상기 내통의 바닥에 골고루 퍼져서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연소가 용이하고, 내통에 주름을 형성하여 내통의 수명이 길고, 단턱과 배출관을 통해 중량의 애쉬(ash)를 걸러낼 수 있는, 목재필렛용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재필렛(F)은 폐목을 분쇄한 후, 잘게 성형한 알맹이로서, 최근 들어 석유의 대체 연료로 공장이나 빌딩 내지는 비닐하우스 등 보일러의 연료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목재필렛(F)은 폐목을 재활용한 것이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하고, 잘게 성형한 알맹이이므로 일반 목재에 비해 연소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목재필렛(F)을 태워서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장치가 목재필렛용 연소장치(10)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후방으로 개방된 배관 형상의 외통(11)이 구성되고, 상기 외통(11) 내부에 수용되고 전후방으로 개방된 배관 형상의 내통(12)이 구성된다. 상기 내통(12)은 외통(11)에서 이격되어 유지되도록 외통(11)과 내통(12)의 양측 끝부분은 연결판(13)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판(13)은 내통(12)과 외통(11) 사이를 마감하여 밀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내통(12)과 외통(11) 사이에는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통(11)과 내통(12)을 관통하여 내통(12) 내부로 목재필렛(F)을 안내하는 공급관(14)이 구성되고, 상기 외통(11)에 형성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유입관(15)이 구성된다. 상기 유입관(15)에는 팬(16)이 연결되어 상기 공간(17)으로 공기를 집어넣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통(12)의 개방된 양쪽 종단부 중, 어느 한쪽 즉, 후방에는 도어(32)가 장착되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통(12)에는 안팎으로 관통되어 에어가 유입되는 다수의 에어홀(22)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기술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급관(14)을 통해서 목재필렛(F)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팬(16)을 작동시켜서 상기 공간(17)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내통(12)의 에어홀(22)을 통해 내통 내부로 공급된 후,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32)를 열고 버너(B)를 상기 내통(12) 내부로 밀어 넣은 후, 상기 버너(B)가 점화되도록 하여 목재필렛(F)이 연소하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상기 버너(B)는 후진하여 빠져나오도록 하고, 상기 도어(32)에 의해 내통(12)의 후방이 닫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목재필렛(F)의 연소 전방으로 배출되는 에어와 함께 열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타고 남은 애쉬(ash)는 전방으로 에어와 함께 날아간다.
상기 목재필렛용 연소장치(10)는 보일러의 열원으로서 사용되는데, 물이 저장된 물탱크 내지는 물이 순환하는 수관 등을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난방용 내지는 산업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도 1에서처럼, 공급관의 하부에만 목재용 필렛이 집중됨으로써, 상기 공급관 하부에 목재용 필렛이 산 모양으로 적재된다. 따라서, 버너에 의해 점화할 경우, 신속하게 연소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목재용 필렛이 얇게 퍼져 있다면, 상기 버너에 의해 점화된 목재용 필렛으로부터 아직 불붙지 않은 목재용 필렛으로 신속하게 화염이 전달될 수 있지만, 수북이 쌓여 있는 상태에서는 겉에만 신속하게 연소할 뿐, 속까지 모두 연소시키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단시간에 높은 열효율을 기대할 수 없었다.
둘째, 상기 내통이 도 2에서처럼 단면이 원형으로 제작됨으로써, 목재용 필렛은 하방으로 집중되어 모일 수밖에 없고, 이러한 현상은 상기 첫 번째의 문제점을 더욱 가중시킨다.
세째, 상기 내통은 도 2에서처럼 단면이 원형이므로 연소 시에는 팽창력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인장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냉각되면서 다시 응축하게 된다. 따라서, 인장과 응축의 반복으로 인한 반복하중으로 인해서 쉽게 찢어지거나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네째, 애쉬(ash) 중에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공중으로 날아다닐 만큼 가벼운 경량의 것부터 자체의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는 중량의 것이 있는데, 상기 중량의 애쉬도 내통에서 전방으로 빠져나오는 에어의 흐름에 의해서 전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중량의 애쉬가 피가열부 즉, 상기 물탱크나 수관 등에 밀착된다.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피가열부에 피막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피막은 열전도성을 떨어뜨리게 되어 원활한 열전달에 나쁜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목재필렛용 연소장치는, 전후방으로 개방된 배관 형상의 외통과, 상기 외통 내부에 수용되고 전후방으로 개방된 배관 형상의 내통과, 상기 내통은 외통에서 이격되어 유지되도록 외통과 내통의 양측 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판과, 상기 외통과 내통을 상부에서 관통하여 내통 내부로 목재필렛을 안내하는 공급관과, 상기 외통에 형성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유입관과, 상기 내통의 후방에 장착되어 개폐되는 도어와, 상기 내통의 안팎으로 관통되어 에어가 유입되는 다수의 에어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재필렛용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하부 종단부에서 갈라져서 형성된 분기관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의 내부에, 목재필렛을 흩어주도록 구성된 살포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살포기는 상기 공급관의 내측면에 가로질러 부착되고 상하로 각각 위치하는 바(bar)와, 상기 바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부착된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날개를 향하는 에어관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내통의 내측면에서 전방 배출구의 하방에 구성되어 에어의 이송 속도를 저감시키는 단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내통의 전방 종단부의 하부에 구성된 배출호퍼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내통이 원주방향으로 굴곡진 주름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내통의 내측면의 높이의 중간점에서 바닥면에 이르는 반지름은 중앙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길어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목재필렛용 연소장치는, 상기 분기관 및 살포기 그리고 내통의 바닥면으로 인해서, 목재필렛이 한 부분에 수북이 산처럼 쌓이지 않고 편만하게 적재됨으로써, 신속히 화염이 전달되어 효율이 종래의 연소장치에 비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단턱으로 인해서 배출되는 에어의 유속을 저감시킴으로써, 중량의 애쉬는 단턱의 전방에 형성된 배출호퍼로 떨어져서 분리된다. 따라서, 물탱크나 수관 등 피가열부의 표면에 중량의 애쉬가 피막이 되어 열전도율을 떨어뜨리는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통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 원주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주름이 형성됨으로써, 내통의 원주방향으로 발생하는 인장과 수축의 반복으로 인해서, 내통이 찢어지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내통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목재필렛용 연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F-F'선을 따라 취한 내통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목재필렛용 연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G-G'선을 따라 취한 내통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K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목재필렛용 연소장치의 공급관에 구성되는 살포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목재필렛용 연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G-G'선을 따라 취한 내통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K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목재필렛용 연소장치의 공급관에 구성되는 살포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목재필렛(F)은 폐목을 분쇄한 후, 잘게 성형한 알맹이로서, 최근 들어 석유의 대체 연료로 공장이나 빌딩 내지는 비닐하우스 등 보일러의 연료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목재필렛(F)을 연소시켜서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를 목재필렛용 연소장치(100)라고 하는데, 일반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후방으로 개방된 배관 형상의 외통(110)이 구성되고, 상기 외통(110) 내부에 수용되고 전후방으로 개방된 배관 형상의 내통(1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통(120)은 외통(110)에서 이격되어 유지됨으로써 공간(160)이 형성되도록, 외통(110)과 내통(120)의 양측 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판(130)이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판(130)은 중앙에 홀이 형성됨으로써 외통(110)과 내통(120) 사이의 간격만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앙에 형성된 홀은 내통(12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통(110)과 내통(120)을 상부에서 관통하여 내통(120) 내부로 목재필렛(F)을 안내하는 공급관(14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통(110)에 연결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유입관(150)이 구성되고, 상기 내통(120)의 후방에 장착되어 개폐되는 도어(12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통(120)의 안팎으로 관통되어 에어가 유입되는 다수의 에어홀(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재필렛용 연소장치(100)가, 목재필렛(F)을 내통(120) 내부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여 연소가 용이하도록 하고, 내통(120)의 수명이 종래 것보다 연장되며, 중량의 애쉬(ash)를 걸러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급관(140)의 하부 종단부에서 갈라져서 임의의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다수 개의 분기관(145)을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분기관(145)은 공급관(140)보다 지름이 작은 관(147)이 직하방 및 측방 등 임의의 방향을 향하도록 나무가지처럼 갈라져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140)으로 유입된 목재필렛(F)이 직하방 및 측방으로 골고루 분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관(140)의 내부에, 목재필렛(F)을 흩어주도록 구성된 살포기(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살포기(180)는 공급관(140)을 통해 유입되는 목재필렛(F)을 흩어주어서 상기 임의의 방향을 향하는 분기관(145)에 골고루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목재필렛(F)이 상기 내통(120)의 바닥면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살포기(180)는 일례로서, 상기 공급관(140)의 내측면에 가로질러 부착되고 상하로 각각 위치하는 바(bar, 18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의 바(181)와 하부의 바(181)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샤프트(185)가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185)에 부착된 날개(1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140)에 연결되어 상기 날개(188)를 향하는 에어관(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관(190)을 통해서 에어를 불어넣게 되면, 상기 날개(188)가 에어를 받아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각각의 바(181)에 상기 샤프트(185)가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일례를 살펴보면, 상기 바(181)에는 중앙에 홀이 형성된 링(183)이 개재되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샤프트(185)는 상기 링(183)을 관통하고, 상기 샤프트(185)에는 상기 링(183)에 지지되는 플랜지(18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날개(188)는 일례로서 판 형상의 것으로서 샤프트(18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부착되고, 상단(189)은 샤프트(185) 쪽에서 바깥을 향하여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에서 공급되는 목재필렛(F)이 상기 경사진 상단(189)을 타고 하방으로 잘 흘러내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통(120)의 내측면에서 전방 배출구(S)의 하방에 구성되어 에어의 이송 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상부로 돌출된 단턱(1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통(120)의 전방 종단부(P)의 하부에 구성된 배출호퍼(17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중량의 애쉬(ash)가 상기 배출호퍼(17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배출호퍼(170)는 상기 전방 종단부(P)의 하부에 부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120)은 원주방향으로 굴곡진 주름(128)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열팽창 및 수축에 따른 반복하중으로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120)의 바닥면(N)은 일례로서 단면이 원형상이 아니고, 타원의 형상이 되도록 한다. 즉, 내통(120)의 내측면의 높이(H)의 중간점(O)에서 바닥면(N)에 이르는 반지름(L1, L2, L3, …)은 중앙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길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오목하기는 오목하되, 원형상 보다는 측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바닥면(N)이 원형상일 때보다 더 넓게 퍼질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N)이 평면일 때에는 양쪽 구석으로 떨어진 목재펠릿(F)은 제대로 연소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중앙으로 모아줘야 할 필요성이 있다. 즉, 상기 바닥면(N)은 오목한 형상으로 인해서 목재펠릿(F)을 중앙으로 모으되, 원형상 만큼 오목하지 않음으로써, 골고루 측방으로 펴지게 하여 원만한 연소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급관(140)을 통해서 목재필렛(F)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팬(157)을 작동시켜서 상기 공간(160)을 통해 내통(120)의 에어홀(123)로 에어가 유입되어 내통(120)의 전방 배출구(S)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에어관(190)을 통해서 에어가 살포기(180)로 분사되면, 상기 살포기(180)의 날개(188)가 에어를 받으면서 샤프트(185)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140)으로 유입되는 목재필렛(F)은 공급관(140) 내부에서 사방으로 흩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기관(145) 중 측방으로 향하는 분기관(145)을 통해서 측방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관(190)으로 에어 공급을 중단하게 되면, 목재필렛(F)은 직하방으로 떨어지게 되어 분기관(145) 중 직하방을 향하는 분기관(145)을 통해서 배출된다. 이렇게 에어관(190)에 유입되는 에어의 공급을 간헐적으로 함으로써, 내통(120)의 바닥면(N)에 대략 편만하게 적재될 수 있다. 즉, 어느 일부분에 산처럼 높이 적층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내통(120)의 바닥면(N)은 단면으로 봤을 때, 타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에 비해서 산처럼 집중되는 현상을 어느 정도 완화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25)를 열고, 버너(B)를 내통(120) 안으로 밀어 넣어서, 목재필렛(F)에 점화가 되도록 한다. 그러면, 편만하게 적재된 몰재필렛(F)에 신속히 화염이 전파되어 단시간에 목재필렛(F)을 연소시킬 수 있으므로 열효율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만약, 상기 목재필렛(F)이 내통(120)의 바닥면(N)의 일부분에 산처럼 적재되어 있다면, 겉에 있는 목재필렛(F)만 연소할 뿐, 속에 있는 목재필렛(F)까지 태우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바닥면(N)은 오목한 형상이므로 구석에 있는 목재필렛(F)이 안쪽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됨은 당연하다. 따라서, 목재필렛(F)을 편만하게 하되, 구석에 있는 목재필렛(F)은 안쪽으로 모아 줌으로써, 구석에 있으므로 연소가 되지 않는 목재필렛(F)이 없도록 한다.
상기 에어관(190)에 에어를 간헐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에어관(190)에 다이아프램 밸브(미도시)를 장착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다이아프램 밸브(미도시)는 주기적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에어를 간헐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내통(120)의 전방 배출구(S)로 화염이 에어와 함께 분사되며, 이때, 목재필렛(F)은 연소되어 애쉬(ash)가 되어 에어와 함께 전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에어는 상기 단턱(127)에 의해서 유속을 저감시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애쉬 중 중량이 나가는 것은 감속된 유속으로 인해서 상기 배출호퍼(170)의 아래로 떨어져서 분리된다.
물론, 경량의 애쉬 및 일부 중량의 애쉬가 전방으로 배출될 수도 있지만, 상기 단턱(127)으로 인해서, 중량의 애쉬가 배출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량의 애쉬가 피가열부 즉, 상기 물탱크나 수관 등에 밀착되어 피막을 형성하는 현상을 많이 더디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유지보수의 주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피가열부의 연전도성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통(120)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 원주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주름(128)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소 시에는 고열에 의해 팽창하게 되어, 도 4의 이점쇄선처럼 주름(128)이 펴지게 된다. 따라서, 늘어난 팽창력에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고, 연소가 끝난 때에는 다시 수축하면서 주름(128)이 형성한다. 즉, 고열에 의해 팽창할 때에는 내통(120)의 원주방향으로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지만, 상기 주름(128)이 펴지면서 상기 인장응력은 대폭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원주방향의 인장과 수축의 반복으로 인한 반복하중을 많이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반복하중으로 인해서 내통(120)이 찢어지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내통(120)의 수명을 상기 주름(128)이 없는 것에 비해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목재필렛용 연소장치 110: 외통
120: 내통 123: 에어홀
125: 도어 127: 단턱
128: 주름 130: 연결판 140: 공급관 145: 분기관 147: 관 150: 유입관 157: 팬 160: 공간 170: 배출호퍼 180: 살포기
181: 바 183: 링
185: 샤프트 187: 플랜지
188: 날개 189: 상단
190: 에어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전후방으로 개방된 배관 형상의 외통(110)과,
    상기 외통(110) 내부에 수용되고 전후방으로 개방된 배관 형상의 내통(120)과,
    상기 내통(120)은 외통(110)에서 이격되어 유지되도록 외통(110)과 내통(120)의 양측 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판(130)과,
    상기 외통(110)과 내통(120)을 상부에서 관통하여 내통(120) 내부로 목재필렛(F)을 안내하는 공급관(140)과,
    상기 외통(110)에 형성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유입관(150)과,
    상기 내통(120)의 후방에 장착되어 개폐되는 도어(125)와,
    상기 내통(120)의 안팎으로 관통되어 에어가 유입되는 다수의 에어홀(1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재필렛용 연소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140)의 하부 종단부에서 갈라져서 형성된 분기관(14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급관(140)의 내부에, 목재필렛(F)을 흩어주도록 구성된 살포기(1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살포기(180)는 상기 공급관(140)의 내측면에 가로질러 부착되고 상하로 각각 위치하는 바(bar, 181)와,
    상기 바(181)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샤프트(185)와,
    상기 샤프트(185)에 부착된 날개(18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급관(140)에 연결되어 상기 날개(188)를 향하는 에어관(1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필렛용 연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120)의 내측면에서 전방 배출구(S)의 하방에 구성되어 에어의 이송 속도를 저감시키는 단턱(127)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필렛용 연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120)의 전방 종단부(P)의 하부에 구성된 배출호퍼(17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필렛용 연소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120)이 원주방향으로 굴곡진 주름(128)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필렛용 연소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120)의 내측면의 높이(H)의 중간점(O)에서 바닥면(N)에 이르는 반지름(L1, L2, L3, …)은 중앙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필렛용 연소장치.
KR1020110073308A 2011-07-22 2011-07-22 목재필렛용 연소장치 KR101308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308A KR101308292B1 (ko) 2011-07-22 2011-07-22 목재필렛용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308A KR101308292B1 (ko) 2011-07-22 2011-07-22 목재필렛용 연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869A KR20130011869A (ko) 2013-01-30
KR101308292B1 true KR101308292B1 (ko) 2013-09-13

Family

ID=4784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308A KR101308292B1 (ko) 2011-07-22 2011-07-22 목재필렛용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388B1 (ko) * 2013-08-02 2013-10-29 박종수 팰랫 연소장치
KR101422461B1 (ko) * 2014-05-29 2014-07-28 석상득 목재 펠릿 버너용 내통
KR101663979B1 (ko) 2015-03-18 2016-10-11 성우디디아이 (주) 목재 필렛용 연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439A (ja) * 1997-10-29 1999-05-21 Mitsubishi Heavy Ind Ltd 固形燃焼物投入装置
JP2001050520A (ja) 1999-08-06 2001-02-2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廃棄物処理装置における熱分解反応炉
JP2009198091A (ja) * 2008-02-21 2009-09-03 Sunpot Co Ltd 木質燃料燃焼装置
JP2011007478A (ja) 2009-05-26 2011-01-13 Biomass Products:Kk バイオマス粉体燃料燃焼バー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439A (ja) * 1997-10-29 1999-05-21 Mitsubishi Heavy Ind Ltd 固形燃焼物投入装置
JP2001050520A (ja) 1999-08-06 2001-02-2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廃棄物処理装置における熱分解反応炉
JP2009198091A (ja) * 2008-02-21 2009-09-03 Sunpot Co Ltd 木質燃料燃焼装置
JP2011007478A (ja) 2009-05-26 2011-01-13 Biomass Products:Kk バイオマス粉体燃料燃焼バ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869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19492A5 (ko)
KR101308292B1 (ko) 목재필렛용 연소장치
KR20120110938A (ko) 보일러 시스템
KR101772907B1 (ko) 고체 연료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한 고체 연료 열풍기
KR101361483B1 (ko) 바이오매스 고체연료 보일러
KR101243851B1 (ko) 열 효율을 극대화시킨 고체연료용 보일러
US10415821B2 (en) Burner
KR101269663B1 (ko) 우드펠렛 연소장치
KR20210108656A (ko) 목재필렛용 연소장치
KR101312963B1 (ko) 화목연소장치
CN104359100B (zh) 一种生物质燃烧发电锅炉
US2294242A (en) Steam generating furnace
KR101789463B1 (ko) 고체 연료 공급장치를 구비한 발열 시스템
KR101228792B1 (ko) 고체 연료 보일러
KR102144155B1 (ko) 화목 난로
KR101269966B1 (ko) 보일러
KR20160109117A (ko) 고형연료 체인스토커화격자를 사용하는 복합식 증기보일러
KR20150000221A (ko) 고형 연료를 사용하는 무동력 난로
KR101051655B1 (ko) 연소효율이 향상된 무연 연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목보일러
KR200470437Y1 (ko) 펠릿 연료공급장치
KR101313759B1 (ko) 대용량 버너
KR101316924B1 (ko) 완전연소를 위한 터보차저 방식의 보일러
KR20110012185A (ko) 폐기물을 연료로 하는 연소장치
CN107120654B (zh) 一种清洁卫生的垃圾处理方法
JP2016217643A (ja) 加圧式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