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589B1 - 치실 홀더장치 - Google Patents

치실 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589B1
KR101307589B1 KR1020110124092A KR20110124092A KR101307589B1 KR 101307589 B1 KR101307589 B1 KR 101307589B1 KR 1020110124092 A KR1020110124092 A KR 1020110124092A KR 20110124092 A KR20110124092 A KR 20110124092A KR 101307589 B1 KR101307589 B1 KR 101307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handle
piece
power generating
floss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207A (ko
Inventor
강맹수
Original Assignee
강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맹수 filed Critical 강맹수
Priority to KR1020110124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589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61C15/047Flossing tool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치실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사이(이하 치간)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환형의 치실을 무한궤도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치실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엽 형식으로 회전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동력발생부와, 동력발생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력발생부를 통해 환형의 치실이 무한궤도로 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치실 홀더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치실 홀더장치{Dental Floss Holder Apparatus}
본 발명은 치실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사이(이하 치간)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환형의 치실을 무한궤도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치실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세정 및 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칫솔 또는 치실 또는 치간칫솔 등이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상기 치실은 치간에 낀 작은 이물질과 치석 등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어서 그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치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치실을 파지한 사용자의 양 손가락이 입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입을 최대한 크게 벌리게 된다.
이에 따라 입 주위의 근육에 무리를 주게 됨으로써, 치실을 사용한 후, 턱이 아픈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입 안 깊숙한 곳에 위치한 어금니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번거롭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치실의 양측을 탱탱하게 잡아당겨 치실의 장력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치실 홀더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치실 홀더를 사용하더라도 치실을 치간 사이에 삽입하거나 치간 사이에 낀 이물질이나 치석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치실 홀더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톱질하듯 입안에서 움직임에 따라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크기로 사용자가 입을 벌려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안으로 들어갈수록 좁아지는 입안의 구조로 인해 어금니가 위치한 입안 깊숙이 치실 홀더를 삽입하더라도 톱질하듯 움직일 수 없어 이물질이나 치석의 제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불편 및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환형의 치실을 무한궤도 운동시켜 치실을 치간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함께 치간 사이의 이물질 또는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치실 홀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태엽 형식으로 회전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동력발생부와, 동력발생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력발생부를 통해 환형의 치실이 무한궤도로 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치실 홀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환형의 치실을 무한궤도 운동시키는 구조를 통해, 치실을 치간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구동부가 입안에서 최소한의 움직임만으로 치간 사이의 이물질 또는 치석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치간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치실이 무한궤도 운동하여 이물질과 치석을 긁어냄으로써 치아를 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태엽장치를 통해 동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친환경적이며, 습기가 많은 욕실 등에서 작동이 되지 않거나 오작될 염려가 없고, 보호캡이 분할 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치실의 교체가 간편하며, 세척 시, 동력발생부와 구동부를 분리한 후 구동부만을 세척할 수 있음에 따라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종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수평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위치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동부의 보호캡의 분할 및 결합 상태를 도시한 수평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동력발생부와 구동부를 분리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치실 홀더장치는 태엽 형식으로 회전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동력발생부(10)와, 동력발생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력발생부(10)를 통해 환형의 치실(27)이 무한궤도로 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부(20)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발생부(10)는 내부가 빈 통체 형상의 손잡이(11)와, 손잡이(1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일정 시간 일정 회전수로 회전하는 태엽장치와, 손잡이(11)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측이 연결수단을 통해 태엽장치와 연결되어 태엽장치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기어박스(12)와, 기어박스(12)의 타측에 설치되어 일측이 손잡이(11)의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손잡이(11)의 전방에 일정 길이로 형성된 중공의 보호관체(13) 내부에 삽입되되 기어박스(12)가 발생하는 회전수에 따라 회전하는 전달로드(14)와, 손잡이(11)와 전달로드(14)에 설치되어 전달로드(14)의 회전을 온/오프하여 태엽장치를 조작하는 스위치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태엽장치는 손잡이(11)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내부 저면 최외측 가장자리에 상부로 경사진 스프링바(151)가 설치된 상부 개구형 원통하부체(152)와, 원통하부체(152)를 수직으로 내입하면서 원통하부체(152)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개구형 원통상부체(153)와, 원통상부체(153)의 상부 내면에 원통하부체(152)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수직 돌설되되 스프링바(151)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154)가 돌설된 고정벽(155)과, 고정벽(155)의 내주면에 일단이 고정되되, 소용돌이 형으로 꼬인 태엽스프링(156)과, 태엽스프링(156)의 타단이 외주면에 설치되되 원통하부체(152)를 관통하여 손잡이(11)의 내부로 일단이 돌출된 수직로드(157)에 의해 원통하부체(152)의 내부 하면에 축설된 회전축(158)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기어박스(12)의 일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평로드(161)와, 수평로드(161) 및 수직로드(157)의 일단에 설치되어 수직로드(157)의 회전을 수평로드(161)로 전달하는 한 쌍의 베벨기어(162)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장치는 전달로드(14)에 원추형으로 환설된 고정편(171)과, 고정편(171)과 기어박스(12) 사이에 전달로드(14)를 내입한 상태로 설치되되, 전면이 고정편(17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중공의 가압편(172)과, 가압편(172)과 기어박스(12)의 사이 전달로드(14)에 설치되어 가압편(172)을 고정편(171)으로 밀어붙이는 가압스프링(173)과, 손잡이(11)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가압편(172)과 연결되어 가압편(172)을 고정편(171)에서 이격시키거나 밀착시키는 조작레버(174)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20)는 보호관체(13)의 일단에 "∩"형 단면을 가진 형상으로 설치된 보호캡(21)과, 보호캡(21)의 내상부와 내하부 가장자리에 보호캡(21)의 단면의 형상을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된 평풀리(22)와 복수 개의 브이풀리(23)와, 보호캡(21)의 내상부 보호관체(13)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풀리(24)와, 보호캡(21)의 외부에 설치되되 구동풀리(24)와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웜휠(25)과, 전달로드(14)의 일단에 설치되어 웜휠(25)을 회전시키는 웜(26)과, 평풀리(22)와 구동풀리(24)와 복수 개의 브이풀리(23)에 걸쳐져 구동풀리(24)의 회전을 통해 보호캡(21)의 내부에서 무한궤도 운동하는 환형의 치실(27)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캡(21)은 치실(27)을 경계로 분할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호관체(13)와 전달로드(14)는 동력발생부(10) 측과 구동부(20) 측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치실을 통해 치간에 낀 치석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환형의 치실(27)의 무한궤도운동을 통해 치간 사이에 낀 이물질이나 치석을 적은 움직임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치실 홀더장치의 작동 과정 및 사용 방법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치실 홀더장치의 태엽장치를 조작하여 동력을 저장한다.
즉, 손잡이(11)를 파지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원통상부체(153)를 회전시켜 동력을 저장하게 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통상부체(153)를 원통하부체(152)를 축으로 회전시키면 원통상부체(153)의 상부 내면에 형성된 고정벽(155)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벽(155)과 일단이 연결되고, 수직로드(157)에 의해 원통하부체(152)의 내부 저면에 축설된 회전축(158)의 외주면에 타단이 연결된 태엽스프링(156)이 감기기게 된다.
이때, 원통상부체(153)를 감는 방향은 소용돌이 형으로 감긴 태엽스프링(156)의 최초 외경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감게 된다.
여기서 감긴 태엽스프링(156)이 풀리지 않도록 회전축(158)은 고정되고, 원통상부체(153)는 태엽스프링(156)의 외경이 축소하는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하부체(152)의 내부 저면 가장자리에 경사지게 설치된 스프링바(151)와 고정벽(155)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 개의 걸림돌기(154)에 의해 달성된다.
즉, 원통상부체(153)를 태엽스프링(156)의 직경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원통하부체(152)에 경사지게 설치된 스프링바(151)가 원통상부체(153)를 따라 이동하는 걸림돌기(154)의 높이에 대응하여 경사각이 변경되어 원통상부체(153)를 구속하지 않지만, 원통상부체(153)의 회전이 정지되거나, 태엽스프링(156)의 외경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면, 스프링바(151)가 최초 경사각을 유지하여 걸림돌기(154) 사이에 걸리도록 한 래칫(ratchet) 구조에 의한 것이다.
이에 따라 태엽스프링(156)를 용이하게 감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을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158)의 고정은 도 4에 도시된 스위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즉, 태엽장치로 동력을 저장하기 위하여 원통상부체(153)를 회전시킬 때, 스위치장치가 전달로드(14)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조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달로드(14)는 기어박스(12)와 연결되고, 기어박스(12)는 수평로드(161)와 연결되며, 회전축(158)과 연결된 수직로드(157)는 수평로드(161)와 한 쌍의 베벨기어(162)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전달로드(14)의 구속을 통해 회전축(158)의 회전을 용이하게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장치는 일종의 브레이크 장치와 유사한 원리로 작동한다.
즉, 전달로드(14)에는 원추형의 고정편(171)이 설치되며, 이 고정편(171)은 전달로드(14)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편(171)을 고정시키는 구조가 구비되면 전달로드(14)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고정편(171)의 고정은 조작레버(174)와 연동하는 가압편(172)과, 가압편(172)과 기어박스(12)의 사이에 설치된 가압스프링(173)에 의해 달성된다.
가압편(172)은 중공 형상으로 전달로드(14)가 삽입되어 있고, 전달로드(14)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전면이 고정편(171)의 형상과 동일한 원추형으로 함몰됨으로써 고정편(171)과 면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편(172)과 기어박스(12) 사이에 위치하여 전달로드(14)에 설치된 가압스프링(173)은 가압편(172)을 고정편(171)이 위치한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편(171)과 가압편(172)은 일정 압력을 통해 서로 간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고정편(171)과 일체로 회전하는 전달로드(14)를 용이하게 구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편(171)과 가압편(172)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면 접촉할 수 있으나, 고정편(171)과 가압편(172)이 원추형으로 면 접촉하는 구조임에 따라 마찰력이 증대되어 전달로드(14)의 구속을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편(172)은 손잡이(11)의 외주면에 설치된 조작레버(174)와 연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작레버(174)를 통해 가압편(172)을 고정편(171)에서 분리시키거나 접촉시키는 조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태엽장치 또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태엽장치에 동력이 충분히 저장되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조작레버(174)를 손잡이(11)의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가압편(172)과 고정편(171)을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일정 외경으로 축소되도록 감긴 태엽장치의 태엽스프링(156)이 풀리면서 회전축(158)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수직로드(157)가 회전하게 되고, 수직로드(157)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베벨기어(162)와 연결된 수평로드(161)가 회전한다.
여기서 수평로드(161)는 기어박스(12)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박스(12)는 회전축(158)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기어비로 구성된다. 이는 회전축(158)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태엽스프링(156)에 저당된 동력이 단시간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치실 홀더장치의 사용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12)는 전달로드(14)와 연결되어 전달로드(14)를 회전시키며, 회전하는 전달로드(14)는 웜(26)과 웜휠(25)을 통해 구동부(20)의 보호캡(21) 내부에 축설된 구동풀리(24)와 연결되어 구동풀리(24)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보호캡(21)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풀리(24), 평풀리(22), 복수 개의 브이풀리(23)에 일정 장력으로 걸쳐진 환형의 치실(27)이 구동풀리(24)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로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형의 형상을 가진 보호캡(21)의 하단에 노출된 치실(27)이 지속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치실(27)이 무한궤도 운동하는 것을 확인하게 되면, 치실(27)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치간에 낀 이물질이나 치석을 제거한다.
그리고 치실(27)이 정지하면, 다시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치간 사이에 낀 이물질이나 치석을 제거하면 된다.
아울러, 치실 홀더장치의 사용을 완료한 후에는 사용된 치실(27)을 교체하게 되며, 치실(27)을 교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도시된 바와 같이, 치실(27)을 경계로 분할되는 구조를 가진 보호캡(21)을 분할한 후, 평풀리(22)에 걸쳐진 치실(27)의 일부를 잡아당겨 치실(27)을 보호캡(21)에서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치실(27)을 각 브이풀리(23)와 구동풀리(24)에 걸친 후, 평풀리(22)에 걸치는 방법으로 치실(27)을 교체하며, 교체가 완료되면 분할된 보호캡(21)을 도 6과 같이 결합하면 된다.
여기서 평풀리(22)는 치실(27)의 제거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치실 홀더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발생부(10)와 구동부(20)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는 보호관체(13)와 전달로드(14)가 동력발생부(10) 측과 구동부(20) 측으로 분할 되도록 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치실 홀더장치의 세척 시, 부식이 발생할 수 있는 동력발생부(10)는 별도로 보관하고, 주로 사용자의 입에 투입되는 구동부(20)만을 세척할 수 있게 되어 치실 홀더장치의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해지며, 치실 홀더장치의 수명 또한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캡(21)이 "∩"형으로 형성된 것을 개구된 공간에 치아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치실 홀더장치는 환형의 치실(27)을 무한궤도 운동시키는 구조를 통해, 치실(27)을 치간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구동부(20)가 입안에서 최소한의 움직임만으로 치간 사이의 이물질 또는 치석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치간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치실(27)이 무한궤도 운동하여 이물질과 치석을 긁어냄으로써 치아를 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태엽장치를 통해 동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친환경적이며, 습기가 많은 욕실 등에서 작동이 되지 않거나 오작될 염려가 없다.
이뿐만 아니라 보호캡(21)이 분할 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치실(27)의 교체가 간편하며, 세척 시, 동력발생부(10)와 구동부(20)를 분리한 후 구동부(20)만을 세척할 수 있음에 따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10 : 동력발생부
11 : 손잡이 12 : 기어박스
13 : 보호관체 14 : 전달로드
151 : 스프링바 152 : 원통하부체
153 : 원통상부체 154 : 걸림돌기
155 : 고정벽 156 : 태엽스프링
157 : 수직로드 158 : 회전축
161 : 수평로드 162 : 베벨기어
171 : 고정편 172 : 가압편
173 : 가압스프링 174 : 조작레버
20 : 구동부
21 : 보호캡 22 : 평풀리
23 : 브이풀리 24 : 구동풀리
25 : 웜휠 26 : 웜
27 : 치실

Claims (6)

  1. 삭제
  2. 태엽 형식으로 회전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동력발생부(10)와, 동력발생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력발생부(10)를 통해 환형의 치실(27)이 무한궤도로 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부(20)로 구성된 치실 홀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10)는 내부가 빈 통체 형상의 손잡이(11)와, 손잡이(1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일정 시간 일정 회전수로 회전하는 태엽장치와, 손잡이(11)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측이 연결수단을 통해 태엽장치와 연결되어 태엽장치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기어박스(12)와, 기어박스(12)의 타측에 설치되어 일측이 손잡이(11)의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손잡이(11)의 전방에 일정 길이로 형성된 중공의 보호관체(13) 내부에 삽입되되 기어박스(12)가 발생하는 회전수에 따라 회전하는 전달로드(14)와, 손잡이(11)와 전달로드(14)에 설치되어 전달로드(14)의 회전을 온/오프하여 태엽장치를 조작하는 스위치장치로 구성된 치실 홀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태엽장치는 손잡이(11)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내부 저면 최외측 가장자리에 상부로 경사진 스프링바(151)가 설치된 상부 개구형 원통하부체(152)와, 원통하부체(152)를 수직으로 내입하면서 원통하부체(152)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개구형 원통상부체(153)와, 원통상부체(153)의 상부 내면에 원통하부체(152)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수직 돌설되되 스프링바(151)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154)가 돌설된 고정벽(155)과, 고정벽(155)의 내주면에 일단이 고정되되, 소용돌이 형으로 꼬인 태엽스프링(156)과, 태엽스프링(156)의 타단이 외주면에 설치되되 원통하부체(152)를 관통하여 손잡이(11)의 내부로 일단이 돌출된 수직로드(157)에 의해 원통하부체(152)의 내부 하면에 축설된 회전축(158)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기어박스(12)의 일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평로드(161)와, 수평로드(161) 및 수직로드(157)의 일단에 설치되어 수직로드(157)의 회전을 수평로드(161)로 전달하는 한 쌍의 베벨기어(162)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장치는 전달로드(14)에 원추형으로 환설된 고정편(171)과, 고정편(171)과 기어박스(12) 사이에 전달로드(14)를 내입한 상태로 설치되되, 전면이 고정편(17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중공의 가압편(172)과, 가압편(172)과 기어박스(12)의 사이 전달로드(14)에 설치되어 가압편(172)을 고정편(171)으로 밀어붙이는 가압스프링(173)과, 손잡이(11)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가압편(172)과 연결되어 가압편(172)을 고정편(171)에서 이격시키거나 밀착시키는 조작레버(174)로 구성된 치실 홀더장치.
  4. 태엽 형식으로 회전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동력발생부(10)와, 동력발생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력발생부(10)를 통해 환형의 치실(27)이 무한궤도로 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부(20)로 구성된 치실 홀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는 보호관체(13)의 일단에 "∩"형 단면을 가진 형상으로 설치된 보호캡(21)과, 보호캡(21)의 내상부와 내하부 가장자리에 보호캡(21)의 단면의 형상을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된 평풀리(22)와 복수 개의 브이풀리(23)와, 보호캡(21)의 내상부 보호관체(13)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풀리(24)와, 보호캡(21)의 외부에 설치되되 구동풀리(24)와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웜휠(25)과, 전달로드(14)의 일단에 설치되어 웜휠(25)을 회전시키는 웜(26)과, 평풀리(22)와 구동풀리(24)와 복수 개의 브이풀리(23)에 걸쳐져 구동풀리(24)의 회전을 통해 보호캡(21)의 내부에서 무한궤도 운동하는 환형의 치실(27)로 구성된 치실 홀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보호캡(21)은 치실(27)을 경계로 분할되도록 구성된 치실 홀더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보호관체(13)와 전달로드(14)는 동력발생부(10) 측과 구동부(20) 측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 치실 홀더장치.
KR1020110124092A 2011-11-25 2011-11-25 치실 홀더장치 KR101307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092A KR101307589B1 (ko) 2011-11-25 2011-11-25 치실 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092A KR101307589B1 (ko) 2011-11-25 2011-11-25 치실 홀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207A KR20130058207A (ko) 2013-06-04
KR101307589B1 true KR101307589B1 (ko) 2013-09-12

Family

ID=4885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092A KR101307589B1 (ko) 2011-11-25 2011-11-25 치실 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916B1 (ko) * 2013-11-19 2014-11-19 조현성 치실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K1199686A2 (en) * 2014-11-14 2015-07-10 艾歷有限公司 Dental floss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825Y1 (ko) * 1994-08-18 1999-06-15 최진호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JP2002535072A (ja) * 1999-01-26 2002-10-22 ジオヴァンニ サントロ デンタルフロスにより歯間腔隙を機械的に洗浄するモータ駆動形装置
KR200362442Y1 (ko) * 2004-04-20 2004-09-20 김중한 치실 홀더
KR200424988Y1 (ko) * 2006-06-09 2006-08-28 오경호 치실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825Y1 (ko) * 1994-08-18 1999-06-15 최진호 진공청소기의 물걸레장치
JP2002535072A (ja) * 1999-01-26 2002-10-22 ジオヴァンニ サントロ デンタルフロスにより歯間腔隙を機械的に洗浄するモータ駆動形装置
KR200362442Y1 (ko) * 2004-04-20 2004-09-20 김중한 치실 홀더
KR200424988Y1 (ko) * 2006-06-09 2006-08-28 오경호 치실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916B1 (ko) * 2013-11-19 2014-11-19 조현성 치실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207A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3796A (en) Automated dental flosser
US5647385A (en) Automated dental cleaner
US4245658A (en) Automatic flossing apparatus
US20100139689A1 (en) Electrically powered dental flossing device with sanitary and disposable floss containing unit
EP0453418B1 (en) Device for supporting and operating a dental floss
EP1948068B1 (en) Teeth cleaning apparatus
US3534745A (en) Dental tape holder for power driven tooth cleaning devices
AU5289190A (en) Motor-driven apparatus for cleaning spaces between teeth by dental floss
KR102091688B1 (ko) 치실 장치
KR101307589B1 (ko) 치실 홀더장치
US9510921B1 (en) High-speed automatic dental flosser
US7475695B2 (en) Flossing device with internal floss feed
KR200424988Y1 (ko) 치실홀더
KR101462916B1 (ko) 치실 홀더
US20080216267A1 (en) Reciprocating interdental toothbrush
JP4273864B2 (ja) 電動デンタルフロス
EP2101679A1 (en) Flossing device with internal floss feed
KR20110118276A (ko) 전동칫솔용 칫솔모 헤드
KR200470176Y1 (ko) 칫솔
US20060260636A1 (en) Oral hygiene apparatus (floss)
CN201108510Y (zh) 牙线洁牙器
KR100849629B1 (ko) 전동 칫솔
KR200248895Y1 (ko) 자동칫솔
CN211534948U (zh) 一种摇牙器
CN214678008U (zh) 一种易于清理刷毛的毛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