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416B1 - 미니선반 - Google Patents

미니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416B1
KR101307416B1 KR1020110124523A KR20110124523A KR101307416B1 KR 101307416 B1 KR101307416 B1 KR 101307416B1 KR 1020110124523 A KR1020110124523 A KR 1020110124523A KR 20110124523 A KR20110124523 A KR 20110124523A KR 101307416 B1 KR101307416 B1 KR 101307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all
plate
wall
memo
fixed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494A (ko
Inventor
이현규
Original Assignee
중원알루미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알루미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원알루미늄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4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4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4Hanging flower-pot holders, e.g. mounted on walls, balcony fenc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7/00Boxes, shelves, holders or similar supports for holding flowers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전면벽(11) 및 후면벽(12)과, 이 전면벽(11) 및 후면벽(12)의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벽(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벽(11), 후면벽(12) 및 연결벽(13)에 의해 하면에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끼움홈(14)이 형성된 고정설치부(10); 상기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면에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판부(20); 및 상기 수납판부(2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쪽으로 근접되도록 하향 돌출되며 전면벽(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메모꽂이수용돌기(31)와, 이 메모꽂이수용돌기(31)와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메모지(4)를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쪽으로 가압고정하는 수평승강바(32)로 이루어진 메모꽂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선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니선반{A mini shelf}
본 발명은 미니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설치도 매우 간단함은 물론 좁은 실내공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화분 등을 관리할 수 있으며, 실내공간을 좀 더 넓게 보이도록 하는 미니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간에서는 꽃이나 화초 등의 식물은 화분에 심어진 상태로 재배되는데, 사람들은 보통 여러 개의 화분을 한꺼번에 기르게 된다.
이때, 여러 개의 화분을 별도의 공간에 비치하기 보다는 관리의 편리성이나 인테리어 등을 위해 설치대에 비치하게 된다. 이러한 설치대는 대부분 화분이 놓여지는 상판과, 이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져서, 방이나 거실 바닥에 배치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싱글족들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고시원이나 원룸과 같이 실내공간이 좁은 가정이 많아지는데, 가구나 전자제품 등이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상기 설치대까지 비치할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벽면에 고정시키는 선반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선반은 목재의 상판과, 이 상판을 지지하며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고정브래킷은 못이나 볼트를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한편, 실내공간이 비좁은 경우에는 화분뿐만이 아니라 휴대폰이나 화장품 등의 일상용품을 비치할 공간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싱트대의 계수대에 세제나 수세미 등을 비치할 공간도 확보하기 어렵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5815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설치까지 매우 간편하며, 좁은 실내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공간활용도가 우수하고 좁은 실내공간을 좀 더 넓게 보이도록 할 수 있으면서도 미려함을 줄 수 있는 미니선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각각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전면벽(11) 및 후면벽(12)과, 이 전면벽(11) 및 후면벽(12)의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벽(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벽(11), 후면벽(12) 및 연결벽(13)에 의해 하면에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끼움홈(14)이 형성된 고정설치부(10); 상기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면에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판부(20); 및 상기 수납판부(2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쪽으로 근접되도록 하향 돌출되며 전면벽(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메모꽂이수용돌기(31)와, 이 메모꽂이수용돌기(31)와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메모지(4)를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쪽으로 가압고정하는 수평승강바(32)로 이루어진 메모꽂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설치부(10), 수납판부(20) 및 메모꽂이수용돌기(3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압출성형되고, 상기 수평승강바(32)의 직경은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과 메모꽂이수용돌기(31)의 상단과의 거리보다는 작고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과 메모꽂이수용돌기(31)의 하단과의 거리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수평승강바(32)가 메모꽂이수용돌기(31)를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선반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판부(20)는 상면판(21) 및 하면판(22)이 소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수납판부(20)의 양단부에는 엔드캡(40)이 결합되며, 이 엔드캡(40)의 상면에는 수납판부(20)의 상면판(21)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의 물배출부(41)와, 상기 상면판(21)의 상면으로 상향 돌출된 이탈방지턱(42)이 교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선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설치부(10)의 상단에는 거울(6)이나 판재와 같은 장식판재가 삽입되는 판재삽입홈(17)이 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수평승강바(32)는 복수개가 수평방향을 따라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선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설치부(10)의 끼움홈(14)이 끼워지도록 상향 돌출된 상향끼움돌기(51)와, 이 상향끼움돌기(5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수평돌부(54)와, 이 수평돌부(54)의 후단에서 상향 연장되어 피부착물에 고정되는 브래킷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결설치부재(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선반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고정물에 끼워지는 끼움홈(14),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판부(20) 및 메모지(4)를 꽂을 수 있는 메모꽂이수용돌기(31)가 일체가 되도록 압출성형한 미니선반을 제공함으로써, 제작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고시원이나 원룸과 같이 비교적 비좁은 실내공간에서도 화분(5)을 간편하게 기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과표나 중요한 사항이 적힌 메모지(4)를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어서 공간활용도가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납판부(20)의 양단부면을 커버하는 엔드캡(40)의 상면에는 수납판부(2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턱(42)과 돌출되지 않는 물배출부(41)가 교호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화분(5)에서 배출되는 물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면서도 화분(5)이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납판부(20)의 상면에는 거울(6) 등을 삽입 설치할 수 있는 판재삽입홈(17)이 일체로 형성되어, 거울(6)에 의해 비좁은 실내공간이 좀 더 넓어 보이며 화분(5)이 거울(6)에 비춰져서 수량도 많아 보게 된다. 또한, 상기 메모꽂이수용돌기(31)와 끼움홈(14)의 전면벽(11) 사이에 복수개의 수평승강바(32)를 일렬로 수평배치함으로써, 각 수평승강바(32)에 꽂힌 메모지(4)의 수량이 제각각이더라도 수평승강바(32)의 승강에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아서 수평승강바(32)가 메모지(4)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저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미니선반의 끼움홈(14)이 방이나 싱크대의 계수대에 구비된 창틀(1)의 상향돌출부(2)에 끼워지는 것 이외에 도어, 파티션, 벽면 등에 설치하기 위한 연결설치부재(50)를 구비하여, 상기 미니선반을 보다 다양한 피고정물에 설치할 수 있어서 설치상의 제약이 크지 않고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선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선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선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선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니선반은 하면에 끼움홈(14)이 형성된 고정설치부(10)와, 이 고정설치부(10)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수납판부(20)와, 이 수납판부(20)의 하면에 구비되어 메모지(4)를 수용하는 메모꽂이부(30)와, 상기 수납판부(20)의 양단부를 막는 엔드캡(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설치부(10)는 각각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방 및 후방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된 전면벽(11) 및 후면벽(12)과, 이 전면벽(11)과 후면벽(12)의 상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연결벽(13)으로 구성된다. 이 고정설치부(10)의 하면에 전면벽(11), 후면벽(12) 및 연결벽(13)에 의해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끼움홈(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벽(11)이 후면벽(12)에 비해 하측으로 더 길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벽(11) 및 후면벽(12)의 상단에서 연결벽(13)의 상측으로 일체로 각각 연장된 전면연장부(15) 및 후면연장부(16)가 구비되며, 이 전면 및 후면연장부(15, 16)와 연결벽(13)에 의해 고정설치부(10)의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판재삽입홈(1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거울(6)이나 기타 판재와 같은 장식판재가 상기 판재삽입홈(17)에 삽입되며, 특히 거울(6)은 강화유리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판부(20)는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 또는 전면연장부(15)에서 전방으로 수평 연장되어 상면에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판부(20)는 연결판(13)이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이거나 또는 전면벽(11)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수평 연장된 형태의 하면판(22)과, 상기 전면연장부(15)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수평 연장된 형태의 상면판(21)과, 이 상면판(21)과 하면판(22)이 평행한 상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유지해주는 보강부(24) 및 전면커버부(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커버부(23)는 상면판(21) 및 하면판(22)의 전단을 연결하여 전방에서 볼 때 보강부(2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상면판(21)의 상면에는 전면커버부(23)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진 걸림턱(25)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부(23), 보강부(24) 및 전면연장부(15)에는 피스(45)가 결합되는 피스결합부(26)가 형성된다.
상기 메모꽂이부(30)는 메모지(4)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메모꽂이수용돌기(31)와 수평승강바(32)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꽂이수용돌기(31)는 수납판부(20)의 하면판(22)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된 것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과 근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면벽(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한편, 이 메모꽂이수용돌기(31)와 고정설치부(10) 및 수납판부(20)는 일체로 형성되며 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승강바(32)는 메모꽂이수용돌기(31)와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데, 그 직경이 메모꽂이수용돌기(31)의 하단과 상기 전면벽(11)과의 거리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수평승강바(32)가 메모꽂이수용돌기(31)의 하단과 전면벽(11)에 의해 걸려진 상태가 된다. 또한, 수평승강바(32)의 직경이 메모꽂이수용돌기(31)의 상단과 전면벽(11)과의 거리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수평승강바(32)가 수평상태에서 메모꽂이수용돌기(31)를 따라 승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메모지(4)를 수평승강바(32)와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 사이에 꽂으면, 수평승강바(32)가 메모꽂이수용돌기(31)를 따라 승강되고 자중에 의해 메모지(4)를 전면벽(11)쪽으로 가압하여 메모지(4)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메모꽂이수용돌기(31)의 좌우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하나의 수평승강바(32)가 장착될 수 있지만, 도 1에서와 같이, 그보다 길이가 작은 복수개의 수평승강바(32)를 그 단부가 서로 인접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수평승강바(32)에 서로 다른 수량의 메모지(4)를 꽂더라도 각 수평승강바(32)가 별도로 승강되므로, 각 수평승강바(32)가 메모지(4)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저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엔드캡(40)은 수납판부(20)의 개방된 양단부면을 폐쇄하는 것으로, 수납판부(20)의 단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납판부(20)에 형성된 피스결합부(26)와 대응되는 위치에 피스공(43)이 형성되어 피스(45)나 볼트로 수납판부(20)에 결합시킨다. 이때, 엔드캡(40)의 상면에는 수납판부(20)의 상면판(21)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물배출부(41)와, 상면판(21)의 상면으로 상향 돌출된 이탈방지턱(42)이 서로 교호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웨이브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수납판부(20)의 상면판(21)에 화분(5)을 올려놓을 경우, 화분(5)에서 배출되는 물이 물배출부(41)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 화분(5)이 이탈방지턱(42)에 걸려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한편, 엔드캡(40)의 하단에는 메모꽂이부(30)의 양단부를 커버하는 가림판(44)이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니선반의 설치구조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미니선반이 창틀(1)에 장착된 것을 예시하였으며, 고정설치부(10)의 끼움홈(14)을 창틀(1)의 하단에 형성되어 창문(3)이 실내공간으로 쓰러지는 것을 막는 상향돌출부(2)에 끼우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판재삽입홈(17)에 거울(6)을 추가적으로 삽입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시원과 같은 좁은 실내공간이 좀 더 넓게 보이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납판부(20)의 상면판(21)에 화분(5)을 올려놓으면, 화분(5)이 거울(6)에 비춰져서 화분(5)의 수량이 많아보이므로, 좀 더 미려함을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창틀(1)은 거실이나 방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싱크대의 계수대 후방에 구비된 창틀(1)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화분(5)이 아닌 주방세제나 수세미 등을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니선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미니선반을 벽면, 파티션 또는 냉장고의 측면이나 도어 등의 피부착면(7)에 연결설치부재(50)를 이용하여 설치한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상기 연결설치부재(50)는 고정설치부(10)의 끼움홈(14)이 끼워지도록 상향 돌출된 상향끼움돌기(51)와, 이 상향끼움돌기(5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수평돌부(54)와, 이 수평돌부(54)의 후단에서 상향 연장되어 피부착면(7)에 부착되는 브래킷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부(55)와 상향끼움돌기(51)는 평행하게 형성되며, 그 사이에 미니선반의 끼움홈(14)의 후면벽(12)이 삽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향끼움돌기(51)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만곡 또는 절곡된 절곡지지부(52)가 형성되어, 이 절곡지지부(52)의 단부가 피부착면(7)에 면접함에 따라 미니선반이 장착됨으로써 연결설치부재(50)에 걸리는 하중을 상하방향으로 분산시키게 되므로 좀 더 안정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상향끼움돌기(51)의 전면에는 미니선반의 끼움홈(14)의 전면벽(11)과 면접되는 복수개의 평행유지돌부(53)가 돌출되어, 상향끼움돌기(51)의 두께를 줄여서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키면서도 상향끼움돌기(51)가 상기 끼움홈(14)에 삽입될 때 상향끼움돌기(51)가 끼움홈(14)의 전면벽(11) 및 후면벽(12)과 평행을 유지시켜준다. 한편, 상기 브래킷부(55)에는 볼트공(56)이 형성되며, 이 볼트공(56)의 내주면은 경사면을 이루고 볼트머리가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볼트(58)가 볼트공(56)에 삽입안착된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설치부재(50)를 피부착면(7)에 볼트(58)로 고정시키지 않고 양면테이프나 접착제 등으로 부착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니선반의 설치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미니선반을 파티션(8)이나 도어의 상단부에 연결설치부재(50)를 이용하여 설치한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상기 연결설치부재(50)의 브래킷부(50)는 전번 실시예와 달리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파티션이나 도어의 상면부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으므로, 볼트나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지 않고 연결설치부재(5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어의 경우에는 도어와 문틀간에 간격이 형성되므로, 도어의 개폐가 브래킷부(55)에 의해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각각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전면벽(11) 및 후면벽(12)과, 이 전면벽(11) 및 후면벽(12)의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벽(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벽(11), 후면벽(12) 및 연결벽(13)에 의해 하면에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끼움홈(14)이 형성된 고정설치부(10);
    상기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면에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판부(20); 및
    상기 수납판부(2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쪽으로 근접되도록 하향 돌출되며 전면벽(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메모꽂이수용돌기(31)와, 이 메모꽂이수용돌기(31)와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메모지(4)를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쪽으로 가압고정하는 수평승강바(32)로 이루어진 메모꽂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설치부(10), 수납판부(20) 및 메모꽂이수용돌기(3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압출성형되고, 상기 수평승강바(32)의 직경은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과 메모꽂이수용돌기(31)의 상단과의 거리보다는 작고 고정설치부(10)의 전면벽(11)과 메모꽂이수용돌기(31)의 하단과의 거리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수평승강바(32)가 메모꽂이수용돌기(31)를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판부(20)는 상면판(21) 및 하면판(22)이 소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수납판부(20)의 양단부에는 엔드캡(40)이 결합되며, 이 엔드캡(40)의 상면에는 수납판부(20)의 상면판(21)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의 물배출부(41)와, 상기 상면판(21)의 상면으로 상향 돌출된 이탈방지턱(42)이 교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선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설치부(10)의 상면에는 전면벽(11) 및 후면벽(12)이 각각 상향 연장된 전면연장부(15) 및 후면연장부(16)가 더 구비되며, 이 전면연장부(15), 후면연장부(16) 및 연결벽(13)에 의해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거울(6)이나 판재와 같은 장식판재가 삽입되는 판재삽입홈(17)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승강바(32)는 복수개가 수평방향을 따라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선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설치부(10)의 끼움홈(14)이 끼워지도록 상향 돌출된 상향끼움돌기(51)와, 이 상향끼움돌기(5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수평돌부(54)와, 이 수평돌부(54)의 후단에서 상향 연장되어 피고정물에 고정되는 브래킷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결설치부재(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선반.
KR1020110124523A 2011-11-25 2011-11-25 미니선반 KR101307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523A KR101307416B1 (ko) 2011-11-25 2011-11-25 미니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523A KR101307416B1 (ko) 2011-11-25 2011-11-25 미니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494A KR20130058494A (ko) 2013-06-04
KR101307416B1 true KR101307416B1 (ko) 2013-09-11

Family

ID=4885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523A KR101307416B1 (ko) 2011-11-25 2011-11-25 미니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649B1 (ko) * 2016-03-15 2018-05-18 김태연 창틀설치용 다용도 선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956Y1 (ko) * 1995-11-20 1999-02-18 정일용 창틀선반용샷슈골조구조
KR0138897Y1 (ko) * 1996-07-31 1999-04-01 오태근 베란다 창틀 탈부착용 선반겸용 화분대
KR20060131121A (ko) * 2005-06-15 2006-12-20 김 천 식 동식물 생육 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956Y1 (ko) * 1995-11-20 1999-02-18 정일용 창틀선반용샷슈골조구조
KR0138897Y1 (ko) * 1996-07-31 1999-04-01 오태근 베란다 창틀 탈부착용 선반겸용 화분대
KR20060131121A (ko) * 2005-06-15 2006-12-20 김 천 식 동식물 생육 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649B1 (ko) * 2016-03-15 2018-05-18 김태연 창틀설치용 다용도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494A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626B2 (en) Wall hanging system
KR200476411Y1 (ko) 칫솔걸이
KR101307416B1 (ko) 미니선반
JP5797943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CN209915650U (zh) 家居墙面物品收纳系统
KR100815641B1 (ko) 세면용품 보관대
US11006583B1 (en) Window planter including slidable compartments
KR101100150B1 (ko) 양방향 조립식선반
US6904714B1 (en) Decorative flower stand
KR200349598Y1 (ko) 욕실 코너 설치용 선반
KR200443182Y1 (ko) 주방용 선반
CN211065766U (zh) 一种厨用搁板及使用该搁板的厨用中柜
KR200343373Y1 (ko) 다용도 선반
CN214387310U (zh) 一种柜子的功能盒及具有该功能盒的储物柜
CN214696615U (zh) 一种嵌板式多功能护墙收纳装置
KR101191311B1 (ko) 주방용 조립식 선반
CN217117813U (zh) 一种升降式收纳装置
CN219397072U (zh) 一种厨具收纳系统
CN214531678U (zh) 一种便于安装的隐藏式定位型材及多功能护墙收纳装置
CN209863203U (zh) 浴室拖鞋挂架
CN210961253U (zh) 一种应用在货架上的立杆组合件
CN201445445U (zh) 多功能置物架
CN215858032U (zh) 一种水槽、挂篮、水槽组件以及一体式厨房设备
CN218127544U (zh) 一种提高空间利用率的衣柜
KR200374405Y1 (ko) 가구의 수납용 서랍의 선반행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