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121A - 동식물 생육 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 Google Patents
동식물 생육 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31121A KR20060131121A KR1020050051329A KR20050051329A KR20060131121A KR 20060131121 A KR20060131121 A KR 20060131121A KR 1020050051329 A KR1020050051329 A KR 1020050051329A KR 20050051329 A KR20050051329 A KR 20050051329A KR 20060131121 A KR20060131121 A KR 200601311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
- wall
- enclosure
- partition
- pla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실내 장식물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의 벽체나 칸막이(partition)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부재(100)와, 동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투명한 용기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100)에 적어도 일면이 노츨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함체(200)와, 상기 지지부재(100)의 전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화분(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이 제공된다.
지지부재, 투입구, 투시부, 함체, 격벽, 화분, 끼움홈, 결합돌기, 결합홈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지지부재 110. 투입구
130. 투시구 150. 슬롯
180. 결합돌기 200. 함체
220. 격벽 300. 화분
320. 끼움홈 322. 걸림턱
380. 결합홈
본 발명은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실내 장식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고기 또는 곤충, 파충류 등의 동물과 화초 등의 식물을 각각 키울 수 있는 함체와 화분을 일체로 구비하되, 실내의 벽면 내지 벽체의 내부 또는 파티션 등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장식은 물론 공간활용에 기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실내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가정 등에서는 관상용 물고기나 화초 등을 키우기 위해 어항이나 화분을 실내에 설치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어항이나 화분은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각각 확보되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부주의 할 경우에는 상기 어항이나 화분이 쓰러져 담겨있던 물이나 토양이 주변으로 떨어져 실내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항상 주의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어항이나 화분을 실내에 설치하기 꺼려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고기 또는 곤충, 파충류 등의 동물과 화초 등의 식물을 함께 키울 수 있는 함체와 화분을 일체로 구비하여 벽체나 파티션 등에 고정되도록 하여, 함체와 화분이 쓰러져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실내장식 및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특징은 실내의 벽체나 칸막이(partition)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부재와, 동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투명한 용기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에 적어도 일면이 노츨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함체와,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화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후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구가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상기 투입구 측으로 개구되는 슬롯이 형성된 사각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함체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함체를 상기 투입구를 통해 지지부재의 내측에 끼움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르면, 상기 함체의 내부 중앙에는 격벽이 착탈 가능하게 수직 장착되어 상기 격벽에 의해 동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키울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와 화분이 서로 접하는 면에는 서로 끼움결합되도록 “T”자 형태의 결합돌기와 이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이 각각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착탈식으로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분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면에는 전방으로 개구되는 끼움홈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의 입구측 상하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턱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사진이나 메모지 등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이 제공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물생육공간이 구비된 화분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벽면이나 파티션에 설치하여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서 인테리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벽체(10)의 일면에 못이나 스크류 등의 체결구로 고정설치되는 지지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1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함체(200)와, 상기 지지부재(100)의 전면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분(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벽체(10)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함체(200)와 화분(300)을 지지하는 것으로, 사각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는 지지부재(100)의 내부로 후술할 함체(200)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10)에는 경첩에 의해 덮개(120)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덮개(120)의 외측면 중앙에는 이 덮개(12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손잡이(1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덮개(120)의 내측면과 상기 투입구(110) 상단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자성체(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120)를 닫았을때 상기 자성체에 의해 닫혀진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120)의 외측면과 상기 덮개(120)와 마주하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타측벽 외측면 하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양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사용시에는 수평상태를 유지되고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상기 덮개(120)의 외측면 또는 타측면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된 원형 또는 사각 링형상의 걸이구(140)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구(140)에 방향제 용기 등을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00)의 전면에는 내부에 장착되는 함체(200)를 관찰할 수 있도록 사각형태로 투시구(130)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00)의 바닥판 중앙에는 상기 투입구(110) 측으로 개구되는 슬롯(150)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롯(150)에 의해 그 저면에 에어공급수단 등이 구비된 후술할 함체(200)가 상기 지지부재(100)의 내부로 간섭없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00) 바닥판 저면의 전후측에는, 즉, 상기 슬롯(150) 위치의 바닥판 저면의 전후측에는 서로 평행하도록 횡방향으로 길게 하향 연장된 띠형상의 한 쌍의 연장부(160)가 구비되되, 상기 연장부(160)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나사공(16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160)에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160) 사이의 하측을 감싸도록 상측이 개구된 사각 통형상의 거버부재(17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재(170)의 양측벽 중앙에는 상기 연장부(160)의 나사공(162)과 대응되도록 관통공(172)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72)을 통해 상기 나사공(162)에 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커버부재(170)를 연장부(160)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00)의 전면 하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눕혀진 “T ”자 형상의 결합돌기(18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80)에 후술할 화분(300)을 착탈식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함체(20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투입구(110)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100)의 내부에 착탈식으로 끼움결합되며, 내부에 관상용 물고기나 곤충, 벌레 또는 애완용 동물 등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동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용기형태로 이루어져, 즉, 상기 지지부재(100)의 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함체(200)의 내부 중앙에는 착탈 가능하게 격벽(220)이 수직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함체(200)를 곤충이나 벌레 등의 동물을 키울때에는, 상기 격벽(220)에 의해 동물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키울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벽(200)을 중앙부에 하나만 장착되도록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격벽(200)을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하여 함체(200)의 내부에 다수종의 동물을 구획하여 키울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함체(200)의 저면에는 일단부가 상기 함체(200)의 일측 바닥면에 열결되고 타단부는 함체(200)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타측 바닥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되 그 단부는 바닥면을 향하도록 “∩”자 형태로 절곡된 물순환라인(230)이 연결되고, 상기 함체(200) 저면 위치의 물순환라인(230)에는 펌프(240)가 연결되어, 상기 펌프(240)를 작동시키면, 상기 함체(200)에 담겨지는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물순환라인(230)의 함체(200) 일측 바닥면에 연결된 부위에서 함체(200) 내부의 물을 흡입하여 함체(200)의 내부 상측에서 토출되도록 된다. 이때, 상기 펌프(240)의 흡입구측에는 필터부(250)가 마련되어, 상기 필터부(250)에 의해 순환되는 물을 정화하도록 하여, 상기 함체(200)를 관상용 물고기를 키우는 어항 용도를 사용할 경우 장기간 물을 교환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상기 함체(200)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함체(200)의 내부로 수직으로 관통하는 에어공급라인(260)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공급라인(260)의 하단부에는 에어공급기(270)가 연결되어, 상기 에어공급기(270)에 의해 함체(200)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화분(300)은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토양을 깔고 화초 등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횡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00)의 전면 하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80)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화분(300)의 배면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결합돌기(180)와 대응되는 형상인 눕혀진 “T”자 형상의 결합홈(380)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380)과 결합돌기(180)가 끼움 결합되도록 화분(300)을 지지부재(10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송시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화분(300)의 전면 중앙부에는 상기 화분(300)의 전방으로 개구되는 끼움홈(320)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320)의 입구측 상하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턱(322)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320)에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70)를 끼움결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메모지를 끼워 알림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70)는 상기 끼움홈(320)에 바로 끼 움결합하지 않고, 이미지(70)의 전면을 깜사도록 된 별도의 투명한 합성수지 시트(75)로 감싸서 상기 끼움홈(320)에 끼움결합하여, 상기 이미지(7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미설명 번호 210은 상기 함체(200)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함체(200)를 지지부재(100)에 용이하게 삽입시키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실내 장식물은 상기 지지부재(100)를 실내의 벽체(10)의 일면에 스크류나 못 등의 체결구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100)의 내부에는 관상용 물고기나 곤충, 파충류 등의 애완용 동물 등을 키울 수 있는 함체(200)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100)의 전면 하측에는 화초 등을 키울 수 있는 화분(300)이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실내 공간활용을 할 수 있으면서, 종래와 같이 부주의로 인해 상기 함체(200)나 화분(300)이 쉽게 쓰러져 주위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200)와 화분(300)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므로,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함체(200)의 내부 공간을 격벽(220)에 의해 구획하여, 곤충이나, 벌레, 애완용 동물 등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키울 수 있어, 어린이들의 학습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화분(300)에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70)를 키울 수 있는 끼움홈(32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내장식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첩되는 작동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실내 장식물을 벽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실내의 거실과 주방을 구획하는 벽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100)가 끼움 결합되도록 벽체(10)의 양측으로 개구되는 장착홀(13)을 형성하여, 상기 장착홀(16)에 그 내부에 함체(200)를 끼움 결합한 지지부재(100)를 삽입하되, 상기 지지부재(100)가 벽체(10)의 장착홀(13)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홀(13)의 둘레부를 따라 일단부가 지지부재(100)에 접촉되도록 다수의 고정브라켓(14)을 벽체(10)에 고정하여, 상기 고정브라켓(14)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00)가 벽체(10)의 장착홀(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00)는 투시구(130)를 제1실시예서와 같이, 전면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전후면 모두 형성하여, 상기 벽체(10)의 양측에서 함체(200)를 볼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지지부재(100)의 결합돌기(180)도 상기 지지부재(100)의 전후면 하측에 각각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재(100)의 전후면에 화분(300)을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거실측 화분(300)에는 식물을 키우도록 하고, 주방측 화분(300)에는 주방용품 등을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된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첩되는 작동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실내 방식물을 사무실이나 음식점 등에 설치되는 파티션(15)의 상단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파티션(15)에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커버부재(170)와 어항용으로 사용할때 사용되는 순환라인이나 펌프, 에어공급기 등을 제거한 후,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측에 마련된 한 쌍의 연장부(160) 사이에 파티션(15)을 끼움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160)의 나사공(162)에 스크류를 체결하되, 상기 스크류의 단부가 파티션(15)의 상단부 전후면에 밀착되도록 고정하여, 상기 함체(200)가 결합된 지지부재(100)가 파티션(15)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투시구(130)와 결합돌기(180)가 지지부재(100)의 전후면에 형성되어, 파티션(15)의 전후면에서 함체(200)를 볼 수 있고, 화분(300)도 지지부재(100)의 전후면에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제2,3실시예서와 같이, 상기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실내 장식물을 벽체(10)의 내부나 사무실이나 식당 등에 설치되는 파티션(15) 상단에 고정하여, 상기 벽체(10)나 파티션(15)의 양측에서 상기 함체(200) 및 화분(300)을 볼 수 있으므로, 사무실이나 식당 등에서도 공간활용을 할 수 있고,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실내 장 식물은 벽체(10)나 파티션(15)에 고정 장착되는 지지부재(100)에 관상용 물고기나 곤충, 파충류 등의 애완용 동물 등을 키울 수 있는 함체(200)와 화초 등의 식물을 키울 수 있는 화분(300)이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화분(300)에는 그림이나 사진 등의 이미지(70)를 끼울 수 있는 끼움홈(32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내장식은 물론 실내 공간활용에 기여할 수 있고, 상기 함체(200) 및 화분(300)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함체(200)의 내부 공간을 격벽(220)에 의해 구획하여, 곤충이나, 파충류 등의 애완용 동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키울 수 있어, 어린이들의 학습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목적, 구성,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 실내의 벽체나 칸막이(partition)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부재(100)와,동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투명한 용기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100)에 적어도 일면이 노츨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함체(200)와,상기 지지부재(100)의 전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화분(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0)는 일측에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전후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구(130)가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상기 투입구(110) 측으로 개구되는 슬롯(150)이 형성된 사각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상기 함체(20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상기 함체(200)를 상기 투입구(110)를 통해 지지부재(100)의 내측에 끼움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200)의 내부 중앙에는 격벽(220)이 착탈 가능하 게 수직 장착되어 상기 격벽(220)에 의해 동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키울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0)와 화분(300)이 서로 접하는 면에는 서로 끼움결합되도록 “T”자 형태의 결합돌기(180)와 이 결합돌기(180)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380)이 각각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착탈식으로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300)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면에는 전방으로 개구되는 끼움홈(320)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320)의 입구측 상하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턱(322)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320)에 사진이나 메모지 등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식물 생육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1329A KR100689626B1 (ko) | 2005-06-15 | 2005-06-15 | 동식물 생육 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1329A KR100689626B1 (ko) | 2005-06-15 | 2005-06-15 | 동식물 생육 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1121A true KR20060131121A (ko) | 2006-12-20 |
KR100689626B1 KR100689626B1 (ko) | 2007-03-08 |
Family
ID=3781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1329A KR100689626B1 (ko) | 2005-06-15 | 2005-06-15 | 동식물 생육 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962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8801B1 (ko) * | 2008-09-05 | 2011-03-03 | 백문기 | 구조물 벽면에 제공되는 야생동물 인공서식물 및 그 시공 방법 |
KR101307416B1 (ko) * | 2011-11-25 | 2013-09-11 | 중원알루미늄공업주식회사 | 미니선반 |
CN113774943A (zh) * | 2020-06-04 | 2021-12-10 | 深圳奥雅设计股份有限公司 | 地基基础以及临时性主体展览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90358A (en) | 1989-10-16 | 1992-02-25 | Martin Waldman | Aquarium or terrarium vessel |
JPH0590358A (ja) * | 1991-09-26 | 1993-04-0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プローブカード及び高抵抗材料検査装置 |
KR0116273Y1 (ko) * | 1995-04-04 | 1998-04-17 | 안홍선 | 관상용 소화분이 내설된 액자겸용 어항 |
JPH0923781A (ja) * | 1995-07-07 | 1997-01-28 | Shohachi Setoguchi | 壁掛け水槽 |
KR20030067986A (ko) * | 2002-02-09 | 2003-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근접장용 광자기 기록 매체 및 그 제조방법 |
KR200367986Y1 (ko) | 2004-06-03 | 2004-11-17 | 황수진 |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
-
2005
- 2005-06-15 KR KR1020050051329A patent/KR1006896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8801B1 (ko) * | 2008-09-05 | 2011-03-03 | 백문기 | 구조물 벽면에 제공되는 야생동물 인공서식물 및 그 시공 방법 |
KR101307416B1 (ko) * | 2011-11-25 | 2013-09-11 | 중원알루미늄공업주식회사 | 미니선반 |
CN113774943A (zh) * | 2020-06-04 | 2021-12-10 | 深圳奥雅设计股份有限公司 | 地基基础以及临时性主体展览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89626B1 (ko) | 2007-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9812B1 (ko) | 벽면 고정형 식물 재배장치 | |
CN107072159B (zh) | 水族箱养耕共生系统和方法 | |
CN106472287A (zh) | 生态种植箱 | |
KR100689626B1 (ko) | 동식물 생육 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 |
KR100997306B1 (ko) |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 |
KR101256044B1 (ko) |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 | |
KR20100129974A (ko) | 수경재배용 화분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모듈형 화분 | |
JP2786901B2 (ja) | 養殖用水槽 | |
JP3051200U (ja) | 動物飼育用給水器と該給水器の動物飼育用ケージへの取付構造 | |
KR20190014200A (ko) | 벽면 정원 겸용 수족관 | |
KR101911775B1 (ko) | 식물 재배 파티션 | |
KR20140040946A (ko) | 화분겸용 화분받침대 | |
KR101931151B1 (ko) | 수경재배용 화분과 어항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어항 | |
JP3090497U (ja) | 鑑賞用水槽 | |
KR20100007706U (ko) | 물받이 일체형 화분 | |
KR200465458Y1 (ko) |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액자용 화분 | |
KR20110105937A (ko) | 테이블 또는 벤치를 겸한 수족관 | |
JP2000116271A (ja) | 生物の飼育鑑賞用ケースにおける上蓋等の備え付け用スペーサー | |
US6834617B1 (en) | Aquarium background setting | |
KR20160025820A (ko) | 선반 일체형 식물재배기 | |
KR101502840B1 (ko) | 벽면 장식용 화분걸이 | |
KR20160002513U (ko) | 여닫이문 벽걸이 정원 | |
KR20170006990A (ko) | 실내외 겸용 묘목트레이 거치대 | |
JPH0521643U (ja) | 壁掛けプランタ | |
KR200431635Y1 (ko) | 관상용 식물재배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