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331B1 -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331B1
KR101307331B1 KR1020120010453A KR20120010453A KR101307331B1 KR 101307331 B1 KR101307331 B1 KR 101307331B1 KR 1020120010453 A KR1020120010453 A KR 1020120010453A KR 20120010453 A KR20120010453 A KR 20120010453A KR 101307331 B1 KR101307331 B1 KR 101307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ene chloride
compound
pyran
tetrahydro
equi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920A (ko
Inventor
김상희
강창율
백동재
이두현
이윤숙
강민희
이재영
이규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0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3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0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 C07H15/04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온에서 매우 안정하고 용해도가 우수하며, CD1d에 매개하여 NKT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이에 따른 싸이토카인을 유도하여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에 의해 알려진 치료분야(자가면역질환, 암, 만성적인 알레르기 질환, 각종 감염증)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싸이토카인 IL-4를 강력히 유도하여 이에 의해 조절되는 제1형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Novel α-galactosylceramide derivativ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preparation meth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immune adjuvant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D1은 주로 박테리아 또는 자기 지질(self-lipid)로부터 기인한 당지질을 인식하여 CD1에 제한된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MHC류(MHC-class)와 유사한 분자이다. CD1과 MHC류의 큰 차이점은 MHC 분자는 다양한 펩타이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다변성의 결합 부위를 가지고 있는 반면 CD1은 항원과의 결합부위의 구조가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결합부위의 구조와 그에 따른 TCR에 따라서 각각 유도되는 면역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Barral, D. C. & Brenner, M. B. Nature Rev. Immunol., 7:929-941,2007). CD1은 유전자 타입에 따라 CD1a, b, c, e의 그룹 1 과 CD1d의 그룹 2로 나누어진다. 그룹 1은 저 전구체 주파수 T세포(low precursor frequency T cell)에 인식되어 적응면역반응을 유도하고 그룹 2에 속하는 CD1d는 NKT 세포를 활성화시켜 내재면역반응을 유도한다. 그중 CD1d에 대한 의약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NKT 세포의 활성화로 발생하는 싸이토카인의 분비가 자가면역질환의 치료 및 항암치료에 의약적인 이용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CD1에 인식되는 당지질은 박테리아의 세포벽 또는 자기 지질에서 기인하며 구조적인 공통점으로는 극성 머리부분과 두 개 이상의 지질 꼬리(tail)를 가지고 있다(예외 CD1c는 한 개의 지질 꼬리를 가지고 있음). 이중 CD1d의 당지질 중 하나인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α-galactosylceramide, α-GalCer)는 해양 천연물의 일종인 아젤라스핀(agelasphin)을 구조적으로 변형시킨 유도체로(Morita, M. et al., J.Med.Chem. 38:2176-2187, 1995) NKT(Natural Killer T) 세포의 Vα14+ T 세포 수용체(TCR)에 대한 리간드(ligand)로 작용하는 최초의 물질이며, 그룹 1의 당지질과 달리 박테리아와 자기 지질에서 기인하지 않은 물질이다. CD1d에 α-GalCer이 결합되면 NKT 세포의 TCR에 인식되어 NKT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자연살해 T(Natural Killer T, NKT) 세포는 일정한 하나의 αβ T 세포 수용체(T cell receptor ; TCR)와 자연살해(NK) 세포 수용체를 모두 발현하는 면역세포로서, 다른 T 세포들과는 다르게 CD1d 분자와 같은 유사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에 의해 제시된 당지질 항원을 인식한다(Brigl, M et al., Annu. Rev. Immunol., 22:817-890, 2004). NKT 세포가 활성화되면 인터페론-γ(IFN-γ, Th1)와 인터루킨-4(IL-4, Th2)와 같은 다량의 Th1 및 Th2 싸이토카인을 생성한다. 이러한 Th1 및 Th2 싸이토카인을 의약적인 목적으로 이용하고자 α-GalCer과 같은 당지질(glycolipid)을 이용한 지질 백신(lipid vaccine)의 개발연구가 상당부분 이루어 지고 있다. 당지질은 인체내에서 직접적으로 면역계를 활성화 시켜 암, 당뇨병,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으며,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와 매개하여 NKT 세포를 활성화 시켜 암, 자가면역질환, 만성적인 알레르기 질환, 각종 염증성 질환 및 감염성 질환의 치료에 의약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Kronenberg, M & Gapin, L. Nature review. Immunol., 2:557-568, 2002; Kaer, L. V. Nature review. Immunol., 5:31-42, 2005; Tupin, E, Kinjo, Y. & Kronenberg, M. Nature review. Microbiol., 5:405-417, 2007; Gomes, A. Q., Correia& Silva-Santos, B. EMBO, 8:1024-1030, 2007). 이와같이 싸이토카인은 선천성 및 유도성 면역반응에 있어 관련 세포들을 활성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때 싸이토카인의 Th1 및 Th2의 균형은 목적하고자 하는 면역 반응의 성격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en et al., J. Immunol., 159: 2240, 1997; Wils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0: 10913, 2003). Th1 타입(IFN-γ) 싸이토카인의 면역반응은 세포매개면역(cell-mediated immunity)을 증가시켜 미생물 면역(microbial immunity), 종양거부반응(tumour rejection)을 증가시키지만 그로 인하여 자가면역(autoimmunity)과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을 증가시키는 반면, Th2 타입(IL-4) 싸이토카인의 면역반응은 세포매개면역을 감소시켜 자가면역과 동종이식거부반응(allograft rejection)을 감소시키지만 알레르기(allergy) 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다(Godfrey, d. I. & Berzins, S. P. Nature review. Immunol., 7:505-518, 2007). 싸이토카인은 매우 적은 양으로도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한가지 싸이토카인이 다양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어 불필요한 면역반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두가지 타입의 면역반응을 모두 활성화시키는 α-GalCer의 구조적인 변형이 요구되어왔다. 또한, α-GalCer은 생쥐에서 간세포에 대한 독성을 보이고 있어 자가면역질환의 위험성이 있는 환자에게 신중함을 보여야 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구조적으로도 긴 지방성(aliphatic) 체인과 TCR에 결합(binding)하는 극성 헤드(head)그룹으로 인하여 유기와 무기용매 모두에서 낮은 용해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높은 활성에도 불구하고 낮은 흡수율로 인한 약물동력학적인 문제가 예상되고 또한 제형에도 어려움이 있어 다양한 유도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연구실에서 α-GalCer을 합성적인 방법으로 변형한 유도체를 개발하여 왔으나, 현재까지 두 타입의 면역반응을 완벽하게 조절하는 물질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당지질의 작용과 구조적인 특성이 어떻게 두 타입의 면역반응을 조절하는지에 대한 가설들은 많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들어, PBS-25 또는 OCH와 같은 α-GalCer 유사체의 경우 구조적으로 짧은 지방산사슬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낮은 결합친화도(binding affinity)를 가지고 있다. 이 유사체는 모두 IL-4에 대한 선택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서 현재까지 낮은 결합친화도(짧은 자극)가 Th2 타입에 대한 선택성을 높일 것으로 예측되었다(Goff, R. D. et al., J. Am. Chem. Soc., 126:13602-13603, 2004, Oki, S. et al., J. Clin. Invest. 113:1631-1640, 2004).
CD1d에 인식되는 당지질의 구조는 구조적으로 갈락토오스기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이 입증된바 있으며 α-anomer 연결구조는 α-GalCer이 NKT 세포에 대한 유력하고 효과적인 리간드로서 작용할 수 있는 결정적인 구조라는 점이 밝혀진 바 있다(Kawano, T. et al., Science, 278:1626-1629, 1997). 또한, 당(sugar)의 2번 수산기는 NKT 세포의 TCR을 통한 인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반면, 3번과 6번 수산기는 화학적 변형이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보고된 바 있다(Barbieri,L. et al., Eur. J. Org. Chem., 468-473, 2004). 나아가, 지방산 사슬 부분은 탄소 10개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포화된 지방산 사슬기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Moody, D. B. et al., Immun. Review. 172:285-196, 1999). 이러한 제한적인 규칙으로 인하여 다양한 유도체 합성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었지만 최근들어 몇몇 연구실에서 지방산사슬에 다른 작용기를 도입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중 지방산사슬 말단에 페닐기를 도입한 유도체는 탄소 개수 5-10개의 지방산사슬 길이를 가지는 유도체에서 Th1 타입 면역반응에 강력한 선택성을 보이고 있다(α-GalCer의 3배 이상). 그러나 Th2 타입(IL-4)의 싸이토카인 또한 α-GalCer보다 높은 활성을 보여 의약적으로 가치가 있을지는 미지수이다(Wu, D.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3:3972-3977, 2006). Th2 타입에 선택성을 보이는 유도체 중 가장 높은 선택성을 보이는 물질은 불포화된 지방산 사슬기가 도입된 유도체로, IL-4의 분비량은 α-GalCer과 유사하지만 α-GalCer의 20% 내외의 IFN-g 분비량을 보이고 있다(Yu, K. O. 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2: 3383-3388, 2005). 하지만 불포화 지방산 사슬은 상온에서 상당히 불안정한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유도체의 장기보관과 대량생산에서의 문제점을 보일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Th1/Th2 타입의 면역활성을 조절하기 위한 유도체 합성연구에서 지방산사슬을 변형한 유도체의 경우 대부분 단순한 탄소로 이루어진 작용기 도입에 국한되어 왔다. 그 이유는 알려진 CD1d의 결정(crystal) 구조에 따라 지방산 사슬이 소수성 포켓(A' pocket)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지방산 사슬에 다른 작용기가 도입된 유도체는 거의 없었으며, 도입된 유도체는 낮은 생리활성을 보였다(Kawano, T. et al., Science, 278:1626-1629, 1997).
이에, 본 발명자들은 α-GalCer과 같은 당지질을 이용하여 생체내 면역조절을 통한 치료제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하던 중, 지방산사슬 내에 질소를 도입하여 구조적으로 독특한 형태를 가지면서 합성하기에 편리한 α-GalCer 유도체를 합성하였고, Th2 싸이토카인에 대한 높은 선택성과 안정성 및 유기, 무기 용매 모두에서 높은 용해도를 가지는 CD1d 인식 당지질을 합성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는 α-GalCer에 의해 알려진 치료목적(암, 자가면역질환, 만성적인 알레르기 질환, 각종 염증성 질환,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감염성 질환)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α-GalCer과 비교하여 제1형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보다 강력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NKT 세포를 활성화 시키고 이에 따라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싸이토카인을 유도하며, 상온에서 매우 안정하고 용해도가 우수함으로써, α-GalCer에 의해 알려진 치료목적(암, 자가면역질환, 만성적인 알레르기 질환, 각종 염증성 질환,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감염성 질환)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α-GalCer과 비교하여 제1형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등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에 보다 강력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과 모체인 α-GalCer 사용시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대한 자극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32 ng/ml과 모체인 α-GalCer 사용시 싸이토카인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8 ng/ml과 모체인 α-GalCer 사용시 싸이토카인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IFN-g 및 IL-4 분비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대한 CD1d 다이머 결합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CD1d에 대한 결합 안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전신(serum)에서의 유도된 항원특이적인 IgG 항체 반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점막(기관지폐포세척액; Lung Wash)에서의 유도된 항원특이적인 IgA 항체 반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항암 면역 반응 유도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를 제공한다.
Figure 112012008573561-pat00001
상기 식에서
n은 5~15의 정수이며, X 또는 Y는 0~13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n은 6~8의 정수이며, X 또는 Y는 7~9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새로운 구조의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다:
1) 7-(디헵틸아미노)-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헵탄아마이드;
2) 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7-(디옥틸아미노)헵탄아마이드;
3) 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7-(디노닐아미노)헵탄아마이드;
4) 7-(디도데실아미노)-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헵탄아마이드;
5) 8-(디헵틸아미노)-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옥탄아마이드;
6) 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8-(디옥틸아미노)옥탄아마이드;
7) 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8-(디노닐아미노)옥탄아마이드;
8) 8-(디도데실아미노)-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옥탄아마이드;
9) 9-(디헵틸아미노)-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노난아마이드;
10) 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8-(디옥틸아미노)노난아마이드;
11) 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8-(디노닐아미노)노난아마이드;
12) 9-(디도데실아미노)-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노난아마이드;
13) 10-(디헵틸아미노)-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데칸아마이드;
14) 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10-(디옥틸아미노)데칸아마이드;
15) 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10-(디노닐아미노)데칸아마이드;
16) 10-(디도데실아미노)-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데칸아마이드;
17) 11-(디헵틸아미노)-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언데칸아마이드;
18) 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11-(디옥틸아미노)언데칸아마이드;
19) 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11-(디노닐아미노)언데칸아마이드;
20) 11-(디도데실아미노)-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언데칸아마이드;
21) 12-(디헵틸아미노)-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도데칸아마이드;
22) 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12-(디옥틸아미노)도데칸아마이드;
23) 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12-(디노닐아미노)도데칸아마이드; 및
24) 12-(디도데실아미노)-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도데칸아마이드.
하기 표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에 대한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화합물 화학식 구조
1
Figure 112012008573561-pat00002
2
Figure 112012008573561-pat00003
3
Figure 112012008573561-pat00004
4
Figure 112012008573561-pat00005
5
Figure 112012008573561-pat00006
6
Figure 112012008573561-pat00007
7
Figure 112012008573561-pat00008
8
Figure 112012008573561-pat00009
9
Figure 112012008573561-pat00010
10
Figure 112012008573561-pat00011
11
Figure 112012008573561-pat00012
12
Figure 112012008573561-pat00013
13
Figure 112012008573561-pat00014
14
Figure 112012008573561-pat00015
15
Figure 112012008573561-pat00016
16
Figure 112012008573561-pat00017
17
Figure 112012008573561-pat00018
18
Figure 112012008573561-pat00019
19
Figure 112012008573561-pat00020
20
Figure 112012008573561-pat00021
21
Figure 112012008573561-pat00022
22
Figure 112012008573561-pat00023
23
Figure 112012008573561-pat00024
24
Figure 112012008573561-pat00025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다양한 유기산 또는 무기산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적합한 유기산으로는, 예를 들면 카복실산, 포스폰산, 술폰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탄산, 데칸산, 글리콜산, 락트산, 푸마르산, 숙신산, 아디프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말레산, 벤조산, 살리실산, 프탈산, 페닐아세트산, 벤젠술폰산, 2-나프탈렌술폰산, 메틸황산, 에틸황산, 도데실황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적합한 무기산으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등의 할로겐산 또는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합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출발물질로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화학식 3의 카복실산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4의 중간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중간체 화합물을 Pd(OH)2와 반응시켜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2008573561-pat00026
(상기 반응식 1에서, n, X 및 Y는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P는 벤질, p-메톡시벤질, 3,4-디메톡시벤질 또는 2,6-디메톡시벤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단계 1은 출발물질로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화학식 3의 카복실산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4의 중간체를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0.2 내지 0.5 M의 메틸렌클로라이드 용매에서 산(acid),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4-디메틸 아미노피리딘과 실온에서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4의 중간체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매를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중간체 화합물을 Pd(OH)2와 반응시켜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중간체 화합물을 0.01 내지 0.1 M의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v/v) 혼합용매에서 Pd(OH)2를 첨가하여 수소 가스 분위기(1 기압)의 실온에서 5 내지 8시간 동안 반응시켜 보호기가 제거된 알파-갈락토실세라미이드 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순수한 유도체 화합물을 얻기 위하여 메탄올/메틸렌클로라이드 혼합용매를 전개용매로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싸이토카인 분비 조절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는 자극을 받았을 때 IL-2를 생산하는 반면, 실제 NKT 세포는 IFN-g(Th1)와 IL-4(Th2)를 비롯한 여러 가지 싸이토카인을 생산한다. 생물학적 길항 작용 효과와 이들 사이의 균형으로 야기되는 Th1와 Th2 싸이토카인의 생산비율은 면역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Pai, E. et al., J. Immunol., 166, 662-668, 2001),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NKT 세포가 포함된 마우스 비장 세포와 함께 배양한 후 배양액의 상층액에서 IFN-g와 IL-4의 양을 측정하였다(Fujii, S. et al., Nat. Immunol. 3, 867-874, 2002).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3을 통해, 화합물 내의 지방산 사슬이 길어질수록 IL-2의 생산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도 1 참조). 또한 생체외 실험 및 동물실험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싸이토카인 IL-4와 IFN-g 중 한쪽으로 분비를 유도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도 2~4 참조). 또한, 유도체들의 자극 효과는 붙어 있는 지방산 길이에 영향을 받았으며, Th2 싸이토카인에 대해 더 높은 유도 반응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들은 알려진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에 의해 활성화된 NKT 세포를 이용한 치료목적(암, 자가면역질환, 만성적인 알레르기 질환, 각종 염증성 질환,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감염성 질환)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제1형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등 자가면역질환의 치료를 위한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로 보다 강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는 임상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를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크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 등과 같은 주사 투여가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해서는 점막 투여, 정맥 투여, 근육 주사, 외용물약, 크림, 젤, 연고, 스프레이, 분무제, 현탁제, 패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는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단독 투여하거나, 수지상 세포 및 B세포를 포함한 세포에 적재하여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항원 및 여타의 면역 보조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 또는 점막 투여 백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는 면역 반응을 조절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1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는 인간에게 일 회 내지 수회로 투여될 수 있고, 투여량은 1~25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인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7-( 디헵틸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헵탄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7-( 디헵틸아미노 ) 헵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7-(디헵틸아미노)헵타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8%)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0 Hz, 9H), 1.22-1.94 (m, 58H), 2.90 (m, 4H), 3.40-3.54 (m, 3H), 3.70-3.83 (m, 2H), 3.75 (s, 3H), 3.77 (s, 3H), 3.89-4.19 (m, 5H), 4.33-4.42 (m, 4H), 4.48 (d, J = 12.3 Hz, 1H), 4.53-4.82 (m, 7H), 4.86 (d, J = 3.3 Hz, 1H), 4.91 (d, J = 11.7 Hz, 1H), 6.23 (d, J = 7.8 Hz, 1H), 6.82 (m, 4H), 7.21-7.38 (m, 24H).
단계 2. 7-( 디헵틸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헵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81%)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79-0.87 (m, 9H), 1.18-1.42 (m, 44H), 1.65 (m, 1H), 1.77-1.90 (m, 8H), 2.27 (m, 1H), 2.45 (t, J = 6.9 Hz, 2H), 3.02 (m, 6H), 4.29-4.68 (m, 10H), 5.21 (m, 1H), 5.56 (d, J = 3.6 Hz, 1H), 8.60 (d, J = 8.4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2, 14.3, 22.4, 22.8, 22.9, 27.1, 27.2, 28.1, 29.1, 29.4, 29.6, 29.7, 30.0, 31.5, 31.9, 32.1, 64.2, 68.8, 70.9, 76.1, 76.8, 101.8, 173.1.
< 실시예 2>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7-( 디옥틸아미노 ) 헵탄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7-( 디옥틸아미노 ) 헵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7-(디옥틸아미노)헵타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90%)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9 Hz, 9H), 1.22-1.94 (m, 62H), 2.81 (m, 4H), 3.40-3.54 (m, 3H), 3.68-3.82 (m, 2H), 3.75 (s, 3H), 3.77 (s, 3H), 3.89-4.16 (m, 5H), 4.33-4.44 (m, 4H), 4.48 (d, J = 11.7 Hz, 1H), 4.53-4.82 (m, 7H), 4.86 (d, J = 3.6 Hz, 1H), 4.92 (d, J = 11.7 Hz, 1H), 6.16 (d, J = 7.8 Hz, 1H), 6.82 (m, 4H), 7.16-7.38 (m, 24H).
단계 2.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7-( 디옥틸아미노 ) 헵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80%)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1-0.87 (m, 9H), 1.19-1.38 (m, 48H), 1.64 (m, 1H), 1.85 (m, 6H), 2.11 (m, 2H), 2.27 (m, 1H), 2.44 (t, J = 6.9 Hz, 2H), 3.01 (m, 6H), 4.29-4.68 (m, 10H), 5.19 (m, 1H), 5.56 (d, J = 3.6 Hz, 1H), 8.56 (d, J = 8.4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7, 23.3, 23.4, 27.0, 27.8, 29.9, 30.1, 30.4, 30.6, 30.9, 32.4, 32.6, 34.9, 36.9, 52.0, 63.1, 70.8, 71.4, 72.1, 72.9, 73.5, 77.3, 101.9, 173.6.
< 실시예 3>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7-( 디노닐아미노 ) 헵탄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7-( 디노닐아미노 ) 헵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7-(디노닐아미노)헵타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93%)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9 Hz, 9H), 1.19-1.94 (m, 66H), 2.90 (m, 4H), 3.41-3.54 (m, 3H), 3.70-3.83 (m, 2H), 3.75 (s, 3H), 3.77 (s, 3H), 3.90-4.17 (m, 5H), 4.33-4.44 (m, 4H), 4.48 (d, J = 12.6 Hz, 1H), 4.54-4.82 (m, 7H), 4.86 (d, J = 3.6 Hz, 1H), 4.91 (d, J = 11.7 Hz, 1H), 6.36 (d, J = 8.4 Hz, 1H), 6.82 (m, 4H), 7.19-7.38 (m, 24H).
단계 2.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7-( 디노닐아미노 ) 헵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5%)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2-0.86 (m, 9H), 1.08-1.38 (m, 52H), 1.65 (m, 1H), .1.88 (m, 8H), 2.27 (m, 1H), 2.44 (t, J = 5.7 Hz, 2H), 3.06 (m, 6H), 4.29-4.68 (m, 10H), 5.24 (m, 1H), 5.56 (d, J = 3.6 Hz, 1H), 8.60 (d, J = 8.4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7, 23.4, 24.5, 26.4, 27.0, 27.3, 27.7, 29.2, 29.9, 30.1, 30.2, 30.4, 30.5, 30.6, 30.9, 32.5, 32.6, 35.0, 52.1, 53.3, 53.6, 63.1, 68.9, 70.8, 71.4, 72.1, 72.9, 73.5, 77.3, 101.9, 173.6.
< 실시예 4> 7-( 디도데실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헵탄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7-( 디도데실아미노 ) 헵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7-(디도데실아미노)헵타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91%)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6 Hz, 9H), 1.23-1.92 (m, 78H), 2.88 (m, 4H), 3.44-3.54 (m, 3H), 3.70-3.82 (m, 2H), 3.75 (s, 3H), 3.77 (s, 3H), 3.90-4.16 (m, 5H), 4.33-4.58 (m, 6H), 4.64-4.82 (m, 6H), 4.86 (d, J = 3.6 Hz, 1H), 4.92 (d, J = 11.7 Hz, 1H), 6.22 (d, J = 8.1 Hz, 1H), 6.82 (m, 4H), 7.22-7.38 (m, 24H).
단계 2. 7-( 디도데실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헵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6%)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5 (t, J = 6.0 Hz, 9H), 1.18-1.45 (m, 64H), 1.66 (m, 1H), 1.77-1.98 (m, 8H), 2.27 (m, 1H), 2.45 (t, J = 7.2 Hz, 2H), 3.08 (m, 6H), 4.30-4.68 (m, 10H), 5.23 (m, 1H), 5.56 (d, J = 3.9 Hz, 1H), 8.61 (d, J = 8.4 Hz, 1H); 13CNMR (75MHz, C5D5N) δ 14.3, 20.8, 22.9, 27.4, 29.6, 29.9, 31.5, 32.1, 34.2, 63.2, 68.3, 69.5, 71.8, 72.4, 77.4, 101.2, 172.7.
< 실시예 5> 8-( 디헵틸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옥탄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8-( 디헵틸아미노 ) 옥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8-(디헵틸아미노)옥타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90%)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6 Hz, 9H), 1.22-2.04 (m, 60H), 2.91 (m, 4H), 3.40-3.53 (m, 3H), 3.67-3.82 (m, 2H), 3.75 (s, 3H), 3.77 (s, 3H), 3.89-4.07 (m, 4H), 4.16 (m, 1H), 4.33 (d, J = 7.8 Hz, 1H), 4.37 (d, J = 8.7 Hz, 1H), 4.43 (d, J = 10.8 Hz, 2H), 4.50 (d, J = 10.5 Hz, 1H), 4.56 (d, J = 11.7 Hz, 1H), 4.64-4.75 (m, 4H), 4.79 (d, J = 11.7 Hz, 1H), 4.80 (d, J = 11.4 Hz, 1H), 4.85 (d, J = 3.3 Hz, 1H), 4.91 (d, J = 11.4 Hz, 1H), 6.10 (d, J = 9.0 Hz, 1H), 6.82 (m, 4H), 7.21-7.38 (m, 24H).
단계 2. 8-( 디헵틸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옥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80%)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78-0.88 (m, 9H), 1.17-1.45 (m, 46H), 1.65 (m, 1H), 1.77 (t, J = 7.2 Hz, 2H), 1.93 (m, 6H), 2.27 (m, 1H), 2.45 (td, J = 7.2, 2.1 Hz, 2H), 3.14 (m, 6H), 4.29-4.68 (m, 10H), 5.24 (m, 1H), 5.56 (d, J = 3.9 Hz, 1H), 8.67 (d, J = 8.7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2, 14.3, 22.7, 22.9, 23.7, 23.8, 26.0, 26.5, 26.8, 27.1, 28.9, 29.0, 29.6, 29.9, 30.0, 30.1, 30.4, 31.8, 32.1, 34.5, 51.5, 52.5, 52.8, 62.4, 70.3, 70.7, 71.6, 72.5, 72.9, 76.6, 101.2, 173.6.
< 실시예 6>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8-( 디옥틸아미노 ) 옥탄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8-( 디옥틸아미노 ) 옥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8-(디옥틸아미노)옥타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3%)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9 Hz, 9H), 1.23-1.96 (m, 64H), 2.38 (m, 4H), 3.40-3.55 (m, 3H), 3.70-3.82 (m, 2H), 3.75 (s, 3H), 3.77 (s, 3H), 3.87-4.16 (m, 5H), 4.32-4.53 (m, 5H), 4.57 (d, J = 11.4 Hz, 1H), 4.63-4.82 (m, 6H), 4.86 (d, J = 3.6 Hz, 1H), 4.93 (d, J = 11.7 Hz, 1H), 6.01 (d, J = 8.7 Hz, 1H), 6.82 (m, 4H), 7.21-7.39 (m, 24H).
단계 2.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8-( 디옥틸아미노 ) 옥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2%)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0-0.86 (m, 9H), 1.18-1.45 (m, 50H), 1.63 (m, 1H), 1.75-1.88 (m, 8H), 2.25 (m, 1H), 2.48 (m, 2H), 3.09 (m, 6H), 4.28-4.67 (m, 10H), 5.23 (m, 1H), 5.55 (d, J = 3.7 Hz, 1H), 8.81 (d, J = 8.4 Hz, 1H); 13CNMR (75MHz, C5D5N) δ 14.2, 14.3, 22.8, 22.9, 24.1, 26.1, 26.5, 26.9, 27.2, 29.0, 29.2, 29.4, 29.6, 29.9, 30.0, 30.1, 30.3, 31.9, 32.1, 34.5, 36.6, 51.5, 52.7, 53.0, 62.4, 68.4, 70.3, 70.8, 71.6, 72.4, 72.9, 76.6, 101.3, 173.5.
< 실시예 7>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8-( 디노닐아미노 ) 옥탄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8-( 디노닐아미노 ) 옥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8-(디노닐아미노)옥타논산(1.2 당량)을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8%)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8 Hz, 9H), 1.23-1.95 (m, 68H), 2.52 (m, 4H), 3.40-3.53 (m, 3H), 3.70-3.82 (m, 2H), 3.75 (s, 3H), 3.77 (s, 3H), 3.88-4.16 (m, 5H), 4.32-4.53 (m, 5H), 4.56 (d, J = 11.4 Hz, 1H), 4.63-4.82 (m, 6H), 4.86 (d, J = 3.6 Hz, 1H), 4.92 (d, J = 11.7 Hz, 1H), 6.11 (d, J = 8.4 Hz, 1H), 6.82 (m, 4H), 7.21-7.38 (m, 24H).
단계 2.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8-( 디노닐아미노 ) 옥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5%)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1-0.85 (m, 9H), 1.17-1.42 (m, 54H), 1.63 (m, 1H), 1.74-1.95 (m, 8H), 2.25 (m, 1H), 2.52 (m, 2H), 3.18 (m, 6H), 4.28-4.67 (m, 10H), 5.24 (m, 1H), 5.54 (d, J = 3.6 Hz, 1H), 8.94 (d, J = 8.4 Hz, 1H); 13CNMR (75MHz, C5D5N) δ 14.3, 22.9, 23.0, 24.5, 26.1, 26.5, 27.0, 27.3, 29.1, 29.3, 29.4, 29.5, 29.6, 29.7, 29.9, 30.0, 30.1, 30.4, 32.0, 32.1, 34.4, 36.6, 49.6, 51.5, 52.9, 53.1, 62.5, 68.5, 70.3, 70.9, 71.6, 72.4, 73.0, 76.7, 101.5, 173.2.
< 실시예 8> 8-( 디도데실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옥탄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8-( 디도데실아미노 ) 옥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8-(디도데실아미노)옥타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6%)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9 Hz, 9H), 1.22-1.94 (m, 80H), 2.91 (m, 4H), 3.40-3.53 (m, 3H), 3.70-3.81 (m, 2H), 3.75 (s, 3H), 3.77 (s, 3H), 3.88-4.16 (m, 5H), 4.32-4.58 (m, 6H), 4.63-4.82 (m, 6H), 4.86 (d, J = 3.6 Hz, 1H), 4.92 (d, J = 11.6 Hz, 1H), 6.17 (d, J = 8.4 Hz, 1H), 6.82 (m, 4H), 7.21-7.38 (m, 24H).
단계 2. 8-( 디도데실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옥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6%)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3-0.87 (m, 9H), 1.17-1.43 (m, 66H), 1.62 (m, 1H), 1.75-1.96 (m, 8H), 2.26 (m, 1H), 2.48 (m, 2H), 3.16 (m, 6H), 4.29-4.68 (m, 10H), 5.25 (m, 1H), 5.55 (d, J = 3.6 Hz, 1H), 8.83 (d, J = 8.4 Hz, 1H); 13CNMR (75MHz, C5D5N) δ 14.3, 22.9, 26.2, 26.5, 27.5, 29.4, 29.6, 29.7, 29.9, 30.0, 30.1, 30.4, 32.1, 34.4, 36.7, 51.4, 62.6, 70.3, 70.9, 71.6, 72.4, 73.0, 76.7, 101.5, 173.2.
< 실시예 9> 9-( 디헵틸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노난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9-( 디헵틸아미노 ) 노난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9-(디헵틸아미노)노나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4%)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3 Hz, 9H), 1.24-1.94 (m, 62H), 2.90 (m, 4H), 3.43-3.53 (m, 3H), 3.70-3.83 (m, 2H), 3.75 (s, 3H), 3.77 (s, 3H), 3.88-4.16 (m, 5H), 4.33-4.58 (m, 6H), 4.53-4.82 (m, 6H), 4.86 (d, J = 3.6 Hz, 1H), 4.91 (d, J = 11.5 Hz, 1H), 6.24 (d, J = 8.4 Hz, 1H), 6.82 (m, 4H), 7.21-7.35 (m, 24H).
단계 2. 9-( 디헵틸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노난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3%)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3-0.87 (m, 9H), 1.17-1.43 (m, 66H), 1.62 (m, 1H), 1.75-1.96 (m, 8H), 2.26 (m, 1H), 2.48 (m, 2H), 3.16 (m, 6H), 4.29-4.68 (m, 10H), 5.25 (m, 1H), 5.55 (d, J = 3.6 Hz, 1H), 8.83 (d, J = 8.4 Hz, 1H); 13C NMR (75MHz, C5D5N) δ 14.3, 22.9, 26.2, 26.5, 27.5, 29.4, 29.6, 29.7, 29.9, 30.0, 30.1, 30.4, 32.1, 34.4, 36.7, 51.4, 62.6, 70.3, 70.9, 71.6, 72.4, 73.0, 76.7, 101.5, 173.2.
< 실시예 10>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8-( 디옥틸아미노 ) 노난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8-( 디옥틸아미노 ) 노난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8-(디옥틸아미노)노나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7%)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6 Hz, 9H), 1.23-1.93 (m, 66H), 2.90 (m, 4H), 3.40-3.53 (m, 3H), 3.70-3.83 (m, 2H), 3.74 (s, 3H), 3.77 (s, 3H), 3.88-4.15 (m, 5H), 4.32-4.58 (m, 6H), 4.63-4.82 (m, 6H), 4.86 (d, J = 3.6 Hz, 1H), 4.91 (d, J = 11.6 Hz, 1H), 6.19 (d, J = 7.6 Hz, 1H), 6.82 (m, 4H), 7.21-7.35 (m, 24H).
단계 2.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8-( 디옥틸아미노 ) 노난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3%)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0-0.87 (m, 9H), 1.18-1.43 (m, 52H), 1.65 (m, 1H), 1.72-1.89 (m, 8H), 2.26 (m, 1H), 2.45 (t, J = 7.2 Hz, 2H), 3.08 (m, 6H), 4.29-4.68 (m, 10H), 5.25 (m, 1H), 5.56 (d, J = 3.6 Hz, 1H), 8.52 (d, J = 8.7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7, 23.3, 23.4, 26.6, 27.0, 27.7, 29.5, 29.7, 29.8, 30.1, 30.4, 30.5, 30.6, 30.9, 32.6, 34.9, 37.1, 52.0, 53.2, 53.5, 63.1, 69.0, 70.8, 71.4, 72.1, 72.9, 73.5, 75.8, 77.3, 102.0, 173.7.
< 실시예 11>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8-( 디노닐아미노 ) 노난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8-( 디노닐아미노 ) 노난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8-(디노닐아미노)노나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3%)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5 Hz, 9H), 1.22-1.94 (m, 70H), 2.91 (m, 4H), 3.40-3.53 (m, 3H), 3.70-3.81 (m, 2H), 3.75 (s, 3H), 3.77 (s, 3H), 3.88-4.16 (m, 5H), 4.32-4.58 (m, 6H), 4.63-4.82 (m, 6H), 4.86 (d, J = 3.6 Hz, 1H), 4.91 (d, J = 11.6 Hz, 1H), 6.22 (d, J = 7.6 Hz, 1H), 6.82 (m, 4H), 7.21-7.38 (m, 24H).
단계 2.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8-( 디노닐아미노 ) 노난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2%)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1-0.86 (m, 9H), 1.18-1.38 (m, 56H), 1.65 (m, 1H), 1.74-1.92 (m, 8H), 2.26 (m, 1H), 2.44 (t, J = 7.2 Hz, 2H), 3.18 (m, 6H), 4.29-4.68 (m, 10H), 5.25 (m, 1H), 5.71 (d, J = 3.6 Hz, 1H), 8.53 (d, J = 8.7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3, 22.9, 23.0, 23.9, 26.1, 26.5, 27.2, 29.2, 29.4, 29.6, 29.7, 29.9, 30.0, 32.0, 32.1, 34.5, 68.5, 70.3, 70.9, 71.6, 72.4, 76.8, 101.5, 173.2.
< 실시예 12> 9-( 디도데실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노난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9-( 디도데실아미노 ) 노난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9-(디도데실아미노)노나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0%)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5 Hz, 9H), 1.23-1.93 (m, 82H), 2.91 (m, 4H), 3.40-3.53 (m, 3H), 3.71-3.81 (m, 2H), 3.74 (s, 3H), 3.77 (s, 3H), 3.88-4.16 (m, 5H), 4.32-4.58 (m, 6H), 4.63-4.81 (m, 6H), 4.86 (d, J = 3.6 Hz, 1H), 4.91 (d, J = 11.4 Hz, 1H), 6.19 (d, J = 7.6 Hz, 1H), 6.82 (m, 4H), 7.21-7.38 (m, 24H).
단계 2. 9-( 디도데실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노난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67%)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3-0.87 (m, 9H), 1.18-1.42 (m, 68H), 1.66 (m, 1H), 1.77-1.91 (m, 8H), 2.26 (m, 1H), 2.44 (t, J = 6.9 Hz, 2H), 3.09 (m, 6H), 4.29-4.68 (m, 10H), 5.23 (m, 1H), 5.56 (d, J = 3.6 Hz, 1H), 8.51 (d, J = 8.4 Hz, 1H); 13C NMR (75MHz, C5D5N) δ 14.3, 22.9, 26.5, 27.3, 29.6, 29.8, 30.0, 31.4, 32.1, 34.2, 52.9, 70.9, 73.2, 101.5, 173.2.
< 실시예 13> 10-( 디헵틸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데칸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0-( 디헵틸아미노 ) 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10-(디헵틸아미노)데카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92%)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6 (t, J = 6.6 Hz, 9H), 1.24-1.94 (m, 64H), 2.45 (m, 4H), 3.37-3.50 (m, 3H), 3.67-3.80 (m, 2H), 3.73 (s, 3H), 3.75 (s, 3H), 3.86-4.14 (m, 5H), 4.29-4.56 (m, 6H), 4.61-4.80 (m, 6H), 4.83 (d, J = 3.6 Hz, 1H), 4.89 (d, J = 11.2 Hz, 1H), 6.12 (d, J = 9.0 Hz, 1H), 6.80 (m, 4H), 7.19-7.36 (m, 24H).
단계 2. 10-( 디헵틸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8%)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76-0.87 (m, 9H), 1.18-1.42 (m, 50H), 1.62 (m, 1H), 1.75-1.90 (m, 8H), 2.25 (m, 1H), 2.42 (t, J = 6.7 Hz, 2H), 3.07 (m, 6H), 4.29-4.68 (m, 10H), 5.18 (m, 1H), 5.56 (d, J = 3.6 Hz, 1H), 8.60 (d, J = 8.2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5, 14.6, 23.1, 23.3, 27.5, 27.9, 29.4,29.7, 29.9, 30.2, 30.3, 30.5, 30.7, 31.0, 32.2, 32.4, 33.7, 34.8, 51.8, 53.2, 53.5, 63.0, 66.0, 70.6, 71.3, 72.0, 72.8, 73.4, 77.1, 101.9, 173.5.
< 실시예 14>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0-( 디옥틸아미노 ) 데칸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0-( 디옥틸아미노 ) 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10-(디옥틸아미노)데카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8%)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2 (t, J = 6.8 Hz, 9H), 1.22-1.87 (m, 68H), 2.39 (m, 4H), 3.37-3.47 (m, 3H), 3.64-3.77 (m, 2H), 3.69 (s, 3H), 3.71 (s, 3H), 3.82-4.08 (m, 5H), 4.26-4.53 (m, 6H), 4.57-4.76 (m, 6H), 4.80 (d, J = 3.3 Hz, 1H), 4.86 (d, J = 11.7 Hz, 1H), 6.08 (d, J = 7.8 Hz, 1H), 6.76 (m, 4H), 7.15-7.32 (m, 24H).
단계 2.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0-( 디옥틸아미노 ) 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6%)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0-0.84 (m, 9H), 1.18-1.42 (m, 54H), 1.62 (m, 1H), 1.73-1.86 (m, 8H), 2.24 (m, 1H), 2.45 (t, J = 6.9 Hz, 2H), 3.02 (m, 6H), 4.30-4.67 (m, 10H), 5.28 (m, 1H), 5.58 (d, J = 3.6 Hz, 1H), 8.55 (d, J = 8.4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2, 22.4, 22.8, 25.8, 27.4, 29.9, 30.0, 30.6, 31.9, 34.7, 62.7, 63.2, 70.3, 73.4, 74.2, 77.6, 101.3, 173.2.
< 실시예 15>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0-( 디노닐아미노 ) 데칸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0-( 디노닐아미노 ) 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10-(디노닐아미노)데카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4%)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1 (t, J = 6.7 Hz, 9H), 1.22-1.96 (m, 72H), 2.37 (m, 4H), 3.38-3.42 (m, 3H), 3.63-3.76 (m, 2H), 3.68 (s, 3H), 3.70 (s, 3H), 3.81-4.08 (m, 5H), 4.24-4.51 (m, 6H), 4.56-4.75 (m, 6H), 4.78 (d, J = 3.6 Hz, 1H), 4.84 (d, J = 11.6 Hz, 1H), 6.06 (d, J = 7.8 Hz, 1H), 6.75 (m, 4H), 7.14-7.30 (m, 24H).
단계 2.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0-( 디노닐아미노 ) 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2%)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1-0.86 (m, 9H), 1.19-1.42 (m, 58H), 1.65 (m, 1H), 1.77-1.90 (m, 8H), 2.27 (m, 1H), 2.44 (t, J = 6.9 Hz, 2H), 3.03 (m, 6H), 4.32-4.67 (m, 10H), 5.17 (m, 1H), 5.58 (d, J = 3.6 Hz, 1H), 8.55 (d, J = 8.4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3, 22.9, 25.9, 29.5, 29.6, 30.0, 30.2, 32.0, 34.4, 52.1, 61.0, 63.2, 71.6, 72.4, 74.6, 77.2, 101.5, 173.2.
< 실시예 16> 10-( 디도데실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데칸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0-( 디도데실아미노 ) 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10-(디도데실아미노)데카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78%)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6 (t, J = 6.6 Hz, 9H), 1.22-1.91 (m, 84H), 2.42 (m, 4H), 3.42-3.47 (m, 3H), 3.70-3.80 (m, 2H), 3.72 (s, 3H), 3.75 (s, 3H), 3.86-4.13 (m, 5H), 4.29-4.56 (m, 6H), 4.61-4.80 (m, 6H), 4.83 (d, J = 3.5 Hz, 1H), 4.90 (d, J = 11.6 Hz, 1H), 6.12 (d, J = 7.8 Hz, 1H), 6.80 (m, 4H), 7.19-7.34 (m, 24H).
단계 2. 10-( 디도데실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0%)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3-0.87 (m, 9H), 1.18-1.48 (m, 70H), 1.65 (m, 1H), 1.77-1.90 (m, 8H), 2.27 (m, 1H), 2.44 (t, J = 6.9 Hz, 2H), 3.09 (m, 6H), 4.30-4.67 (m, 10H), 5.28 (m, 1H), 5.58 (d, J = 3.6 Hz, 1H), 8.52 (d, J = 8.4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3, 22.9, 27.8, 29.6, 29.9, 31.9, 32.1, 34.9, 63.7, 68.8, 70.8, , 72.3, 73.2, 77.1, 101.3, 173.3.
< 실시예 17> 11-( 디헵틸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언데칸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1-( 디헵틸아미노 ) 언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11-(디헵틸아미노)언데카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90%)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5 Hz, 9H), 1.23-1.96 (m, 66H), 2.48 (m, 4H), 3.40-3.53 (m, 3H), 3.70-3.83 (m, 2H), 3.75 (s, 3H), 3.77 (s, 3H), 3.87-4.22 (m, 5H), 4.32-4.59 (m, 6H), 4.63-4.82 (m, 6H), 4.86 (d, J = 3.6 Hz, 1H), 4.91 (d, J = 11.5 Hz, 1H), 6.07 (d, J = 7.8 Hz, 1H), 6.82 (m, 4H), 7.21-7.39 (m, 24H).
단계 2. 11-( 디헵틸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언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5%)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76-0.90 (m, 9H), 1.18-1.50 (m, 52H), 1.60 (m, 1H), 1.77-1.99 (m, 8H), 2.23 (m, 1H), 2.53 (t, J = 7.2 Hz, 2H), 3.17 (m, 6H), 4.29-4.63 (m, 10H), 5.25 (m, 1H), 5.54 (d, J = 3.6 Hz, 1H), 8.92 (d, J = 8.4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2, 14.3, 22.8, 22.9, 26.3, 26.5, 29.1, 29.3, 29.5, 29.6, 29.9, 30.0, 30.1, 30.4, 31.9, 32.1, 34.4, 36.8, 49.7, 51.5, 52.8, 62.6, 68.6, 70.3, 70.9, 71.6, 72.4, 73.0, 76.8, 101.5, 122.8, 173.2.
< 실시예 18>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1-( 디옥틸아미노 ) 언데칸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1-( 디옥틸아미노 ) 언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11-(디옥틸아미노)언데카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6%)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0 Hz, 9H), 1.23-1.96 (m, 70H), 2.47 (m, 4H), 3.40-3.53 (m, 3H), 3.70-3.82 (m, 2H), 3.75 (s, 3H), 3.77 (s, 3H), 3.87-4.15 (m, 5H), 4.32-4.58 (m, 6H), 4.63-4.81 (m, 6H), 4.86 (d, J = 3.6 Hz, 1H), 4.91 (d, J = 11.7 Hz, 1H), 6.09 (d, J = 7.6 Hz, 1H), 6.82 (m, 4H), 7.21-7.39 (m, 24H).
단계 2.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1-( 디옥틸아미노 ) 언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6%)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77-0.90 (m, 9H), 1.17-1.37 (m, 56H), 1.57 (m, 1H), 1.77-1.98 (m, 8H), 2.28 (m, 1H), 2.53 (t, J = 7.2 Hz, 2H), 3.18 (m, 6H), 4.29-4.68 (m, 10H), 5.26 (m, 1H), 5.55 (d, J = 3.6 Hz, 1H), 8.90 (d, J = 8.4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2, 22.8, 22.9, 24.1, 26.3, 26.5, 27.1, 27.2, 29.3, 29.5, 29.6, 29.9, 30.0, 31.9, 32.1, 34.4, 36.7, 49.6, 51.4, 52.7, 52.9, 62.4, 68.4, 70.2, 70.8, 71.5, 72.4, 72.8, 76.6, 101.3, 173.5.
< 실시예 19>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1-( 디노닐아미노 ) 언데칸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1-( 디노닐아미노 ) 언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11-(디노닐아미노)언데카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3%)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0 Hz, 9H), 1.23-1.96 (m, 74H), 2.56 (m, 4H), 3.40-3.53 (m, 3H), 3.70-3.83 (m, 2H), 3.75 (s, 3H), 3.77 (s, 3H), 3.87-4.16 (m, 5H), 4.32-4.58 (m, 6H), 4.63-4.82 (m, 6H), 4.86 (d, J = 3.6 Hz, 1H), 4.91 (d, J = 11.6 Hz, 1H), 6.11 (d, J = 8.7 Hz, 1H), 6.82 (m, 4H), 7.21-7.39 (m, 24H).
단계 2.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1-( 디노닐아미노 ) 언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5%)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2-0.86 (m, 9H), 1.12-1.34 (m, 60H), 1.62 (m, 1H), 1.75-2.00 (m, 8H), 2.28 (m, 1H), 2.50 (t, J = 7.5 Hz, 2H), 3.14 (m, 6H), 4.30-4.69 (m, 10H), 5.26 (m, 1H), 5.56 (d, J = 3.6 Hz, 1H), 8.72 (d, J = 8.4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2, 14.3, 22.9, 26.3, 26.5, 27.3, 29.4, 29.5, 29.6, 29.7, 29.9, 30.0, 30.1, 30.4, 32.0, 32.1, 34.4, 36.7, 51.4, 53.0, 53.1, 62.6, 68.5, 70.3, 70.9, 71.6, 72.4, 73.0, 76.7, 101.5, 173.2.
< 실시예 20> 11-( 디도데실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언데칸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1-( 디도데실아미노 ) 언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11-(디도데실아미노)언데카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6%)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7 Hz, 9H), 1.23-1.93 (m, 86H), 2.46 (m, 4H), 3.40-3.53 (m, 3H), 3.71-3.83 (m, 2H), 3.75 (s, 3H), 3.77 (s, 3H), 3.87-4.15 (m, 5H), 4.32-4.59 (m, 6H), 4.63-4.82 (m, 6H), 4.86 (d, J = 3.3 Hz, 1H), 4.92 (d, J = 11.7 Hz, 1H), 6.09 (d, J = 7.6 Hz, 1H), 6.82 (m, 4H), 7.21-7.39 (m, 24H).
단계 2. 11-( 디도데실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언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2%)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3-0.87 (m, 9H), 1.17-1.42 (m, 72H), 1.63 (m, 1H), 1.75-2.00 (m, 8H), 2.26 (m, 1H), 2.53 (t, J = 7.2 Hz, 2H), 3.20 (m, 6H), 4.29-4.68 (m, 10H), 5.25 (m, 1H), 5.55 (d, J = 3.6 Hz, 1H), 8.93 (d, J = 8.4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3, 22.9, 24.2, 24.3, 26.7, 26.5, 27.2, 27.3,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4, 32.1, 34.4, 36.7, 49.6, 51.4, 52.7, 53.0, 62.5, 68.5, 70.3, 70.9, 71.6, 72.4, 73.0, 76.7, 101.5, 173.2.
< 실시예 21> 12-( 디헵틸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도데칸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2-( 디헵틸아미노 ) 도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12-(디헵틸아미노)도데카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0%)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7 (t, J = 6.5 Hz, 9H), 1.22-1.94 (m, 68H), 2.95 (m, 4H), 3.40-3.53 (m, 3H), 3.70-3.82 (m, 2H), 3.74 (s, 3H), 3.77 (s, 3H), 3.87-4.15 (m, 5H), 4.32-4.58 (m, 6H), 4.63-4.81 (m, 6H), 4.86 (d, J = 3.6 Hz, 1H), 4.92 (d, J = 11.5 Hz, 1H), 6.11 (d, J = 7.6 Hz, 1H), 6.82 (m, 4H), 7.21-7.38 (m, 24H).
단계 2. 12-( 디헵틸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도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67%)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74-0.86 (m, 9H), 1.17-1.33 (m, 54H), 1.63 (m, 1H), 1.78-1.98 (m, 8H), 2.25 (m, 1H), 2.52 (t, J = 7.2 Hz, 2H), 3.16 (m, 6H), 4.30-4.69 (m, 10H), 5.26 (m, 1H), 5.56 (d, J = 3.6 Hz, 1H), 8.84 (d, J = 8.4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2, 14.3, 22.8, 22.9, 24.2, 26.3, 26.5, 27.2, 29.1, 29.4, 29.6, 29.9, 30.0, 30.1, 30.4, 31.8, 32.1, 34.4, 36.7, 49.6, 51.4, 52.8, 62.5, 68.5, 70.3, 70.9, 71.6, 72.4, 73.0, 76.7, 101.4, 173.3.
< 실시예 22>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2-( 디옥틸아미노 ) 도데칸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2-( 디옥틸아미노 ) 도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12-(디옥틸아미노)도데카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0%)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8 Hz, 9H), 1.22-1.95 (m, 72H), 2.85 (m, 4H), 3.40-3.54 (m, 3H), 3.67-3.82 (m, 2H), 3.74 (s, 3H), 3.77 (s, 3H), 3.87-4.16 (m, 5H), 4.32-4.58 (m, 6H), 4.63-4.81 (m, 6H), 4.86 (d, J = 3.4 Hz, 1H), 4.92 (d, J = 11.7 Hz, 1H), 6.09 (d, J = 8.7 Hz, 1H), 6.82 (m, 4H), 7.21-7.38 (m, 24H).
단계 2.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2-( 디옥틸아미노 ) 도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69%)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79-0.84 (m, 9H), 1.18-1.42 (m, 58H), 1.63 (m, 1H), 1.81-1.97 (m, 8H), 2.24 (m, 1H), 2.53 (t, J = 7.2 Hz, 2H), 3.17 (m, 6H), 4.30-4.67 (m, 10H), 5.26 (m, 1H), 5.55 (d, J = 3.6 Hz, 1H), 8.60 (d, J = 8.4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2, 14.3, 22.8, 22.9, 24.2, 26.3, 26.5, 29.3, 29.4, 29.6, 29.9, 30.0, 30.1, 30.3, 31.9, 32.1, 34.4, 36.7, 49.6, 51.4, 52.8, 52.9, 62.5, 68.4, 70.3, 70.9, 71.6, 72.4, 72.9, 76.6, 101.4, 173.4.
< 실시예 23>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2-( 디노닐아미노 ) 도데칸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H-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2-( 디노닐아미노 ) 도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12-(디노닐아미노)도데카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1%)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8 Hz, 9H), 1.23-1.96 (m, 76H), 2.90 (m, 4H), 3.40-3.53 (m, 3H), 3.70-3.82 (m, 2H), 3.75 (s, 3H), 3.77 (s, 3H), 3.88-4.14 (m, 5H), 4.32-4.58 (m, 6H), 4.63-4.82 (m, 6H), 4.86 (d, J = 3.5 Hz, 1H), 4.92 (d, J = 11.7 Hz, 1H), 6.09 (d, J = 8.4 Hz, 1H), 6.82 (m, 4H), 7.21-7.38 (m, 24H).
단계 2.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 트리히드록시 -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2-( 디노닐아미노 ) 도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71%)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1-0.86 (m, 9H), 1.17-1.37 (m, 62H), 1.63 (m, 1H), 1.75-1.98 (m, 8H), 2.25 (m, 1H), 2.51 (t, J = 7.2 Hz, 2H), 3.18 (m, 6H), 4.30-4.68 (m, 10H), 5.25 (m, 1H), 5.56 (d, J = 3.6 Hz, 1H), 8.77 (d, J = 8.4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2, 22.9, 23.7, 26.3, 26.5, 27.2, 29.4, 29.6, 29.9, 30.0, 30.1, 30.4, 32.0, 32.1, 34.5, 36.7, 51.4, 52.5, 52.7, 62.5, 68.5, 70.3, 70.8, 71.6, 72.5, 72.9, 76.6, 101.3, 173.5.
< 실시예 24> 12-( 디도데실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도데칸아마이드의 합성
단계 1. N -((2S,3S,4R)-3,4- 비스 (4- 메톡시벤질옥시 )-1-((2S,3R,4S,5S,6R)-3,4,5-트리스( 벤질옥시 )-6-( 벤질옥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 일옥시 ) 옥타데칸 -2-일)-12-( 디도데실아미노 ) 도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1.0 당량)과 12-(디도데실아미노)도데카논산(1.2 당량)을 건조된 메틸렌클로라이드(0.2~0.5 M) 용액에 혼합한 후,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5 당량)와 4-메틸아미노피리딘(0.1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이를 소금물을 이용해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건조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15:1 또는 10:1)를 수행하여 노란색의 오일 형태의 목적 화합물(80%)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0.88 (t, J = 6.6 Hz, 9H), 1.23-1.96 (m, 88H), 2.52 (m, 4H), 3.40-3.53 (m, 3H), 3.69-3.83 (m, 2H), 3.75 (s, 3H), 3.77 (s, 3H), 3.87-4.15 (m, 5H), 4.32-4.58 (m, 6H), 4.63-4.82 (m, 6H), 4.86 (d, J = 3.8 Hz, 1H), 4.92 (d, J = 11.6 Hz, 1H), 6.10 (d, J = 8.7 Hz, 1H), 6.82 (m, 4H), 7.21-7.38 (m, 24H).
단계 2. 12-( 디도데실아미노 )- N -((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 히드록시메틸 )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옥시) 옥타데칸 -2-일) 도데칸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1.0 당량)을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0.01~0.1 M) 혼합용매에 녹인 후 Pd(OH)2(500 질량%)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수소 가스 1기압 상태에서 5~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금속 촉매는 셀라이트(Celite) 패드로 걸러주고 에틸알콜/메틸렌클로라이드(3:1) 혼합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혼합 용액을 농축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3:1 또는 5:1)를 수행하여 깨끗한 상태의 흰색의 왁스 형태의 고체인 목적 화합물(68%)을 얻었다.
1H NMR (300MHz, pyridine) δ 0.86 (t, J = 7.2 Hz, 9H), 1.19-1.50 (m, 74H), 1.66 (m, 1H), 1.75-1.90 (m, 8H), 2.26 (m, 1H), 2.45 (t, J = 7.8 Hz, 2H), 3.08 (m, 6H), 4.30-4.68 (m, 10H), 5.24 (m, 1H), 5.56 (d, J = 3.6 Hz, 1H), 8.48 (d, J = 8.7 Hz, 1H); 13C NMR (75 MHz, C5D5N) δ 14.3, 22.9, 26.3, 26.5, 27.3, 29.4, 29.5, 29.6, 29.8, 29.9, 30.0, 30.1, 30.4, 32.1, 34.4, 36.7, 51.4, 52.9, 62.6, 68.6, 70.3, 70.9, 71.6, 72.4, 73.0, 76.8, 101.5, 173.2.
< 실험예 1>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대한 자극 활성 측정
본 발명의 따른 화합물의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대한 자극 활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Zhou et al.,Science,306:1786-1789,2004)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CD1d가 도입된 쥐 호염기 백혈(rat basophilic leukemia, RBL)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모체인 α-GalCer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α-GalCer 유도체 화합물을 함께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CD1d에 결합하지 않은 당 지질은 PBS(Phosphate-buffer saline)으로 3번 씻어낸 뒤, RBL 세포를 DN32.D3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와 함께 1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기 상층액에 분비된 IL-2의 양은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IL-2의 생산은 지방산 사슬 길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짧은 길이의 지방산 사슬을 가진 실시예 1~3, 5~7, 9~11의 화합물들은 32 ng/ml에서 α-GalCer에 필적하는 자극 효과를 나타내었고 전체적으로 화합물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IL-2의 생산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화합물의 농도가 8 ng/ml인 경우에는 α-GalCer보다 낮은 IL-2 생산량을 나타내고, 지방산의 길이가 긴 실시예 4, 8, 12, 16~24의 화합물들은 실질적으로 활성을 나타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2> 마우스 비장 세포에 의해 생산된 싸이토카인의 측정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C57BL/6 마우스의 비장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모체인 α-GalCer과 α-GalCer 유도체 화합물과 함께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에 분비된 IFN-g와 IL-4 양은 ELISA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도 3은 모체인 α-GalCer과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들의 싸이토카인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모체인 α-GalCer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들의 상대적인 IFN-g와 IL-4의 생산량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들은 NKT 세포 싸이토카인 반응에 있어서 Th2 반응에 편향된 싸이토카인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들은 모체인 α-GalCer에 비하여 IFN-g 생산에 있어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IL-4의 생산에 있어서 실시예 8, 19, 22 및 24의 화합물들은 모체인 α-GalCer에 비하여 더 높은 IL-4을 생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상온에서 매우 안정하고 유기용매와 무기용매 모두에서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어 면역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3> 동물실험을 통한 IFN -g와 IL -4 분비 양의 측정
α-GalCer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24의 화합물(1 ㎍/mouse)을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C57BL/6 마우스에 각 화합물 1 ㎍을 정맥 내에 주사한 후, 시간에 따라 혈청에 분비되는 IL-4 및 FN-g의 농도를 ELI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체인 α-GalCer과 실시예 화합물들이 투여된 마우스에서 IL-4는 2시간 내에 빠르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IFN-g는 투여 후 12시간 째에 가장 많은 양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IL-4의 경우, 최대량이 측정되는 2시간 째, IFN-g의 경우 12시간 째에 분비되는 농도로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의 각각 IL-4 및 IFN-g의 분비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1에서 m이 작은 경우(실시예: 1, 5, 9 및 17)에는 IFN-g에 대한 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체적으로 α-GalCer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IFN-g을 생산하였다. 그러나, IL-4에 대해서는 α-GalCer에 비하여 동등하거나 더 높은 생산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Th2 반응을 더 유도하는 쪽으로 싸이토카인을 분비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 실험예 4>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대한 CD1d 다이머 결합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 TCR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α-GalCer와 화합물을 CD1d 다이머와 37 ℃에서 밤새 배양하여 CD1d 다이머에 적재시키고 만들어진 α-GalCer/화합물과 CD1d와의 복합체를 형광시약인 anti-mouse IgG1-PE와 상온에서 배양하여 라벨링하였다.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TCR에 대한 결합친화도를 측정하기 위해 α-GalCer와 화합물이 적재된 CD1d 다이머로 2 × 105의 DN32.D3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4 ℃에서 30분간 염색(staining)하였다. 이를 세척하고 4% 파라포름 알데히드(paraform aldehyde)로 고정시킨 뒤, FACS Calibur flow cytometry를 사용하여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에 결합한 α-GalCer 또는 화합물의 CD1d 복합체에 의해 측정되는 세포의 형광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도 5에 α-GalCer와 화합물의 농도에 대한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평균 형광 강도 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이 CD1d와 결합한 복합체가 CD1d-α-GalCer 복합체에 비해서 DN32.D3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더 효율적으로 염색하여 높은 형광 강도 값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CD1d와 화합물의 복합체가 α-GalCer의 경우에 비해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TCR에 대해 증가된 결합친화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5> CD1d 와 화합물의 결합 안정도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CD1d과의 결합 안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CD1d에 실시예 5의 화합물 또는 비교군으로서 α-GalCer를 넣고 일정시간 배양한 후, 세척하고 시간대별로 DN32.D3 NKT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넣어 CD1d-화합물 복합체에 의한 활성화로 생산된 IL-2를 측정하여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실시예 5)이 긴 반감기를 보이며 α-GalCer보다 안정적으로 CD1d와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α-GalCer보다 안정적으로 CD1d와 결합함으로써 TCR에 강력한 신호를 생성하여, 면역반응과 관련되는 IL-4 싸이토카인을 생성하므로 IL-4에 의해 조절되는 제1형 당뇨병과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자가 면역 질환의 유용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6> 안정성 및 용해도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안정성 및 용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24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4 ℃ 또는 25 ℃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 또는 수용액에 넣고 장기간 보관하였다. 대조군으로는 α-GalCer를 사용하였다.
안정성 측정은 1H NM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α-GalCer는 4 ℃에서는 단기보관이 가능하며, 장기보관시에는 -20 ℃에서 보관해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4 ℃에서 24개월 이상 안정하며, 25 ℃에서는 6개월 이상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α-GalCer은 디메틸설폭사이드에서 1 ml 당 최대 5 mg 용해되며 다른 용매에서는 거의 용해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25 ℃에서 1 ml 당 에탄올에서 12 mg, 물에서 18 mg, 디메틸설폭사이드에서 20 mg 용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α-GalCer보다 안정성과 용해도가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7> 면역반응 실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면역보조제로서의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Balb/c 마우스에 불활성화된 독감 바이러스 항원인 포르말린 불활성화 PR8(formalin inactivated PR8; Ag로 표시) 1 ㎍을 단독, 또는 α-GalCer 또는 실시예 5~7에서 제조된 화합물 0.5 ㎍과 함께 비강으로 투여하여 면역화한 후, 4주 후에 희생시켜 전신(serum)에서의 항원특이적 IgG 레벨과 기관지폐포세척액(Lung Wash)에서의 항원특이적 IgA 레벨을 간접 ELISA로 측정하여 도 7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 따른 전신(serum)에서의 유도된 항원특이적 IgG 항체 반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 따른 점막(기관지폐포세척액; Lung Wash)에서의 유도된 항원특이적 IgA 항체 반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α-GalCer와 유사한 정도로 효과적으로 항원특이적인 전신 IgG 항체 반응 및 점막 IgA 항체 반응을 유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8> B 세포에 적재한 백신의 항암효과
문헌(Cancer Res, 2006, 66, 13)을 참조하면, 펩타이드를 적재한 B 세포에 α-GalCer를 첨가한 B 세포계 백신(BBV)은 펩타이드에 특이적인 T 세포의 미반응(unresponsiveness)을 극복하고 펩타이드에 특이적인 기억(memory) CTL 반응을 유도하여 지속적인 항암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세포 백신임이 확인된바 있다.
따라서, α-GalCer가 B 세포계 백신의 효과적인 보조제 역할을 한다는 기존 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한 항암 백신 보조제로서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암 항원으로는 HER-2/neu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HER-2/neu를 발현하는 결장 암종(CT26-HER-2/neu)를 Balb/c 마우스에 피하로 주사하고 다음날 펩타이드와 함께 α-GalCer 또는 실시예 5~7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공동배양한 B 세포를 투여하였다. 투여 후 24일 동안 마우스의 종양의 크기를 측정하여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α-GalCer와 유사한 정도로 효과적으로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암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독감 항원과 함께 비강으로 투여되었을 때 효과적으로 항원 특이적인 전신 IgG 항체 반응 및 점막 IgA 항체 반응을 유도하고, 펩타이드를 적재한 B 세포와 함께 투여됨으로써 항암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종양의 성장 억제를 돕기 때문에 면역 보조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제예 1> 정제(직접 가압)
활성성분 5.0㎎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4.1 ㎎, 크로스포비돈 USNF 0.8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정제(습식 조립)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6.0 ㎎과 녹말 4.0㎎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 80 0.3 ㎎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2.7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 제제예 3> 분말과 캡슐제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에, 락토스 14.8 ㎎,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와 함께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단단한 No. 5 젤라틴 캡슐에 넣어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4> 주사제
활성성분 100 mg, 만니톨 180 mg, Na2HPO412H2O 26 mg 및 증류수 2974 mg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앰틀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 ℃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레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8)

  1.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있어서, 상기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는 N-((2S,3S,4R)-3,4-디히드록시-1-((2S,3R,4S,5R,6R)-3,4,5-트리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옥타데칸-2-일)-8-(디노닐아미노)옥탄아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싸이토카인 분비 조절제.
  5. 제1항의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은 암, 자가면역질환, 만성적인 알레르기 질환, 염증성 질환 또는 감염성 질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을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이를 수지상 세포 또는 B세포에 적재하여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8. 제5항의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 또는 점막 투여 백신.
KR1020120010453A 2012-02-01 2012-02-01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07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453A KR101307331B1 (ko) 2012-02-01 2012-02-01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453A KR101307331B1 (ko) 2012-02-01 2012-02-01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164A Division KR20110045545A (ko) 2009-10-27 2009-10-27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920A KR20120037920A (ko) 2012-04-20
KR101307331B1 true KR101307331B1 (ko) 2013-09-10

Family

ID=4613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453A KR101307331B1 (ko) 2012-02-01 2012-02-01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3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973A (ko) * 2006-12-30 2008-07-0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973A (ko) * 2006-12-30 2008-07-0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920A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959B1 (ko)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EP2661440B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glycosphingolipids
CA2223140C (en) Substituted liposaccharides useful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endotoxemia
US11510980B2 (en) Brartemicin analogues
EP2877481B1 (en) Organic compounds
CA2392356A1 (e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ulmonary bacterial infection or symptomatic pulmonary exposure to endotoxin by inhalation of antiendotoxin drugs
CN114040918A (zh) 皂苷缀合物及含其的疫苗或药物组合物
Tashiro et al. RCAI-61 and related 6′-modified analogs of KRN7000: Their synthesis and bioactivity for mouse lymphocytes to produce interferon-γ in vivo
CN105307680B (zh) 用于作为佐剂使用的β-糖脂
Hung et al. Design and synthesis of galactose-6-OH-modified α-galactosyl ceramide analogues with Th2-biased immune responses
US9717790B2 (en) Sphingoglycolipid analogues
US20090221516A1 (en) Novel glycolipid and use thereof
KR20110045545A (ko)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JP5416125B2 (ja) 免疫アジュバントとして有用な糖脂質の類似体
KR101307331B1 (ko) 신규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EP2581380B1 (en) SIALIC ACID (alpha-(2-6))-D-AMINOPYRANOSE DERIVATIVES, SYNTHESIS METHODS AND USES THEREOF
JP2011510910A5 (ko)
Li et al. Efficient synthesis of α-galactosylceramide and its C-6 modified analogs
EP4174074A1 (en) Multiantennary glycolipid mimetics
TW201615656A (zh) 新穎α-半乳糖神經醯胺類似物、包含其之醫藥組成物、其改良製備方法、以及其用途
Xu et al. The synthesis and preliminary immunological evaluation of a dual-adjuvant SARS-CoV-2 RBD vaccine: Covalent integration of TLR7/8 and iNKT cell agonists
EP3000820A1 (en) Synthetic vaccines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serotype 8
NZ613614B2 (en) Sphingoglycolipid compounds and 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