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045B1 -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 - Google Patents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045B1
KR101306045B1 KR1020110103848A KR20110103848A KR101306045B1 KR 101306045 B1 KR101306045 B1 KR 101306045B1 KR 1020110103848 A KR1020110103848 A KR 1020110103848A KR 20110103848 A KR20110103848 A KR 20110103848A KR 101306045 B1 KR101306045 B1 KR 101306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ulation
squad
engagement
unit
re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9364A (ko
Inventor
유찬곤
박정찬
이성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103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0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지상군 교전모의모델에서 분대단위의 저해상도 모델을 개체단위의 고해상도 모델과 연동시, 통합모의가 시작되면 다중해상도 관리기는 저해상도 모델의 부대 분리시 참고할 교전기록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교전기록을 기반으로 구성개체의 전투력, 무장상태를 산정하는 단계; 및 (c) 전장상황을 기반으로 분대객체가 고해상도 모의체계의 분대원과 사정거리 안에 들어오게 되어 부대 분리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분대객체는 분대원객체로 분리되며, 새롭게 생성된 분대원객체는 위치, 이동속도, 경계방향, 무장상태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지상군 교전모의모델은 분대단위의 저해상도 모델을 개체단위의 고해상도 모델과 연동시 저해상도 모의객체인 분대를 개체단위로 분리시 모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새로 생성된 전투원 모의개체의 속성을 설정하게 된다.

Description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Extrapolation method for separating from troops for a Multi-Resolution Simulation System in a battle simulation system of the ground force}
본 발명은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Extrapolation)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군 교전모의모델에서 분대단위의 저해상도 모델을 개체단위의 고해상도 모델과 연동시 저해상도 모의객체인 분대를 개체단위로 분리시 모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새로 생성된 전투원 모의개체의 속성을 설정하는,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방 M&S 분야에서는 모의모델간 원활한 연동을 위해 IEEE 1278, IEEE 1516과 같이 표준연동 프로토콜을 제정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표준규약은 모의모델 간 모의객체 메시지 서비스와 시간동기화 서비스, 모의객체 소유권 관리 등과 같이 구조적 수준에서 표준연동서비스를 지원할 뿐 각 모의모델의 상이한 속성(모의논리, 모의해상도 등)을 고려한 의미적 수준의 연동까지 지원하지 않는다. 각 모의모델은 개발시 요구조건에 따라 적합한 모의 해상도와 범위를 지정하여 개발되기 때문에 두 모의모델을 연동할 때 상이한 해상도 차이에서 발생하는 모의수준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의일관성 메커니즘이 필요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다중해상도모델(MRM:Multi-Resolution Model)이라고 한다.
지상군 교전모의를 위한 모의모델에서 부대단위 모의모델인 저해상도 모델과 개체단위 모의모델인 고해상도 모델을 연동하는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모의 수준을 맞추기 위해 부대 분리, 결집 과정이 요구된다. 현재 부대분리시 생성되는 모의객체를 위한 속성 설정은 운영자가 직접 속성 값을 할당하거나 전투력요소를 단순히 균등하게 배분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모의문맥상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기존에 사용한 부대분리 방법은 부대분리시 편제와 대형을 기준으로 하위 부대의 위치를 정하고 상위부대의 전투력을 하위부대로 균등분할 하거나 수작업으로 전투력을 지정하는 방식이었다. 수작업으로 하위부대의 속성을 지정하는 방식은 저해상도 모델과 고해상도 모델의 연동 규모가 큰 경우 모든 분리부대의 속성을 지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편제형판에 따른 일관균등 방식은 하위부대의 속성이 현실적이지 않은 값으로 설정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기존의 교전모의모델은 저해상도 모델(부대)을 분해하여 고해상도 모델(개체)로 분해시, 편제형판을 기준으로 위치 및 전투력 등을 단순균등 분배함으로써 모의일관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부대분리시 모의일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그러나, 지상군 교전모의체계는 다중해상도 모의에서 부대단위 저해상도 모의모델과 개체단위 고해상도 모의모델의 연동모의시 해상도의 수준차이로 인한 모의일관성 위배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상군 교전모의 분야에서 부대단위 모의모델과 개체단위 모의모델의 연동모의시 해상도의 수준차이로 인한 모의일관성 위배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지상군 교전모의모델에서 분대단위의 저해상도 모델을 개체단위의 고해상도 모델과 연동시 저해상도 모의객체인 분대를 개체단위로 분리시 모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새롭게 생성된 전투원 모의개체의 속성을 설정하는,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새로운 개체 속성을 지정하기 위한 외삽(Extrapolation) 방법은, (a) 지상군 교전모의모델에서 분대단위의 저해상도 모델을 개체단위의 고해상도 모델과 연동시, 통합모의가 시작되면 다중해상도 관리기는 저해상도 모델의 부대 분리시 참고할 교전기록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교전기록을 기반으로 구성개체의 전투력, 무장상태를 산정하는 단계; 및 (c) 전장상황을 기반으로 분대객체가 고해상도 모의체계의 분대원과 사정거리 안에 들어오게 되어 부대 분리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분대객체는 분대원객체로 분리되며, 새롭게 생성된 분대원객체는 위치, 이동속도, 경계방향, 무장상태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Extrapolation) 방법은 지상군 교전모의 분야에서 부대단위 모의모델과 개체단위 모의모델의 연동모의시 해상도의 수준차이로 인한 모의일관성 위배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지상군 교전모의모델에서 분대단위의 저해상도 모델을 개체단위의 고해상도 모델과 연동시 저해상도 모의객체인 분대를 개체단위로 분리시 모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새롭게 생성된 전투원 모의체계의 속성을 설정함으로써, 방산분야에서 모의해상도가 서로 다른 지상군 교전모의체계 연동시 모의일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민수분야에서 군사분야의 온라인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에 사용가능하다.
도 1은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부대단위의 저해상도 모델과 개체단위 고해상도 모델에게 모의일관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중해상도 모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상이한 모의해상도 수준을 맞추기 위해 분대단위 모의를 수행하는 모의모델을 분해하고 새로 생성된 모의개체들의 속성 초기화를 위한 외삽 절차를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부대단위 저해상도 모델과 개체단위 고해상도 모델에게 모의일관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중해상도 모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의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단위 저해상도 모의모델(10)과 개체단위 고해상도 모의모델(30)의 연동모의시 해상도의 수준차이로 인한 모의일관성 위배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모의일관성 유지를 위한 외삽(Extrapolation) 방법을 제시하는 기술이다.
지상군 교전모의모델에서 저해상도 모델(10)과 고해상도 모델(30)을 연동하는 하는 경우 교전모의 수준을 맞추기 위해 저해상도 모델(10)을 분리하여 고해상도 모델(30)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 때 새롭게 생성된 고해상도 모델(30)의 속성을 초기화하기 위한 외삽(Extrapolation) 연산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지상군 교전모의모델에서 분대단위의 저해상도 모델(10)을 개체단위의 고해상도 모델(30)과 연동시 저해상도 모의객체인 분대를 개체단위로 분리시 새로 생성된 전투원 모의개체의 속성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다중해상도 모델(20)은 다중해상도 객체는 저해상도 객체 및 고해상도 객체를 포함한다.
도 2는 상이한 모의해상도 수준을 맞추기 위해 분대단위 모의를 수행하는 모의모델을 분해하고 새로 생성된 모의개체들의 속성 초기화를 위한 외삽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지상군 교전모의모델에서 분대단위의 저해상도 모델(10)을 개체단위의 고해상도 모델(30)과 연동시, 통합모의가 시작되면 다중해상도 관리기는 저해상도 모델의 부대 분리시 참고할 교전기록을 저장한다. 로그로 남길 저장항목은 분대의 교전방향, 피격무기, 직접사격에 의한 손실, 간접사격에 의한 손실이며 분대객체가 고해상도 모의체계의 분대원과 사정거리 안에 들어오게 되어 부대 분리 조건이 충족되면 분대객체는 분대원객체로 분리되며, 새롭게 생성된 분대원객체는 위치, 이동속도, 이동방향, 경계방향, 무장상태, 전투력의 속성에 대해 초기화를 한다. 이에 대한 절차는 다음과 같이 해상도 변환 조건 발생, 저해상도 모의부대 분해(교전피해 계산, 군 교리 대형 계산, 전장환경 반영, 작전상황 반영), 고해상도 수전 교전 수행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 교전피해 계산: 분대 상태에서의 교전기록을 참조하여 각 부대원의 전투력(사망, 중상, 경상)과 무장상태(보유무기와 탄환 수)를 산정한다. 보유탄환의 소모량과 전투원의 전투력은 교전방향, 피격무기의 특성과 피격방향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2) 기본대형 계산(군 교리 대형 계산): 잔존 병력을 교리의 부대대형에 맞춰 기준 분대원을 중심으로 상대적 위치를 지정한다. 분대수준에서의 모의진행상태에 따라 적합한 대형을 선택한다(예: 분대종대대형, 분대횡대대형, 행군종대대형 등). 기준 분대원은 분대장이 되며 분대장 유고 시 차상위자가 기준이 된다.
3) 전장환경 고려: 2) 기본 대형 계산(군 교리 대형 계산)에서 산정한 결과를 전장의 자연/인공지물(예: 강, 개울, 바다, 경사도, 건물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위치를 재조정한다.
4) 피아군 작전상황 반영: 아군에게 부여된 임무(예: 수색, 돌격, 방어 등)와 적군 상황(예: 전투원 수, 보유무기 등)을 고려하여 경계방향, 이동방향, 이동속도를 최종적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새로운 개체 속성을 지정하기 위한 외삽(Extrapolation) 방법은, (a) 지상군 교전모의모델에서 분대단위의 저해상도 모델을 개체단위의 고해상도 모델과 연동시, 통합모의가 시작되면 다중해상도 관리기는 저해상도 모델의 부대 분리시 참고할 교전기록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교전기록을 기반으로 구성개체의 전투력, 무장상태를 산정하는 단계; 및 (c) 전장상황을 기반으로 분대객체가 고해상도 모의체계의 분대원과 사정거리 안에 들어오게 되어 부대 분리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분대객체는 분대원객체로 분리되며, 새롭게 생성된 분대원객체는 위치, 이동속도, 경계방향, 무장상태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로그로 남길 저장항목은 분대의 교전방향, 피격무기, 직접사격에 의한 손실, 간접사격에 의한 손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b)는 (b1) 부대의 교전이벤트 로깅 단계; 및 (b2) 부대교전 이벤트 로그를 참조하여 개별전투원의 전투력, 무장상태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c)는 (c1) 군교리 상의 부대 대형에 기반한 전투원의 기본 위치 산정단계; (c2) 전장의 자연/인공 지물을 고려한 위치 재산정단계; 및 (c3) 피아군 작전상황을 반영한 최종 위치 산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새롭게 생성된 분대원객체는 위치, 이동속도, 이동방향, 경계방향, 무장상태, 전투력의 속성에 대해 초기화 절차는 해상도 변환 조건 발생, 저해상도 모의부대 분해(교전피해 계산, 군 교리 대형 계산, 전장환경 반영, 작전상황 반영), 고해상도 수전 교전 수행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해상도 모의부대 분해는 분대 상태에서 교전기록을 참조하여 각 부대원의 전투력(사망, 중상, 경상)과 무장상태(보유무기와 탄환 수)를 산정하고, 보유탄환의 소모량과 전투원의 전투력은 교전방향, 피격무기의 특성과 피격방향을 고려하여 산정하는 교전피해 계산 단계; 잔존 병력을 교리의 부대대형에 맞춰 기준 분대원을 중심으로 상대적 위치를 지정하고, 분대수준에서 모의진행상태에 따라 적합한 대형(분대종대대형, 분대횡대대형, 행군종대대형 등)을 선택하고, 기준 분대원은 분대장이 되며 분대장 유고 시 차상위자가 기준이 되는 기본대형 계산(군 교리 대형 계산) 단계; 상기 기본 대형 계산(군 교리 대형 계산)에서 산정한 결과를 전장의 자연/인공지물(예: 강, 개울, 바다, 경사도, 건물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위치를 재조정하는 전장환경 반영 단계; 및 아군에게 부여된 임무(예: 수색, 돌격, 방어 등)와 적군 상황(예: 전투원 수, 보유무기 등)을 고려하여 경계방향, 이동방향, 이동속도를 최종적으로 설정하는 피아군 작전상황 반영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저해상도 모델 20: 다중해상도 모델
30: 고해상도 모델

Claims (6)

  1.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새로운 개체 속성을 지정하기 위한 외삽(Extrapolation) 방법에 있어서,
    (a) 지상군 교전모의모델에서 분대단위의 저해상도 모델을 개체단위의 고해상도 모델과 연동시, 통합모의가 시작되면 다중해상도 관리기는 저해상도 모델의 부대 분리시 참고할 교전기록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교전기록을 기반으로 구성개체의 전투력, 무장상태를 산정하는 단계; 및
    (c) 전장상황을 기반으로 분대객체가 고해상도 모의체계의 분대원과 사정거리 안에 들어오게 되어 부대 분리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분대객체는 분대원객체로 분리되며, 새롭게 생성된 분대원객체는 위치, 이동속도, 경계방향, 무장상태를 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의 다중해상도 모의에서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로그로 남길 저장항목은 분대의 교전방향, 피격무기, 직접사격에 의한 손실, 간접사격에 의한 손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부대의 교전이벤트 로깅 단계; 및
    (b2) 부대교전 이벤트 로그를 참조하여 개별전투원의 전투력, 무장상태를 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군교리 상의 부대 대형에 기반한 전투원의 기본 위치 산정단계;
    (c2) 전장의 자연/인공 지물을 고려한 위치 재산정단계; 및
    (c3) 피아군 작전상황을 반영한 최종 위치 산정단계;
    를 포함하는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새롭게 생성된 분대원객체는 위치, 이동속도, 이동방향, 경계방향, 무장상태, 전투력의 속성에 대해 초기화 절차는 해상도 변환 조건 발생, 저해상도 모의부대 분해(교전피해 계산, 군 교리 대형 계산, 전장환경 반영, 작전상황 반영), 고해상도 수전 교전 수행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해상도 모의부대 분해는
    분대 상태에서 교전기록을 참조하여 각 부대원의 전투력(사망, 중상, 경상)과 무장상태(보유무기와 탄환 수)를 산정하고, 보유탄환의 소모량과 전투원의 전투력은 교전방향, 피격무기의 특성과 피격방향을 고려하여 산정하는 교전피해 계산 단계;
    잔존 병력을 교리의 부대대형에 맞춰 기준 분대원을 중심으로 상대적 위치를 지정하고, 분대수준에서 모의진행상태에 따라 적합한 대형(분대종대대형, 분대횡대대형, 행군종대대형 등)을 선택하고, 기준 분대원은 분대장이 되며 분대장 유고 시 차상위자가 기준이 되는 기본대형 계산(군 교리 대형 계산) 단계;
    상기 기본 대형 계산(군 교리 대형 계산)에서 산정한 결과를 전장의 자연/인공지물(예: 강, 개울, 바다, 경사도, 건물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위치를 재조정하는 전장환경 반영 단계; 및
    아군에게 부여된 임무(예: 수색, 돌격, 방어 등)와 적군 상황(예: 전투원 수, 보유무기 등)을 고려하여 경계방향, 이동방향, 이동속도를 최종적으로 설정하는 피아군 작전상황 반영 단계;
    를 포함하는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의 다중해상도 모의에서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
KR1020110103848A 2011-10-12 2011-10-12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 KR101306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848A KR101306045B1 (ko) 2011-10-12 2011-10-12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848A KR101306045B1 (ko) 2011-10-12 2011-10-12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364A KR20130039364A (ko) 2013-04-22
KR101306045B1 true KR101306045B1 (ko) 2013-09-09

Family

ID=4843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848A KR101306045B1 (ko) 2011-10-12 2011-10-12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0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775B1 (ko) * 2023-05-03 2023-08-08 주식회사 휴먼씨엔씨 3차원 시뮬레이션의 다중해상도 모델링 구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046B1 (ko) * 2018-12-05 2020-11-17 국방과학연구소 다중 해상도 모델 기반의 전장 m&s 시스템 및 이의제어방법
KR102146050B1 (ko) * 2018-12-06 2020-08-19 국방과학연구소 분산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해상도를 전환하는 방법 및 서버
CN113705102B (zh) * 2021-08-31 2024-05-10 湖南苍树航天科技有限公司 海空集群对抗的推演仿真系统及方法、设备、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1360A (ko) * 2011-03-31 2012-10-10 (주)엘지하우시스 우수한 선영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용 인서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1360A (ko) * 2011-03-31 2012-10-10 (주)엘지하우시스 우수한 선영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용 인서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775B1 (ko) * 2023-05-03 2023-08-08 주식회사 휴먼씨엔씨 3차원 시뮬레이션의 다중해상도 모델링 구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364A (ko)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77443B (zh) 一种异构仿真系统
KR101306045B1 (ko) 지상군 교전모의체계에서 다중해상도 모의를 위해 부대분해를 위한 외삽 방법
US8751203B2 (en) Interactive simulation of a virtual environment
CN105653789B (zh) 一种异构仿真方法
CN115620579A (zh) 模拟训练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4841068A (zh) 一种三维高仿真兵棋推演平台与方法
Potter et al. Case studies: Applied cognitive work analysis in the design of innovative decision support
Petty et al. Multi‐Resolution Combat Modeling
WO2011028008A3 (ko) 실 방향 동적 사격 훈련 시스템
Sheehan Next steps in joint force integration
Solly et al. Unlocking the Military Potential of the Metaverse
Lee et al. Simulating asynchronous, decentralized military command and control
Lukosch et al. The other city-Designing a serious game for crisis training in close protection.
Mathers The rebuilding of Russian military capabilities
Kadi et al. Educational Approaches Of Simulation Learning In A Virtual 3d Environment Close To Reality
Hoff et al. Simulation in support of army structure analysis
CN115291719B (zh) 模拟训练平台的创建方法、系统及计算机设备
KR102564775B1 (ko) 3차원 시뮬레이션의 다중해상도 모델링 구현 방법
Qu et al. Research on four problems in the scenario specification of intelligent combat simulation
Yoo et al. A Methodology for Effectiveness Analysis of Future Weapon System Using a PLAF Based Simulation System
Nicol Fundamentals of Real-Time Distributed Simulation
Lee et al. Simulation-based sam (surface-to-air missile) analysis in opensim (open simulation engine for interoperable models)
Liu et al. Research of Disassembling System of Marine Auxiliary Equip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Tiao-Ping et al. Operational experiment based on artificial life modeling
Liu et al. A system dynamics model for modern AirLand ba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