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280B1 - 진동관이 구비된 소형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관이 구비된 소형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280B1
KR101305280B1 KR1020110027626A KR20110027626A KR101305280B1 KR 101305280 B1 KR101305280 B1 KR 101305280B1 KR 1020110027626 A KR1020110027626 A KR 1020110027626A KR 20110027626 A KR20110027626 A KR 20110027626A KR 101305280 B1 KR101305280 B1 KR 101305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separation
tube
vibrating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9861A (ko
Inventor
성원모
박성균
Original Assignee
성원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원모 filed Critical 성원모
Priority to KR102011002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28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9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9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 B29C45/1771Means for guiding or orienting articles while dropped from the mould, e.g. guide rails or sk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3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9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 B29C45/1771Means for guiding or orienting articles while dropped from the mould, e.g. guide rails or skirts
    • B29C2045/1772Means for guiding or orienting articles while dropped from the mould, e.g. guide rails or skirts sorting different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는 복수개의 사출물 투입홀이 형성되어서 서로 다른 사출금형 또는 성형 틀에서 제조된 사출물이 분리되어 투입되도록 하는 분리 투입부와, 상기 복수개의 사출물 투입홀에 투입된 사출물이 분리되어 저장되는 복수개의 분리수거 용기와, 상기 분리 투입부와 분리수거 용기를 연결하는 진동관과, 상기 진동관을 진동시켜서 정전기에 의하여 진동관의 측벽에 붙은 사출물을 분리수거 용기로 유도하는 진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관이 구비된 소형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Separate collecting equipment of injection molded product with vibrating tube}
본 발명은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사출금형 또는 동일한 금형의 서로 다른 성형 틀에서 성형된 사출물을 분리하여 수거함으로써 사출물의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는 투명하거나 착색이 가능하고, 성형이 용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각종 부품이나 최종 소비재의 외관을 이루는 재료로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를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이다. 사출 성형은 가열 실린더 속에서 고분자 수지를 용융시키고, 사출 피스톤에 의하여 실린더에 연결된 금형으로 용융된 고분자 수지를 고압으로 공급하여 특정 형상의 물건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사출 성형을 통하여 제조된 물건을 일반적으로 사출물이라 부른다. 사출물은 성형 직후 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발생하는 비틀림, 휨, 굽힘과 같은 변형 불량, 사출물 표면에 은백색의 선이 발생하는 실버 스트리크 불량, 일정 부분의 고분자 수지가 타버리는 태움 불량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불량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불량은 금형의 온도 구배, 사출 압력 또는 실린더 가열온도 등의 조절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고분자 수지의 재료에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물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불량의 태양을 관찰하여 그 원인을 조속히 제거하여야 한다.
사출 성형을 통하여 제조되는 사출물은 크기가 매우 작은 것부터 무게가 10kg에 이르는 것까지 다양하다. 이 중 크기가 작은 사출물은 복수개의 성형 틀이 형성된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되기도 하는데, 각각의 성형 틀에서 제조된 사출물은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므로 특정 성형 틀에서 제조된 사출물에서만 불량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성형 틀에서 제조된 사출물을 구분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각각의 성형 틀에 다른 성형 틀과 구분할 수 있도록 구분번호 등과 같은 표시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구분번호를 이용하면 특정 구분번호의 사출물에서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불량이 발생한 성형 틀을 찾아서 그 원인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불량의 원인 파악과 대체 과정이 간단해진다. 다만, 이 경우에도 이미 생산된 사출물에서 불량품을 분리하는 작업은 피해갈 수 없는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사출물은 사출 성형 후에 일정한 수거 용기에 저장되고, 일정량이 채워지면 포장 등의 과정을 거쳐 출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출물을 수거 용기로 낙하시키는 과정은 로봇 암 등에 의하여 자동화된 것이 일반적인데, 크기가 작은 사출물의 경우에는 정전기에 의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전기의 문제는 사출물의 무게가 가볍고 표면적이 넓은 형상인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사출물에 정전기가 유도되면 낙하의 방향이 일정하기 않을 수 있고, 정전기에 의하여 사출물이 수거 용기의 벽면에 붙거나 튀어나가면 정해진 양이 채워지기도 전에 수거 용기에 사출물이 넘치기도 한다. 특히, 복수개의 성형 틀에서 제조된 사출물을 분리하여 수거하기 위해서는 좁은 간격의 투입구에 사출물이 투입되고 일정한 경로를 거쳐 사출물이 수거 용기에 지속적으로 투입되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출물이 이동 경로의 벽면이나 수거용기의 벽면에 부착되어 사출물의 수거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소형 사출물을 정전기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면서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는 사출물 분리 수거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개의 사출물이 정전기에 의하여 투입구 또는 연결 통로의 벽면에 붙지 않고 수거 용기로 투입될 수 있는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사출물 투입홀이 형성되어서 서로 다른 사출금형 또는 성형 틀에서 제조된 사출물이 분리되어 투입되도록 하는 분리 투입부와, 상기 복수개의 사출물 투입홀에 투입된 사출물이 분리되어 저장되는 복수개의 분리수거 용기와, 상기 분리 투입부와 분리수거 용기를 연결하는 진동관과, 상기 진동관을 진동시켜서 정전기에 의하여 진동관의 측벽에 붙은 사출물을 분리수거 용기로 유도하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관은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출물 투입홀 위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정전기에 의하여 사출물 투입홀의 측벽에 붙은 사출물을 상기 진동관으로 유도하는 기체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는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서로 다른 금형 또는 동일한 금형의 서로 다른 성형 틀에서 제조된 사출물이 분리되어 수거될 수 있으므로, 불량품 발생 시에 양품과의 분리 작업이 용이하고, 생산이력 추적을 통한 품질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 사출물이 투입되는 분리 투입부와 분리수거 용기 사이가 진동관으로 연결되고, 진동부에서 진동관을 지속적으로 흔들어 주므로 진동관의 내부 벽면에 붙은 사출물을 효과적으로 분리수거 용기로 유도할 수 있다.
3. 진동관이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사출물과 스프링 내부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서 정전기에 의한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4. 기체 분사부가 분리 투입부 위로 움직이면서 압축기체를 투입홀로 분사시키므로 정전기에 의하여 분리 투입부 내부 벽면에 부착된 사출물을 진동관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의 구성요소인 분리 투입부, 진동관, 용기 고정판 및 분리수거 용기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에 적용되는 기체 분사부의 구조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에 적용되는 기체 분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에 적용되는 진동관과 진동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에 적용되는 진동관과 진동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에 적용되는 용기 고정판과 분리수거 용기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는 복수개의 사출물 투입홀이 형성되어서 서로 다른 사출금형 또는 성형 틀에서 제조된 사출물이 분리되어 투입되도록 하는 분리 투입부와, 상기 복수개의 사출물 투입홀에 투입된 사출물이 분리되어 저장되는 복수개의 분리수거 용기와, 상기 분리 투입부와 분리수거 용기를 연결하는 진동관과, 상기 진동관을 진동시켜서 정전기에 의하여 진동관의 측벽에 붙은 사출물을 분리수거 용기로 유도하는 진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는 서로 다른 금형 또는 동일한 금형의 서로 다른 성형 틀에서 성형된 사출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소형 사출물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에 의하여 수거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아래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100)의 주요한 구성은 분리 투입부(110), 기체 분사부(120), 진동관(140), 진동부(130) 및 분리수거 용기(150)로 이루어진다. 분리 투입부(110)는 복수개의 사출물이 서로 다른 사출물 투입홀(111)로 분리되어 투입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는 사출성형 장치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로봇 암 등이 사출성형 장치에서 성형된 복수개의 사출물을 픽업하여 분리 투입부(110)의 상부에서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사출물을 사출물 투입홀(111)에 투입할 수 있다. 이때, 분리 투입부(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사출물 투입홀(111)은 사출 금형 내의 성형 틀 배열에 대응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진동관(140)은 분리 투입부(110)와 분리수거 용기(150)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한다. 진동관(140)은 분리 투입부(110)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분리 투입부(110)에 형성된 각각의 사출물 투입홀(111)과 연결되기 위하여 사출물 투입홀(111)의 개수만큼 설치된다. 분리 투입부(110)에 형성된 사출물 투입홀(111)의 간격은 좁은 반면에 사출물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분리수거 용기(151)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넓어지는 것이 사출물의 수거에 유리하므로, 진동관(140)은 하부로 갈수록 분리 투입부(110)의 중앙부에서 멀어지도록 설치된다. 진동부(130)는 진동관(140)을 좌우로 흔들어서 진동관 내부 벽면에 부착된 사출물이 중력에 의하여 분리수거 용기(150)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돕는 기능을 한다. 도면에서는 진동부(130)가 분리 투입부(110)의 하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진동관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면 진동부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분리수거 용기(150)는 진동관(140)과 연결되어서 분리되어 투입된 사출물들을 수거하는 기능을 한다. 용기 고정판(160)은 분리수거 용기(150)를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진동관(140)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홀을 구비한다. 기체 분사부(120)는 분리 투입부(110)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사출물 투입홀(111)에 압축기체를 분사하여 사출물이 원활하게 진동관(140)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기체 분사부(120)는 분리 투입부(1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사출물이 사출물 투입홀(110)로 투입된 후에 분리 투입부(11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기체를 분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분리 투입부(110), 기체 분사부(120), 진동관(140), 진동부(130) 및 분리수거 용기(150) 등은 프레임(170)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170)에는 각 구성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층 분리판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구조와 기능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의 구성요소인 분리 투입부, 진동관, 용기 고정판 및 분리수거 용기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출물이 분리되어 수거되기 위해서는 분리 투입부에서부터 각각의 사출물이 분리되어 투입되어야 하고, 투입된 사출물은 분리되어 설치된 진동관을 거쳐서 각각의 분리수거 용기에 도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분리 투입부에는 복수개의 사출물 투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사출물 투입홀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진동관이 사출물 투입홀에 연결되며, 각각의 진동관에는 분리수거 용기가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리 투입부(110)에는 사출물이 투입되는 복수개의 사출물 투입홀(111)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사출물 투입홀(111)에는 진동관(140)이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출물 투입홀(111)과 진동관(140)의 연결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 투입부(110)의 하부에 금속 재질의 진동관(140)을 직접 용접 결합시키거나, 사출물 투입홀(111)의 주변과 진동관의 상부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진동관(140)의 하부는 용기 고정판(160)에 형성된 연결홀(161)에 결합된다. 용기 고정판은 일체로 이루어진 판에 복수개의 연결홀들을 형성한 구조이거나, 열 또는 행을 이루는 복수개의 연결홀들을 형성한 판을 연결한 구조일 수 있다. 연결홀(161)과 진동관의 결합에도 용접이나 걸림턱을 이용한 결합과 같이 다양한 결합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용기 고정판(160)에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홀(161) 하부에는 각각의 분리수거 용기(150)가 결합된다. 분리수거 용기(150)의 결합도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분리수거 용기는 사출물이 채워지면 주기적으로 탈착하여야 하므로 걸림턱 등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용이한 결합방법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물 투입홀과 진동관의 연결, 진동관과 연결홀의 연결, 연결홀과 분리수거 용기의 연결 등은 본 명세서에 일 실시예로 제시된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에 적용되는 기체 분사부의 구조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분리 투입부로 사출물이 투입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분리 투입부(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사출물 투입홀(111) 위로 사출물(101)이 낙하된다. 이때 분리 투입부(110)의 상부 일측에 분사노즐(121)들이 위치한다. 분사노즐(121)들은 분사노즐 고정판(121a)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데, 분사노즐들은 분리 투입부(110)에 형성된 사출물 투입홀(111)들의 간격을 고려하여 배치된다. 분사노즐(121)에는 압축기체 연결관(122)이 연결되고, 압축기체 연결관(122)의 중간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서 분사노즐이 사출물 투입홀 상부를 통과하는 동안에만 압축기체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분사노즐 고정판(121a)의 일측에는 연결판(121b)이 결합되고 연결판(121b)은 제1피스톤(124)에 결합된다. 제1피스톤(124)은 제1실린더(123)의 내부에 삽입결합되는데, 실린더(123)에는 압력제어 관(123a)이 연결되어서 제1피스톤(124)이 주기적으로 전후진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의 운동은 실린더 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으나,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또는 웜기어 등을 이용한 작동방식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체적인 방식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의 (b)는 분리 투입부로 사출물이 투입된 후에 분사노즐이 사출물 투입홀로 압축기체를 분사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사출물 투입홀(111)로 사출물이 투입되고 나면 제1실린더(123)에 연결된 압력제어 관(123a)으로 압력이 전달되면서 제1피스톤(124)이 전진한다. 제1피스톤(124)이 전진하다가 첫 번째 사출물 투입홀(111)의 상부를 통과하기 시작하면 압축기체 연결관(122)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가 열리면서 분사노즐(121)에서 압축기체가 아래쪽으로 분사된다. 압축기체의 분사는 분사노즐(121)이 사출물 투입홀(111)의 상부를 통과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으로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압축기체의 분사가 끝나면 제1피스톤이 후진하여 분사노즐들은 도 3의 (a)와 같은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사출물의 낙하를 포함한 과정이 반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에 적용되는 기체 분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분리 투입부를 도 3의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사출물들(101a, 101b, 101c)이 분리 투입부(110)의 사출물 투입홀(111)로 각각 분리되어 낙하한다. 이어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사출물 투입홀(111)로 투입된 일부의 사출물들(101a, 101c, 101d)은 사출물 투입홀(111)의 하부에 연결된 진동관(140)으로 정상적으로 투입되지만, 일부의 사출물(101b)은 정전기에 의하여 사출물 투입홀의 내부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정전기에 의한 벽면 부착 현상이 발생하면 사출물이 분리수거 용기까지 정상적으로 이동될 없을 뿐만 아니라, 부착된 사출물이 사출물 투입홀의 입구를 막아서 다음번에 낙하하는 사출물들이 정해진 사출물 투입홀로 투입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전기에 의한 부착은 사출물의 무게가 가볍고 표면적이 넓은 경우에 많아 발생되는데, 예를 들면 배터리팩 케이스에 이용되는 고분자 수지 사출물은 판상에 가까운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정전기에 의한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크다. 마지막으로 도 4의 (c)를 참조하면, 사출물 투입홀(111)의 상부로 분사노즐(121)이 이동하면서 압축기체를 아래쪽으로 분사하게 되는데, 이렇게 분사된 기체에 의하여 사출물 투입홀(111)의 내부 벽면에 부착되어 있던 사출물(101b)이 떨어져 진동관(140)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 기체 분사부의 동작은 제1피스톤의 전진과 후진의 반복 및 분리 투입부 상부에서 압축기체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 압축기체 연결관의 중간에 설치됨)의 온-오프 제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동작은 분리 투입부에 사출물을 투입하는 로봇 암 등의 동작과 연동된다. 도 1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에는 상기 기체 분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에 적용되는 진동관과 진동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는 사출물 투입홀과 진동관의 결합관계 등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사출물 투입홀의 일부가 절단되도록 한 단면을 표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 투입부(110)는 프레임에 고정된 분리 투입부 고정판(17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분리 투입부(110)에 형성된 사출물 투입홀(111)의 하부에 진동관들(140a, 140b, 140c, 140d)이 연결되어 있으며, 진동관들(140a, 140b, 140c, 140d)은 진동관 고정판(138a, 138b, 138c)에 고정되어 있다. 분리 투입부 고정판(171)의 하부에는 가이드판(137a, 137b)이 형성되어 있는데, 가이드판(137a, 137b)에는 제2피스톤(136)이 관통되도록 홀이 형성되어서 제2피스톤(136)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제2피스톤(136)에는 3개의 진동관 고정판(138a, 138b, 138c)이 형성되어 있고, 진동관 고정판 사이에는 진동관이 고정되어 있다. 제2피스톤(136)은 제2실린더(135)에 삽입되어 있는데, 제2실린더(135)에는 제2피스톤(136)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제어 관(135a)이 연결되어 있다. 진동관은 진동부에 의하여 진동이 가능하도록 유동성을 가진 관을 의미한다. 진동부에 의하여 진동관이 진동하면 진동관 내부 벽면에 부착된 사출물이 분리수거 용기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진동관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고분자 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에는 전도성 물질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진동관의 바람직한 형태 중 하나는 스프링 형태이다. 사출물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촘촘하게 금속 와이어를 감아 관 형태로 제조하면 진동부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되는 것이 자유롭다. 또한 스프링 형태의 진동관은 내부 벽면에 금속 와이어로 인한 요철이 형성되어서 사출물과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어서 정전기에 의한 부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아래에서 도 6을 이용하여 진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진동관이 진동하는 과정과 이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에 적용되는 진동관과 진동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와 (b)는 진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제2피스톤이 각각 오른쪽과 왼쪽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분리 투입부(110) 방향으로 낙하된 사출물들(101a, 101b, 101c, 101d)은 사출물 투입홀로 투입되어 각각의 사출물 투입홀에 연결된 진동관들(140a, 140b, 140c, 140d)을 통과한다. 이때, 일부의 사출물들(101b, 101c, 101d)은 진동관들(140b, 140c, 140d)을 통과하여 분리수거 용기(150)까지 도달하지만, 일부의 사출물(101a)은 발생된 정전기에 의하여 진동관(140a)의 내부 벽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2실린더(135)에 연결된 압력제어 관(135a)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제2피스톤(136)이 전진한다. 제2피스톤(136)이 전진하면 진동관 고정판(138a, 138b, 138c)에 고정된 진동관들(140a, 140b, 140c, 140d)도 함께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피스톤이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면서 진동관을 흔들게 되면 진동관이 지속적으로 진동하면서 진동관의 내부 벽면에 부착되어 있던 사출물(101a)이 아래쪽으로 낙하하여 분리수거 용기(150)에 도달할 수 있다. 진동부는 진동관으로 사출물이 투입되는 동안에 계속 작동하여 진동관에 진동이 지속되도록 한다. 진동부에는 제2피스톤의 전후진 거리, 왕복 주기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피스톤의 전후진 거리, 왕복 주기는 각각 진동관의 진동 폭과 진동 주기 등을 결정하게 된다. 진동관의 진동 폭과 진동 주기는 사출물의 크기, 무게, 표면적, 정전기 발생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전기 발생이 쉽고 정전기에 의한 사출물 부착 가능성이 높아지는 조건에서는 진동관의 진동 폭을 크게 하고 진동 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1피스톤의 전후진 거리는 제1실린더에 연결된 압력제어 관에 레귤레이터 등을 설치하여 실린더 내로 유입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제어하거나, 가이드판의 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피스톤의 운동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제어할 수도 있고, 제2피스톤의 왕복 주기는 압력제어 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오프 간격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어수단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이고, 이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서는 실린더에 의하여 작동되는 진동부를 도시하였지만, 진동관에 진동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실린더 작동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를 이용하여 진동부의 왕복운동을 구현할 수도 있고, 탄성체와 돌출턱을 이용하여 진동관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의 프레임에는 진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콘트롤 패널이 장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에 적용되는 용기 고정판과 분리수거 용기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용기 고정판(160)에 복수개의 연결홀(161)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홀(161) 하부에는 분리수거 용기(150)가 결합되어 있다. 용기 고정판(160)은 분리수거 용기(150)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용기 고정판(160)은 도면과 같이 일체로 구성된 판에 연결홀(161)을 형성한 구조일 수도 있지만, 복수개의 연결홀(161)의 열 방향 또는 행 방향으로 분리하여 형성한 복수개의 판으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분리수거 용기(150)에는 벽면과 하부면에 공기 통과홀(151)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b)는 도면 (a)에서 B-B' 방향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다만, 분리수거 용기는 공기 통과홀을 표시하기 위하여 단면이 아닌 외관을 도시하였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용기 고정판(160)에 형성된 각각의 연결홀(161) 하부에 개개의 분리수거 용기(150)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에서는 서로 다른 사출금형 또는 성형 틀에서 성형된 사출물이 개개의 연결홀을 통하여 분리수거 용기로 수거되므로 사출물의 생산이력 관리가 용이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 101: 사출물
110: 분리 투입부 111: 사출물 투입홀
120: 기체 분사부 121: 분사노즐
121a: 분사노즐 고정판 121b: 연결판
122: 압축기체 연결관 123: 제1실린더
123a: 압력제어 관 124: 제1피스톤
130: 진동부 135: 제2실린더
135a: 압력제어 관 136: 제2피스톤
137a, 137b: 가이드판
138a, 138b, 138c: 진동관 고정판 140: 진동관
150: 분리수거 용기 151: 공기 통과홀
160: 용기 고정판 161: 연결홀
170: 프레임 171: 분리 투입부 고정판

Claims (3)

  1. 복수개의 사출물 투입홀이 형성되어서 서로 다른 사출금형 또는 성형 틀에서 제조된 사출물이 분리되어 투입되도록 하는 분리 투입부;
    상기 복수개의 사출물 투입홀에 투입된 사출물이 분리되어 저장되는 복수개의 분리수거 용기;
    상기 분리 투입부와 분리수거 용기를 연결하는 진동관; 및
    상기 진동관을 진동시켜서 정전기에 의하여 진동관의 측벽에 붙은 사출물을 분리수거 용기로 유도하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관은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 투입홀 위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정전기에 의하여 사출물 투입홀의 측벽에 붙은 사출물을 상기 진동관으로 유도하는 기체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
KR1020110027626A 2011-03-28 2011-03-28 진동관이 구비된 소형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 KR101305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26A KR101305280B1 (ko) 2011-03-28 2011-03-28 진동관이 구비된 소형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26A KR101305280B1 (ko) 2011-03-28 2011-03-28 진동관이 구비된 소형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861A KR20120109861A (ko) 2012-10-09
KR101305280B1 true KR101305280B1 (ko) 2013-09-06

Family

ID=4728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626A KR101305280B1 (ko) 2011-03-28 2011-03-28 진동관이 구비된 소형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28B1 (ko) 2014-05-28 2014-08-22 (주)신화인텍 사출물 분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178A (ko) * 2000-11-08 2002-05-16 이구택 전계분포의 변화를 이용한 아연분말 유동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597168B1 (ko) 2005-01-07 2006-07-04 성보경 소결 불량품 재활용 분쇄장치
KR20100085478A (ko) * 2009-01-20 2010-07-29 (주)알티에스 전자부품 검사기의 분류장치
JP2010271161A (ja) * 2009-05-21 2010-12-02 Shibuya Kogyo Co Ltd 電子部品の分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178A (ko) * 2000-11-08 2002-05-16 이구택 전계분포의 변화를 이용한 아연분말 유동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597168B1 (ko) 2005-01-07 2006-07-04 성보경 소결 불량품 재활용 분쇄장치
KR20100085478A (ko) * 2009-01-20 2010-07-29 (주)알티에스 전자부품 검사기의 분류장치
JP2010271161A (ja) * 2009-05-21 2010-12-02 Shibuya Kogyo Co Ltd 電子部品の分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28B1 (ko) 2014-05-28 2014-08-22 (주)신화인텍 사출물 분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861A (ko) 201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1753B2 (ja) 溶融器、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装置、並びに、射出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部材間の接合体の製造方法
RU2011105661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порошков
CN103261094A (zh) 用于将二氧化碳颗粒成型为块体的方法和设备
KR101254620B1 (ko) 정전기 방지용 분리수거 용기가 구비된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
KR101305280B1 (ko) 진동관이 구비된 소형 사출물 분리수거 장치
CN114025917A (zh) 一种使用型芯清洁站通过分层技术生产3d模制品的方法和设备
US20120198686A1 (en) Liquid cartridge and method of producing liquid cartridge
CN105324203B (zh) 钎焊装置以及钎焊方法
US202202268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etal drop ejecting three-dimensional (3d) object printer to shorten object formation time
CN102553779B (zh) 高粘度材料的涂布装置、高粘度材料的涂布方法、高粘度材料涂层以及隔音防振板
KR101164446B1 (ko) 사출성형기용 프리폼 취출 냉각장치
US4434923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castings into necessary and unnecessary pieces
KR20170033978A (ko) 3d 프린터용 노즐 장치
KR101060041B1 (ko) 주형제조장치
JP3950521B2 (ja) 樹脂投入装置及び該樹脂投入装置を備えた樹脂封止装置
JP5145899B2 (ja) 樹脂付着装置
NL2000930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omhullen van elektronische componenten met vloeibaar geportioneerd omhulmateriaal.
KR0162057B1 (ko) 리튬배터리의 전해액 주입장치
KR100811326B1 (ko) 잉크카트리지 자동스팀세척장치
KR101690149B1 (ko) 서포트 분리가 용이한 3차원 프린터
US11890674B2 (en) Metal drop ejecting three-dimensional (3D) object printer and method of operation for forming support structures in 3D metal objects
JP5420615B2 (ja) 射出成形機
JPH0234010Y2 (ko)
KR101431728B1 (ko) 사출물 분배장치
EP1767329A2 (en) Mould with means for depositing release agent for making articles of polyurethane fo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