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725B1 -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725B1
KR101304725B1 KR1020120070245A KR20120070245A KR101304725B1 KR 101304725 B1 KR101304725 B1 KR 101304725B1 KR 1020120070245 A KR1020120070245 A KR 1020120070245A KR 20120070245 A KR20120070245 A KR 20120070245A KR 101304725 B1 KR101304725 B1 KR 101304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flector
sliding plate
projecto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석
장명섭
김용은
이동훈
Original Assignee
황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석 filed Critical 황인석
Priority to KR102012007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08Mirrors having a single reflecting lay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사경;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프로젝터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 {DETACHABLE REFLECTOR FOR 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장착하여 프로젝터에서 반사되는 영상 빔을 반사시키는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투사 렌즈를 통해 영상 빔이 방출하여 확대된 영상을 스크린에 비추어 주는 기기이다.
이러한, 프로젝터는 설치 위치에 따라, 투사 렌즈를 통해 방출된 영상 빔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경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젝터에 반사경을 적용한 구성에 대해여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00742호에 개시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00742호에서는 프로젝터와 반사경을 서로 이격되게 천장에 각각 따로 설치하는 구조로서,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천장에 설치하지 않고, 프로젝터를 테이블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반사경할 경우, 반사경을 테이블에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테이블에 손상 가는 등 설치상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반사경을 프로젝터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형화되어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사경;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프로젝터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단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고, 일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부 암; 및,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배우로 삽압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고, 일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암과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암;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암과 상기 하부 암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디바이스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단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 1 슬라이딩 판과, 상기 제 1 슬라이딩 판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 제 1 연장판을 구비한 상부 암;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판과 일부가 겹쳐지도록 형성된 제 2 슬라이딩 판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판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 제 2 연장판을 구비한 하부 암; 상기 제 1 슬라이딩 판의 내측단에 형성된 제 1 장홀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래크; 상기 제 2 슬라이딩 판의 내측단에 형성된 제 2 장홀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래크와 마주하도록 형성된 제 2 래크; 일단은 상기 본체의 하단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슬라이딩 판의 우측면 상부에 고정된 제 1 코일 스프링;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단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슬라이딩 판의 좌측면 하부에 고정된 제 2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래크와 상기 제 2 래크와 동시에 연결된 피니언;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와 상기 반사경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반사경이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하는 힌지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반사경을 힌지되게 결합하는 너트 및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삽입되는 스프링 와셔;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반사경의 높이가 조절하도록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반사경 장치는 프로젝터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프로젝터의 두께에 상관없이 모든 프로젝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프로젝터의 일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소형화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따른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에서 힌지유닛을 나타내기 위해 일부 구성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힌지 유닛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에서 후방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에서 반사경이 높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에서 상부암과 하부암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에서 전방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가 프로젝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10)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10)는 본체(110), 반사경(120), 힌지유닛(130) 및, 고정유닛(14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메인몸체(111)의 전면에 전방커버(112)가 결합되고 후면에 후방커버(113)가 결합된 구성으로서, 전체 윤곽이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반사경(120)은 지지판(121), 거울판(123) 및, 고정틀(125)을 포함한다.
지지판(121)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전면에 안착홈(121a, 도 3 참조)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힌지 브라켓(122)이 일체로 형성된다.
거울판(123)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통상의 거울 구성이며, 지지판(121)의 안착홈(121a)에 삽입된다.
고정틀(125)은 거울판(121)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지지판(121)의 테두리와 결합되어, 거울판(121)을 지지판(121)에 고정시킨다.
이때, 지지판(121)과 고정틀(125)의 결합은 접착제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지지판(121)에 결합돌기부(126)를 형성하고, 고정틀(125)에 결합홈부(127)를 구성하여, 결합돌기부(126)와 결합홈부(127)의 스냅결합에 의해 지지판(121)과 고정틀(125)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힌지유닛(130)은 반사경(120)과 본체(110)를 서로 연결하여, 반사경(120)이 본체(110)의 측방에서 회동가능하게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힌지유닛(130)은 연결부재(131), 너트(132), 스프링와셔(133a), 평와셔(133b), 볼트(134)를 포함한다.
연결부재(131)는 지지판(121)에 형성된 힌지 브라켓(122)의 측면과 메인몸체(111)의 후면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편(131a)과 회전축부(131b)를 포함한다.
이동편(131a)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끝단에는 돌출부(136)가 형성된다. 이동편(131a)은 메인몸체(111)의 후면에 접촉되며, 메인몸체(111)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116)에 끼워져 이동(131a)이 외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메인몸체(111)의 후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골(117)이 형성되고, 골(117)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동편(131a)의 끝단에 형성된 돌출부(136)는 상기 다수의 골(117)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편(131a)이 상하로 이동할 경우, 돌출부(136)가 다수의 골(117)을 타고 넘어가 이동편(131a)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축부(131b)는 이동편(131a)의 일측으로부터 측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중심에는 회전축공(135)이 형성된다.
회전축부(131b)는 힌지 브라켓(122)의 일측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축부(131b)와 힌지 브라켓(122)은 너트(132)와 볼트(134)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트(134)가 회전축공(135)을 통해 삽입하고, 볼트(134)의 끝단이 힌지 브라켓(122)의 측면을 관통하여 힌지 브라켓(122)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132)가 힌지 브라켓(122)의 내부에서 볼트(134)의 끝단과 결합됨으로써, 힌지 브라켓(122)과 회전축부(131b)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반사경(120)은 본체(110)에 대해 힌지되어 회동가능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 와셔(133a)와 4개의 평 와셔(133b)가 너트(132)와 힌지 브라켓(122) 사이에 위치하도록 볼트(134)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 와셔(133a)와 4개의 평 와셔(133b)에 의해 힌지 브라켓(122)과 평와셔(133b)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는 힌지 브라켓(122)과 연결부재(131)의 회전이 가능하지만,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힌지 브라켓(122)과 연결부재(131)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사용자가 반사경(120)을 잡고 본체(110)에 대해 돌리면 반사경(120)이 본체(110)에 대해 회전하지만, 사용자가 외력을 제거하면, 반사경(120)은 회전되지 않고 본체(110)에 대해 일정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반사경(120)을 본체(110)에 대해 회동시켜, 반사경(1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6 및 도 7과 같이, 반사경(120)을 본체(110)에 대해 이동하여 반사경(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반사경(120)을 잡고 본체(110)에 대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올리거나 내리면, 이동편(131a)의 돌출부(136)가 다수의 골(117)을 타고 넘어가면서 반사경(1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유닛(140)은 본 발명의 반사경 장치(10)를 프로젝터(1, 도 10 참조)에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암(141), 하부 암(142), 제 1 래크(145a), 제 2 래크(145b), 제 1 스프링(146a), 제 2 스프링(146b) 및, 피니언(147)을 포함한다.
상부 암(141)은 메인몸체(111)의 상단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는 메인몸체(111)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암(141)은 제 1 슬라이딩 판(141a)과 제 1 연장판(141b)을 포함하며, 제 1 슬라이딩 판(141a)은 메인몸체(111)의 상단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며, 제 1 연장판(141b)은 제 1 슬라이딩 판(141a)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하부 암(142)은 메인 몸체(111)의 하단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는 메인 몸체(111)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부 암(142)은 제 2 슬라이딩 판(142a)과 제 2 연장판(142b)을 포함하며, 제 2 슬라이딩 판(142a)은 메인몸체(111)의 하단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며, 제 2 연장판(142b)은 제 2 슬라이딩 판(142a)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제 2 슬라이딩 판(142a)의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레일(148)이 형성되며, 이 경우, 전방커버(112)의 내면에는 레일(148)에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제 2 슬라이딩 판(142a)이 전방커버(112)의 가이드 돌기(미도시)를 따라 안내되어 메인 몸체(111)에서의 상하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슬라이딩 판(141a)에도 레일(미도시)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게 메인몸체(111)의 내면에는 가이드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제 1 슬라이딩 판(141a)의 상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슬라이딩 판(141a,142a)은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슬라이딩 판(141a,142a)의 끝단부에는 제 1 및 제 2 장홀(143a,143b)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장홀(143a,143b)은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형성된다.
제 1 연장판(141b)과 제 2 연장판(142b)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제 1 연장판(141b)은 일부가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연장판(142b)은 직선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래크(145a)는 제 1 장홀(143a)의 일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 2 래크(145b)는 제 2 장홀(143b)의 타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제 1 래크(145a)와 제 2 래크(145b)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스프링(146a,146b)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제 1 스프링(146a)의 일단은 메인몸체(111) 하단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 1 슬라이딩 판(141a)의 우측면 상부에 고정되며, 제 2 스프링(146b)의 일단은 메인 몸체(111) 상단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 2 슬라이딩판(141a)의 좌측면 하부에 고정된다.
피니언(147)은 메인몸체(111)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피니언(147)은 제 1 래크(145a) 및 제 2 래크(145b)와 동시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상부 암(141)이 하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 래크(145a)가 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피니언(147)이 시계 방향을 회전하며, 피니언(147)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제 2 래크(145b)가 상 방향으로 이동하면 하부 암(142)이 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부 암(141) 상 방향으로 이동하면, 하부 암(142)은 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부 암(141)과 하부 암(14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상부 암(141)은 제 1 스프링(146a)에 의해 하 방향으로 탄성디바이스되고, 하부 암(142)은 제 2 스프링(146b)에 의해 상 방향으로 탄성디바이스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부 암(141)과 하부 암(142)을 벌리면, 상부 암(141)과 하부 암(142)의 제 1 연장판(141b)과 제 2 연장판(142b)이 피니언(147)을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동일한 간격만큼 서로 반대 방향을 이동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제 1 및 제 2 스프링(146a,146b)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연장판(141b)과 제 2 연장판(142)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부 암(141)은 하방향으로, 하부 암(142)은 상 방향으로 움직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제 1 연장판(141b)은 메인몸체(111)의 상단에 걸리고 제 2 연장판(142b)은 메인몸체(111)의 하단에 걸려 더 이상 제 1 및 제 2 슬라이딩 판(141a,142a)이 메인몸체(111)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제한한다.
이하,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의 사용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부 암(141)과 하부 암(142)을 벌려 그 사이에 프로젝터(1)를 삽입한 후, 외력을 제거하면, 상부 암(141)과 하부 암(142)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프로젝터(1)를 상호 가압함으로써, 반사경 장치(10)가 프로젝터(1)에 고정된다. 이때, 프로젝터(1)의 두께가 두껍거나 얇더라도 사용자는 적절하게 상부 암(141)과 하부 암(142)을 벌렸다 놓기만 하면, 상부 암(141)과 하부 암(142)이 프로젝터(1)를 상호 가압하여 반사경 장치(10)를 프로젝터(1)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사경 장치(10)를 프로젝터(1)에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반사경(120)을 잡고 본체(110)에 대해 회동시켜, 반사경(120)의 각도를 적절하게 맞추거나, 반사경(120)를 잡고 본체(110)에 대해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반사경(1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프로젝터(1)의 방출공(2)에서 조사되는 영상 빔이 양호하게 반사되어 최상의 영상이 스크린(또는 벽)에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본체
111...메인몸체
112...전방커버
113...후방커버
120...반사경
121...지지판
123...거울판
125...고정틀
130...힌지유닛
131...연결부재
132...너트
133a...스프링 와셔
133b...평 와셔
134...볼트
140...고정유닛
141...상부 암
142...하부 암
143a,143b...제 1 및 제 2 장홀
145a,145b...제 1 및 제 2 래크
146a,146b...제 1 및 제 2 스프링
147...피니언
148...레일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사경;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프로젝터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단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 1 슬라이딩 판과, 상기 제 1 슬라이딩 판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 제 1 연장판을 구비한 상부 암;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판과 일부가 겹쳐지도록 형성된 제 2 슬라이딩 판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판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 제 2 연장판을 구비한 하부 암;
    상기 제 1 슬라이딩 판의 내측단에 형성된 제 1 장홀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래크;
    상기 제 2 슬라이딩 판의 내측단에 형성된 제 2 장홀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래크와 마주하도록 형성된 제 2 래크;
    일단은 상기 본체의 하단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슬라이딩 판의 우측면 상부에 고정된 제 1 코일 스프링;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단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슬라이딩 판의 좌측면 하부에 고정된 제 2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래크와 상기 제 2 래크와 동시에 연결된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반사경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반사경이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하는 힌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반사경을 힌지되게 결합하는 너트 및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삽입되는 스프링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의 높이가 조절하도록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
KR1020120070245A 2012-06-28 2012-06-28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 KR101304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245A KR101304725B1 (ko) 2012-06-28 2012-06-28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245A KR101304725B1 (ko) 2012-06-28 2012-06-28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725B1 true KR101304725B1 (ko) 2013-09-05

Family

ID=4945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245A KR101304725B1 (ko) 2012-06-28 2012-06-28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7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2024A (ja) * 1997-03-13 1998-11-24 Nikon Corp プロジェクター
JP2009031336A (ja) 2007-07-24 2009-02-12 Brother Ind Ltd プロジェクタ
KR20100097400A (ko) * 2009-02-26 201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JP2012048179A (ja) 2010-08-30 2012-03-08 Sanyo Electric Co Ltd ミラー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2024A (ja) * 1997-03-13 1998-11-24 Nikon Corp プロジェクター
JP2009031336A (ja) 2007-07-24 2009-02-12 Brother Ind Ltd プロジェクタ
KR20100097400A (ko) * 2009-02-26 201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JP2012048179A (ja) 2010-08-30 2012-03-08 Sanyo Electric Co Ltd ミラー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2846B2 (en) Folding base LED diamond mirror
KR10256555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EP2843288A1 (en) Holding module
KR2016014100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05521B1 (ko) 조명등 장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명등
RU2019103750A (ru) Монтаж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креп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на плоский монитор
TWI567475B (zh) 投影機鎖附裝置
CN104023619A (zh) 皮肤拍摄装置
JP2004086199A (ja) 拡大鏡取付読書台
KR101304725B1 (ko) 탈부착 가능한 프로젝터용 반사경 장치
KR20190126061A (ko) 디스플레이 미러 토글 패들
US9547221B2 (en) Video projection device
US20120014097A1 (en) Flush mount mirror light
US20140202645A1 (en) Sunshade Assembly
US7218463B1 (en) Magnifying assembly
TW201442606A (zh) 滑軌固定結構
TW201442671A (zh) 滑軌組合
TW201448715A (zh) 電子裝置
TWI537672B (zh) 投影裝置
RU168195U1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экранир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699630B1 (ko)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JP6089275B2 (ja) 照明器具
KR101452996B1 (ko) 입체영상투영기
CN214891014U (zh) 外装灯
CN209979912U (zh) 一种3d投影设备的可调光学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