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012B1 - 전동기 회전자용 정비지그 - Google Patents

전동기 회전자용 정비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012B1
KR101304012B1 KR1020120085408A KR20120085408A KR101304012B1 KR 101304012 B1 KR101304012 B1 KR 101304012B1 KR 1020120085408 A KR1020120085408 A KR 1020120085408A KR 20120085408 A KR20120085408 A KR 20120085408A KR 101304012 B1 KR101304012 B1 KR 101304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motor
frame
jig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준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20085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6Testing of armature or field win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형 전동기의 회전자용 견인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전동기의 회전자용 견인지그는, 횡프레임;과, 상기 횡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종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에 구비되며, 전동기 회전자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회전자 결합부;와, 상기 종프레임에 연결되며, 모터박스 외부의 측부에 탈착되는 결합아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자를 수평한 상태로 모터박스로부터 분리하여 회전자의 정비시 고정자의 손상없이 정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동기 회전자용 정비지그{Maintenance jig for rotor}
본 발명은 전동기 회전자용 정비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회전자를 수평한 상태로 모터박스로부터 분리하여 회전자의 정비시 고정자의 손상없이 정비할 수 있는 전동기 회전자용 정비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는 FD 팬 모터(forced draft fan motor), 밀 모터(mill motor), ID 팬 모터(induced draft fan motor), PA 팬 모터(primary air fan motor), 벤트 팬 모터(vent fan motor), 환기 팬 모터(exhaust fan motor) 및 보일러급수 펌프 모터(boiler feed water pump motor)와 같은 산업용 대형 모터들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대형 모터들은 각각의 작업현장에 배치되어 전기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바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통상 코일로 이루어진 고정자(stator) 내부에 자석으로 된 회전자(Rotor)가 간극을 두고 구비되고,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자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동력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모터는 정기적인 분해 점검과 베어링 교체 등과 같은 보수가 필요하고, 이러한 모터의 분해 점검과 보수시 가장 관건이 되는 것은 고정자와 불과 3-5 mm 간극을 갖는 회전자를 상기 고정자로부터 빼내어 분리할 때, 고정자와 회전자 간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상호 접촉에 따른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모터의 분해 점검과 보수는 별도의 특정장비에 의존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특정장비가 갖추어지지 않은 현장에서는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대형 모터와 같이 그 중량이 3톤 이상의 중량을 가지며, 부피가 매우 큰 모터는 분해점검을 위해 별도의 분해장소인 터빈 룸(TBN Room)까지 운반한 후 많은 장비와 인력을 동원하여 분해 점검과 수리보수를 행하였다.
도 9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대형 회전자의 분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발전소의 천정에 설치된 크레인(1,2 ; crane)을 이용한 방법이다. 이를 위해 각각의 작업장에는 발전소의 건설 당시부터 천장(3)에 설치되어 작업장의 대형 모터(10)들과 같은 설비들의 중량을 감당할 수 있는 두개의 크레인(1,2)이 배치되어 있다. 이런 크레인(1,2)들은 주 크레인(1)과 부 크레인(2)으로서, 통상적으로 전동기와 감속장치 및 와인딩 드럼 등을 일체로 통합시켜 상기 설비들을 감아 올리며, 또한 천정(3)에 설치된 레일(8)을 따라 스스로 주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주 크레인(1)과 부 크레인(2)에는 작업장의 대형 모터(10)에서 베어링이 장착되는 브래킷과, 이런 브래킷의 베어링에 체결되는 회전축(11,12)을 갖는 회전자(13)를 분해 및 조립하기 위해서 견인수단(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10) 내에 마련된 회전자(13)의 일측 회전축(12)에는 삽입식으로 고정된 파이프와 같은 서포트바(1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견인수단(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바(14)와 반대쪽 회전축(11)에 체결된다. 이렇게 체결된 견인수단(4)은 크레인(1,2)에 체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자(13)를 모터(10)의 고정자(15 ; stator)의 중심에서 위치하게 하며, 회전자(13)의 외원주면과 고정자(15)의 내원주면의 틈새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때, 크레인(1,2)이 레일(8)을 따라 움직일 때 상기 견인수단(4)으로 체결한 상기 회전자(13)가 상기 고정자(15)에서 조심스럽게 분해되어 점검된다.
이후, 점검작업이 끝난 회전자(13)는 다시 상술한 분해 방법의 역순으로 다시 고정자(15)의 중심에 조립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대형 회전자의 분해 조립 방법에는 작업자의 안전에 대한 문제점과, 대형 모터의 회전자를 점검하기 위해서 터빈 룸까지 운반하는 점 및, 크레인 사용상의 여러가지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다.
먼저, 크레인으로 모터 분해 및 조립시의 문제점은 발전소의 작업자 천정에 설치된 크레인과 견인수단을 이용하기 때문에, 절차가 복잡한 동시에, 회전자를 고정자에서 분해시, 회전자의 외원주면과 고정자의 내원주면의 틈새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분해하는 작업이 대단히 어려운 단점이 있었으며, 상기 모터의 회전자가 중량물이기 때문에, 단순히 크레인과 견인수단을 이용한 분해 및 조립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해한 모터의 회전자를 점검작업 장소인 터빈 룸에 운반시에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상기 회전자가 중량물이기 때문에, 10인 이상의 많은 작업인력이 소요되며, 운반도중 대차가 레일을 이탈, 전도 및, 협착되는 등의 안전 사고들이 뒤따른다는 문제점과 함께, 크레인이 없이는 모터의 분해 정비가 불가능하며, 작업준비에 투입되는 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자를 수평한 상태로 모터박스로부터 분리하여 회전자의 정비시 고정자의 손상없이 정비할 수 있는 전동기 회전자용 정비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정비지그는, 횡프레임;과, 상기 횡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종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에 구비되며, 전동기 회전자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회전자 결합부;와, 상기 종프레임에 연결되며, 모터박스 외부의 측부에 탈착되는 결합아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횡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며, 견인수단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견인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횡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는 제2연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횡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2연결부와 치합되되, 상기 치합된 제2연결부가 상기 횡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일측에 회전수단이 구비되는 관통봉;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아암은, 상기 종프레임에 연결되되, 상기 횡프레임과 교차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레일이 형성되는 가변아암;과, 상기 가변아암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일측과 타측 외주면의 일부에는 서로 반대의 패턴을 갖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동봉;과, 상기 가동봉의 외주면에 연결되되, 상기 나사산에 치합되어 상기 가동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변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이동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모터박스 외부의 측부에 탈착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고정아암;과, 상기 고정아암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박스 외부와 결합시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아암은, 상기 전자석이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동홈;과, 상기 가동홈에 끼워져 이동되는 가동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자를 수평한 상태로 모터박스로부터 분리하여 회전자의 정비시 고정자의 손상없이 정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변아암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이동부재로 인하여 폭이 조절되므로 다양한 모터박스의 크기에 대응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대형모터의 분해 또는 조립시 작업의 번거로움과 위험요소를 줄여 손쉽고 간편하게 분해 또는 조립을 할 수 있고, 분해 또는 조립에 따른 소요시간 절감되어 모터의 분해정비시 소요되는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가 회전자에 결합된 초기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가 회전자를 인출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를 이용하여 회전자가 모터박스에서 인출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의 결합아암이 모터박스의 외부에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예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의 결합압이 모터박스의 외부에 결합되어 회전자를 모터박스의 외부로 인출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9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대형 회전자의 분해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가 회전자에 결합된 초기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가 회전자를 인출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를 이용하여 회전자가 모터박스에서 인출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의 결합아암이 모터박스의 외부에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예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의 결합압이 모터박스의 외부에 결합되어 회전자를 모터박스의 외부로 인출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회전자용 견인지그는, 횡프레임(100), 종프레임(200), 회전자 결합부(210) 및 결합아암(300)이 포함되며, 제1연결부(110), 제2연결부(120), 개구레일(121), 관통봉(122), 슬링벨트(123), 구속수단(220), 가변아암(310), 가동홀(311), 가동봉(320), 나사산(321, 321'), 가변레일(330), 이동부재(340), 고정아암(350), 고정부(351), 가동홈(352) 및 가동부(353) 및 전자석(3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횡프레임(100)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횡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일측에는 제1연결부(110)가 마련되며, 외주면에는 제2연결부(12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2연결부(120)는 상기 제1연결부(110)와 대향된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2연결부(120)는 횡프레임(1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0)에는 견인수단(30)이 각각 연결되는데, 이러한 견인수단(30)은 도시되지 않은 크레인에 연결되어 회전자(10)를 모터박스(20)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120)는 횡프레임(100)의 외주면에서 위치가 가변되면서 횡프레임(100)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제2연결부(120)는 개구레일(121), 관통봉(122) 및 슬링벨트(123)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레일(121)은 횡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관통봉(122)은 횡프레임(100)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부재이며, 상기 슬링벨트(123)는 횡프레임(100)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관통봉(122)과 결합되어 횡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개구레일(121)과 관통봉(122) 및 슬링벨트(123)의 결합관계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횡프레임(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홀이 관통형성되는데, 이러한 홀에는 관통봉(122)이 끼워져 결합되되, 관통봉(122)이 홀에 고정되도록 양측에는 걸림판(5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봉(122)의 일측에는 회전수단(40)이 구비되어 관통봉(122)이 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구레일(121)은 횡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이러한 개구레일(121)은 횡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횡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개구레일(121)에는 슬링벨트(123)가 결합되되, 개구레일(121)에 결합된 슬링벨트(123)는 관통봉(122)의 외주면과 치합된다. 이에 따라, 슬링벨트(123)는 상기 회전수단(40)에 의해 관통봉(122)의 외주면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는데, 이러한 슬링벨트(123)는 견인수단(30)과 연결되며, 견인수단(30)과 결합되는 또 다른 부재인 제1연결부(110)와 함께 본 발명이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종프레임(200)은 상술한 횡프레임(10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종프레임(200)의 하부에는 후술할 회전자 결합부(210)가 형성되며, 이 회전자 결합부(21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후술할 결합아암(30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자 결합부(210)는 상술한 종프레임(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회전자 결합부(210)는 모터박스(2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자(10)를 외부로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회전자 결합부(210)는 전동기 회전자(10)의 회전축(11)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아암(300)은 상술한 종프레임(200)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결합아암(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횡프레임(100)에 교차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아암(300)은 회전자(10)를 모터박스(20)에서 인출시, 모터박스(20)의 외부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회전자(10)가 회전자 결합부(210)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모터박스(20)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결합아암(300)은, 가변아암(310)과, 가동봉(320), 가변레일(330) 및 한 쌍의 이동부재(340)로 구성되는데, 상기 가변아암(310)은 종프레임(200)에 교차되어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동홀(311)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홀(311)은 가변레일(330)과 연통되며, 가변레일(33)은 이동부재(340)를 가변아암(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동봉(320)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 외주면의 일부에는 각각 나사산(321, 321')이 형성되는데, 일측 나사산(321)과 타측 나사산(321')은 서로 반대의 패턴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가동봉(320)이 가동홀(311)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술한 관통봉(122)과 동일한 구조, 즉, 양측 단부에 걸림판(50)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회전수단(4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변레일(330)은 가변아암(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이러한 가변레일(330)은 가동봉(320)의 일측과 타측 나사산(321, 321')에 결합된 이동부재(340)가 가동봉(320)의 회전에 의한 이동시 이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가동봉(320)의 일측과 타측에 치합된 이동부재(340)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봉(320)의 회전에 의해 서로 접근되거나 멀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이동부재(340)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가동봉(320)에 의해 서로 반대의 패턴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이동부재(340)는 가동봉(3220)의 회전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340)에는 고정아암(35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고정아암(350)은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가동부(353)와 고정부(351)로 구성되는데, 상기 가동부(353)는 고정부(35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동홈(352)에 끼워져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351)에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36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자석(360)은 모터박스(20)의 외부에 결합되어 회전자(10)를 모터박스(20)의 외부로 인출할 때 회전자(10)가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동기의 회전자용 견인지그로 회전자를 모터박스에서 인출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견인수단(30)을 이용하여 정비가 필요한 모터로 본 발명을 접근시키는데, 견인수단(30)은 체인이나 와이어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후,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10)를 회전자 결합부(210)에 결합시킨 다음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속수단(220)을 이용하여 견고히 고정시킨다.
이후, 가동봉(320)을 회전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340)를 모터박스(20)의 외주면에 접근시키며, 이동부재(340)에 연결된 고정아암(350)의 전자석(360)을 이용하여 고정아암(350)을 모터박스(20)에 고정시키는데, 상기 전자석(360)은 흡착판 등 다양한 고정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후, 도 5 내지 도 6,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수단(30)을 이용하여 회전자(10)를 모터박스(20)의 외부로 인출하는데, 견인수단(30)이 이동되면 가동부(353)가 가동홈(352)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모터박스(20)의 내부가 회전자(10)로 인해 손상이 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회전자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자가 모터박스에서 수평한 상태로 인출시킨 후, 별도의 작업공간(예; 터빈 룸)으로 이동시켜 회전자를 유지보수 할 수 있다.
이후, 정비가 완료되면 상술한 분해순서의 역순으로 조립을 하되면 분해 및 유지보수가 완료된다.
상기와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터박스(20)의 내에서 회전자(10)를 안전하면서도 쉽고 간편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동시에, 모터박스(20)에서 회전자(10)의 인출 또는 삽입시 고정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무거운 회전자(10)의 취급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자의 육체적인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분해 정비 조립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자(10)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출되도록 고정아암(350)과 제2연결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아암(350)은 모터박스(20)의 외부에 전자석(360)을 매개로 고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동홈(352)이 형성되는데, 이 가동홈(352)은 수평한 상태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회전자(10)가 수평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120)는 회전자의 인출에 따라 본 발명에 가해지는 무게중심이 이동되면 회전수단(40)을 매개로 관통봉(122)을 회전시켜, 이 관통봉(122)에 치합되어 있는 슬링벨트(123)의 위치를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하게 이동시켜 횡프레임(100)이 수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회전자 20-모터박스
30-견인수단 40-회전수단
50-걸림판
100-횡프레임 110-연결부
120-제2연결부 121-개구레일
122-관통봉 123-슬링벨트
200-종프레임 210-회전자 결합부
220-구속수단
300-결합아암 310-가변아암
311-가동홀 320-가동봉
321, 321'-나사산 330-가변레일
340-이동부재 350-고정아암
351-고정부 352-가동홈
353-가동부 360-전자석

Claims (6)

  1. 횡프레임;과
    상기 횡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종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에 구비되며, 전동기 회전자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회전자 결합부;와
    상기 종프레임에 연결되며, 모터박스 외부의 측부에 탈착되는 결합아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회전자용 견인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며, 견인수단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견인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횡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는 제2연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회전자용 견인지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횡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2연결부와 치합되되, 상기 치합된 제2연결부가 상기 횡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일측에 회전수단이 구비되는 관통봉;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회전자용 견인지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아암은,
    상기 종프레임에 연결되되, 상기 횡프레임과 교차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레일이 형성되는 가변아암;과
    상기 가변아암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일측과 타측 외주면의 일부에는 서로 반대의 패턴을 갖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동봉;과
    상기 가동봉의 외주면에 연결되되, 상기 나사산에 치합되어 상기 가동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변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이동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회전자용 견인지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모터박스 외부의 측부에 탈착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고정아암;과
    상기 고정아암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박스 외부와 결합시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회전자용 견인지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아암은,
    상기 전자석이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동홈;과
    상기 가동홈에 끼워져 이동되는 가동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회전자용 견인지그.
KR1020120085408A 2012-08-03 2012-08-03 전동기 회전자용 정비지그 KR101304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408A KR101304012B1 (ko) 2012-08-03 2012-08-03 전동기 회전자용 정비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408A KR101304012B1 (ko) 2012-08-03 2012-08-03 전동기 회전자용 정비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012B1 true KR101304012B1 (ko) 2013-09-04

Family

ID=4945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408A KR101304012B1 (ko) 2012-08-03 2012-08-03 전동기 회전자용 정비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0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860B1 (ko) * 2014-02-20 2015-07-1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력 발전기의 회전자폴 인출장치
KR101995365B1 (ko) * 2019-02-13 2019-07-02 김경백 전동기용 회전자 인출입 장치
KR101995364B1 (ko) * 2018-11-22 2019-07-02 김경백 전동기용 회전자 인출입 장치
KR102040911B1 (ko) * 2019-07-16 2019-11-05 민현규 모터 보수용 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터 분해방법
KR102292407B1 (ko) * 2021-01-04 2021-08-23 박창규 모터 로터 분해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터의 분해 조립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373U (ja) * 1992-03-06 1994-03-18 関工第一企業株式会社 電動機のローターの引き出し装置
KR20050036013A (ko) * 2003-10-14 2005-04-20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발전기 회전자 인출 및 삽입용 전동 장치
KR20050068804A (ko) * 2003-12-30 2005-07-0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고·저압 전동기 회전자 인출 및 삽입 장치
KR20100060239A (ko) * 2008-11-27 2010-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모터의 회전자 인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373U (ja) * 1992-03-06 1994-03-18 関工第一企業株式会社 電動機のローターの引き出し装置
KR20050036013A (ko) * 2003-10-14 2005-04-20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발전기 회전자 인출 및 삽입용 전동 장치
KR20050068804A (ko) * 2003-12-30 2005-07-0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고·저압 전동기 회전자 인출 및 삽입 장치
KR20100060239A (ko) * 2008-11-27 2010-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모터의 회전자 인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860B1 (ko) * 2014-02-20 2015-07-1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력 발전기의 회전자폴 인출장치
KR101995364B1 (ko) * 2018-11-22 2019-07-02 김경백 전동기용 회전자 인출입 장치
KR101995365B1 (ko) * 2019-02-13 2019-07-02 김경백 전동기용 회전자 인출입 장치
KR102040911B1 (ko) * 2019-07-16 2019-11-05 민현규 모터 보수용 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터 분해방법
KR102292407B1 (ko) * 2021-01-04 2021-08-23 박창규 모터 로터 분해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터의 분해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012B1 (ko) 전동기 회전자용 정비지그
JP5215403B2 (ja) 回転電機の分解装置および分解方法
KR100935215B1 (ko) 발전기용 여자기 로터의 인출장치
KR101033127B1 (ko) 모터 분해 정비용 장치
KR101234378B1 (ko) 풍력 발전 장치 및 그 보수 방법
CN103663131A (zh) 用于维护风力涡轮齿轮箱的固定装置、维护组件和方法
KR100623200B1 (ko) 대용량 모터의 분해 점검/보수 방법 및 장치
KR101335519B1 (ko) 발전설비용 로터 지지장치
CN110925149B (zh) 一种风力发电机的齿轮箱塔上维修方法
KR100285300B1 (ko) 대형로터의분해조립시스템
KR101307762B1 (ko) 터빈 로터 작업대
KR200484602Y1 (ko) 발전기 회전자 지지장치
EP3736441B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wind turbine, a nacelle structure and a wind turbine
US20170346373A1 (en) Placement and replacement system and method for placing and replacing the electrical components of electromagnetic rotary machine
KR200444753Y1 (ko) 발전기용 회전자의 단락환 분해 및 조립장치
KR101344957B1 (ko) 중형압연설비용 감속기의 아이들 기어 조립 지그
CN210137270U (zh) 一种非传动端单轴承永磁牵引电机定、转子合装装置
US9784136B2 (en) Rotor turning device for large turbine/generator in-situ rotors
US20170110939A1 (en) Stacker and method for stacking a stator core of an electric machine
KR101536860B1 (ko) 수력 발전기의 회전자폴 인출장치
WO2015064208A1 (ja) 発電機の点検方法
CN216179829U (zh) 一种用于检修tlt动叶可调轴流风机轴承箱的工具
EP2617988B1 (en) Manual lifting tool for wind turbines
JP2010236226A (ja)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CN205381879U (zh) 一种用于35-110kV隔离开关检修的起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