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844B1 -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844B1
KR101303844B1 KR1020120031604A KR20120031604A KR101303844B1 KR 101303844 B1 KR101303844 B1 KR 101303844B1 KR 1020120031604 A KR1020120031604 A KR 1020120031604A KR 20120031604 A KR20120031604 A KR 20120031604A KR 101303844 B1 KR101303844 B1 KR 101303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box
reducer
collection
shaf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철
구송이
Original Assignee
구송이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송이,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filed Critical 구송이
Priority to KR1020120031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수 수로에 설치된 스크린에 걸려 상부로 끌어올린 부유물을 측면으로 이송하여 제거하는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로를 가로질러 설치된 스크린에 걸린 부유물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상부로 긁어 올린 후 제거함에 있어서, 스크린의 상측에서 스크린과 같은 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수거함을 설치하되 상기 수거함의 측면에 수거함을 따라 작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는 작동공간을 따라 감속기가 이동되게 하며, 상기 감속기는 수거함에 채워진 부유물을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수거판이 결합되어 감속기의 이동에 따라 수거판이 수거함을 따라 이동되게 하며, 상기 수거판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수거함을 막아주거나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Dirt sliding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배수처리장이나 취수펌프장 등의 유입수 수로에 설치되어 유입수와 함께 유입되는 생활쓰레기나 오물과 같은 부유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 부유물 제거장치에서, 스크린에 걸려 상부로 끌어올린 부유물을 측면으로 이송하여 제거하는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부유물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 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서는 물을 퍼내기 위한 배수펌프가 설치되고, 유입수가 들어오는 수로에는 오물이나 쓰레기와 같은 부유물을 걸러주어 펌프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빗살 형태의 스크린을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스크린에 걸린 부유물은 상부로 끌어 올려 제거해야하는 것으로, 스크린에 걸린 부유물은 스크린의 상측으로 끌어올린 후 스크린의 측방향으로 설치된 콘베어벨트에 떨어뜨림으로써 부유물이 콘베어 벨트를 타고 외측으로 제거되게 된다.
상기 스크린은 수로를 가로막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에 걸린 부유물은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상부로 끌어 올린 후 스크린의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설치되는 콘베어벨트에 부유물이 쌓이도록 함으로써, 스크래퍼로 끌어올린 부유물이 콘베어벨트를 타고 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부유물 수집함에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는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끌어올린 후 이를 받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콘베어벨트를 설치하여야 하나, 콘베어벨트는 무한궤도를 형성하여야 하고, 벨트를 연속적으로 일방향을 향하여 이동시켜야 하는 관계로 콘베어벨트의 설치가 쉽지 않음은 물론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또한 콘베어벨트의 이동에 따라 작업자가 휩쓸릴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것이었다.
즉, 콘베어벨트는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구동이 쉽지 않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방지할 수 없는 것이어서, 콘베어벨트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걸려 상부로 끌어올린 부유물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은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수로를 가로질러 설치된 스크린에 걸린 부유물을 스크래퍼로 상부로 긁어올린 후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거함에 있어서, 콘베어벨트를 사용하는 경우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콘베어벨트의 설치에 따른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콘베어벨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부유물을 한 쪽으로 긁어내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로를 가로질러 설치된 스크린에 걸린 부유물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상부로 긁어 올린 후 제거함에 있어서, 스크린의 상측에서 스크린과 같은 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수거함을 설치하되 상기 수거함의 측면에 수거함을 따라 작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는 작동공간을 따라 감속기가 이동되게 하며, 상기 감속기는 수거함에 채워진 부유물을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수거판이 결합되어 감속기의 이동에 따라 수거판이 수거함을 따라 이동되게 하며, 상기 수거판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수거함을 막아주거나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거함에 부유물이 채워지게 되면 수거판으로 수거함을 막아준 상태에서 수거판을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부유물이 수거함의 일측으로 밀려서 제거될 수 있도록 하고, 부유물이 제거되면 유압실린더로 수거판을 들어준 후 초기위치로 이동하여 수거판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거판을 수평 이동시켜 부유물을 제거한 후 수거판을 원위치시켜 다음 부유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부유물 제거에 콘베어벨트를 사용하지 않아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로를 가로질러 설치된 스크린에 걸린 부유물을 상부로 긁어 올린 후 콘베어벨트를 이용하지 않고 수거함에 부유물이 채워지게 한 후 수거함의 일측에서 수거판을 이동시켜 부유물을 긁어내는 것으로,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콘베어벨트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무한궤도의 방식에서 벗어나게 되어 인명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크게 줄어든다.
본 발명에서 스크린에 걸린 부유물을 스크린의 상부로 긁어 올린 후 수평 왕복하는 수거판을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는 것으로, 무한궤도의 콘베어벨트를 이용하지 않아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줄어들고, 제작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공간 내부에서 수거함을 바라본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거판 회동 상태를 보인 감속기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거판 회동 상태를 보인 감속기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거판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거함 실시예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거함 다른 실시예 측단면도
본 발명은 배수로나 취수로의 수로에 경사지게 설치된 빗살 형태의 스크린에 걸린 부유물을 스크린의 상측으로 끌어 올린 후 콘베어벨트를 사용하지 않고 스크린의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스크린에 걸린 부유물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상부로 긁어 올리는 과정은 공지의 사실이고, 스크린의 상부에서 부유물을 측면으로 이동시킬 때 수평 이동하는 수거판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크린의 상측에서 스크린의 측방향으로
Figure 112012024803880-pat00001
형태의 수거함을 형성하여 스크린에서 걸린 부유물이 스크래퍼 긁어 올려진 후 수거함에 채워지도록 하고, 상기 수거함의 일측으로는 작동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서 감속기가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감속기에는 수거함에 쌓인 부유물을 긁어내는 수거판을 연결하여 감속기의 이동에 따라 수거판이 이동하면서 수거함의 부유물을 일측으로 긁어내도록 하고, 부유물을 긁어낸 수거판은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원위치로 이동한 후 수거함을 막아주는 형태로 복귀시킨다.
즉, 본 발명은 수거함을 막아주는 형태로 수거판을 설치하여 수거판이 감속기를 따라 수거함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수거함에 모아진 부유물이 수거함의 측면으로 배출되어 수집함에 모아지도록 하는 것으로, 수거판은 세워진 상태로 부유물을 긁어내고, 복귀할 때는 올려준 상태로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수평 상태로 펼쳐진 수거함을 따라 수거판을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부유물을 긁어내는 것이어서, 구조가 간단하고 콘베어벨트를 사용하지 않고 제작비용을 줄이는 한편 안전사고의 발생우려를 없애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공간 내부에서 수거함을 바라본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거판 회동 상태를 보인 감속기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거판 회동 상태를 보인 감속기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거판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거함 실시예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거함 다른 실시예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수로를 가로질러 약간 경사지게 빗살 형태로 설치되는 도 1및 도 2에 도시된 스크린(10)을 구비하여 물과 함께 부유되는 부유물이 수로를 흐를 때 스크린(10)에 걸리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10)에 걸린 부유물은 스크린(10)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스크래퍼(11)를 이용하여 스크린(10)의 상부로 긁어 올린 후 부유물을 제거하게 되는 것으로, 당 업계의 공지된 사실이어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스크린(10)에서 긁어 올린 부유물을 측방향으로 긁어내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크린(10)의 상측에는 스크린(10)에서 긁어 올려진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20)을 도 1과 같이 수평으로 설치하되 단면이 도 2와 같이
Figure 112012024803880-pat00002
형태가 되게 하고, 스크린(10)에 올린 부유물이 쉽게 수거함(20)으로 떨어지도록 일측으로 가이드판(21)을 형성하며, 상기 수거함(20)의 측면으로 작동공간(50)을 형성하되 상기 작동공간(50)의 내측으로 감속기(6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수거함(20)은 스크린(10)의 상측에서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그 외측으로는 도 3과 같이 측면이 높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수거함(20)에 채워진 부유물을 수거판(30)으로 긁어내어 수집함(12)에 쉽게 채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거함(20)의 측면으로는 작동공간(50)을 형성하되 상기 작동공간(50)에서는 감속기(60)가 수거함(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작동공간(50)을 이동하는 감속기(60)에서 수거함(20)에 세워진 수거판(30)을 이동시킴으로써 부유물이 제거되게 한다.
즉, 수거함(20)에는 수거함(20)에 채워진 부유물을 측방향으로 밀어주는 수거판(30)을 설치하고, 상기 수거판(30)은 작동공간(50)을 이동하는 감속기(60)에 회동축(65)으로 결합되어, 감속기(60)가 이동할 때 수거판(30)이 부유물을 긁어 수거함(20)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감속기(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61)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판(61)에는 하측으로 롤러(62)를 설치하여 바닥의 레일(51)을 타고 받침판(61)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감속기(60)는 모터(64)의 회전동력을 감속시켜 양측으로 돌출된 기어(63)를 회전시키게 하며, 상기 기어(63)는 작동공간(50)의 내측면에서 도 5와 같이 작동공간(50)을 따라 설치된 래크(55)에 기어결합 되게 함으로써, 감속기(60)에서 기어(63)를 회전시키면 래크(55)를 따라 감속기(60)와 함께 받침판(61)이 레일(5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감속기(60)의 상측으로는 도 4와 같이 수거함(20) 방향으로 ㄱ자 형태의 회동축(65)을 결합시킨 후 상기 회동축(65)의 선단에 수거함(20)을 가로막는 수거판(30)이 고정되게 하며, 상기 수거판(30)은 바닥과 측면으로 도 7과 같이 고무패킹(31)을 결합시켜 부유물을 잘 긁어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동축(65)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유압 실린더(70)를 이용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되 유압실린더(70)를 신장시키면 회동축(65)이 회전하면서 수거판(30)이 들리게 되고, 유압실린더(70)를 수축시키면 회동축(65)이 회전하면서 수거판(30)이 수거함(20)에 세워지게 된다.
즉, 도 5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65)에는 하측으로 작동대(66)를 고정시켜 작동대(66)를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회동축(65)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작동대(66)에는 감속기(60)에 고정된 유압실린더(70)의 실린더축(71)이 결합되게 하되 상기 실린더축(71)은 작동대(66)의 장홈(67)에 끼워져 결합되게 함으로써, 유압실린더(70)에서 실린더축(71)을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라 작동대(66)가 전후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동축(65)이 회동하며 수거판(30)을 들어주거나 세워주게 된다.
본 발명의 작동공간(50)에는 수거함(20) 방향으로 회동축(65)이 돌출되는 이동홈(52)을 형성하되 상기 이동홈(52)을 향하여 도 4와 같이 모헤어(53)를 설치함으로써 이동홈(52)을 타고 회동축(65)이 이동할 때 이동홈(52)으로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수거함(20)의 바닥에는 도 8및 도 9와 같이 바닥레일(22)을 설치하여 수거판(30)이 이동할 때 부하를 덜 받고 부유물을 긁어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스크린(10)에서 스크래퍼(11)로 긁어 올린 부유물이 수거함(20)에 떨어지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고,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판(21)을 설치하여 부유물이 흩어지지 않고 수거함(20)에 모아지도록 하며, 상기 수거함(20)은 스크래퍼(11)에서 떨어지는 부유물이 가장 효과적으로 수집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여기서, 수거함(20)은 상부가 개방되고 단면이
Figure 112012024803880-pat00003
형태를 갖는 것이나, 상기 수거함(20)의 단면은 U 자형으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거판(30)의 형상도 달라지면 된다.
즉, 수거함(20)은 부유물을 모아서 수거판(30)으로 긁어내도록 하는 것으로, 그 단면의 형상에는 큰 차이가 없고, 수거판(30)을 이동시켜 효과적으로 부유물을 긁어낼 수 있으면 되고, 바닥에는 필요에 따라 바닥레일(22)을 설치하는 경우 수거판(30)이 이동할 때 부하를 덜 받게 된다.
상기 수거함(20)의 측면으로 형성된 작동공간(50)에는 감속기(60)를 설치하되 상기 감속기(60)는 수거함(2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작동공간(50)을 이동하는 감속기(60)에서 수거함(20)에 세워진 수거판(30)을 이동시킴으로써 부유물이 제거되는 것으로, 이때 수거함(20)에는 수거함(20)에 채워진 부유물을 측방향으로 밀어주는 수거판(30)을 설치하되 상기 수거판(30)은 작동공간(50)을 이동하는 감속기(60)에 결합되어, 감속기(60)가 이동할 때 수거판(30)이 부유물을 긁어 수거함(2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감속기(60)는 모터(64)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양쪽으로 설치된 기어(63)를 회전시키고, 상기 기어(63)는 작동공간(50)의 측면을 따라 고정된 래크(55)에 결합됨으로써 기어(63) 회전 방향에 따라 감속기(60)가 레일(51)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감속기(60)에는 회동축(65)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후 회동축(65)의 일단이 이동홈(52)에 끼워져 수거함(20)으로 돌출된 후 수거판(30)에 고정되는 것이어서, 감속기(60)가 이동할 때 수거판(3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동홈(52)은 회동축(65)이 끼워진 상태로 이동하여야 하며, 수거판(30)이 세워진 상태에서 수거함(20)을 이동하면 부유물이 긁어진 후 수집함(12)으로 떨어져 수집이 완료되게 된다.
여기서, 수거판(30)의 측면과 하측으로 고무패킹(31)을 설치하여 부유물을 남기지 않고 긁어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부유물을 긁어내는 경우는 수거판(30)을 세운 채로 이동하고, 부유물의 제거가 완료되면 수거판(30)을 들은 채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며, 상기 수거판(30)을 회동 시키는 동력은 유압실린더(70)에서 제공한다.
유압실린더(70)에서 실린더축(71)을 신장시키면 작동대(66)가 전진하면서 회동축(65)이 회전하며 수거판(30)을 들어주게 되고, 반대로 실린더축(71)을 수축시키면 작동대(66)가 후진하면서 회동축(65)이 회전하여 수거판(30)을 세워주게 된다.
이 같이 본 발명은 수거함(20)에 채워진 부유물을 수거판(30)을 세운채로 일측으로 이동시켜 제거한 후 수거판(30)을 원위치시킬 때는 수거판(30)을 눕힌 채로 이동하게 하고, 수거판(30)이 원위치로 이동하면 다시 수거판(30)을 세워서 부유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면 된다.
10 : 스크린 11 : 스크래퍼
20 : 수거함 30 : 수거판
50 : 작동공간 52 : 이동홈
55 : 래크 60 : 감속기
63 : 기어 65 : 회동축
66 : 작동대 67 : 장홈
70 : 유압실린더 71 : 실린더축

Claims (6)

  1. 수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빗살 형태의 스크린(10)을 타고 이동하는 스크래퍼(11)가 긁어올린 부유물을 수거하는 상부가 개방된
    Figure 112012024803880-pat00004
    형태의 수거함(20)을 구비하고,
    상기 수거함(20)을 가로막는 형태로 설치되고 수거함(20)을 따라 이동하며 부유물을 긁어내는 수거판(30)을 구비하며,
    상기 수거함(20)의 측면으로 작동공간(50)을 설치하되 상기 작동공간(50)을 따라 모터(64)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60)가 이동하게 하며,
    상기 감속기(60)에는 회동축(65)을 설치하되 상기 회동축(65)이 작동공간(5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이동홈(52)을 끼워지게 한 후 상기 회동축(65)에는 수거판(30)이 고정되게 하고,
    상기 회동축(65)는 감속기(60)에 고정된 유압실린더(70)에 의해 회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공간(50)에 설치되는 감속기(60)는 받침판(61)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판(61)에는 하측으로 롤러(62)를 설치하여 바닥의 레일(51)을 타고 이동되게 하며, 상기 감속기(60)는 모터(64)의 회전동력을 감속시켜 양측으로 돌출된 기어(63)를 회전시키고, 상기 기어(63)는 작동공간(50)의 내측면에서 작동공간(50)을 따라 설치된 래크(55)에 기어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공간(50)의 측면으로는 일정 높이로 이동홈(52)을 설치하여 작동공간(5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감속기(60)에 설치된 회동축(65)이 끼워지게 하고, 상기 회동축(65)은 수거함(20)에 세워진 수거판(30)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회동축(65)에는 작동대(66)를 고정시키고, 상기 작동대(66)에는 유압실린더(70)의 실린축(71)을 결합시키되 실린더축(71)이 작동대(66)에 형성된 장홈(67)에 끼워지게 하여 유압실린더(70)의 신축에 따라 작동대(66)가 전후 이동하면서 회동축(65)을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수거판(30)의 하부와 양측면에서는 고무패킹(31)을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수거함(20)과 작동공간(50)은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상부로 들어 올려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
KR1020120031604A 2012-03-28 2012-03-28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 KR101303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604A KR101303844B1 (ko) 2012-03-28 2012-03-28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604A KR101303844B1 (ko) 2012-03-28 2012-03-28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844B1 true KR101303844B1 (ko) 2013-09-05

Family

ID=4945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604A KR101303844B1 (ko) 2012-03-28 2012-03-28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8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0499A (zh) * 2019-10-14 2020-01-17 王瑞 一种海绵城市屋顶花园用排水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160B1 (ko) * 1997-05-09 1999-06-15 정영진 하수관 청소기
KR200301087Y1 (ko) * 2002-08-08 2003-01-24 허성 오물수거 장치의 신축시스템
KR100969711B1 (ko) * 2010-03-19 2010-07-14 주식회사 가나오엠 하수관로 준설장치
KR20110044460A (ko) * 2009-10-23 2011-04-29 조현진 협잡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160B1 (ko) * 1997-05-09 1999-06-15 정영진 하수관 청소기
KR200301087Y1 (ko) * 2002-08-08 2003-01-24 허성 오물수거 장치의 신축시스템
KR20110044460A (ko) * 2009-10-23 2011-04-29 조현진 협잡물 제거장치
KR100969711B1 (ko) * 2010-03-19 2010-07-14 주식회사 가나오엠 하수관로 준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0499A (zh) * 2019-10-14 2020-01-17 王瑞 一种海绵城市屋顶花园用排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41284B (zh) 一种污水除杂装置
KR102161407B1 (ko)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CN106145221A (zh) 一种液控除渣垂直格栅
EP0098820A2 (en) A device adapted to collect and to discharge solid matter
KR101348988B1 (ko) 보조 부유물 수거장치가 구비된 제진기
KR100808469B1 (ko) 수직 슬라이드식 오니 수집장치
KR101303844B1 (ko) 슬라이드식 오물 이송장치
CN204767730U (zh) 一种污水除杂装置
CN204000809U (zh) 用于水电站的清污装置
KR101222075B1 (ko) 수중 부유물 제거장치
KR20150106717A (ko) 인/아웃 자동 제진기
CN106621492A (zh) 一种桁车式挖泥机
KR101876279B1 (ko) 맨홀용 하수관로 협잡물 제거장치
CN207290645U (zh) 一种橡胶加工系统
CN213706901U (zh) 一种气化装置粗渣系统
CN211395935U (zh) 一种捞渣拦渣装置及安装有该捞渣拦渣装置的分流井
CN205235490U (zh) 行车式刮泥机
CN210562052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113769465A (zh) 水利进水口污泥实时清除装置
KR101365461B1 (ko) 슬라이드식 컨베이어
RU2641753C1 (ru) Горизонтальный отстойник
CN117661521B (zh) 一种方便清理的水利拦污格栅
CN220035542U (zh) 一种井下水仓淤泥清理装置
CN219323903U (zh) 行车刮泥机
CN220836847U (zh) 一种集装箱码头轨道槽及电缆槽清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