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607B1 - Smart helmet having black box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mart helmet having black box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607B1
KR101303607B1 KR1020120127323A KR20120127323A KR101303607B1 KR 101303607 B1 KR101303607 B1 KR 101303607B1 KR 1020120127323 A KR1020120127323 A KR 1020120127323A KR 20120127323 A KR20120127323 A KR 20120127323A KR 101303607 B1 KR101303607 B1 KR 101303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black box
image
box function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철우
김주찬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엘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2012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607B1/en
Priority to PCT/KR2012/009880 priority patent/WO201407372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6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PURPOSE: A smart helmet with a black box function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film and record an image using a camera mounted on the helmet. CONSTITUTION: A smart helmet with a black box function comprises a helmet body (110), a filming unit (120), a sensing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The sensing uni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and measures sensing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 user wears the helmet or not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a temperature sensor. The control unit activates a black box function and records a filmed image when determining that the user wears the helmet. The filming unit films an image as the black box function is activated. [Reference numerals] (110) Helmet body; (120) Filming unit; (130) Sensing unit; (140) Control unit

Description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SMART HELMET HAVING BLACK BOX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Smart helmet with black box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SMART HELMET HAVING BLACK BOX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헬멧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로부터의 헬멧 착용을 감지하면 블랙 박스 기능(black box function)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그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lmet, and in particular, when the user detects the wearing of the helmet to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black box function) and to take an image by using a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for record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조선소, 기계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 등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헬멧, 벨트, 장갑 등과 같은 보호 장구의 착용은 필수적이다. 그 중 헬멧은 고공의 낙하물이나 예상치 못한 위험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와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헬멧의 착용은 작업 현장에서 필수적인 안전수칙에 해당된다.In general, the wearing of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helmets, belts, gloves, etc. is essential for the safety of workers in industrial sites such as construction sites, shipyards, machine shops or disaster sites. The helmet is designed to protect the worker's head and face from falling objects and unexpected dangers. Wearing the helmet is an essential safety rule on the job site.

특히 헬멧은 건설 인부용 또는 광부용의 경질형 헬멧 뿐 아니라 자전거 타는 사람, 스케이터 보더 등을 위한 안전 헬멧, 모터사이클용 헬멧, 비행기, 다이버 또는 우주 비행사 등을 위한 기밀, 수밀 또는 내압의 헤드장비 등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helmets are hard helmets for construction workers or miners, as well as safety helmets for cyclists, skaters, etc., helmets for motorcycles, airtight, watertight or pressure-resistant head equipment for airplanes, divers or astronauts. It includes.

그러나 종래에는 사고가 날 경우, 사고 당사자의 진술 외에 증거자료가 부족하여 사고 당사자의 과실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conventionally, when an accident occu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determine the fault of the accident party because of lack of evidence in addition to the statement of the accident party.

한국등록특허 제10-1079343호(발명의 명칭: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79343 (name of the invention: smart monitoring control system)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로부터의 헬멧 착용을 감지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그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when detecting the wearing of the helmet from the user and to display the image using a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helme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have a black box function to photograph and record the captured imag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은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수단; 측정된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을 기록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기 설정된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be worn by the user for sensing various sensing information; Control means for activating a black box function based on the measured sensing information and recording an imag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And 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activation of the black box fun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내부 온도 또는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센서; 및 착용하고 있는 상기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측정하는 충격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nsing means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internal or external temperature of the helmet worn by the user;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ock sensor for measuring the impact from the outside applied to the wearing helmet.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측정된 상기 온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user wears the helmet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wears the helme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It is done.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충격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충격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n accident based on the impact measured by the shock senso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n accide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recorded image is recor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external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과 함께 상기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means transmits the recorded image to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oint where the accident occurred together with the recorded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영상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영상을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means transmits the recorded image to an external device, and extracts only an image within a preset time from the time when an accident occurs among the recorded images and transmits the extracted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It features.

바람직하게,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헬멧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어, 상기 헬멧의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photographing means is moun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elmet, characterized in that for shooting the image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direction, side direction, rear direction of the helmet.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은 센싱 수단이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 수단이 측정된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촬영 수단이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상기 영상을 기록하는 단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in which a sensing means is mounted on one side of a helmet to be worn by a user to measure various sensing information; Activating a black box func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a control means; And recording by the photographing means by captur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black box fun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내부 온도 또는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착용하고 있는 상기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asuring may include measuring an internal temperature or an external temperature of the helmet worn by the user; And measuring impact from the outside applied to the helmet being worn.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온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activating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wears the helmet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wears the helme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black box function is activated. It featur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은 상기 충격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충격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n accident based on the impact measured by the impact senso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n accide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ransmitting the recorded image to an external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과 함께 상기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mitting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recorded image to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oint where the accident occurred together with the recorded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영상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영상을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transmitting step, the recorded image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extract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by extracting only an image within a preset time from an accident occurrence time of the recorded image. It is characterized by.

바람직하게,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헬멧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어, 상기 헬멧의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ecording may include at least one photographing mean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photograph the image in at least one of a front direction, a side direction, and a rear direction of the helmet. .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의 헬멧 착용을 감지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그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 시 증거 자료 확보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by activating the black box function when the user detects the wearing of the helmet, by recording an image by using the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to record the captured image, In case of an accident, it is possible to obtain evidence data.

또한, 본 발명은 사고 발생 시 증거 자료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확보된 증거 자료를 근거로 사고 당사자의 과실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negligence of the accident party on the basis of the evidence obtained in this way because it can secure evidence data when the accident occur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의 헬멧 착용을 감지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그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사고 당시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헬멧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tivates the black box function when the user detects the wearing of the helmet, by taking an image by using a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to record the recorded image, accident Since the situation at that time can be determin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xpected to activate the smart helm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수단(14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제 2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1 is a first view showing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eans 140 shown in FIG.
3 is a first view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ond view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ond view showing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ortion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to constituent elements having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thereto even though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even in such a case, it does not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has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r does not mean that the different components have the same function. It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example.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의 헬멧 착용을 감지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그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when the user detects the wearing of the helmet and to take a video using a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to record the recorded image Sugge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1 is a first view showing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은 헬멧 본체(110), 촬영 수단(120), 센싱 수단(130), 및 제어 수단(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lmet body 110, a photographing means 120, a sensing means 130, a control means 140, and the like. Can be.

헬멧 본체(110)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안면을 보호할 수 있다.The helmet body 110 may be worn on the user's head to protect the user's head and face.

촬영 수단(120)은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헬멧의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수단(120)은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헬멧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means 12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photograph the front direction, the side direction, the rear direction, and the like of the helmet. At least one of the photographing means 12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photograph some or all of the front direction, the side direction, and the rear direction.

이러한 촬영 수단(120)은 예컨대, CCD(Charge Couple De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means 120 may use, for example, a charge couple device (CCD).

센싱 수단(130)은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수단(130)은 예컨대, 헬멧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 작업자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 센서, 작업자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 센서, 인체에 해로운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 센서,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measure various sensing information. The sensing means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inside or outside the helmet, an illumin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illuminance around the worker,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humidity around the worker, and a gas harmful to a human body. It may include a gas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impac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impact from the outside applied to the helmet.

제어 수단(140)은 센싱 수단(130)으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그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The control means 140 may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130 and record an image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이때, 제어 수단(140)은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wears a helme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wears the helmet,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a black box function. It can be activated.

제어 수단(140)은 센싱 수단(130)으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기록된 영상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means 140 may transmit an image recorded according to the black box func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130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이때, 제어 수단(140)은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블랙 박스의 활성화에 따라 기록된 영상을 외부의 기기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means 14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n acciden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hock senso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n accide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ctivation of the black box The recorded image may be transmitted to external devices such as a user terminal or an administrator terminal.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 등을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may be a concept encompassing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and the like.

또한, 제어 수단(140)은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는 시점부터 일정 시간 이내의 영상을 추출하여 그 추출된 영상을 외부의 기기들에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extract an imag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n accident and transmit the extracted image to external devices.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수단(14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eans 140 shown in FIG.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수단(140)은 통신부(141), 입력부(142), 제어부(143), 출력부(144), 및 저장부(14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41, an input unit 142, a control unit 143, an output unit 144, a storage unit 145, and the like. Can be.

통신부(141)는 외부의 기기와 연동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41)는 예컨대,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ci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1 may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by wire or wirelessly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141 uses a protocol such as Wi-Fi (Wireless Fidelity),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ci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or Bluetooth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d Zigbee may be used.

이때, 통신부(141)는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141 may further include a GPS receiver for detecting a location of the user.

입력부(142)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수단(120)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130)으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142 may receive an image captured by the at least one photographing means 120, and may receiv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t least one sensing means 130.

제어부(143)는 센싱 수단(120)을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3 determines whether the user wears a helme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1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wears the helmet, the controller activates the black box function. can do.

제어부(143)는 센서 수단(120)을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블랙 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기록된 영상을 외부의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3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n accident on the basis of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eans 1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n accide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Therefore, the recorded image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이때, 제어부(143)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3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제어부(143)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controller 143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and field programmable gates (FPGAs).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출력부(144)는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기록된 영상에 대한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44)는 예컨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이거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The output unit 144 may output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the recorded image according to the black box function. The output unit 144 may be, for example,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r a display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저장부(145)는 블록 박스 기능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45)는 비디오 신호 뿐 아니라 이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5 may store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block box function.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145 may store not only a video signal but also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이때, 저장부(145)는 다양한 타입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는데,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145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types of storage media, such a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of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3 is a first view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수단은 사용자가 스마트 헬멧을 착용함에 따라 센싱 수단으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입력 받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310).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heck whether the user receives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sensing means as the user wears the smart helmet (S310).

이때, 센싱 수단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온도 감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ing means may use a temperature sensor that can measure the user's body temperature.

다음으로, 제어 수단은 그 확인한 결과로 센싱 정보를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0).Next, when the control means receives the sensing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checking,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wears a helmet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S320).

다음으로, 제어 수단은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S330).Nex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wears a helme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 means may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S330).

다음으로, 제어 수단은 블랙 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촬영 수단으로부터 헬멧의 전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일부 또는 전체에 상응하는 영상을 입력 받을 수 있다(S340).Next, the control means may receive an image corresponding to some or all of the front direction, the side direction, and the rear direction of the helmet from the photographing means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black box function (S340).

다음으로, 제어 수단은 입력 받은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S350). 이때, 제어 수단은 입력 받은 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 means may store the received image in the storage unit (S35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classify and store the input image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제 2도면이다.4 is a second view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수단은 사용자가 스마트 헬멧을 착용함에 따라 센싱 수단으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입력 받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410).As shown in FIG. 4,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heck whether the user receives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sensing means as the user wears the smart helmet (S410).

이때, 센싱 수단은 외부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충격 감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ing means may use a shock sensor that can detect an external shock.

다음으로, 제어 수단은 그 확인한 결과로 센싱 정보를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Next, when receiving the sensing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control means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n accident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S420).

다음으로, 제어 수단은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기록된 영상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영상만을 추출할 수 있다(S430).Nex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n accide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 means may extract only an image within a preset time from the time when the accident occurred among the recorded images (S430).

다음으로, 제어 수단은 추출된 영상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기기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 등에 전송할 수 있다(S440).Next, the control means may transmit the extracted image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user terminal or an administrator terminal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S440).

또한, 제어 수단은 영상 뿐 아니라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not only an image but also position information on a point where an accident occur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5 is a second view showing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은 헬멧 본체(110), 촬영 수단(120), 센싱 수단(130), 제어 수단(140), 및 고정 수단(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lmet body 110, a photographing means 120, a sensing means 130, a control means 140, and a fixing means 150. And the like.

헬멧 본체(110)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안면을 보호할 수 있다.The helmet body 110 may be worn on the user's head to protect the user's head and face.

촬영 수단(120)은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헬멧의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수단(120)은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헬멧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means 12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photograph the front direction, the side direction, the rear direction, and the like of the helmet. At least one of the photographing means 12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photograph some or all of the front direction, the side direction, and the rear direction.

센싱 수단(130)은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3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measure various sensing information.

제어 수단(140)은 센싱 수단(130)으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그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The control means 140 may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130 and record an image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제어 수단(140)은 센싱 수단(130)으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기록된 영상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means 140 may transmit an image recorded according to the black box func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130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고정 수단(150)은 블랙 박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기들을 탈부착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설명된 스마트 헬멧은 블랙 박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기들을 내장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그러한 기기들을 필요에 따라 탈부착하게 된다.The fixing means 150 may attach and detach devices for providing a black box function. That is, the smart helmet described in FIG. 1 includes devices for providing a black box function, but the devices are attached and detached as necessary here.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all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operated in one operation.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In addition,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such as a USB memory, a CD disk, a flash memory, etc.,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 carrier wave medium, or the like may be included.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헬멧 본체
120: 촬영 수단
130: 센싱 수단
140: 제어 수단
141: 통신부
142: 입력부
143: 제어부
144: 출력부
145: 저장부
150: 고정 수단
110: helmet body
120: photographing means
130: sensing means
140: control means
141:
142:
143: control unit
144: output unit
145: storage unit
150: Fixing means

Claims (14)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수단;
상기 센싱수단의 온도감지 센서에서 측정한 센싱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고 시의 상황을 촬영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블랙박스 기능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을 기록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블랙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기 설정된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Sensing mean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be worn by the user to measure a variety of sensing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wears a helme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sensor of the sensing mean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wears a helmet, the black box function of photographing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an accident is activated and activated. Control means for recording an imag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black box function; And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ooting means for shooting an imag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ctivation of the black box fun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내부 온도 또는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센서; 및
착용하고 있는 상기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측정하는 충격 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means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n internal temperature or an external temperature of the helmet worn by the user; And
An impact sensor for measuring an impact from the outside applied to the helmet being worn;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충격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충격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사고 시까지 기록된 상기 촬영수단의 영상을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mean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has an accident based on the shock measured by the shock sens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n accide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recording means recorded until the accident to an external devi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GPS수신기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사고 시까지 기록된 영상과 함께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means,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oint where the accident occurred from the GPS receiver, and transmits the image along with the recorded image until the acciden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영상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영상을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ransmitting the recorded image to an external device, and extracting only an image within a preset time from the time when an accident occurred among the recorded images,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Having a smart helm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헬멧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어,
상기 헬멧의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graphing means,
At least one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shooting the image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direction, side direction, rear direction of the helmet.
센싱 수단이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 수단이 온도감지센서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싱정보를 기반으로 사고를 감지하여 사고상황을 촬영하는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촬영 수단이 상기 블랙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상기 영상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Sensing means mounted on one side of a helmet to be worn by a user to measure various sensing information;
Determining, by the control means, whether the user wears the helmet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wears a helmet, activating a black box function that detects an acciden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nd photographs an accident situation; And
And a photographing means for recording an image taken by captur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black box function.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내부 온도 또는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착용하고 있는 상기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충격감지 센서로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easuring step comprises:
Measuring an internal temperature or an external temperature of the helmet worn by the user; And
Measuring an impact from the outside applied to the helmet worn by an impact sensor;
Operation method of the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충격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사고 시까지 기록된 상기 촬영수단의 영상을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Determining whether a user has an accident based on the shock measured by the shock senso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n accide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mart helmet with a black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recording means recorded by the accident to an external devic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GPS수신기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사고 시까지 기록된 영상과 함께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ransmitting step,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int where the accident occurred from the GPS receiver,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mart helmet with a black box,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o the external device with the recorded image until the accident.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영상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영상을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ransmitting comprises:
Transmitting the recorded image to an external device, and extracting only an image within a preset time from the time when an accident occurred among the recorded images,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Operation method of having a smart helm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헬멧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어,
상기 헬멧의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영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ording step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photographing means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Operating method of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shooting the image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direction, side direction, rear direction of the helmet.
KR1020120127323A 2012-11-12 2012-11-12 Smart helmet having black box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3036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323A KR101303607B1 (en) 2012-11-12 2012-11-12 Smart helmet having black box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CT/KR2012/009880 WO2014073728A1 (en) 2012-11-12 2012-11-21 Smart helmet having black box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323A KR101303607B1 (en) 2012-11-12 2012-11-12 Smart helmet having black box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607B1 true KR101303607B1 (en) 2013-09-26

Family

ID=4945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323A KR101303607B1 (en) 2012-11-12 2012-11-12 Smart helmet having black box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3607B1 (en)
WO (1) WO2014073728A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49B1 (en) 2013-03-11 2014-02-27 이규환 Helmet with black box
KR20150058866A (en) * 2013-11-21 2015-05-29 백승환 Smart black box Helmet, System and Method for Smart black box service using that smart blackbox Helmet
KR101608077B1 (en) * 2014-08-11 2016-04-01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Helmet for shooting video
KR101842360B1 (en) * 2016-08-25 2018-03-26 이도용 Smart Delivery Suit
KR20200041848A (en) 2020-04-04 2020-04-22 조영빈 Smart Helmet including Head Up Display and Blackbox of 360-degree Video and Image
KR20220053814A (en) 2020-10-23 2022-05-0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Detachable auto clamp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8711A1 (en) 2007-03-07 2008-09-12 Umbilical Design Ab System for detecting an accident
JP2010148718A (en) 2008-12-25 2010-07-08 Honda Motor Co Ltd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ng system
KR20100095843A (en) * 2009-02-23 2010-09-01 주식회사 맥스포 Helmet and method for saving environment data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344B1 (en) * 2010-11-03 2011-11-04 (주)티엘씨테크놀로지 Smart bel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8711A1 (en) 2007-03-07 2008-09-12 Umbilical Design Ab System for detecting an accident
JP2010148718A (en) 2008-12-25 2010-07-08 Honda Motor Co Ltd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ng system
KR20100095843A (en) * 2009-02-23 2010-09-01 주식회사 맥스포 Helmet and method for saving environment data of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49B1 (en) 2013-03-11 2014-02-27 이규환 Helmet with black box
KR20150058866A (en) * 2013-11-21 2015-05-29 백승환 Smart black box Helmet, System and Method for Smart black box service using that smart blackbox Helmet
KR101670033B1 (en) * 2013-11-21 2016-10-27 백승환 System for Smart black box service using a smart blackbox Helmet
KR101608077B1 (en) * 2014-08-11 2016-04-01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Helmet for shooting video
KR101842360B1 (en) * 2016-08-25 2018-03-26 이도용 Smart Delivery Suit
KR20200041848A (en) 2020-04-04 2020-04-22 조영빈 Smart Helmet including Head Up Display and Blackbox of 360-degree Video and Image
KR20220053814A (en) 2020-10-23 2022-05-0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Detachable auto clamp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73728A1 (en)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607B1 (en) Smart helmet having black box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640056B2 (en) Method for sensing emergency in response to physical and mental shock and apparatus for sensing emergency using the method
CN111052032B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hardware-protected camera
JP5108312B2 (en) Drive recorder, drive recorder program, falsification analysis program, data analysis system, and image falsification detection method
KR101481051B1 (en) Private black box apparatus and driviing method thereof
CN109419090B (en) Safety helmet state detection system
CN104422343A (en) Intelligent bullet-proof helmet for sensing multiple parameters
KR20200041848A (en) Smart Helmet including Head Up Display and Blackbox of 360-degree Video and Image
KR20130021060A (en) Removable smart module for helmet
KR101643936B1 (en) Monitor security system
CN109102144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operation risk possibility grade and storage medium
US201902349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rtable gas detecting and communication
US20170289089A1 (en) Helmet with information-sharing function
US10935441B2 (en) Wearable device to indicate hazardous conditions and a method thereof
KR20170079793A (en) Apparatus for checking explosive substance and method thereof
KR101294793B1 (en) Smart belt having loss prevention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55386B1 (en) Smart safety helme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30066828A (en) Real time video transferring system for vehicle installation
KR102097316B1 (en) Vehicle blackbox with active transmission function for accident video
JP7015115B2 (en) Shooting abnormality monitoring system and program
KR200409673Y1 (en) The vehicle recording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462534B1 (en) Apparatus and system of detecting emergency and alarming using smart phone and method thereof
US20210377429A1 (en) Processing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CN210958552U (en) Dark visit video recording system
KR20150140038A (en) System realizing blackbox function using smartphone and suppo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