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569B1 -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569B1
KR101303569B1 KR1020120122791A KR20120122791A KR101303569B1 KR 101303569 B1 KR101303569 B1 KR 101303569B1 KR 1020120122791 A KR1020120122791 A KR 1020120122791A KR 20120122791 A KR20120122791 A KR 20120122791A KR 101303569 B1 KR101303569 B1 KR 10130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exterior
exterior member
horizontal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재
Original Assignee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filed Critical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Priority to KR102012012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과, 이에 설치되는 종래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을 이용하여 외장재(20)와 외장재(20)사이의 가로줄눈의 틈새에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을 설치함으로써 가로줄눈의 틈새로 유입되는 직수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에 주입된 접착제(14a)의 고정에 의하여 외장재(20)(20)의 유동이 방지되게 한 것이다.
그뿐 아니라 종래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의 구조를 거의 그대로 이용하고 있으면서 이에 거치되는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역시 간단한 구조가 되게 한 것이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이 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Rain water shielding horizontal profile and method installing wide pan tiles thereof}
본 발명은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과, 이에 설치되는 종래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을 이용하여 외장재(20)와 외장재(20)사이의 가로줄눈의 틈새에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을 설치함으로써 가로줄눈의 틈새로 유입되는 직수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에 주입된 접착제(14a)의 고정에 의하여 외장재(20)(20)의 유동이 방지되게 한 것이다.
그뿐 아니라 종래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의 구조를 거의 그대로 이용하고 있으면서 이에 거치되는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역시 간단한 구조가 되게 한 것이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이 되는 효과가 있고, 특히 가로줄눈의 틈새를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에 의하여 빗물이 차단되면서 공기의 유통만 가능할 정도로 최소화됨으로써 전통적 오픈조인트방식의 문제, 즉 여름철 태풍 통과 시의 과도한 순간 풍압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게 되는 발명이다.
건축외장재시공은 일반적으로 오픈 조인트방식(Open-Joint)과 클로즈드 조인트방식(Closed -Joint)으로 대별된다.
오픈 조인트방식과 클로즈드 조인트방식이나 모두 외벽(옹벽)과 외장재(20)사이를 이격시켜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이격공간을 공기단열층으로 이용하는 것은 동일하다.
다만 오픈 조인트방식과 클로즈드 조인트방식의 주된 차이점은 외장재(20)사이의 줄눈의 틈새를 오픈시키느냐? 밀폐시키냐?의 차이다.
오픈 조인트방식은 줄눈의 틈새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지 않으면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방식인데 반하여, 클로즈드 조인트방식은 실란트(Sealant; 실리콘 코킹)에 의하여 줄눈의 틈새를 완전히 밀폐시켜 빗물과 공기가 전혀 유입되지 않도록 한 방식이다.
직사광선에 의한 이격 공간(공기층)의 온도상승(즉, 단열성능)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장재(20)가 여름철 직사광선을 받게 되면 외장재(20)의 표면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외장재(20)가 석재판재인 경우 그 표면온도가 60~70℃까지, AL 판재인 경우에는 그 표면온도가 80℃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외장재(20)를 통해 전달된 이격 공간(대략 100~200㎜)내부의 온도는 석재판재인 경우40~50℃까지, AL 판재인 경우 60~70℃까지 상승된다.
열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상승된 이격공간의 높은 온도의 열에너지가 외벽(옹벽)을 통해 건물 내부로 전달되게 된다.
그 결과 외부공기가 전혀 유입되지 않는 클로즈드 조인트공법의 밀폐된 이격 공간의 내부온도는, 여름철의 경우 외부온도보다도 높고, 겨울철 낮의 경우 외부온도 보다 낮다.
이것이 바로 밀폐된 이격공간이 갖는 문제점이다.
이에 대하여 오픈조인트방식은 클로즈드 조인트공법과는 달리 줄눈이 오픈된 구조이므로 AL 외장판넬이 여름철 직사광선에 의해 그 표면온도가 80℃까지 상승된다하더라도 이격 공간(S)의 온도는 외부(대기)온도와 같아지려고 끊임없이 공기순환이 이루지기 때문에 외부(대기) 온도와 같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 결과 여름철의 경우 외부의 온도와 거의 같고, 겨울철 낮의 경우 외부온도보다 높다. 단열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이 바로 오픈조인트공법의 장점이다.
오픈조인트방식은 내ㆍ외부의 공기를 유통되게 하여 외장재의 내ㆍ외부압력이 등압상태 되게 한 등압원리에 기초한 방식이다.
도1은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에 의해 외장재(20)가 설치되는 평판 타입, 혹은 테라코타 타입의 종래의 오픈 조인트방식(Open -Joint)이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외장재(20)는 세라믹 타일, 시멘트 보드(FC Board), 고밀도 압축 패널, FRP 패널, 건식 석재 패널, 건식 목재 패널 등이다. 그 크기는 300x600 이상의 와이드 팬 타일(Wide Pan Tile)이다.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구조는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 연결부(18)로 이루어졌다.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는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이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어있다.
외장재(20)는 상ㆍ하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에 의하여 지지ㆍ고정된다.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구조는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에 체결되는 볼트공(32a)을 갖는 고정수직부(32), 외장재 수직 돌출부(34),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로 이루어졌다.
외장재 수직 돌출부(34)는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를 중심으로 상향돌출부(34a)와 하향돌출부(34b)로 구분된다.
외장재(20)의 상ㆍ하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상ㆍ하향돌출부(34a)(34b)는 외장재(2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는 외장재(20)의 중량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외장재(20)의 하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상향돌출부(34a)는 외장재(20)의 하부삽입부(22b)에 상향으로 삽입되고, 외장재(20)의 상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하향돌출부(34b)는 외장재(20)의 상부 삽입부(22a)에 하향으로 삽입된다.
외장재(20)의 중량은 하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에 의해 지지된다.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은 연결부(18)와 세트(set)앙카(42)의 볼트체결에 의하여 옹벽(40)에 고정된다.
외장재(20)와 접면되고 있는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에 접착제를 토출시켜 도포한다. 접착제 도포홈(14)의 접착제(14a)는 외장재(20)를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세로줄눈의 틈새를 밀폐ㆍ차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에는 가로방향의 접착제 도포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구조상 형성시킬 수도 없다. 외장재(20)사이의 가로줄눈의 틈새는 테라코타 타입의 경우에는 위쪽 패널과 아래 패널이 반턱이음 형태로 일부가 포개지므로서 상당 부분 제어되고 있지만, 평판형의 경우에는 빗물, 결로수 등의 유입에 사실상 노출되어 있는 셈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차수 기능에 관한 한, 오픈 조인트 평판형의 외장재 시공의 경우, 가로 줄눈은 그 틈새가 3-4mm 이상 이격 틈새 발생이 불가피하므로 창호 개구부와 창호 프레임 사이에 시행되는 모르타르 사춤에 의하여 1차적 기능을 부여할 수밖에 없고, 2차적으로는 외장재(20) 타일의 표면에 직접 낙하되는 빗물의 직수유입을 예상하여 창호 개구부 주변(창호 개구부 상부의 옹벽상)에 별도의 금속차수판(Rain Drain)을 설치ㆍ운용해야 하기 때문에 금속차수판의 설치로 인하여 시공이 번거롭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건축물의 차수 기능이라는 관점에서 다시 한 번 살펴보면, 옹벽의 경우에서는, 비록 차수문제가 완전하지는 못하더라도 보조 금속차수판의 설치에 의하여 차수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철골조의 경우, 창호 개구부 상부의 보조적인 차수판(Rain Drain)을 설치할 옹벽 자체가 아예 없으므로 창호 개구부에서 외부 트러스(Truss, 하지철물)와 내벽 마감 및 기타용 스터더(Stud)의 중간 지점부근에 벽면 전체를 알루미늄 판 등으로 차단하는 전면 차수판을 설치 운용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면 차수판의 설치가 불가피하여 시공이 번거롭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 본 발명은 종래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과, 이에 설치되는 종래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을 이용하여 외장재(20)와 외장재(20)사이의 가로줄눈의 틈새에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을 설치함으로써 가로줄눈의 틈새로 유입되는 직수를 차단함과 동시에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에 주입된 접착제(14a)의 고정에 의하여 외장재(20)(2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종래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의 구조를 거의 그대로 이용하고 있으면서 이에 거치되는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역시 간단한 구조가 되게 형성함으로써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이 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가로줄눈의 틈새를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에 의하여 빗물이 차단되면서 공기의 유통만 가능할 정도로 최소화됨으로써 전통적 오픈조인트방식의 문제, 즉 여름철 태풍 통과 시의 과도한 순간 풍압 발생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과,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과, 그리고 연결부(18)로 형성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을 체결하여 외장재(20)를 고정하되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은 고정수직부(32)와, 외장재 수직 돌출부(34)와, 그리고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로 형성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 조립체에 있어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의 내측에 수평프로파일 거치홈(38)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수평프로파일 거치홈(38)에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의 수평프로파일 지지돌출부(56)가 삽입ㆍ지지되도록 하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줄눈(52)을 중심으로 상ㆍ하부에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이 형성되어있는 한편, 외장재 고정용 탭(tap)(30)과 삽입ㆍ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홈(55)이 상부를 향하여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있으면서 상기 수평프로파일 거치홈(38)에 삽입ㆍ거치되도록 수평프로파일 지지돌출부(56)가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의 구성이다.
여기에다 등압을 기초로 한 오픈 조인트방식에 적용하게 되면 공기층의 단열성능이 배가되는 이점이 있다.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을 채택하게 되면,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으로 토출된 접착제(14a)에 의하여 가로줄눈의 틈새가 비교적 완벽하게 결로수, 빗물 등의 직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은 외장재(20)와 외장재(20)사이의 가로줄눈에 설치된다.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줄눈(52)이 도3에서와 같이 외장재(20)와 외장재(20)사이에 삽입되고, 상부에 위치된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은 상부 외장재(20)에, 하부에 위치된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은 하부 외장재(20)에 접면되어있다. 이 상태에서 상하부에 위치된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에 접착제(14a)를 주입하게 되면 상하부의 접착제(14a)와 상하부 외장재(20)(20)가 견고하게 접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부 외장재(20)(20)가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착되므로 가로줄눈을 통하여 직수가 차단됨은 물론 외장재(2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은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의 내측에 형성된 수평프로파일 거치홈(38)에 거치된다. 수평프로파일 거치홈(38)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구조와 동일하다.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의 구조가 간단하고 이를 거치하는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이다.
한편,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에 의하여 가로줄눈의 틈새가 최소화됨으로써 전통적 오픈조인트방식의 문제점, 즉 여름철 태풍 통과 시의 방치된 수평 줄눈 부위에서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과도한 풍압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게 된 이점이 있다.
⒜ 본 발명은 종래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과, 이에 설치되는 종래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을 이용하여 외장재(20)와 외장재(20)사이의 가로줄눈의 틈새에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을 설치함으로써 가로줄눈의 틈새로 유입되는 직수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에 주입된 접착제(14a)의 고정에 의하여 외장재(20)(20)의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고,
⒝ 종래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의 구조를 거의 그대로 이용하고 있으면서 이에 거치되는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역시 간단한 구조가 되게 한 것이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이 되는 효과가 있으며,
⒞ 가로줄눈의 틈새를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에 의하여 빗물이 차단되면서 공기의 유통만 가능할 정도로 최소화됨으로써 전통적 오픈조인트방식의 문제, 즉 여름철 태풍 통과 시의 과도한 순간 풍압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효과가 있고,
⒟ 이러한 구성에다 등압을 기초로 한 오픈 조인트방식에 적용하게 되면 공기층의 단열성능이 배가되는 이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1] 본 발명의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과 외장재 고정용 탭(tap)에 의하여 외장재의 거치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2] 본 발명의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이 외장재 고정용 탭(tap)에 의하여 외장재와 조립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3] 본 발명의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이 외장재와 외장재사이의 가로줄눈의 틈새에 설치된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4] 종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과 외장재 고정용 탭(tap)에 의하여 외장재의 거치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본 발명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과,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과, 그리고 연결부(18)로 이루어진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을 수직으로 설치하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연결부(18)와, 그리고 옹벽 상에 고정된 체결구(42)를 체결볼트(44)에 의하여 서로 체결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설치된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다 볼트공(32a)을 갖는 고정수직부(32)와, 상ㆍ하향돌출부(34a)(34b)를 갖는 외장재 수직 돌출부(34)와, 그리고 수평프로파일 거치홈(38)이 형성된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로 이루어진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을 외장재(20)가 거치될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 2개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을 일조로 하여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외장재(20)→(20-1)→(20-2)ㆍㆍㆍㆍ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되 외장재(20)의 상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수평프로파일 거치홈(38)에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의 수평프로파일 지지돌출부(56)를 삽입ㆍ거치하는 한편, 상기 외장재(20)의 상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상향돌출부(34a)에다 새로운 외장재(20-1)의 하부 삽입부(22b)를 삽입하여 상기 외장재(20-1)를 가고정한 다음, 상기 외장재(20-1)의 상부 삽입부(22a)에 새로운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의 하향돌출부(34b)를 삽입하여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이 가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을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 견고하게 볼트 고정하고, 다시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의 수평프로파일 거치홈(38)에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의 수평프로파일 지지돌출부(56)를 삽입ㆍ거치하는 한편, 상기 외장재(20-1)의 상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의 상향돌출부(34a)에다 새로운 외장재(20-2)의 하부 삽입부(22b)를 삽입하여 상기 외장재(20-2)를 가고정한 다음, 상기 외장재(20-2)의 상부 삽입부(22a)에 새로운 외장재 고정용 탭(tap)(30-2)의 하향돌출부(34b)를 삽입하여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2)이 가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2)을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 견고하게 볼트 고정하면서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외장재(20)→(20-1)→(20-2)ㆍㆍㆍㆍ와, 그리고 외장재 고정용 탭(tap)(30)(30-1)(30-2)ㆍㆍㆍㆍ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이다.
여기에다 상기 ⒞단계에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이 외장재(20)와 외장재(20-1)사이에 설치될 때마다 순차적으로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의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에 접착제(14a)를 주입하여 외장재(20)와 견고하게 접착시키는 단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이다.
10;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
14;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 14a; 접착제, 16;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 18; 연결부
20; 외장재
22a; 상부 삽입부, 22b; 하부 삽입부,
30; 외장재 고정용 탭(tap)
32; 고정수직부, 32a; 볼트공, 34; 외장재 수직 돌출부, 34a; 상향돌출부, 34b; 하향돌출부, 36;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 38; 수평프로파일 지지홈,
42; 체결구, 44; 체결볼트,
50;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52; 수평줄눈, 53;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 55; 삽입홈, 56; 수평프로파일 지지돌출부,

Claims (4)

  1.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과,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과, 그리고 연결부(18)로 형성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을 체결하여 외장재(20)를 고정하되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은 고정수직부(32)와, 외장재 수직 돌출부(34)와, 그리고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로 형성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 조립체에 있어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의 내측에 수평프로파일 거치홈(38)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수평프로파일 거치홈(38)에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의 수평프로파일 지지돌출부(56)가 삽입ㆍ지지되도록 하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줄눈(52)을 중심으로 상ㆍ하부에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이 형성되어있는 한편, 외장재 고정용 탭(tap)(30)과 삽입ㆍ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홈(55)이 상부를 향하여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있으면서 상기 수평프로파일 거치홈(38)에 삽입ㆍ거치되도록 수평프로파일 지지돌출부(56)가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등압을 기초로 한 오픈 조인트방식에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
  3. ⒜ 외장재 고정차수용 접착제 도포홈(14)과,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과, 그리고 연결부(18)로 이루어진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을 수직으로 설치하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의 연결부(18)와, 그리고 옹벽 상에 고정된 체결구(42)를 체결볼트(44)에 의하여 서로 체결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설치된 개선된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P)의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다 볼트공(32a)을 갖는 고정수직부(32)와, 상ㆍ하향돌출부(34a)(34b)를 갖는 외장재 수직 돌출부(34)와, 그리고 수평프로파일 거치홈(38)이 형성된 외장재 수평지지 네크(neck)부(36)로 이루어진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을 외장재(20)가 거치될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 2개의 외장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10)을 일조로 하여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외장재(20)→(20-1)→(20-2)ㆍㆍㆍㆍ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되 외장재(20)의 상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수평프로파일 거치홈(38)에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의 수평프로파일 지지돌출부(56)를 삽입ㆍ거치하는 한편, 상기 외장재(20)의 상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의 상향돌출부(34a)에다 새로운 외장재(20-1)의 하부 삽입부(22b)를 삽입하여 상기 외장재(20-1)를 가고정한 다음, 상기 외장재(20-1)의 상부 삽입부(22a)에 새로운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의 하향돌출부(34b)를 삽입하여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이 가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을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 견고하게 볼트 고정하고, 다시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의 수평프로파일 거치홈(38)에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의 수평프로파일 지지돌출부(56)를 삽입ㆍ거치하는 한편, 상기 외장재(20-1)의 상부에 설치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1)의 상향돌출부(34a)에다 새로운 외장재(20-2)의 하부 삽입부(22b)를 삽입하여 상기 외장재(20-2)를 가고정한 다음, 상기 외장재(20-2)의 상부 삽입부(22a)에 새로운 외장재 고정용 탭(tap)(30-2)의 하향돌출부(34b)를 삽입하여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2)이 가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장재 고정용 탭(tap)(30-2)을 외장재 고정용 탭(tap) 고정홈(16)에 견고하게 볼트 고정하면서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외장재(20)→(20-1)→(20-2)ㆍㆍㆍㆍ와, 그리고 외장재 고정용 탭(tap)(30)(30-1)(30-2)ㆍㆍㆍㆍ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외장재 고정용 탭(tap)(30)이 외장재(20)와 외장재(20-1)사이에 설치될 때마다 순차적으로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50)의 외장재 고정 및 차수용 접착제 도포홈(53)에 접착제(14a)를 주입하여 외장재(20)와 견고하게 접착시키는 단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
KR1020120122791A 2012-11-01 2012-11-01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 KR101303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791A KR101303569B1 (ko) 2012-11-01 2012-11-01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791A KR101303569B1 (ko) 2012-11-01 2012-11-01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569B1 true KR101303569B1 (ko) 2013-09-17

Family

ID=4945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791A KR101303569B1 (ko) 2012-11-01 2012-11-01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5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208Y1 (ko) 2004-09-17 2004-12-14 최익규 벽면에 석재패널의 부착장치
KR200370209Y1 (ko) 2004-09-17 2004-12-14 최익규 타일패널의 고정용 멀리온 바의 구조
KR101037905B1 (ko) 2010-09-29 2011-05-30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88417B1 (ko) 2011-04-27 2011-12-01 주식회사 유제이엔지니어링 내,외장패널 구조보강용 지지 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208Y1 (ko) 2004-09-17 2004-12-14 최익규 벽면에 석재패널의 부착장치
KR200370209Y1 (ko) 2004-09-17 2004-12-14 최익규 타일패널의 고정용 멀리온 바의 구조
KR101037905B1 (ko) 2010-09-29 2011-05-30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88417B1 (ko) 2011-04-27 2011-12-01 주식회사 유제이엔지니어링 내,외장패널 구조보강용 지지 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9866B2 (en) Modular system for cladding exterior walls of a structure and insulating the structure walls
CN103987904A (zh) 立面系统
WO2017028575A1 (zh) 铝合金房屋的外墙与横梁安装连接结构
WO2017036186A1 (zh) 铝合金房屋的立柱与墙板及门窗连接结构
WO2017036187A1 (zh) 铝合金房屋的横梁与墙板及门窗连接结构
CN212271498U (zh) 装配化装修系统及其地面系统
ITBO20120575A1 (it) Struttura per l'installazione di pannelli fotovoltaici sui tetti o sulle facciate degli edifici, con raffreddamento ad aria e con eventuale recupero di energia termica.
CN206418914U (zh) 预制飘窗
CN110130546A (zh) 一种装配式抗震内隔墙及其安装方法
KR20130014778A (ko) 패널 마감형 외단열 구조
KR100877180B1 (ko) 시공이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외벽
KR101303569B1 (ko) 직수차단용 수평프로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평프로파일의 시공방법
KR101292702B1 (ko) 커튼월 스팬드럴 구간의 자연순환형 외단열 시스템
CN207700562U (zh) 光伏屋面排水系统
KR200480225Y1 (ko) 열차단성능이 우수한 외장패널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외장패널 결합구조
CN116104269A (zh) 一种建筑外墙复合板的施工方法
CN206034804U (zh) 干挂复合保温装饰墙板及建筑墙体干挂保温构件
CN110725424B (zh) 被动式钢结构房屋
Marquis et al. Window wall and curtain wall: An objective review
CN208594653U (zh) 一种装配式抗震内隔墙
CN203441260U (zh) 钢附框系统
CN209799074U (zh) 幕墙封堵整体包封结构
CN208803643U (zh) 一种双防水双保温屋面排汽管防水节点结构
JP2013011148A (ja) 横連窓pcカーテンウォール
KR102050941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복합아트패널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