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393B1 - Tie cable fix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Tie cable fix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393B1
KR101303393B1 KR1020120139490A KR20120139490A KR101303393B1 KR 101303393 B1 KR101303393 B1 KR 101303393B1 KR 1020120139490 A KR1020120139490 A KR 1020120139490A KR 20120139490 A KR20120139490 A KR 20120139490A KR 101303393 B1 KR101303393 B1 KR 101303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ing hole
inner casing
tie
out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경룡
최영구
박정환
이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엔씨
Priority to KR102012013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3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3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PURPOSE: A tie cable connecting device is provided to efficiently grip a cable with a small compressive force and connect the cable by stably gripping the cable in a small connection length. CONSTITUTION: A tie cable connecting device (100) comprises an outer casing, an inner casing (130), a friction tube (120), and a compressive member. The inner casing grips a cable by being inserted into an accommodation unit of the outer casing. The friction tube is inserted into a cable fixing hole (130a) of the inner casing by being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cable. The compressive member applies a compressive force so that the cable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ble fixing hole.

Description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TIE CABLE FIXING APPARATUS} Tie cable ties {TIE CABL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 등 토목 및 건축 공사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의 끝단부를 결속함에 있어서, 케이블에 큰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결속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cable bin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n binding the end of a cable used in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construction, such as bridges, a tie cable capable of maintaining a tightly coupled state even when a larg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cable. It relates to a binding device.

교량 등의 토목 및 건축 공사에서 하중을 도입하거나 지지하는 용도로 강연선 등의 케이블이 널리 사용된다. 다수의 케이블이 사용될 경우에는 끝단을 견고하게 결속하여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Cables, such as stranded wire, are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or supporting loads in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works such as bridges. If multiple cables are used, the ends need to be firmly bound and secured.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6-1706호에 따른 '파일 버팀용 타이 케이블'은 타이 케이블의 양단에 양커를 각각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각 앵커의 전반부와 후분부에 요입테와 나사부를 형성하여 요입테를 빔에 삽입하여 결속시킨 후 나사부에서는 너트로 체결하여 장착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7-14932호의 '타이 케이블'은 타이케이블의 양단에 앵커를 삽입하여 고정하며 앵커의 나사부를 와셔와 너트로 체결 고정하여 빔에 장착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케이블의 양단에 결합된 앵커를 와셔 및 너트에 의해 빔이나 벽체에 고정시키므로, 케이블과 앵커의 결속력이 약해져 케이블과 앵커가 분리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In this regard, the 'tie tie for pile support' according to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86-1706 is formed integrally by inserting the Yanker at both ends of the tie cable, but the front and rear parts of each anchor The rim and the thread are formed to insert the rim into the beam and bind, and then the screw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and mounted with a nut. On the other hand, the 'tie cable' of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87-14932 discloses a configuration that is fixed by inserting the anchors at both ends of the tie cable and fastening and fixing the screw portion of the anchor with a washer and nut to mount on the beam . However, such a configuration secures the anchor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able to the beam or the wall by washers and nuts, thereby weakening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cable and the anchor, and thus causing the cable and the anchor to be separated.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1405호에 따르면, 보호 튜브(12)에 끼워진 강연선(11)을 동시에 감싸는 PE관으로 이루어진 케이블(10)의 끝단을 결속시킨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1)를 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20)에 케이블(10)을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원형 홈(21)이 구비되어, 케이블(10)의 끝단부에 고무 재질의 어댑터(30)를 끼운 상태로 케이블(10)을 원형 홈(21)에 각각 끼운 후, 헤드(20)의 외주면을 압착 장치로 압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케이블(10)의 끝단부와 홈(21)의 내주면이 압착되면서 케이블(10)을 결속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741405, the tie cable binding device (1) that binds the end of the cable (10) made of a PE pipe at the same time surrounding the stranded wire (11) sandwiched in the protective tube 12 is disclosed Doing. According to this, as shown in Figure 1, the head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ircular grooves 21 for receiving the cable 10, respectively, rubber adapter 30 at the end of the cable 10 Insert the cables 10 into the circular grooves 21 in the state of inserting them, and then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20 with a crimping device so that the end of the cable 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s 21 are compressed. While being configured to fasten the cable 10.

여기서, 압착 장치는 헤드(20)의 외주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구멍(40a)이 형성된 지지구(40, 60)를 헤드(20)의 외주면에 걸터지도록 설치한 후, 헤드(20)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20a)과 맞물리는 너트(31)를 회전(31d)시켜 헤드(20)를 후방(20d)으로 이동시켜, 헤드(20)의 외주면이 구멍(40a)을 통과하면서 수축되면서, 원형 홈(21) 단면이 줄어들면서 케이블(10)과 간섭되는 원리로 케이블(10)을 파지하여 고정시킨다. Here, the crimping device is installed to suppor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 20, the support (40, 60) formed with a hole (40a)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 20, on one side of the head 20 The nut 31 engaged with the formed thread 20a is rotated 31d to move the head 20 to the rear 20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20 is contra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ole 40a. (21) As the cross section is reduced, the cable 10 is gripped and fixed in a manner that interferes with the cable 10.

그러나, 도1에 도시된 종래의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1)는, 원형 홈(21)의 단면에 비하여 헤드(20)의 단면이 크게 형성되므로, 헤드(20)의 외주면을 가압 변형시켜 원형 홈(21)의 단면을 줄이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압착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압착력에 의해 헤드(20)의 외주면을 압착시켜 변형시키더라도 내부의 원형 홈(21)의 단면이 작아지도록 변형시키는 데 미치는 효과가 작으므로, 케이블(10)을 파지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설계 하중에 따른 인장력(T)이 케이블(10)에 작용하더라도, 케이블(10)이 원형 홈(21)을 이탈하지 않고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원형 홈(21)의 결속 길이(L')를 보다 길게 형성해야 하므로, 결속 장치(1)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커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ie cable binding device 1 shown in Fig. 1, the cross section of the head 20 is formed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circular groove 21,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20 is deformed to pressurize and deform the circular groove. In order to reduce the cross section of 21, not only a very high compressive force is required, but also the effect of defo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circular groove 21 is small even i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 20 is deformed by the compressive force. Therefore, there exists a problem that the ability to hold the cable 10 falls. Accordingly, even if the tensile force (T) according to the design load acts on the cable 10, in order to ensure that the cable 10 can be firmly positioned without leaving the circular groove 21, the circular groove 21 of the Since the binding length L 'has to be formed longer,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binding device 1 becomes large as a who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량 등 토목 및 건축 공사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의 끝단부를 결속함에 있어서, 케이블에 큰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결속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 binding the end of the cable used in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construction, such as bridges, tie cable binding that can maintain the tightly coupled state even if a larg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cabl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즉, 본 발명은 작은 압착력으로도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작은 결속 길이로 견고하게 케이블을 파지하여 결속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effectively grip the cable even with a small pressing force, and also to securely grip and bind the cable with a small binding lengt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일측에 수용부가 요입 형성되고, 주변 영역에 비하여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수축부가 형성된 외측 케이싱과; 다수의 케이블을 하나씩 위치시키는 케이블 고정공이 축선 방향으로 다수 관통 형성되되, 상기 케이블 고정공 중 일부 이상은 축선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절개되어 슬릿 형태로 드러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 케이싱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내측 케이싱과; 상기 외측 케이싱의 상기 수축부를 가압하여 상기 수축부가 수축되면서 상기 내측 케이싱의 소성 변형을 일으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 고정공에 고정시키는 압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uter casing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on one side, the outer casing is formed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peripheral region; A plurality of cable fixing holes for placing a plurality of cables one by one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at least some of the cable fixing holes are formed to be cut out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be exposed in the form of a slit,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asing An inner casing to be received; A pressing member which presses the contraction portion of the outer casing to cause plastic deformation of the inner casing while the contraction portion is contracted to fix the cable to the cable fixing hole; Provides a tie cable b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이는, 압착력을 받는 외측 케이싱의 내부에 케이블을 수용하는 내측 케이싱을 별도로 구비하고, 내측 케이싱의 케이블 고정공의 측벽이 축선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케이블 고정공의 측면이 개구 형태로 드러나도록 형성됨에 따라, 압착 부재에 의하여 외측 케이싱의 수축부를 가압하여 오그라드는 수축 변형을 내측 케이싱이 그대로 전달받아, 내측 케이싱이 오그라드는 수축 변형에 의하여 케이블 고정공의 슬릿 형태의 개구가 좁아지면서, 케이블 고정공에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을 보다 확실하게 접촉하면서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inner casing for accommodating the cable inside the outer casing subjected to the pressing force, and as the side wall of the cable fixing hole of the inner casing is cut along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side of the cable fixing hole is exposed in the form of an opening. The inner casing receives the shrinkage deformation of the outer casing by pressing the contraction portion of the outer casing by the pressing member, and the slit-shaped opening of the cable fixing hole is narrowed by the shrinkage deformation of the inner casing. This is to make it possible to grip the cable more securely.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작은 압착력을 외측 케이싱에 인가하더라도, 외측 케이싱이 오무라들면서 내측 케이싱에 수축력이 전달되고, 케이블 고정공의 측면이 슬릿 형태의 개구 형태로 드러나게 형성됨에 따라, 내측 케이싱에 전달되는 수축력이 작더라도 케이블 고정공의 슬릿 형태의 개구가 서로 좁혀지면서 쉽게 케이싱을 파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small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outer casing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as the outer casing retracts, the contract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inner casing, and the side of the cable fixing hole is formed to be exposed in the form of a slit-shaped opening, so that the inner casing Even if the contra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slit-shaped openings of the cable fixing hole is narrow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hold and secure the casing.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작은 압착력으로도 케이블을 견고하게 파지하여 높은 인장력에 견딜 수 있으며, 동시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깊이(결속 길이)가 작아도 견고하게 케이블을 파지하여 결속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withstand high tensile strength by holding the cable firmly even with a small press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can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that can be firmly gripped by the cable even if the depth (binding length) to insert the cable is small. hav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측 케이싱의 케이블 고정공에 긴 링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블을 감싼 상태로 상기 케이블 고정공에 삽입되는 마찰 튜브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마찰 튜브가 케이블과 케이블 고정공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내측 케이싱이 움추러드는 수축 변형 시에 케이블과 내측 케이싱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보다 높은 인장력에도 견딜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cable fixing hole of the inner casing in the form of a long ring is provided with a friction tube that is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hole in the state of wrapping the cable. In this way, the friction tube is interposed between the cable and the cable fixing hole,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cable and the inner casing during shrinkage deformation when the inner casing collapses, and thus can withstand higher tensile forces.

이 때, 상기 마찰 튜브는 금속 재질로 성형되어, 상기 수축부가 수축 변형될 때에 소성 변형이 일어나도록 구성됨으로써, 마찰 튜브에 의해서도 케이블과의 간섭이 보다 크게 유도되어, 케이블이 견딜 수 있는 인장력을 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riction tube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plastic deformation occurs when the contraction portion shrinks and deforms,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cable is also induced by the friction tube, thereby providing a tensile force that the cable can withstand. I can keep it high.

여기서, 상기 마찰 튜브는 축선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된 슬릿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측 케이싱의 수축 변형 시에, 마찰 튜브가 오무라드는 변형이 보다 쉽게 유도되어,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된다. Here, the friction tube may be formed with a slit hole formed long through the axial direction. As a result, during shrinkage deformation of the inner casing, the deformation of the friction tube is more easily induced, and is deformed into a shape that can securely grasp the cable housed therein.

그리고, 상기 마찰 튜브는 외주면과 내주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맞닿아 있는 케이블과 케이블 고정공의 표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어, 보다 높은 인장력에 견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iction tube has a thread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contacted cable and the surface of the cable fixing hole can be increased,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withstanding a higher tensile force. hav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압착 부재는, 다수의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고정공에 하나씩 삽입되고, 상기 내측 케이싱이 상기 외측 케이싱의 상기 수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축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압착공을 구비하여, 상기 수축부가 압착공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수축부가 중심을 향해 오그라드는 소성 변형을 하면서 상기 내측 케이싱의 케이블 고정공이 수축되면서 상기 케이블 고정공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imping member has a diameter of the contraction portion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cables are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hole one by one, and the inner casing is seated o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asing. The cable is provided with a smaller diameter, and the shrinkage portion passes through the compression hole so that the shrinkage portion is p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center while the cable fixing hole of the inner casing is contracted to close the cable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hole. It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이 때, 상기 외측 케이싱의 타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압착 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압착 너트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압착 부재가 상기 외측 케이싱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축부를 변형시켜, 케이블을 결속하여 고정시킨다.
At this time, a mal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asing, and further includes a crimping nut engaged with the male screw, and the crimping member rotates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asing by rotating the crimp nut. The contraction portion is deformed while moving to bind and fix the cabl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고정공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개구에 의해 일부가 상기 케이블 고정공의 바깥에 노출된다. 이에 의하여, 내측 케이싱에 수축력이 작용하여 수축 변형을 하면서, 개구의 선단부가 케이블과 맞닿아 눌러 고정함으로써, 케이블을 파지하는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accommodated in the cable fixing hole i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le fixing hole by the opening. As a result, while the contracting force acts on the inner casing to contract and deform,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opening is pressed against and fixed to the cable, thereby maximizing the effect of gripping the cab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내측 케이싱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 케이싱의 내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요홈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어, 상기 압착 부재에 의해 상기 내측 케이싱을 변형시키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요홈부가 서로 맞닿아 축선 방향으로의 구속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여, 내측 케이싱이 외측 케이싱과 분리된 형태로 조립되어 케이블을 결속 고정시키더라도, 내측 케이싱과 외측 케이싱이 돌출부와 요홈부의 맞물림에 의하여 견고하게 맞물림으로써, 케이블에 인장력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내측 케이싱과 외측 케이싱의 분리가 발생되는 것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asing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is arranged such that the recessed groove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When the inner casing is deformed by the crimping member,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 restraining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As a result, even when the inner casing is assembled in a form separated from the outer casing to securely fix the cable, the inner casing and the outer casing are firmly engaged by the engagement of the protrusion and the recess, so that the inner casing and the inner casing are largely applied even though the cable has a large tensile force. The separation of the outer casing can be completely suppressed.

이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측 케이싱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요홈부는 서로 맞물리는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와 요홈부가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측 케이싱의 돌출부의 바깥 외주면과 외측 케이싱의 요홈부 사이의 간극을 보다 작게할 수 있는 잇점도 얻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asing. In addition,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piral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case where the protrusions and the recesses are formed in the form of a spiral, an advantage that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of the inner casing and the groove of the outer casing can be made smaller can also be obtained.

한편,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케이블 고정공'이라는 용어는 내측 케이싱을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 형태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10)이 삽입되는 '홈'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term 'cable fixing hol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ncludes not only a hole shape through which the inner casing is 'through' in the axial direction, but also includes a 'groove' shape into which the cable 10 is inserted. It will be defined as.

이상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착력을 받는 외측 케이싱과 케이블을 수용하는 내측 케이싱을 별도로 구성하되, 내측 케이싱의 케이블 고정공 측벽이 축선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내측 케이싱의 측면에 슬릿 형태의 개구 형태로 드러나도록 형성되어, 압착 부재로 외측 케이싱의 수축부를 가압하면, 외측 케이싱에 수축 변형이 일어나면서 내측 케이싱에 수축력이 전달되고, 내측 케이싱에 전달된 수축력에 의하여 내측 케이싱의 개구가 오무라들면서, 케이싱 고정공의 내벽이 케이블과 밀착하면서 케이블이 견고하게 파지되어 위치 고정되는 타이 케이블의 결속 장치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asing receiving the compression force and the inner casing for accommodating the cable, the side wall of the cable fixing hole of the inner casing is cut along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slit-shaped opening on the side of the inner casing It is formed so as to be exposed in the form, when pressing the contraction portion of the outer casing with the pressing member, the shrinkage deformation occurs in the outer casing and the contract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inner casing, the opening of the inner casing is retracted by the contracting force transmitted to the inner casing In addition,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fixing hole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provides a binding device of the tie cable that the cable is firmly gripped and fixed.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다수의 케이블의 끝단부를 보다 작은 압착력으로 보다 견고하고 확실하게 고정함으로써, 케이블에 큰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케이블이 이탈하지 않고 확실하게 결속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an advantageous effect of firmly and reliably fixing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cables with a smaller pressing force, so that the cables can be reliably bound without leaving even if a larg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cables.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은 다수의 케이블을 결속 고정함에 있어서, 정해진 인장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압착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고정공의 결속 길이도 더 짧아지므로, 보다 컴팩트한 구조의 타이 케이블의 결속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reduce the compressive force that can withstand a predetermined tensile force in the fastening and fixing a plurality of cables, but also shorten the binding length of the cable fixing hole into which the cable is inserted, thereby providing a more compact structure. Tie cable binding device can be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은, 내측 케이싱의 케이블 고정공에 긴 링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블을 감싼 상태로 상기 케이블 고정공에 삽입되는 마찰 튜브가 개재되어, 내측 케이싱이 움추러드는 수축 변형 시에 케이블과 내측 케이싱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보다 높은 인장력에도 견딜 수 있는 결속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cable fixing hole of the inner casing in the form of a long ring is interposed a friction tube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hole with the cable wrapped, the cable and the inner side at the time of shrinkage deformation that the inner casing collapse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asings is increased to obtain a binding effect that can withstand higher tensile forces.

도1은 종래의 타이 케이블의 결속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 케이블의 결속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도2의 내측 케이싱에 마찰 튜브가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4a 내지 도4d는 도2의 타이 케이블의 결속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결속시키는 구성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5는 도4a의 'A'의 확대도,
도6은 도4b의 절단선 VI-VI에 따른 단면도,
도7은 도4d의 절단선 VII-VII에 따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 케이블의 결속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9는 도8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tie cable binding devic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inding device of the ti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riction tube is installed in the inner casing of FIG.
4A to 4D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able is bundled using the tie cable binding device in FIG. 2;
5 is an enlarged view of 'A' of FIG. 4A;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4B;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4D; FIG.
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tie cable bind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of FIG. 8.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 케이블의 결속 장치(1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tie device 100 of the ti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 케이블의 결속 장치(100)는, 일측에 요입 형성된 수용부(111)가 형성된 외측 케이싱(110)과, 외측 케이싱(110)의 수용부(111)에 삽입되어 케이블(10)을 파지하는 내측 케이싱(130)과, 케이블(10)의 끝단에 끼워져 내측 케이싱(130)의 케이블 고정공(130a)에 삽입되는 마찰 튜브(120)과, 케이블(10)이 케이블 고정공(130a) 내에서 고정되도록 압착력을 가하는 압착 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ie device 100 of the ti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asing 110 and the outer casing 110 is formed, the receiving portion 111 is formed on one side concave. An inner casing 130 inserted into the portion 111 to grip the cable 10, a friction tube 120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cable 10 and inserted into a cable fixing hole 130a of the inner casing 130; , The cable 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essing member 40 for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be fixed in the cable fixing hole (130a).

상기 외측 케이싱(110)은 일측에 내측 케이싱(130)이 수용되는 수용부(111)가 요입 형성되고, 타측에 수나사산(118)이 형성된다. 수용부(111)를 감싸는 외측 케이싱(110)의 외주면에는 압착력(P)에 의하여 수축되는 수축부(112)가 형성된다.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부(112)는 압착 부재(40)의 압착공(40a)의 직경에 비하여 수축 변형시키고자 하는 두께(55)만큼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수축부(112)가 형성된 외측 케이싱(110)은 종래에 비하여 훨씬 얇아진 단면으로 형성되므로, 작은 압착력에 의해서 중심을 향하여 수축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수용부(111)에는 내측 케이싱(130)의 돌출부(131)에 마주보는 위치에 요홈부(114)가 형성된다. The outer casing 110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111 in which the inner casing 130 is accommodated on one side thereof, and a male thread 118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110 surrounding the receiving portion 111 is formed with a contraction portion 112 that is contracted by the pressing force (P). As shown in FIG. 4A, the contraction portion 112 is formed to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55 of the compression hole 40a of the compaction member 40 to shrink and deform. Since the outer casing 110 in which the shrinking portion 112 is formed is formed in a much thinner cross section than in the related art, it is easier to shrink toward the center by a small pressing force. The receiving part 111 is formed with a recess 114 at a position facing the protrusion 131 of the inner casing 130.

상기 내측 케이싱(130)은 결속하고자 하는 케이블(10)의 개수만큼 케이블 고정공(130a)이 형성된다. 케이블 고정공(130a)은 내측 케이싱(130)의 전체 길이를 관통하는 구멍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케이블(10)이 삽입되는 결속 길이만큼 요입 형성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3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케이싱(130)의 외측에 있는 케이블 고정공(130a)은 축선 방향(케이블(1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슬릿 형태로 드러난 개구(13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측 케이싱(130)을 오므리는 압착력이 작용하면, 개구(135)가 오무라들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내측 케이싱(130)의 케이블 고정공(130a)이 보다 용이하게 수축될 수 있게 된다. The inner casing 130 is provided with cable fixing holes 130a as many as the number of cables 10 to be bound. The cable fixing hole 130a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penetrating the entire length of the inner casing 130, or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ess formed by a binding length into which the cable 10 is inserted. As shown in Figs. 3 and 6, the cable fixing hole 130a on the outside of the inner casing 130 is cut along the axial direction (insertion direction of the cable 10) and exposed in the slit shape. Is formed. Accordingly, when the compressive force for closing the inner casing 130 is applied, a space for opening the opening 135 may be provided, and thus the cable fixing hole 130a of the inner casing 130 may be more easily contracted. Will be.

내측 케이싱(130)의 외주면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131)가 형성된다.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케이싱(130)의 돌출부(131) 사이의 간격은 외측 케이싱(110)의 요홈부(114)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여, 내측 케이싱(130)이 외측 케이싱(110)의 수용부(111)에 삽입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1)와 요홈부(114)는 간격(x)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된다. 외측 케이싱(110)에 압착력(P)이 가해지면, 외측 케이싱(110)이 수축되면서 외측 케이싱(110)의 요홈부(114)와 내측 케이싱(130)의 돌출부(131)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돌출부(131)의 폭(w3)은 요홈부(114)의 폭(w1)에 비하여 다소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1)가 형성된 내측 케이싱(130)이 외측 케이싱(110)의 수용부(1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131)의 외주면과 외측 케이싱(110)의 내주면(113)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C)가 유지된다.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asing 130 is formed a protrusion 131 protruding convexly at intervals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4B, the spacing between the protrusions 131 of the inner casing 130 is the same as the spacing between the recesses 114 of the outer casing 110, such that the inner casing 130 is connected to the outer casing 110.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111, the protrusion 131 and the recess 114 are in a state of facing each other with a distance x as shown in FIG. 5. When a pressing force P is applied to the outer casing 110, the outer casing 110 is contracted so that the recess 114 of the outer casing 110 and the protrusion 131 of the inner casing 13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width w3 of the protrusion 131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w1 of the recess 114. 3,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131 and the outer casing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casing 130 of the outer casing 110 having the protrusion 131 formed thereon.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3 of the some gap (C) is maintained.

상기 압착 부재(40)는 외측 케이싱(110)의 수축부(112)를 중심을 향하여 수축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외측 케이싱(110)의 수축부(112)를 수축시키고자 하는 두께(55)만큼 더 작은 직경의 압착공(40a)이 압착 부재(40)에 마련되어, 수축부(112)가 압착공(40a)을 통과하도록 압착 부재(40)에 대하여 외측 케이싱(110)을 상대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외측 케이싱(110)의 수축부(112)를 수축시킨다. 압착 부재(40)는 토목 및 건축 공사에서 고정하고자 하는 대상물(60, 예를 들어, 형강 등의 구조물)에 위치 고정된다.The pressing member 40 is formed to contract the contraction portion 112 of the outer casing 110 toward the center. To this end, a pressing hole 40a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thickness 55 to shrink the contracting portion 112 of the outer casing 110 is provided in the pressing member 40, so that the contracting portion 112 is pressed. The contracted portion 112 of the outer casing 110 is contracted by moving the outer casing 110 relative to the crimping member 40 so as to pass through the 40a. The crimping member 40 is fixed to an object 60 (for example, a structure such as a section steel) to be fixed in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construction.

이를 위하여, 외측 케이싱(110)의 타측에는 나사산(118)이 형성되고, 나사산(118)과 치합되는 이송 너트(31)를 체결한 후, 이송 너트(3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외측 케이싱(110)의 수축부(112)가 압착 부재(40)의 압착공(40a)을 통과하도록 이동(110d)시키면서 수축부(112)에 수축시키는 압착력(P)을 가할 수 있다. 이 때, 송 너트(31)와 압착 부재(40) 또는 대상물(6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50)가 개재(介在)되어, 이송 너트(31)와 압착 부재(40)의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이송 너트(31)의 회전 토크에 의하여 압착공(40a)을 통과하는 수축부(112)를 소성 변형을 시키는 압착력(P)으로 작용하면서, 외측 케이싱(110)을 압착 부재(40)에 대하여 이동(110d) 이동시키는 힘(Fe)으로 작용한다.
To this end, a thread 118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asing 110, and after the fastening nut 31 is engaged with the thread 118, the outer nut 110 is rotated by rotating the feed nut 31. ), The compressive force P may be applied to the contracted portion 112 while the contracted portion 112 of the) contracts 110d so as to pass through the pressing hole 40a of the compacted member 40. At this time, the spacer 50 which maintains the space | interval of the song nut 31 and the crimping | compression-bonding member 40 or the object 60 constant is interposed, and the conveyance nut 31 and the crimping | compression-bonding member 40 are opposed. As the position is kept constant, the outer casing 110 is actuated by the pressing force P for plastic deformation of the contraction portion 112 passing through the pressing hole 40a by the rotational torque of the feed nut 31. It acts as a force Fe for moving 110d relative to the crimping member 40.

상기 마찰 튜브(120)은 긴 링 형태로 형성되어 중공부(120a)에 결속되는 케이블(10)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수용하며, 내측 케이싱(130)의 케이블 고정공(130a)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마찰 튜브(120)는 소성 변형이 용이한 금속 재질로 성형되며, 내주면과 외주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나사산이 성형되어, 내측 케이싱(130)이 압착력(P)에 의해 오무라드는 소성 변형 시에 케이블 고정공(130a)의 내벽과 맞닿은 상태로 소성 변형된다. The friction tube 120 is formed in a long ring shape to accommodate the end of the cable 10 that is bound to the hollow portion (120a), and is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hole (130a) of the inner casing (130) Is installed. The friction tube 12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which is easily plastically deformed, and a thread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inner casing 130 is deformed by the pressing force P, and the cable is deformed by the plastic deformation. The plastic deformation is performed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xing hole 130a.

이 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튜브(120)는 길이 방향으로 긴 슬릿공(122)이 형성됨에 따라, 압착력(P)에 의하여 케이블 고정공(130a)이 수축될 때에 슬릿공(122)의 폭만큼 마찰 튜브(120)가 오무려지면서 케이블(10)의 끝단부를 꽉 잡는 형태로 소성 변형되므로, 케이블(10)의 파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마찰 튜브(120)는 케이블(10)의 외형 형상대로 변형되면서, 케이블(10)과 케이블 고정공(130a)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결속 장치(100)에 케이블(10)이 결속된 상태에서, 케이블(10)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보다 확실하게 지탱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3, as the friction tube 120 is formed with a long slit hole 1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lit hole 122 when the cable fixing hole 130a is contracted by the pressing force (P) Since the friction tube 120 is squeezed by a width of), the plastic tube is deformed in a shape that tightly holds the end of the cable 10, so that the gripping effect of the cable 10 can be increased. As such, while the friction tube 120 is deformed in the shape of the cable 10, the friction tube 120 serves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cable 10 and the cable fixing hole 130a. 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cable 10 is bound to the cable bin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vantage that can more reliably support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cable 10 can be obtained.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100)를 이용한 결속 방법을 상술한다. Hereinafter, the binding method using the tie cable bin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60)에 압착 부재(40)를 위치시킨 후, 외측 케이싱(110)의 나사부(118)가 압착공(40a)을 관통하도록 외측 케이싱(110)을 위치시킨다. First, as shown in FIG. 4A, after the pressing member 40 is positioned on the object 60, the outer casing 110 is moved so that the threaded portion 118 of the outer casing 110 passes through the pressing hole 40a. Position it.

그리고 나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케이싱(130)을 외측 케이싱(110)의 수용부(111)에 삽입한다. 내측 케이싱(130)의 돌출부(131)와 외측 케이싱(110)의 내주면(113)의 사이에는 틈새(도5의 C)가 있으므로, 내측 케이싱(130)이 외측 케이싱(110)의 수용부(111)에 원활히 삽입된다. 내측 케이싱(130)이 외측 케이싱(110)의 수용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내측 케이싱(130)의 돌출부(131)가 외측 케이싱의 요홈부(114)와 마주보도록 정렬되고, 이들(131, 114)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x)이 있게 된다. Then, as shown in FIG. 4B, the inner casing 13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11 of the outer casing 110. Since there is a gap (C in FIG. 5)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131 of the inner casing 13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3 of the outer casing 110, the inner casing 130 receives the accommodating portion 111 of the outer casing 110. ) Is inserted smoothly. In the state where the inner casing 13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11 of the outer casing 110, the protrusion 131 of the inner casing 130 is aligned to face the recess 114 of the outer casing, and these ( There is a constant interval x between 131 and 114.

그리고, 케이블(10)의 끝단부를 내측 케이싱(130)의 케이블 고정공(130a)에 삽입한다. 이 때, 내측 케이싱(130)의 케이블 고정공(130a)에는 마찰 튜브(120)가 미리 삽입되어 있을 수도 있고, 케이블 고정공(130a)에 삽입될 케이블(10)의 끝단부에 마찰 튜브(120)가 끼워져 있을 수도 있다. 어느 방식이든, 케이블(10)의 끝단부에는 마찰 튜브(120)가 끼워진 상태로 케이블 고정공(130a)에 삽입되어, 케이블(10)의 끝단부와 케이블 고정공(130a)의 사이에는 마찰 튜브(120)가 개재된 상태가 된다. Then, the end of the cable 10 is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hole 130a of the inner casing 130. At this time, the friction tube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hole 130a of the inner casing 130 in advance, and the friction tube 120 at the end of the cable 10 to be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hole 130a. ) May be inserted. Either way, the end of the cable 10 is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hole 130a with the friction tube 120 fitted, so that the friction tube is disposed between the end of the cable 10 and the cable fixing hole 130a. 120 is interposed.

케이블 고정공(130a)에 케이블(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블(10)의 전체 단면이 케이블 고정공(130a)의 내부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지만, 도6의 횡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이블(10)의 일부 단면이 케이블 고정공(130a)의 바깥으로 돌출(z)된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블 고정공(130a)이 수축할 경우에 케이블(10)을 보다 확실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된다. While the cable 10 is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hole 130a, the entire cross section of the cable 10 may be located inside the cable fixing hole 130a, but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Some cross-sections of the 10 may be inserted in the form of protrusions z out of the cable fixing hole 130a. Through this, when the cable fixing hole 130a shrinks, the cable 10 can be more securely gripped.

여기서, 케이블(10)은 강연선(11)만일 수도 있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막(12)에 둘러싸인 강연선(11)일 수도 있으며, 피막(12)에 둘러싸인 다수의 강연선을 감싸는 커버(13)가 결합된 것일 수도 있고, 다수의 강연선(11)만을 감싸는 커버(13)가 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Here, the cable 10 may be only the strand 11, or may be a strand 11 surrounded by the coating 12, as shown in Figure 2, the cover 13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strands surrounded by the coating 12 ) May be combined, or a cover 13 covering only a plurality of strands 11 may be combined.

그리고 나서,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너트(31)를 회전(31d)시켜, 외측 케이싱(110)의 수축부(112)가 압착 부재(40)의 압착공(40a)을 통과하도록 외측 케이싱(110)을 타측(도4c의 좌측 방향, 110d)으로 이동시킨다. 외측 케이싱(110)의 수축부(112)가 보다 작은 직경의 압착공(40a)을 통과하면서 압착력(P)이 수축부(112)에 작용하면서, 상대적으로 얇은 단면의 외측 케이싱(110)의 수축부(112)가 중심을 향하여 수축하는 소성 변형을 하게 되고, 외측 케이싱(110)의 수축 변형에 의해 내측 케이싱(130)에 수축력(P')을 전달하여, 내측 케이싱(130)도 오무라드는 소성 변형을 하게 된다. Then, as shown in Fig. 4C, the feed nut 31 is rotated 31d so that the contraction portion 112 of the outer casing 110 passes through the pressing hole 40a of the pressing member 40. Move 110 to the other side (left side in Fig. 4C, 110d). As the contracting portion 112 of the outer casing 110 passes through the compaction hole 40a having a smaller diameter, the compressive force P acts on the contracting portion 112, thereby contracting the outer casing 110 having a relatively thin cross section. Part 112 is plastically deformed to contract toward the center, and the contraction force P 'is transmitted to the inner casing 130 by the shrinkage deformation of the outer casing 110, so that the inner casing 130 is also Omura Plastic deformation.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케이싱(130)에 전달된 압착력(P')에 의하여 내측 케이싱(130)은 측면에 개구(135)가 형성된 케이블 고정공(130a)의 단면이 수축되는 소성 변형이 일어난다. 이 때, 케이블 고정공(130a)의 개구(135)가 오무라드는 힘(F)이 작용하면서 케이블(10)을 견고하게 파지하게 되고, 케이블 고정공(130a)과 케이블(10)의 사이에 개재된 마찰 튜브(120)도 함께 소성 변형되면서, 케이블 고정공(130a)과 케이블(10)의 사이에는 내측 케이싱(130)과 마찰 튜브(120)으로 밀실하게 채워지면서 케이블(10)이 견고하게 파지된다. 케이블(10)의 일부가 케이블 고정공(130a)의 바깥으로 돌출(z)되어 있는 경우에, 케이블(10)의 돌출부(z)의 양측에 미세한 틈새(69)가 생길 수 있지만, 케이블 고정공(130a)의 개구(135)에 의해 케이블(10)을 보다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plastic casing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cable fixing hole 130a in which the opening 135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casing 130 is contracted by the pressing force P ′ transmitted to the inner casing 130. This happens. At this time, while the opening force F of the opening 135 of the cable fixing hole 130a acts, the cable 10 is firmly gripped, and between the cable fixing hole 130a and the cable 10. While the friction tube 120 is also plastically deformed together, the cable 10 is firmly filled with the inner casing 130 and the friction tube 120 between the cable fixing hole 130a and the cable 10. Gripped. When a part of the cable 10 protrudes z out of the cable fixing hole 130a, fine gaps 69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z of the cable 10, but the cable fixing hole By the opening 135 of 130a, the cable 10 can be gripped more firmly.

이와 동시에, 내측 케이싱(130)의 돌출부(131)는 외측 케이싱(110)의 수용홈(114)에 끼워진 상태로 소성 변형되므로, 상기와 같이 설치된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100)에 고정된 케이블(10)에 큰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내측 케이싱(130)이 외측 케이싱(110)에 이탈하지 않고 신뢰성있게 케이블(10)을 결속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At the same time, since the protrusion 131 of the inner casing 130 is plastically deformed while being fit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4 of the outer casing 110, the cable 10 fixed to the tie cable binding device 10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Even if a larg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inner casing 130 can be reliably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cable 10 is bou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outer casing 110.

이하, 첨부된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200)를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8 and 9, the tie cable bind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in describing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of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200)에 따르면, 외측 케이싱(210)의 수용부에는 나선 형태의 요입된 요홈부(214)가 형성되고, 내측 케이싱(230)의 외주면에는 동일한 나선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231)이 형성된다. According to the tie cable bind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asing 210 is formed with a recessed recessed groove 214 in the form of a spiral,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casing 230 The protrusion 231 protruding in the same spiral shape is formed.

이에 따라, 외측 케이싱(110)의 내주면(113)에 비하여 내측 케이싱(130)의 돌출부(131)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어야 하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달리,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케이싱(210)의 내주면(213)에 비하여 내측 케이싱(230)의 돌출부(231)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케이싱(210)의 수용부에 내측 케이싱(230)을 삽입할 때에는 돌출부(231) 및 요홈부(214)의 나선 형태로 돌리면서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되는 돌출부(231)와 요홈부(214)의 간격(x')은 일 실시예에서의 간격(도5의 x)에 비하여 더 작아진다. Accordingly, in contras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131 of the inner casing 130 should be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3 of the outer casing 110, the outer casing as shown in FIG. 9.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231 of the inner casing 230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13 of the 210. Accordingly, when the inner casing 23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asing 210, the protrusions 231 and the grooves 214 are inserted while being turned in a spiral shape, and the protrusions are aligned to face each other in the inserted state ( The spacing x 'between the recess 231 and the recess 214 is smaller than the spacing (x in FIG. 5) in one embodiment.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200)는 외측 케이싱(210)과 내측 케이싱(230)의 간격이 더 작으므로, 외측 케이싱(210)을 수축 변형시키기 위한 압착력(P)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Thus, since the tie cable binding device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maller distance between the outer casing 210 and the inner casing 230, the pressing force P for shrinking and deforming the outer casing 210 may be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100)는, 압착력(P)을 받는 외측 케이싱(110)과 별도로 케이블(10)을 수용하는 내측 케이싱(130)을 별도로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아진 단면의 외측 케이싱(110)에 도입되는 압착력(P)이 내측 케이싱(130)에 최대로 전달되도록 하고, 내측 케이싱(130)의 케이블 고정공(130a)에 작용하는 압착력(P')에 의해 케이블 고정공(130a)의 슬릿 형태의 개구(135)가 오무라들면서 케이블(10)을 보다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10)을 보다 확실하게 결속하여 고정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tie cable bin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inner casing 130 for receiving the cable 10 separately from the outer casing 110 receiving the compressive force P, and is relatively small. The pressing force P introduced into the outer casing 110 of the deep section is transmitted to the inner casing 130 to the maximum, and the pressing force P 'acts on the cable fixing hole 130a of the inner casing 130. By allowing the cable 10 to be gripped more reliably as the slit-shaped opening 135 of the cable fixing hole 130a retracts, an advantageous effect of more reliably binding and fixing the cable 10 can be obtained. .

더욱이,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공(130a)과 케이블(10)의 사이에 마찰 튜브(120)를 개재시킴으로써, 케이블 고정공(130a)이 압착력(P')에 의해 소성변형될 때에 마찰 튜브(120)도 함께 소성변형되어, 케이블(10)의 둘레가 마찰 튜브(120)와 내측 케이싱(130)에 의해 밀실하게 채워지므로, 보다 작은 압착력으로 케이블이 견딜수 있는 인장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압착력을 작게 도입하면서도 케이블(10)의 끝단이 삽입되는 케이블 고정공(130a)의 결속 길이(L)도 더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컴팩트하면서도 케이블의 결속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tube 120 is interposed between the cable fixing hole 130a and the cable 10 when the cable fixing hole 130a is plastically deformed by the pressing force P '. ) Is also p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cable 10 is tightly filled by the friction tube 120 and the inner casing 130, which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tensile force that the cable can withstand with a smaller pressing force. .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shorten the binding length (L) of the cable fixing hole (130a) into which the end of the cable 10 is inserted while introducing a small pressing forc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binding effect of the cable while compact do.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예시로 도시된 도면에는 모든 케이블 고정공(130a, 230a)에 슬릿 형태의 개구(135)가 형성되는 구성을 예로 들었지만, 내측 케이싱(130, 230)에 고정하는 케이블(10)의 수가 증가하거나 케이블(10)의 배치에 따라, 내측 케이싱(130, 230)의 중앙부에 슬릿 형태의 개구(135)가 형성되지 않는 케이블 고정공(130a, 23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drawing shown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lit-shaped opening 135 is formed in all the cable fixing holes 130a and 230a is exemplified, but the cable fixing to the inner casing 130 and 230 (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10 or the arrangement of the cable 10, the cable fixing holes 130a and 230a may not include the slit-shaped opening 135 in the center of the inner casings 130 and 230.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a configura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40: 압착 부재 40a: 압착공
100, 200: 타이 케이블의 결속 장치 110: 외측 케이싱
111: 수용부 112: 수축부
114: 요홈부 120: 마찰 튜브
122: 슬릿공 130: 내측 케이싱
130a: 케이블 고정공 135: 개구
P: 압착력
40: crimping member 40a: crimping hole
100, 200: tie device for tie cable 110: outer casing
111: receiving portion 112: contraction portion
114: groove 120: friction tube
122: slit ball 130: inner casing
130a: cable fixing hole 135: opening
P: pressing force

Claims (11)

일측에 수용부가 요입 형성되고, 주변 영역에 비하여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수축부가 형성된 외측 케이싱과;
상기 외측 케이싱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다수의 케이블이 하나씩 수용되는 케이블 고정공이 축선 방향으로 다수 관통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고정공 중 외주면에 인접한 일부 이상에는 축선 방향을 따라 측면이 슬릿 형태로 절개된 개구가 형성된 내측 케이싱과;
상기 수축부를 수축시키고자 하는 두께만큼 더 작은 직경의 압착공을 구비하여, 상기 내측 케이싱이 상기 외측 케이싱의 상기 수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축부가 압착공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축부가 중심을 향해 수축되면서 오그라드는 소성 변형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내측 케이싱의 상기 케이블 고정공이 수축되면서 오그라드는 소성 변형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고정공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 고정공에 고정시키는 압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An outer casing having a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shrinking portion formed larger in diameter than the peripheral region;
A plurality of cable fixing hole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outer casing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ables are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An inner casing with defined openings;
And a compression hol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thickness to shrink the contraction portion, and allowing the contraction portion to pass through the compression hole while the inner casing is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casing, whereby the contraction portion is centered. As the shrinkage toward the gradation is plastic deformation is made, and at the same time the shrinkage of the cable fixing hole of the inner casing shrinks the pressing member for fixing the cable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hole by the plastic deformation to the cable fixing hole ;
Tie cable b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항에 있어서,
긴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을 감싼 상태로 상기 케이블 고정공에 삽입되는 마찰 튜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riction tube formed in a long ring shape and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hole while wrapping the cable;
The tie cable b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튜브는 금속 재질로 성형되어, 상기 수축부가 수축 변형될 때에 소성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riction tube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stic deformation occurs when the shrinkage shrinkage deforma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튜브는 축선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된 슬릿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ie tube bund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iction tube is formed with a slit hole formed long through the axial direc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튜브는 외주면과 내주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riction tube is a tie cable b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ad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케이싱의 타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압착 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압착 너트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압착 부재가 상기 외측 케이싱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축부를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asing, and further includes a crimping nut engaged with the male screw, wherein the crimping member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asing by rotating the crimping nut. A tie cable b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rinkage is deformed.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개구가 형성된 상기 케이블 고정공에 삽입되는 케이블의 일부 단면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케이블 고정공의 측면 바깥으로 돌출된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cable is a tie cable b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cable is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hole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to protrude out the side of the cable fixing hole through the opening.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공에 수용된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개구에 의해 일부가 상기 케이블 고정공의 바깥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the cable accommodated in the cable fixing hole i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le fixing hole by the opening.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케이싱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 케이싱의 내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요홈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어, 상기 압착 부재에 의해 상기 내측 케이싱을 변형시키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요홈부가 서로 맞닿아 축선 방향으로의 구속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asing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projecting in the radial direc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is arranged so that the recessed groove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when the inner casing is deformed by the pressing member the projection and the A tie cable binding device, wherein the recess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 restraining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측 케이싱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truding portion is tie cable b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 surrounding the inner casing.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요홈부는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tie cable b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is formed in a spiral form.
KR1020120139490A 2012-12-04 2012-12-04 Tie cable fixing apparatus KR1013033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490A KR101303393B1 (en) 2012-12-04 2012-12-04 Tie cable fix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490A KR101303393B1 (en) 2012-12-04 2012-12-04 Tie cable fix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393B1 true KR101303393B1 (en) 2013-09-05

Family

ID=4945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490A KR101303393B1 (en) 2012-12-04 2012-12-04 Tie cable fix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39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411B1 (en) 2016-03-09 2016-09-30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Anchoring structure of the steel wire using the grip-wedge and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replacing the steel wire
KR20190119443A (en) 2018-04-12 2019-10-22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Tie cable binding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389B1 (en) * 2003-03-20 2005-11-09 심석래 Rock Anchor
KR100576053B1 (en) * 2003-09-24 2006-05-08 한주이엔씨 주식회사 Soil nailing by extended packer grouting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699334B1 (en) * 2006-08-21 2007-03-23 심석래 A Tie Cable Binding Device
KR100699015B1 (en) * 2005-09-28 2007-03-23 김용만 Removable gound ancho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389B1 (en) * 2003-03-20 2005-11-09 심석래 Rock Anchor
KR100576053B1 (en) * 2003-09-24 2006-05-08 한주이엔씨 주식회사 Soil nailing by extended packer grouting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699015B1 (en) * 2005-09-28 2007-03-23 김용만 Removable gound anchor system
KR100699334B1 (en) * 2006-08-21 2007-03-23 심석래 A Tie Cable Bind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411B1 (en) 2016-03-09 2016-09-30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Anchoring structure of the steel wire using the grip-wedge and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replacing the steel wire
KR20190119443A (en) 2018-04-12 2019-10-22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Tie cable binding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1300B2 (en) Fiber optic cable end fixture and fiber optic cable end fixing method
US6634147B2 (en) Process for the installation and tensioning of a brace having a false bearing, in particular a stay cable for a cable-stayed bridge and anchoring device with which to carry out the process
US10312674B2 (en) Explosion-proof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5191890A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KR101303393B1 (en) Tie cable fixing apparatus
US5048921A (en) Optical fibre cable joint
KR101156449B1 (en) Terminal connector for cable
WO2018073580A1 (en) Cable termination assembly
JP2014167848A (e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of power cable
KR200436792Y1 (en) fastner for cable fixation of construction
JP6760735B2 (en) Cable assembly
KR100760811B1 (en) Connection assembly of cable conductor using wedge and the connection method
JP4745034B2 (en) Multiple exterior cable retaining device and multiple exterior cable retaining method
US11855427B2 (en) Clamping device for cable connector assembly
KR101164868B1 (en) A Wire-Connecting Assembly
US4174463A (en) Contraction termination device and method
US9601838B2 (en) Splice for gathering ends of electric wire bundle
JP3762717B2 (en) PC steel fixed structure
JP6392691B2 (en) Rotation restraint structure of tendon joint and tendon joint
JP2009048779A (en) C-shaped sleeve for connecting electric wire
KR200453852Y1 (en) Clamp cover
EP3203584A1 (en) Anchor clamp for conductive cables with a polymer matrix composite core
JP3123644B2 (en) Bridge cable anchoring structure
JP3418297B2 (en) Optical cable terminal structure
JP3987409B2 (en) Optical cable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