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791B1 -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 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791B1
KR101302791B1 KR1020087015691A KR20087015691A KR101302791B1 KR 101302791 B1 KR101302791 B1 KR 101302791B1 KR 1020087015691 A KR1020087015691 A KR 1020087015691A KR 20087015691 A KR20087015691 A KR 20087015691A KR 101302791 B1 KR101302791 B1 KR 101302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shing
water
tank
mis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4988A (ko
Inventor
모하메드 라드완 라파아트 아타씨
Original Assignee
모하메드 라드완 라파아트 아타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하메드 라드완 라파아트 아타씨 filed Critical 모하메드 라드완 라파아트 아타씨
Publication of KR20080084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0Flushing devices with pressure-operated reservoir, e.g. air cha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변기용 멀티플러싱 장치는 압축 가능한 플라스틱제 시트(6)로 충전된 폐쇄형 탱크(3)로 구성된다. 탱크(3)는 저부에 물 공급부로의 직접 연결부(1)를 구비하고, 탱크(3)의 저부에 있는 유출구에는 플러싱 밸브(10)로 사용되는 외부 볼 밸브가 마련된다. 밸브(10)가 개방될 때, 물이 고속으로 배출되어 변기를 세척한다. 물은 미스트 흐름을 형성하도록 신선한 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미스트 흐름은 변기를 세척한다. 변기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신선한 공기는 트랩(25)에서 나온 공기로 대체될 수 있으며, 그 후 트랩(25)에는 진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 장치{MIST FLUSHING SYSTEM FOR WATER CLOSETS}
본 발명은 압축수(compressed water)와 공기를 혼합하는 것에 의해 수세식 화장실의 물을 절약하고, 단시간 내에 일어나는 빈번한 플러싱(flushing)을 허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수세식 변기는 가정용 물 소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수세용 물이 낮은 중력을 받는 경우에 예민한 플러싱 밸브의 빈번한 누설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물을 소비하고, 탱크의 충전이 느리며, 이것은 공중 화장실에서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자들은 물을 더욱 절약하도록 미스트의 고속 흐름을 생성하고, 그 후 수세식 변기의 용이한 세정을 위해 트랩 내에 진공 생성을 추가하기 위해 탱크에 저장된 압력을 받는 물을 사용하였다. 3개의 수단이 하나의 장치에 결합될 수도 있고, 단계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통상의 플러싱 장치는 다음의 단점을 갖는다.
1. 중력이 작은 경우에 많은 양의 물을 소비함.
2. 플러싱 밸브가 매우 예민하고, 지속적인 보수 관리를 필요로 함.
3. 지속적인 누설이 일반적임.
4. 물 속에 있는 플러싱 밸브가 부식됨.
5. 부동 밸브로 인한 저속 충전.
6. 하나의 플러싱 부피
본 발명의 장점
1. 고압의 물과 공기를 활용하는 것에 의한 물 절약.
2. 매우 간단하고 보수 관리가 없음.
3. 정상적인 사용 동안에 누설이 없음.
4. 밸브가 외부에 설치됨.
5. 신속한 탱크의 충전.
6. 플러싱 부피 제어 가능.
본 발명은 시일된 압축 가능한 기포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 층으로 충전된 밀폐형 탱크로 구성되어 있는 변기용 멀티플러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탱크의 저부에 물 공급부와의 직접 연결부를 갖는다. 시트는 충전하는 동안 유입 수압으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여 유입되는 물과 동등한 압력으로 압축되며, 시트는 에너지 저장 패드(필로우)로서 작용하고, 탱크 저부의 유출구에는 플러싱 밸브로서 사용되는 외부 볼 밸브가 마련되며, 플러싱 밸브는 단시간 동안 플러싱을 행하도록 핸들이 해제된 후에 밸브를 폐쇄하는 자기 복귀 스프링을 구비한다. 밸브가 개방되면, 시트 내의 기포가 팽창하고 무마찰 피스톤 또는 스프링으로 작용하여 물을 고속으로 배출한다. 배출된 물은 변기를 세정하기 위한 물의 사이클론 흐름을 형성하도록 나선형 노즐을 통과하거나, 외부 파이프의 다른 대형 노즐을 통과한다. 그 후, 배출된 물은 소량의 물로 변기를 세정하는 강력한 미스트 흐름을 형성하도록 물과 혼합되고 고속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를 생성할 것이다.
밸브가 폐쇄된 후에 흐르는 물의 양은 트랩을 충분히 충전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밸브가 개방되어 있는 기간은 밸브의 복귀 스프링과, 상이한 크기의 개방 및 타이밍을 부여하는 추가의 레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통상적인 크기의 탱크는 단일 플러싱이 탱크를 비우지 않는 경우에 즉각적인 연속 플러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충전은 방해 없이 계속된다.
미스트 흐름을 생성하는 신선한 공기는, 트랩 내에 진공을 생성하는 변기의 트랩 파이프에 공기 파이프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하수 공기(sewage air)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것은 변기의 세정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결합은 하수로부터 악취가 유입될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러한 공기는 미스트를 형성하는 동안 물로 세척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세척을 통해서 냄새가 제거될 것이고, 이것은 물의 속도, 공기 혼합물의 비율 및 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의 냄새의 수준에 좌우된다. 하수 파이프에 대한 공기 연결부는 수직 자세에 가까운, 가볍게 스윙하는 플랩에 의해 폐쇄될 것이다.
도 1은 비어 있는 탱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플러싱 세트의 세부 사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충전되어 있는 상태의 탱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신선한 공기 입력부를 하수 공기 입력부로 대체한 것을 도시한 도면 이다.
도 5는 플러싱 밸브 상의 플러싱 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3개의 플러싱 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 유입구
2 : 비복귀 밸브
3 : 플러싱 탱크
4 : 탱크 커버
5 : 고무 가스켓
6 : 플라스틱제 기포 시트
7 : 팽창 모드의 기포
8 : 분리 바스켓
9 : 플러싱 패드
10 : 플러싱 볼 밸브
11 : 플러싱 밸브의 핸들
12 : 밸브 핸들의 코일 스프링
13 : 신선한 공기 입력부
14 : 부동 가스켓
15 : 부동 가스켓의 스토퍼
16 : 물의 나선형 통로
17 : 물 분사 노즐
18 : 미스트 형성 영역
19 : 압력을 받는 물
20 : 압축 상태의 플라스틱제 기포 시트
21 : 트랩으로부터의 공기 흡입부
22 : 자기 폐쇄 스윙 플랩
23 : 힌지
24 : 하수 공기 입력부
25 : 트랩
26 : 플러싱 보드
27 : 캠
28 : 레버
도 1에는 저부에서부터 물 유입구(1), 다음에 비복귀 밸브(2), 및 고무 가스켓(5)을 구비하는 탱크 커버(4)로 이루어진 비어 있는 탱크(3)가 도시되어 있다. 기포 시트(6)- 기포는 팽창 모드(7)임 -와 분리 바스켓(8)으로 충전된 탱크는 플라스틱제 시트로 이루어진 하부 층을 포함한다. 분리 바스켓은 부동 패드(9) 상에 설치되고, 다음에 유출구는 플러싱 볼 밸브(10)로 통한다.
도 2에는 플러싱 밸브의 핸들(11)을 회전시키고, 물이 나선부(16)를 통과하여 노즐(17)에서 소용돌이 흐름으로 배출되는 경우의 플러싱 세트의 세부 사항이 도시되어 있다. 물이 주변 공기를 유입하여 미스트 영역(18)에서 미스트를 형성한다. 신선한 공기의 입력은 외부 파이프(13)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 외부 파이프는 스토퍼(15)에서 유지되는 부동 가스켓(14) 둘레를 지나가고, 코일 스프링(12)이 밸브를 폐쇄 상태로 복귀시킨다. 유입되는 흐름이 배수되는 물을 초과할 때, 물은 외부 파이프로 다시 돌아갈 수 있고, 다음에 부동 링이 상승하여 물이 주변 영역으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공기 통로(13)를 폐쇄할 것이다.
도 3에는 부동 패드(9)가 상승하여 분리 바스켓(8)을 유지하고 기포 시트(6)가 압력을 받는 상태의 충전된 탱크가 도시되어 있다. 플러싱 밸브(10)가 개방되면, 배출된 물과 미스트가 변기를 세척한다.
도 4에는 신선한 공기 입력부(13)를 하수 공기 입력부(24)로 대체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플러싱이 일어날 때, 유입되는 공기가 플랩(22)을 그 힌지(23)에서 스윙하게 하여 공기가 통과하게 된다. 플러싱 후, 플랩은 중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 악취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에는 플러싱 밸브 상의 플러싱 보드가 도시되어 있으며, 밸브 핸들이 캠(27)을 통해 3개의 레벨로 개방하며, 레버(28) 각각은 상이한 양의 플러싱을 허용할 것이다.
도 5에는 3개의 플러싱 핸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최상부의 핸들은 소변을 흘려 보내도록 최소량의 플러싱이 이루어지게 하고, 그 다음 핸들은 보다 긴 플러싱이 이루어지게 하며, 최하부 핸들은 최대량의 플러싱이 이루어지게 할 것이다.
상이한 용도를 위해 시판 중인 모든 재료가 이용 가능하다. 주요한 요건은 통상의 개방형 플러싱 탱크를 폐쇄형 플러싱 탱크로 바꾸는 것이고, 이것은 수압을 유지해야 한다. 대부분의 재료가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mist flushing) 장치로서,
    상기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 장치는, 압력을 받는 상태로, 시일된 압축 가능한 기포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 층으로 충전되는 밀폐형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시일된 압축 가능한 기포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 층은 초기 압력을 받는 상태에서 탱크를 충전하여 플러싱 밸브가 개방되면 물 전체가 밀폐형 탱크를 빠져나갈 때까지 물에 압력을 가하며, 상기 밀폐형 탱크는 이 밀폐형 탱크의 저부에서 물 공급부 및 플러싱 밸브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물은 주변 공기와 함께, 소량의 물을 이용하여 보울(bowl)을 효과적으로 세척하는 강력한 미스트 흐름을 형성하도록 노즐을 통과하고, 상기 공기는 보다 신속한 플러싱을 위해 진공을 생성하도록 트랩의 후방부로부터 흡입되며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윙 가능한 플랩을 통과하는 것인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탱크에 충전되는 압축 가능한 기포 플라스틱 시트는 상기 초기 압력과 동일한 최소 압력으로 밀폐형 탱크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보장하는 것인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탱크에 충전되는 압축 가능한 기포 플라스틱 시트는 플러싱을 용이하게 하는 물 스트림의 충격파를 형성하는 것인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탱크는, 플러싱 밸브가 플러싱을 위한 미스트 흐름을 형성하도록 개방될 때 이 밀폐형 탱크에 있는 물을 고속으로 노즐로 배출하는 것인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탱크는, 플러싱을 용이하게 하도록 진공이 생성되는 트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로부터 미스트 흐름을 형성하도록 플러싱 밸브가 개방될 때 이 밀폐형 탱크에 있는 물을 고속으로 노즐로 배출하는 것인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탱크는, 트랩으로부터의 공기를 이용하여, 미사용시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윙 가능한 플랩을 통과하는 미스트 흐름을 형성하도록, 압력을 받는 물과 노즐을 갖는 것인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밸브는 플러싱에 대해 3개의 상이한 양의 물을 형성하도록 상이한 개방도 또는 상이한 복귀 폐쇄 속도를 갖는 것인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 장치.
  8. 삭제
KR1020087015691A 2005-11-30 2005-11-30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 장치 KR101302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G2005/000038 WO2007062667A1 (en) 2005-11-30 2005-11-30 Mist flushing system for water clos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988A KR20080084988A (ko) 2008-09-22
KR101302791B1 true KR101302791B1 (ko) 2013-09-02

Family

ID=3809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691A KR101302791B1 (ko) 2005-11-30 2005-11-30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13274B2 (ko)
EP (1) EP1954895B1 (ko)
KR (1) KR101302791B1 (ko)
CN (1) CN101389815B (ko)
WO (1) WO2007062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9324B (el) * 2017-03-22 2018-07-06 Στυλιανος Χριστοφορου Κοντοροζης Καζανακι υπο πιεση ευρειας χρησεως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6772A (en) * 1992-07-09 1997-01-28 Hydac Technology Gmbh Toilet flushing system with multi-diaphragm storage container having three fluid receiving chambers
EP1132531A2 (en) * 2000-02-18 2001-09-12 Nikolaos Solomos W.C. pressure cistern with air bag and injec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22184A (fr) * 1959-04-22 1960-06-08 Chasse d'eau hydro-pneumatique
US4115883A (en) * 1977-05-31 1978-09-26 Dauvergne Hector A Diaphragm activated toilet
DE2820777A1 (de) * 1978-05-12 1979-11-15 Alois Schneider Toilettenspuelkasten
HUH3310A (en) * 1988-03-16 1989-10-30 Janos Zsambok Water closet flushing device
DE29901848U1 (de) * 1999-02-03 1999-04-15 Merlaku Kastriot Wasser-Druck-Klospüler
WO2000050700A1 (en) * 1999-02-22 2000-08-31 Perfecteau Llp A water efficient toilet
CN2506715Y (zh) * 2001-09-03 2002-08-21 刘小波 双存水弯马桶
CN2557603Y (zh) * 2002-08-15 2003-06-25 徐庭中 高压节水微型水箱
WO2007013518A1 (ja) * 2005-07-26 2007-02-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洗トイレ設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6772A (en) * 1992-07-09 1997-01-28 Hydac Technology Gmbh Toilet flushing system with multi-diaphragm storage container having three fluid receiving chambers
EP1132531A2 (en) * 2000-02-18 2001-09-12 Nikolaos Solomos W.C. pressure cistern with air bag and in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54895A1 (en) 2008-08-13
CN101389815A (zh) 2009-03-18
US8813274B2 (en) 2014-08-26
EP1954895A4 (en) 2010-07-14
US20100325787A1 (en) 2010-12-30
KR20080084988A (ko) 2008-09-22
EP1954895B1 (en) 2014-10-01
WO2007062667A1 (en) 2007-06-07
CN101389815B (zh) 201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2753B2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US8656525B2 (en) Sanitary war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ype
JP5456274B2 (ja) 洗浄タンク装置及び水洗式便器
JP2008240323A (ja) 水洗大便器
KR200202254Y1 (ko) 절수용 변기
JPH11256652A (ja) 節水型水洗便器兼用簡易水洗便器
KR101302791B1 (ko) 변기용 미스트 플러싱 장치
WO2009136549A1 (ja) 洗浄タンク装置及び水洗式便器
KR20040086075A (ko) 절수형 양변기
CN102251573B (zh) 壁挂折叠式节水座便器
KR20040026312A (ko) 절수형 양변기
RU2709746C2 (ru) Смыв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унитаза
KR20060123695A (ko) 물 절약형 양변기의 구조
CN215759406U (zh) 一种抽水马桶
CN212835748U (zh) 一种座便器
CN110857577B (zh) 坐便器及其水箱
CN2546526Y (zh) 无排水阀、不漏水的便器冲水装置
CN220644487U (zh) 一种马桶脉冲阀消泡机构
CN209779804U (zh) 一种泡沫发生装置及使用它的小便器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200301128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08725Y1 (ko) 절수형 양변기
CN207739345U (zh) 一种智能化泡沫型一体化蹲便系统
JP2001279793A (ja) 水洗便器の洗浄水吐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