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675B1 -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675B1
KR101302675B1 KR1020110094987A KR20110094987A KR101302675B1 KR 101302675 B1 KR101302675 B1 KR 101302675B1 KR 1020110094987 A KR1020110094987 A KR 1020110094987A KR 20110094987 A KR20110094987 A KR 20110094987A KR 101302675 B1 KR101302675 B1 KR 101302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arbitrary reg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429A (ko
Inventor
허준
손홍규
박효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94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67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이 수신한 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이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휴대 단말이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임의의 지역에 대한 관심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관심도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의 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정보의 유출과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가 없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nd recorded medium for rea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확한 위치 정보를 보호하면서도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의 제공이 가능하게 하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기술, 이동 통신 기지국 신호 특성을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기술, Wi-Fi와 같은 무선 랜(LAN: Local Area Network) 기반 측위 기술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위치 신호를 휴대 단말이 수신하여 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나 길 안내, 광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휴대 단말 사용자의 선호도 등을 분석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휴대 단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분석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로 제공되게 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개인 정보의 유출과 사생활 침해 등에 대한 우려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에서 수신한 위치 신호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하지 않으면 되지만 이러한 경우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는 방법과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일정한 주기로 삭제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는 경우라도 복호화 가능성이 있어 여전히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가 유출될 우려가 있으며, 암호화된 정보의 전달로 암호화 기술이 요구되고 암호화 및 복호화 등으로 인하여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량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일정한 주기로 삭제하는 방법의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 등이 적극적으로 시행하지 않을 수 있어 여전히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즉 개인 위치 정보의 유출이 여전히 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인 정보의 유출과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가 없이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하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암호화나 복호화 등의 데이터 처리량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도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하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의 장치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이 수신한 상기 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이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한 관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관심도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임의의 지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획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다각형 또는 입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한 관심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심도는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하여 미리 계산된 선호도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임의의 지역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하여 미리 계산된 선호도는,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한 상기 휴대 단말이 위치한 시간 정보와 위치한 횟수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이 수신한 위치 신호를 통해 계산되는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의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기술, 이동 통신 기지국 신호 특성을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기술 및 무선 랜(LAN: Local Area Network)기반 측위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의 장치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이 수신한 상기 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이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한 관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관심도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임의의 지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획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다각형 또는 입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한 관심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심도는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하여 미리 계산된 선호도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임의의 지역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하여 미리 계산된 선호도는,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한 상기 휴대 단말이 위치한 시간 정보와 위치한 횟수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이 수신한 위치 신호를 통해 계산되는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의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기술, 이동 통신 기지국 신호 특성을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기술 및 무선 랜(LAN: Local Area Network)기반 측위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개인 정보의 유출과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가 없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암호화나 복호화 등의 데이터 처리량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도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 범주 선호도가 계산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에서 휴대 단말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에게로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에게로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에는 영향이 없으면서도 휴대 단말의 정확한 위치는 파악하는 것이 어렵게 한다.
이를 위해서는 휴대 단말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에게로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범주화(classification)한다.
한편, 휴대 단말에서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종래와 같이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기술, 이동 통신 기지국 신호 특성을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기술, Wi-Fi와 같은 무선 랜(LAN: Local Area Network) 기반 측위 기술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위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휴대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 중에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한 즉 지피에스 측위 기술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휴대 단말에서 이러한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는 위치 신호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저장 영역에만 저장하고, 이러한 위치 신호를 인코딩(encoding)하여 처리된 정보만이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나 하드 디스크(hard disk)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직접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하지 않기 위해 휴대 단말의 직접적인 위치 정보가 아닌 휴대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과 관련된 선호도와 이를 이용한 관심도 정보를 제공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 즉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의 장치로 제공되는 관심도 정보를 계산하기 이용되는 선호도 정보가 계산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 범주 선호도가 계산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에게로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지피에스 좌표 정보가 아닌 지피에스 좌표 정보를 범주화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해 미리 구획과 구획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범주화하여 지역 정보를 설정한다(S100).
예를 들어 이러한 구획 정보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다각형이나 이러한 다각형들이 모여 형성되는 일정한 부피를 가지는 3차원의 입체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획 정보의 설정은 예를 들면 다음 [표 1]과 같이 고유 구획 번호와 다각형이 사각형인 경우 사각형의 마주보는 모서리 두 개의 지피에스 좌표값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획 공유번호 지피에스 좌표값1 지피에스 좌표값2
이러한 구획 정보가 설정되면 지역 정보를 설정하며, 지역 정보는 구획의 집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 [표 2]와 같이 지역 고유번호와 복수의 구획 고유번호 값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지역 고유번호
구획1 고유번호
구획2 고유번호
...
구획n 고유번호
이러한 구획 및 지역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 기록 정보를 생성한다(S102).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먼저 휴대 단말에서 수신한 지피에스 좌표로부터 앞서 설정된 구획 및 지역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지역 고유번호와 구획 고유번호를 찾아내는 것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는 다음 [표 3]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지역 고유번호 구획 고유번호
한편, 방문 기록 정보는 방문시간 순위값과 단말기 위치 정보, 방문 횟수 그리고 구획 정보와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 구성된다.
한편, 가장 최근에 방문할 지역일수록 높은 방문 시간 순위값을 가지며, 예전에 방문하여 방문 기록에 구획이 등록되어 있으면 방문 시간 순위값을 갱신하면서 다른 지역에 대한 방문 시간 순위값도 동시에 갱신한다.
그리고 만약 처음으로 방문한 구획이면 새로이 등록하면서 가장 높은 방문 시간 순위값을 가지게 되며, 방문 기록이 등록된 다른 지역들의 방문 시간 순위값은 하나씩 감소시킨다.
그리고 방문 기록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이 가득찬 경우에는 방문 시간 순위값이 낮은 지역의 정보를 삭제하여 새로운 정보가 저장될 공간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되는 방문 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구획과 지역에 대한 범주 선호도를 계산한다(S106).
범주 선호도는 방문 횟수 즉 해당 구획이나 지역에 휴대 단말이 위치한 횟수와 방문 시간 즉 해당 구획이나 지역에 휴대 단말이 위치하였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즉 방문 횟수 즉 해당 구획이나 지역에 휴대 단말이 위치한 횟수가 많으면 범주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계산하고, 현재 방문 시간과 가장 최근의 방문 시간의 차이가 크면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계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전의 방문 시간들 사이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방법으로 계산된 범주 선호도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사업자에게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휴대 단말이 수신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이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200).
이때 휴대 단말이 수신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한편, 만약 휴대 단말이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임의의 지역에 대한 관심도 정보를 계산한다(S202).
관심도 정보는 앞서 살펴본 범주 선호도와 임의의 지역과 휴대 단말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즉, 임의의 지역에 대한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임의의 지역에 대한 범주 선호도가 높을수록 관심도 정보가 보다 높게 계산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범주 선호도 정보와 관심도 정보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가 아닌 플래쉬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계산된 관심도 정보는 휴대 단말에서 이동 통신망 등의 통신망을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의 장치로 전송되게 된다(S204).
한편, 휴대 단말로부터 휴대 단말의 정확한 위치 정보 예를 들면 지피에스 신호로부터 계산되는 좌표 정보와 같은 정보가 아닌 관심도 정보를 수신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는 이러한 관심도 정보만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광고 제공의 경우 비록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까지는 알 수 없으나, 사용자가 해당 지역과 상대적으로 인접해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해당 지역을 자주 방문하는 등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해당 지역 업체의 광고를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의 입장에서도 사용자의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므로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여 수신하거나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삭제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건물 내로 진입하여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도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의 절대적인 위치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관심도 정보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휴대 단말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위치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의 장치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이 수신한 상기 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이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한 관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관심도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한 관심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심도는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하여 미리 계산된 선호도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임의의 지역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지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획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다각형 또는 입체형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하여 미리 계산된 선호도는,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한 상기 휴대 단말이 위치한 시간 정보와 위치한 횟수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이 수신한 위치 신호를 통해 계산되는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의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기술, 이동 통신 기지국 신호 특성을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기술 및 무선 랜(LAN: Local Area Network)기반 측위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7. 위치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의 장치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이 수신한 상기 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이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한 관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관심도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임의의 지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한 관심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관심도는 상기 임의의 지역에 대하여 미리 계산된 선호도와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임의의 지역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10094987A 2011-09-21 2011-09-21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302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987A KR101302675B1 (ko) 2011-09-21 2011-09-21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987A KR101302675B1 (ko) 2011-09-21 2011-09-21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429A KR20130031429A (ko) 2013-03-29
KR101302675B1 true KR101302675B1 (ko) 2013-09-03

Family

ID=4818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987A KR101302675B1 (ko) 2011-09-21 2011-09-21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6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153A (ko) * 2005-05-13 2006-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지역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20080045331A (ko) * 2006-11-20 2008-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선호도 기반의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장치 및 방법
KR20100052317A (ko) * 2008-11-10 2010-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특정 지역에서 사용자 위치와 선호도에 기반한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060829A (ko) * 2008-11-28 2010-06-07 한국과학기술원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153A (ko) * 2005-05-13 2006-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지역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20080045331A (ko) * 2006-11-20 2008-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선호도 기반의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장치 및 방법
KR20100052317A (ko) * 2008-11-10 2010-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특정 지역에서 사용자 위치와 선호도에 기반한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060829A (ko) * 2008-11-28 2010-06-07 한국과학기술원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429A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7096B2 (en)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safe zones and safe routes of a device
US8305271B2 (en) Cuckoo hashing to store beacon reference data
JP5653647B2 (ja) 移動体ユーザ装置の存在の予測
KR101451883B1 (ko) 3단계 절차를 이용한 실내 층 및 위치의 예측
US9510145B2 (en) Battery-saving in geo-fence context method and system
US8938245B2 (en) Wireless transmitter identity or positioning information partitioning
JP4407691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保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1280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device positioning using compressed fingerprint archives
EP26773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mantic location in electronic device
US20150351017A1 (en) Verifying stored location data for WLAN access points
CN102972072A (zh) 使用无线lan信号的位置定位方法和装置
US100389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positioning interval of a mobile terminal
CN102546656A (zh) 在社交网络中查找用户的方法、系统和装置
CN104185276B (zh) 一种基于无线网络的定位方法及装置
US20180184253A1 (en)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safe zones and safe routes of a device
US10517063B2 (en) Enhancing an estimate of the lo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by using one or more types of identifiers of a wireless network
US20160142883A1 (en) Mobile Device Location Estimation Using Categorized Local Location Data From Various Sources
CN105101089B (zh) 一种实现定位的方法、相关装置及系统
JP2015158799A (ja) 時空間クラスタリング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02675B1 (ko)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Miura et al. A hybrid method of user privacy protection for location based services
US20180180429A1 (en)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safe zones and safe routes of a device
JP5942404B2 (ja) 情報解析装置、情報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Miura et al. Evaluation of a hybrid method of user location anonymization
Hou et al. OFC: an approach for protecting location privacy from location provider in location-based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