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155B1 -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 - Google Patents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155B1
KR101302155B1 KR1020100123324A KR20100123324A KR101302155B1 KR 101302155 B1 KR101302155 B1 KR 101302155B1 KR 1020100123324 A KR1020100123324 A KR 1020100123324A KR 20100123324 A KR20100123324 A KR 20100123324A KR 101302155 B1 KR101302155 B1 KR 10130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s
wire mesh
bent portion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6030A (ko
Inventor
염상봉
Original Assignee
기술뱅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술뱅크(주) filed Critical 기술뱅크(주)
Publication of KR2011012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14Specially bending or deforming free wire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20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plaster-carrying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에 관한 것으로,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철선들; 상기 제 1 철선들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철선들과 교차하는 교차점들이 용접되어 상기 제 1 철선들과 결합되는 복수의 제 2 철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철선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철선과의 교차점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제 1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철선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철선과의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철선의 직경 보다 적어도 1배 이상 돌출된 상태에서 하향 절곡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SELFSUPPORT WELDED WIRE MESH}
본 발명은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건축 및 토목공사에서 아파트, 공장, 마당 및 도로의 바닥 또는 농로를 시공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 후의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전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접철망(10)을 설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접철망(10)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 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바닥면에 별도의 고임대를 설치하고 고임대 위에 용접철망(10)을 올려놓음으로써 바닥면과 용접철망(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고임대를 설치하는 작업이 번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관계로 고임대 설치를 생략하고 콘크리트 투입 시 작업자가 임의로 발로 밟으면서 간격을 벌리는 작업을 별도로 시도했으나 바닥면과 용접철망(10) 사이의 간격이 불규칙해지고, 양생된 콘크리트 내에서의 용접철망(10)의 설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관계로 콘크리트 강도의 위치별 차이로 인해 부실공사의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철망의 망목을 절단해서 만들어진 망목 절단부(22)를 수직으로 절곡해서 바닥 간격을 유지하는 망목절단 용접철망(20)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망목절단 용접철망(20)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 후 망목의 절단 부위에서 콘트리트의 강도 저하 및 콘크리트 표면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부지가 넓은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접철망(10 또는 20)들을 연속하여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연속하여 설치되는 용접철망(10 또는 20)들의 상호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인접한 용접철망(10 또는 20)들을 정렬시킨 후 이들을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작업이 발생할 뿐 아니라 정밀하게 정렬하기도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고임대를 설치하지 않고도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하여 설치된 용접철망들을 견고하게 자동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은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철선들; 상기 제 1 철선들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철선들과 교차하는 교차점들이 용접되어 상기 제 1 철선들과 결합되는 복수의 제 2 철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철선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철선과의 교차점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제 1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철선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철선과의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철선의 직경 보다 적어도 1배 이상 돌출된 상태에서 하향 절곡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복수의 제 2 철선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철선과의 교차점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제 3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철선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철선과의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제 1 철선의 직경 보다 적어도 1배 이상 돌출된 상태에서 하향 절곡되는 제 4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절곡부의 길이는 상기 제 2 절곡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 3 절곡부의 길이는 상기 제 4 절곡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에 의하면 제 1 절곡부와 제 3 절곡부가 용접철망의 적어도 2면에 형성되어 고임대로서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교차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 2 절곡부와 제 4 절곡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넓은 면적에 걸쳐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할 경우 인접하여 설치된 용접철망들과 견고하고 손쉽게 결합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한 용접철망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철망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망목절단 용접철망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의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 어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100)은 제 1 방향(예를들면,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철선들(110)과, 상기 제 1 철선들(110) 교차하는 제 2 방향(예를들면,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철선들(130)을 포함한다. 제 1 철선들(110)과 제 2 철선들(130)은 예를 들면용접에 의해 각 교차부가 서로 결합되어 용접철망(100)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제 1 철선들(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 양단부 또는 적어도 일단부가 최외측의 제 2 철선(130)과 교차하는 교차점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제 1 절곡부(111a)와, 제 1 철선(110)의 양단부 또는 적어도 일단부가 최외측의 제 2 철선(130)과 교차하는 교차점으로부터 제 2 철선(130)의 직경 d2보다 적어도 1배 이상 돌출된 상태에서 하향 절곡되는 제 2 절곡부(111b)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제 1 절곡부(111a)의 길이는 제 2 절곡부(111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제 2 철선들(13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 양단부 또는 적어도 일단부가 최외측의 제 1 철선(110)과 교차하는 교차점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제 3 절곡부(131a)와, 제 2 철선(130)의 양단부 또는 적어도 일단부가 최외측의 제 1 철선(110)과 교차하는 교차점으로부터 제 1 철선(110)의 직경 d1보다 적어도 1배 이상 돌출된 상태에서 하향 절곡되는 제 4 절곡부(131b)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제 3 절곡부(131a)의 길이는 상기 제 4 절곡부(131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 1 절곡부(111a)와 제 3 절곡부(131a)는 고임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제 2 절곡부(111b)와 제 4 절곡부(131b)는 각각 상술한 용접철망(100)이 적어도 2 이상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걸림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용접철망(100)에 의하면 고임대로서의 기능을 하는 제 1 절곡부(111a)와 제 3 절곡부(131a)가 용접철망(100)의 적어도 2변에 형성되어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철망(100)이 바닥에 설치될 경우 바닥부로부터 굽혀진 철선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절곡부(111b)와 제 4 절곡부(131b)가 제 1 철선(110)의 직경 d1 또는 제 2 철선(130)의 직경 d2보다 적어도 1배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어 걸림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고, 이들이 용접철망(100)의 적어도 1변에 형성되면 넓은 영역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할 경우에도 여러 개의 용접철망(100)을 손쉽게 상하좌우로 덧붙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의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 어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3개의 용접철망(100-1, 100-2, 100-3)이 결합되어 사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용접철망((100-1, 100-2, 100-3)은 제 1 용접철망(100-1)의 제 2 절곡부(111b)가 제 2 용접철망(100-2)의 제 2 철선(130')의 직경 d2보다 적어도 1배 이상 크기로 돌출되어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용접철망(100-1)의 제 2 절곡부(111b)는 제 2 용접철망(100-2)의 제 2 철선(130')과 중첩시 제 2 용접철망(100-2)의 제 2 철선(130')이 제 1 용접철망(100-1)의 제 2 절곡부(111b)의 돌출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용접철망(100-1)의 제 4 절곡부(131b)가 제 3 용접철망(100-3)의 제 1 철선(110'')의 직경 d1보다 적어도 1배 이상 크기로 돌출되어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용접철망(100-1)의 제 4 절곡부(131b)는 제 3 용접철망(100-3)의 제 1 철선(110'')과 중첩시 제 1 철선(110'')이 제 4 절곡부(131b)의 돌출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3개의 용접철망들(100-1, 100-2, 100-3)간의 결합이 별도의 결합작업 없이 견고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라인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의 제조방법은, 제 1 철선 배치단계(S1), 제 2 철선 배치단계(S2), 용접단계(S3), 절단단계(S4), 제 1 철선의 수직굽힘단계(S5), 및 제 2 철선의 수직굽힘단계(S6)를 포함한다.
우선,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준비한다. 상기 제조장치는 이송유닛(10), 제 2 철선투입기(20), 자동용접기(30), 자동 절단기(40), 제 1 철선 수직굽힘기(50) 및 제 2 철선 수직굽힘기(60)를 포함한다.
제 1 철선 배치단계(S1)에서는 철망의 격자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기 위해 타래에 감긴 다수의 제 1 철선(110)을 제 1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w)이 유지되도록 배치한다.
제 2 철선 배치단계(S2)에서는 제 1 철선(110)의 배치가 완료된 후, 제 2 철선 투입기(20)를 이용하여 이송유닛(10)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철선(110)의 상부에 제 1 철선(110)과 교차하도록 제 2 방향(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일정 간격(w)이 유지되도록 제 2 철선(130)을 배치한다. 여기에서, 제 1 철선(110) 상에 배치되는 제 2 철선(130)은 미리 일정 길이로 절단된 철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철선의 배치간격과 제 2 철선의 배치간격이 동일한 간격(w)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간격을 서로 다르게 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자동 용접단계(S3)에서는 제 1 철선(110)의 상부에 제 2 철선(130)이 배치된 후, 자동 용접기(30)를 이용하여 이송라인(10)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철선(110)과 제 2 철선(130)의 교차부를 용접하여 제 1 및 제 2 철선(110, 130)을 결합시킨다.
절단단계(S4)에서는 용접되어 결합된 제 1 및 제 2 철선(110, 130)을 자동 절단기(40)를 이용하여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다. 제 2 철선(130)은 미리 절단된 상태로 공급되었기 때문에 이 절단 공정에서는 제 1 철선(110)이 절단된다.
제 1 철선의 수직굽힘단계(S5)에서는 제 1 철선 수직굽힘기(50)를 이용하여 제 1 철선(110)에 제 1 절곡부(111a) 및 제 2 절곡부(111b)를 형성한다.
제 2 철선의 수직굽힘 단계(S6)에서는 제 2 철선 수직굽힘기(60)를 이용하여 제 2 철선에 제 3 절곡부(131a)와 제 4 절곡부(131b)를 형성한다.
제 1 철선(110)의 제 1 및 제 2 절곡부(111a, 111b)와 제 2 철선(130)의 제 3 및 제 4 절곡부(131a. 131b)의 형성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과 관련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동 용접단계(S3) 이후에 제 1 철선(110)을 절단하였으나, 이와 달리 자동용접 단계(S3) 후에 제 1 철선(110)및 제 2 철선(130)을 먼저 구부린 후 제 1 철선(110)을 절단하는 공정을 가장 나중에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 1 방향을 x축 방향, 제 2 방향을 y축 방향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그 방향이 특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한 도 3 및 도 4에서는 제 1 철선의 제 1 및 제 2 절곡부와 제 2 철선의 제 3 및 제 4 절곡부가 특정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및 제 3 절곡부가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하고 제 2 및 제 4 절곡부가 걸림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용접철망 110: 제 1 철선
111a: 제 1 절곡부 111b: 제 2 절곡부
130: 제 2 철선 131a: 제 3 절곡부
131b: 제 4 절곡부

Claims (3)

  1.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철선들;
    상기 제 1 철선들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철선들과 교차하는 교차점들이 용접되어 상기 제 1 철선들과 결합되는 복수의 제 2 철선들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철선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철선과의 교차점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제 1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철선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철선과의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철선의 직경 보다 적어도 1배 이상 돌출된 상태에서 하향 절곡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들 중에서,
    제 1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의 제 1 철선의 제 2 절곡부는 상기 제 1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과 이웃하는 제 2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의 최외측 제 2 철선과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의 제 1철선의 제 1 절곡부는 상기 제 1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의 최외측 제 2 철선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 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철선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철선과의 교차점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제 3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철선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철선과의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제 1 철선의 직경 보다 적어도 1배 이상 돌출된 상태에서 하향 절곡되는 제 4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 어레이.


  3. 삭제
KR1020100123324A 2010-05-14 2010-12-06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 KR101302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229 2010-05-14
KR1020100045229A KR20100068349A (ko) 2010-05-14 2010-05-14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030A KR20110126030A (ko) 2011-11-22
KR101302155B1 true KR101302155B1 (ko) 2013-08-30

Family

ID=423667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229A KR20100068349A (ko) 2010-05-14 2010-05-14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 및 그 제조방법
KR1020100123324A KR101302155B1 (ko) 2010-05-14 2010-12-06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229A KR20100068349A (ko) 2010-05-14 2010-05-14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000683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8486B (zh) * 2017-05-08 2019-03-29 山东科技大学 一种空间网格型钢管混凝土柱连接节点及方法
CN110252911B (zh) * 2019-07-21 2024-03-26 河北骄阳焊工有限公司 加气板用钢筋网多工位焊接生产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5776A (ja) * 1974-09-20 1976-03-26 Nippon Steel Corp Yosetsunyorukanaaminoseizohoho
JP2002331515A (ja) 2001-05-11 2002-11-19 Asahi Kasei Corp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補強筋構造
KR20080108889A (ko) * 2007-06-11 2008-12-16 최오영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
KR20090057505A (ko) * 2007-12-03 2009-06-08 최오영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5776A (ja) * 1974-09-20 1976-03-26 Nippon Steel Corp Yosetsunyorukanaaminoseizohoho
JP2002331515A (ja) 2001-05-11 2002-11-19 Asahi Kasei Corp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補強筋構造
KR20080108889A (ko) * 2007-06-11 2008-12-16 최오영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
KR20090057505A (ko) * 2007-12-03 2009-06-08 최오영 용접철망 및 이형용접철망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349A (ko) 2010-06-23
KR20110126030A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345B1 (ko)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JP5406563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2177360B1 (ko) 전단벽 시공용 피씨 더블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시공방법
US20060059804A1 (en) Components for use in large-scale concrete slab constructions
KR101449708B1 (ko) 전단보강용 철근을 이용한 덧침 콘크리트와의 일체성 향상 및 중공슬래브의 전단내력 향상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02155B1 (ko) 고임대 일체형 용접철망
KR20170013009A (ko)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이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및 우수저류조의 시공방법
JP6291178B2 (ja) 柱梁構造
KR101827381B1 (ko) 더블 월 피씨에 의한 구조물의 복수 층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2016079695A (ja) 梁の構築方法および梁用プレキャスト板
KR101698548B1 (ko) 벽 타설용 폼블록용 브릿지 및 폼블록 장치
JP2754369B2 (ja) 建築構造物のボイドスラブ用鉄筋ユニット
JP2015140586A (ja) 独立基礎の配筋構造及び独立基礎
JP6177151B2 (ja) 独立基礎の配筋構造及び独立基礎
JP2017172148A (ja) 配筋用スペーサおよび合成スラブの施工方法
JP2016118047A (ja) 床スラブ用コンクリート板および床スラブ
JP7076101B2 (ja) 合成スラブの施工方法
KR20180101678A (ko) 합벽지지대용 앙카볼트
JP5506114B2 (ja) 検測枠並びにこれを用いた法面保護工法及び構造体
KR100375485B1 (ko) 전기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CN108425453B (zh) 一种施工缝留设结构的施工方法
JP5685329B2 (ja) 検測枠並びにこれを用いた法面保護工法及び構造体
JP2018090980A (ja) 型枠ユニット及び法面補強工法
JP2018087435A (ja) 合成スラブ用デッキプレ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合成スラブの施工方法
JP201721472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梁接合構造、および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梁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