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130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계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계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130B1
KR101302130B1 KR1020070004294A KR20070004294A KR101302130B1 KR 101302130 B1 KR101302130 B1 KR 101302130B1 KR 1020070004294 A KR1020070004294 A KR 1020070004294A KR 20070004294 A KR20070004294 A KR 20070004294A KR 101302130 B1 KR101302130 B1 KR 101302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image
area
screen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7114A (ko
Inventor
정회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4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13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계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기화면에 배경이미지 및 시계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대기화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그 중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에 시계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대기화면에 출력되는 배경이미지에 대응하여 시계이미지가 출력됨으로써, 시계이미지에 의한 배경이미지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대기화면, 이미지, 시계출력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계표시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lock indic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다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10 : 메모리
120 : 음향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입력부 150 : 무선무선통신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계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대기화면의 배경이미지에 대응하여 시계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계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물, 풍경등의 다양한 이미지로 대기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를 대기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대기화면에 소정 이미지와 함께 시계가 출력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화면에 출력되는 시계의 위치 및 크기가 고정되어, 대기화면의 이미지 변경시 화면에 출력되는 시계에 의해 대기화면의 이미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화면에 출력된 이미지에 따라 시계의 위치 및 크기등의 시계설정이 자동으로 변경되어, 대기화면에 출력된 시계에 의해 대기화면의 이미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계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화면에 배경이미지 및 시계이미지가 함께 출력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시계이미지의 기본 사이즈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의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을 검색하여, 검색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시계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표시방법은 시계이미지의 기본 사이즈에 따라 대기화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영역의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이 검색되면, 검색된 영역에 상기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상기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대기화면에 상기 시계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부(140), 메모리(110), 무선통신부(150), 음향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입력부(140)는 숫자키, 방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달하여,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한다. 무선통신부(150)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음향처리부(120)는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증 폭하여 스피커등으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등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메모리(110)는 화면에 출력되는 다수의 이미지 및 대기화면에 출력되는 이미지와 그에 따른 시계의 설정이 저장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을 포함하며, 입력된 신호에 따른 데이터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00)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화면에 배경이미지 및 시계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10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변경된 배경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대기화면에 출력되도록 하고, 배경이미지의 여백에 시계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시계이미지의 시계설정을 변경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변경된 시계설정에 따른 시계이미지가 배경이미지와 함께 출력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대기화면에 배경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한다(S200). 이때, 제어부(100)는 배경이미지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시계이미지의 시계설정을 변경하며, 경우에 따라 시계설정을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부(140)의 입력을 통해 확인하여 시계설정을 변경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화면에 출력된 배경이미지의 데이터를 색정보로 변환하며, 이때 색정보는 Red, Blue, Green에 대한 RGB 색좌표값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배경이미지에 따른 타이밍 제어신호 및 색정보에 대응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화소에 각각 전압을 인가하며, 이때 배경이미지는 타이밍 제어신호에 의해 인가된 전압으로 각 화소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가 turn-on 상태로 전환되고, 전환된 후 색정보에 따라 각 화소에 전압이 인가되어 배광(back-light)의 빛이 투과됨으로써, 화면에 출력된다.
제어부(100)는 시계이미지의 기본 사이즈에 따라 화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S210). 이때 시계이미지의 기본 사이즈는 시계이미지가 출력되기 위한 영역의 크기로,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 기존에 설정된 시계이미지의 사이즈일 수 있다.
제어부(100)는 분할된 영역에 존재하는 각 화소의 색정보를 확인하고(S220), 분할된 영역에서 확인한 색정보에 따른 색정보의 편차를 연산하여, 연산한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을 검색한다(S230). 이때, 제어부(100)는 확인한 화소의 색정보에서 Red, Blue, Green의 각각에 대한 편차를 연산한다.
제어부(100)는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이 검색되면(S240), 검색된 영역에 시계이미지가 위치되도록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한다(S260). 이때, 제어부(100)는 검색된 영역이 다수인 경우, 검색된 영역 중 색정보의 편차가 가장 작은 영역에 대응하여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이 검색되지 않으면(S240), 분할된 영역의 사이즈를 소정 비율로 축소하거나, 기 설정된 사이즈의 변화에 따라 사이즈를 축소하여 화면을 재분할한다(S250). 예를 들어, 제어부 (100)는 화면을 3x4의 영역으로 분할한 경우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이 검색되지 않으면, 분할된 영역의 가로 및 세로를 2배로 축소하여, 6x8의 영역으로 재분할한다. 또는 제어부(100)는 화면을 3x4의 영역으로 분할한 경우, 3x4, 4x5, 6x8등으로 기 설정된 시계이미지의 사이즈 변화에 따라 화면을 4x5의 영역으로 재분할한다.
제어부(100)는 설정된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포함한 시계설정에 따라, 시계이미지가 화면에 미리보기 형식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시계이미지의 시계설정이 입력부(140)의 입력을 통해 유지 또는 변경되도록 한다(S270).
제어부(100)는 시계설정을 유지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에 따른 시계이미지가 배경이미지와 함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S290).
또는 제어부(100)는 시계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S280), 설정된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포함한 시계설정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변경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변경된 시계설정에 따라 화면에 시계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한다(S280). 이때 시계이미지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시계이미지로 출력된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100)는 소정 횟수이상 화면을 재분할하여도,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이 검색되지 않으면, 시계이미지를 출력할 영역이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메시지 출력 후,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가 설정되도록 하여, 설정된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시계이미지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대기화면에 출력된 배경이미지 및 시계이미지를 도시한 도이고, 도 3의 (b)는 배경이미지가 변경된 화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3의 (c)는 변경된 배경이미지에 대응하여 설정된 시계이미지가 출력된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3의 (a)와 같이 배경이미지 및 시계이미지가 함께 출력된 대기화면에서, 제어부(100)는 소정키가 입력되면 도 3의 (b)와 같이 배경이미지를 변경하여 화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종래의 경우 제어부(100)는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설정이 고정되어, 배경이미지의 변경에 상관없이 동일한 위치 및 동일한 크기로 시계이미지(300)가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00)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출력된 배경이미지에 대응하여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재설정하고, 설정된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시계이미지(310)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대기화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4의 (b)는 배경이미지를 변경한 화면을 도시한 도이이다. 도 4의 (c)는 시계이미지의 기본사이즈로 분할된 화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4의 (d)는 축소된 사이즈로 분할된 영역에 시계이미지가 출력된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4의 (a)와 같이 대기화면에 출력된 배경이미지 및 시계이미지에서, 도 4의 (b)와 같이 배경이미지가 변경되어 화면에 출력되면, 제어부(100)는 화면에 출력된 배경이미지에 대응하는 시계이미지를 설정한다. 이때, 종래의 경우, 제어부 (100)는 화면에 출력된 배경이미지와 상관없이 동일한 위치 및 동일한 크기의 시계이미지(305)를 화면에 출력한다.
도 4의 (c)와 같이 3x4의 영역으로 분할된 화면에서, 분할된 영역 중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이 검색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4x5의 영역으로 재분할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재분할된 영역에서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을 재검색하여, 검색된 영역 중 색정보의 편차가 가장 작은 영역에 시계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한다. 제어부(100)는 설정된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화면에 시계이미지(315)가 출력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표시방법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된 화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5의 (a)는 시계설정의 변경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5의 (b)는 자동으로 설정된 시계설정의 유지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c)는 수동으로 시계설정이 변경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5의 (d)는 수동으로 변경된 시계이미지가 출력된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소정키가 입력되면 팝업창(400)을 생성하여, 입력된 신호에 따라 배경이미지에 대응하는 시계설정의 설정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00)는 팝업창(400)을 통해 시계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배경이미지에 대응하는 시계이미지 의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하여 화면에 미리보기 형식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미리보기 형식으로 출력된 시계이미지(450)에 따른 시계설정의 유지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팝업창(410)을 생성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생성된 팝업창(410)을 통해 시계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시계설정이 변경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옵션'키(420)가 입력되면, 시계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위치변경메뉴(430) 및 시계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크기변경메뉴(440)를 화면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위치변경메뉴(430) 및 크기변경메뉴(440) 중 어느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면, 방향키 또는 숫자키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시계이미지(450)의 위치 또는 크기를 변경하여,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 시계이미지(460)를 화면에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다른 도면이다. 도 6의 (a)는 대기화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6의 (b)는 자동으로 설정된 시계이미지가 출력된 화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6의 (c)는 수동으로 설정된 시계이미지가 출력된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6의 (a)와 같이 대기화면에 출력된 배경이미지 및 시계이미지에서, 제어부(100)는 도 6의 (b)와 같이 대기화면에 출력되는 배경이미지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소정키가 입력되면,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설정된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입력된 신호에 따라 변경하여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계표시방법은 대기화면에 출력된 배경이미지에 대응하여 시계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시계이미지에 의해 배경이미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심리적 반감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면에 출력된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의 변경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시계이미지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시계이미지의 기본 사이즈에 따라 대기화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영역의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이 검색되면, 검색된 영역에 상기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상기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대기화면에 상기 시계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표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정보는 화면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RGB 색좌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표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분할된 영역의 사이즈를 소정 비율로 축소하여 화면을 재분할하여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표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영역이 다수인 경우, 각 영역에 대한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하고, 설정한 시계이미지가 해당 영역에 차례로 출력되도록 하여, 입력된 신호에 의해 그 중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표시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소정키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설정된 상기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가 변경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표시방법.
  6. 대기화면에 배경이미지 및 시계이미지가 함께 출력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시계이미지의 기본 사이즈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의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을 검색하여, 검색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시계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정보의 편차가 소정 임계치 이하인 영역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분할된 영역의 사이즈를 소정 비율로 축소하여 화면을 재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영역이 다수이면, 각 영역에 상기 시계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여, 입력된 신호에 의해 그 중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키가 입력되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시계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색정보는 상기 배경이미지의 RGB 색좌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04294A 2007-01-15 2007-01-1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계표시방법 KR101302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294A KR101302130B1 (ko) 2007-01-15 2007-01-1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계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294A KR101302130B1 (ko) 2007-01-15 2007-01-1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계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114A KR20080067114A (ko) 2008-07-18
KR101302130B1 true KR101302130B1 (ko) 2013-08-30

Family

ID=3982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294A KR101302130B1 (ko) 2007-01-15 2007-01-1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계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1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905A1 (ko) * 2017-12-20 2019-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전력 상태에서 이미지들의 출력 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743A (ko) * 2002-11-07 2004-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면 분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743A (ko) * 2002-11-07 2004-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면 분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905A1 (ko) * 2017-12-20 2019-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전력 상태에서 이미지들의 출력 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CN111492422A (zh) * 2017-12-20 2020-08-04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低功率状态下同步图像的输出定时的显示驱动器电路
US11238771B2 (en) 2017-12-20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river circuit for synchronizing output timing of images in low power state
CN111492422B (zh) * 2017-12-20 2023-11-28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低功率状态下同步图像的输出定时的显示驱动器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114A (ko) 200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0967B1 (en) Color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RU2656729C2 (ru)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жидких кристал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US9497405B2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ideos side by side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and method for the same
JP505846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2017014071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4403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video over a network
KR20170022967A (ko) 아이콘 배지 표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9496428B (zh) 显示装置和记录介质
TW202141005A (zh) 集成驅動裝置及其操作方法
JP2007150831A (ja) 携帯端末、表示方法
JP5146318B2 (ja) 表示方法、表示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及び表示コントローラ
US20080136794A1 (en) Input devices incorporating pixels and photo sensors
US20170018097A1 (en) Image Displaying Methods, Devices, and Storage Media
US97168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diting map acquired from server
KR10207032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EP36210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3021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시계표시방법
CN104933985B (zh) 显示基板、显示装置和显示基板驱动方法
US20090033675A1 (en) Display for a mobile termi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2009204988A (ja) 携帯端末及び画面表示方法
JP2007036702A (ja) 携帯情報端末及び表示制御方法
US20150356933A1 (en) Display device
KR10069197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바탕화면 설정 방법
CN114003191A (zh) 一种屏幕显示方法,装置及介质
CN114697597A (zh) 帧率切换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和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