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016B1 - Canister ascending and descending system, and ship incldu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nister ascending and descending system, and ship incldu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016B1
KR101302016B1 KR1020110101537A KR20110101537A KR101302016B1 KR 101302016 B1 KR101302016 B1 KR 101302016B1 KR 1020110101537 A KR1020110101537 A KR 1020110101537A KR 20110101537 A KR20110101537 A KR 20110101537A KR 101302016 B1 KR101302016 B1 KR 101302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ister
pulley
cable
trunk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37249A (en
Inventor
안철수
김대경
신순성
이재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016B1/en
Publication of KR2013003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2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0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선체에 마련된 트렁크 내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캐니스터, 캐니스터에 연결된 상승용 케이블과 하강용 케이블, 상승용 케이블 또는 하강용 케이블에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캐니스터 구동부 및 상승용 케이블과 하강용 케이블이 각각 감겨 있는 도르래부를 포함하는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 canister elevating system and a vessel compris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nister movable along a trunk provided in a hull, a cable for lifting and a cable for descending, a cable for lifting or a cable for descending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A canister elevating system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a canister drive unit for applying a force and a pulley portion in whic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cables are respectively wound.

Description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CANISTER ASCENDING AND DESCENDING SYSTEM, AND SHIP INCLDUING THE SAME}Canister lifting system and ship including the same {CANISTER ASCENDING AND DESCENDING SYSTEM, AND SHIP INCLDUING THE SAME}

본 발명은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ister elevating system and a vessel comprising the same.

스러스터 시스템은 수면 위에 부유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 등의 위치 조정 및 제어에 사용된다. 스러스터 시스템은 주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하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며 횡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현재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Thrust systems are used to position and control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that float above water. The thruster system is mainly installed on or under the ship or offshore structure and rotates in the transverse or arbitrary direction to move the ship or offshore structure to the required position or maintain its current position.

스러스터 시스템은 선체 하부에 설치되며 이로 인해 선체하부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스러스터 시스템은 선박 운항 중에는 저항체가 되어 선박의 운항효율을 저하시킨다. 또한 스러스터의 설치가 대부분 선체 하부에서 진행되므로 다이버(diver)에 의한 작업이 필수적이어서 스러스터에 대한 설치/해체 작업이 위험하고 복잡하여 스러스터에 대한 설치/해체 효율이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선박운항 중 스러스터 시스템이 고장나면 수리 작업이 복잡해지고, 선박 하부로부터 돌출된 스러스터 시스템은 선체 수리를 위한 선박의 도크 재진입(redocking)을 어렵게 만든다. The thruster system is installed under the hull, thereby protruding from the underside of the hull. Therefore, the thruster system becomes a resisto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hip, thereby degrading the ship's operating efficiency. 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installation of the thruster procee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hull, the work by the diver is essential, and thus the installation / dismantling operation of the thruster is dangerous and complicated, thereby lowering the installation / disassembly efficiency of the thruster. In addition, the failure of the thruster system during ship operation complicates repair work, and the thruster system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ship makes it difficult to redock the ship's dock for hull repai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동적위치유지 모드(DP mode : Dynamic Positioning mode)에서 스러스터를 선체 외부로 돌출시키고, 운항 중에는 스러스터를 선체 내부로 집어넣는 스러스터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hruster system protruding the thruster out of the hull in a dynamic positioning mode (DP mode) and inserting the thruster into the hull during operation is proposed.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캐니스터(canister)라는 구조물 하부에 설치된 스러스터를 트렁크 내부에 회수하며, 캐니스터를 스러스터의 유지보수(maintenance)를 위한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retrieves a thruster installed under the structure called a canister in the trunk and can move the canister to a position for maintenance of the thruster.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랙 기어(rack gear)와 피니언 기어(pinion gear)를 통하여 캐니스터를 이동시키거나 짧은 스트로크(stroke)를 지닌 실린더(cylinder)의 반복동작을 통하여 캐니스터를 이동시킨다.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moves the canister through rack gears and pinion gears or moves the canisters through repetitive motions of cylinders with short strokes.

랙 기어(rack gear)와 피니언 기어(pinion gear)를 통하여 캐니스터를 이동시킬 경우 랙기어의 길이는 캐니스터의 스트로크보다 커야한다. 따라서 랙기어의 길이 및 캐니스터의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랙기어의 길이가 증가할 경우 이븐니스(evenness)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설치 정밀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When moving the canister through rack gears and pinion gears, the length of the rack gear must be greater than the stroke of the canister. Therefore, the length of the rack gear and the height of the canister may increase. If the length of the rack gear is increased, evenness (evenness) should be kept consta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accuracy is increased.

또한 실린더를 이용하는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캐니스터를 들어올리는 실린더 길이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린더의 고정위치를 지속적으로 변경해야 하므로 실린더의 설치 및 철거를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In addition, the canister raising and lowering system using the cylinder ha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cylinder must be repeated since the fixed position of the cylinder must be continuously changed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cylinder lifting the canister.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cable)를 이용한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삼성중공업, 한국출원 10-2011-0037188)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의 경우 캐니스터의 상승은 케이블을 위로 당기는 인장력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캐니스터의 하강은 캐니스터의 자중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canister elevating system using a cable (Samsung Heavy Industries, Korea Application No. 10-2011-0037188) has been proposed. In the proposed canister raising and lowering system, the canister rise is made by the pulling force of pulling the cable upward, and the canister drop is made by the canister's own weight.

캐니스터가 수면 아래로 하강할 때 캐니스터에 부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캐니스터의 자중이 부력을 하회할 수 있다. 이 경우 부력에 의한 역하중이 발생하여 케이블에 연결된 캐니스터가 정상적으로 하강하지 못할 수 있다.When the canister descends below the surface, buoyancy acts on the canister, so that the weight of the canister can be less than buoyancy. In this case, a reverse load due to buoyancy may occur and the canister connected to the cable may not be lowered normal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 및 선박은 케이블과 도르래를 통하여 캐니스터를 하강시킴으로써 캐니스터의 하강시 부력을 상쇄시키고자 한다.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and the sh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empt to offset the buoyancy when the canister is lowered by lowering the canister through cables and pulleys.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마련된 트렁크 내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캐니스터, 상기 캐니스터에 연결된 상승용 케이블과 하강용 케이블, 상기 상승용 케이블 또는 상기 하강용 케이블에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캐니스터 구동부 및 상기 상승용 케이블과 상기 하강용 케이블이 각각 감겨 있는 도르래부 를 포함하는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anister movable along the inside of the trunk provided in the hull, the lifting cable and the lowering cable connected to the canister, the lifting cable or the lowering cable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A canister elevating system may include a canister drive unit for applying a pulley and a pulley unit in which the lifting cable and the descending cable are respectively wound.

상기 캐니스터 하부에 스러스터가 설치되고, 상기 캐니스터의 상승에 따라 상기 스러스터가 상기 트렁크 내부에 회수될 수 있다.A thruster is installed below the canister, and the thruster may be recovered inside the trunk as the canister is raised.

도르래부는, 하강용 케이블이 상기 트렁크를 관통하지 않고 트렁크 일측의 외부면에서 트렁크의 상부를 지나 트렁크 일측의 내부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The pulley part may allow the descending cable to extend along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trunk from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trunk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runk.

도르래부는, 캐니스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캐니스터 구동부에 설치되는 제1 도르래, 트렁크 일측의 외부면에 고정되어 제1 도르래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강용 케이블에 인가되는 힘의 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바꾸는 제2 도르래, 트렁크 일측의 외부면에서 트렁크 일측의 내부면을 따라 하강용 케이블이 연장되도록 제2 도르래로부터 연장된 하강용 케이블이 감기는 제3 도르래, 및 트렁크 일측의 내부면에 고정되어 제3 도르래로부터 연장되어 캐니스터에 고정되는 하강용 케이블이 감기는 제4 도르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lley part is a first pulley installed in the canister drive part to be movab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nister drive part. A second pulley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trunk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descending cable as the first pulley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direction to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trunk one side A third pulley in which the descending cable extended from the second pulley is wound so that the descending cable extends along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trunk from the outer side of the trunk, and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trunk side and extends from the third pulley to the canister It may include a fourth pulley to which the fixed descending cable is wound.

제1 도르래 및 제3 도르래 각각은 중심축을 공유하며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1 부분 도르래와 제2 부분 도르래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pulley and the third pulley may include a first partial pulley and a second partial pulley that share a central axis and that can rot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제1 부분 도르래와 제2 부분 도르래 중 어느 하나는 공유된 중심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고 다른 하나는 중심축 둘레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Either one of the first partial pulley and the second partial pulley can rotate with the rotation of the shared central axis and the other can rotate around the central axis.

제1 도르래 및 제3 도르래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 도르래와 제2 부분 도르래의 직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The diameters of the first partial pulley and the second partial pulle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ulley and the third pulley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 도르래 및 제3 도르래의 제1 부분 도르래에는 캐니스터를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용 케이블이 감기고, 제1 도르래 및 제3 도르래의 제2 부분 도르래에는 캐니스터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용 케이블이 감길 수 있다.A lowering cable for lowering the canister is wound around the first partial pulley of the first pulley and the third pulley, and a lifting cable for raising the canister is wound around the second partial pulley of the first pulley and the third pulley.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트렁크 내부면에 설치되며 캐니스터가 정지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스톱퍼, 캐니스터 외부면에 설치되어 스톱퍼에 체결가능한 스토퍼 핀, 캐니스터의 정지 위치를 센싱하는 리미트 센서, 및 리미트 센서로부터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캐니스터 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1 구동신호와 스토퍼 핀의 체결을 위한 제2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pper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unk and the stopper is installed in the position where the canister is stopped, the stopper pin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nister can be fastened to the stopper, the limit sensor for sensing the stop position of the canister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from the limit sensor and output a first driving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anister driving unit and a second driving signal for coupling the stopper pi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선박은 이상에서 설명된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esse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may comprise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 및 선박은 트렁크를 관통하지 않는 케이블이 감긴 도르래를 통하여 캐니스터를 하강시킴으로써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제조비용 및 제조기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력의 상쇄가 가능하다.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and the sh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structure by lowering the canister through a cable pulley which does not penetrate the trunk, and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period as well as offset the buoyancy. It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의 캐니스터를 하강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의 제1 도르래 및 제3 도르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의 제1 도르래 및 제1 도르래가 캐니스터를 상승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의 각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다.
1 illustrates lowering the canister of a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a first pulley and a third pulley of a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that the first pulley and the first pulley of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ise the canister.
5A-5C show operation in each mode of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 시스템의 캐니스터를 하강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 시스템은 캐니스터(110), 캐니스터 구동부(120), 및 도르래부(130)를 포함한다.1 illustrates lowering the canister of a thrus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thrus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nister 110, a canister driver 120, and a pulley 130.

캐니스터(110)는 스러스터(111)가 설치되며 선체에 마련된 트렁크(113) 내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즉, 스러스터(111)는 캐니스터(110) 하부에 설치되어 캐니스터(110)의 상승에 따라 트렁크(113) 내부에 회수될 수 있다. The canister 110 is installed with the thruster 111 and is movable along the inside of the trunk 113 provided in the hull. That is, the thruster 111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nister 110 and may be recovered in the trunk 113 as the canister 110 rises.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이 동적위치유지 모드(이하, DP 모드)에서 동작할 경우 캐니스터(110)는 스러스터(111)가 트렁크(113) 하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강할 수 있다.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이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의 운항을 위하여 운항 모드(transit mode)에서 동작할 경우 캐니스터(110)가 상승함으로써 스러스터(111)는 트렁크(113)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이 고장 등에 의하여 보수가 필요한 경우 캐니스터(110)는 더욱 상승하여 스러스터(111)는 수면 밖으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When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is operated in the dynamic positioning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P mode), the canister 110 may descend so that the thruster 111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runk 113. When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is operated in a transit mode for the operation of a ship or offshore structure, the canister 110 is raised to allow the thruster 111 to enter the trunk 113. In addition, when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is in need of repair due to a failure, the canister 110 may be further raised so that the thruster 111 may be completely exposed out of the water surface.

캐니스터 구동부(120)는 한쪽 단이 트렁크(113)의 외부에 고정되고 다른쪽 단이 캐니스터(110)에 고정된 하강용 케이블(101)가 감긴 제1 도르래(130a)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캐니스터(110)를 하강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캐니스터 구동부(120)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nister drive unit 120 moves the first pulley 130a wound around the lowering cable 101 having one e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trunk 113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canister 110 in the first direction. Lower the canister 1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nister drive unit 120 may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도르래부(130)는 하강용 케이블(101)의 트렁크(113) 관통없이 트렁크(113)의 외부에서 내부로 하강용 케이블(101)을 연장시켜 캐니스터 구동부(120)의 이동에 따라 공급된 힘이 캐니스터(110)에 전달되도록 힘 방향을 변환한다. 즉, 도르래부(130)는 하강용 케이블(101)이 트렁크(113) 일측의 외부면(113a)에서 트렁크(113)의 상부를 지나 트렁크(113) 일측의 내부면(113b)을 따라 연장되도록 한다.Pulley 130 is a power su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anister drive unit 120 by extending the cable 101 for descending from the outside of the trunk 113 to the insid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runk 113 of the lowering cable 101 The force direction is changed to be transmitted to the canister 110. That is, the pulley portion 130 is such that the lowering cable 101 extends along the inner surface 113b of one side of the trunk 113 from the outer surface 113a of one side of the trunk 113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unk 113. do.

이 때 도르래부(130)는 제1 도르래(130a), 제2 도르래(130b), 제3 도르래(130c) 및 제4 도르래(130d)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pulley part 130 includes a first pulley 130a, a second pulley 130b, a third pulley 130c and a fourth pulley 130d.

제1 도르래(130a)는 캐니스터 구동부(120)의 동작에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캐니스터 구동부(120)에 설치된다. 이 때 제1 도르래(130a)는 캐니스터 구동부(120)의 유압실린더의 로드(rod)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로드는 상하 운동할 수 있으며, 로드의 운동에 따라 제1 도르래(130a)가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압실린더의 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제1 도르래(130a)가 이동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도르래(130a)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The first pulley 130a is installed in the canister driver 120 to be movab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nister driver 120. In this case, the first pulley 130a may be installed at a rod end of the hydraulic cylinder of the canister drive unit 120. The rod may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first pulley 130a may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devices capable of moving the first pulley 130a in the first direction are not limited thereto, but the first pulley 130a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 Can be applied to

제2 도르래(130b)는 트렁크(113) 일측의 외부면(113a)에 고정되어 제1 도르래(130a)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강용 케이블(101)에 인가되는 힘의 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바꾼다. The second pulley 130b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113a of one side of the trunk 113 so that the first pulley 130a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descending cable 101 is first. Direction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상승하면 제1 도르래(130a)는 감겨있는 하강용 케이블(101)을 끌어 올린다. 이에 따라 제2 도르래(130b)는 상승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하강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바꾼다. For example, when the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 rises, the first pulley 130a pulls up the winding cable 101 which is wound. Accordingly, the second pulley 130b changes the force acting in the upward direction to act in the downward direction.

제3 도르래(130c)는 트렁크(113) 일측의 외부면(113a)에서 트렁크(113) 일측의 내부면(113b)을 따라 하강용 케이블(101)이 연장되도록 제2 도르래(130b)로부터 연장된 하강용 케이블(101)이 감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도르래(130c)는 트렁크(113)의 상측 끝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도르래(130c)에 제2 도르래(130b)로부터 연장된 하강용 케이블(101)이 감김으로써 하강용 케이블(101)이 트렁크(113) 밖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도르래(130c)는 제2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하강용 케이블(101)을 통하여 제1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The third pulley 130c extends from the second pulley 130b so that the lowering cable 101 extends along the inner surface 113b of one side of the trunk 113 at the outer surface 113a of one side of the trunk 113. The descending cable 101 is wound. As shown in FIG. 1, the third pulley 130c may be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trunk 113. The lowering cable 101 may be extended out of the trunk 113 by winding the lowering cable 101 extending from the second pulley 130b on the third pulley 130c. The third pulley 130c allows the force acting in the second direction to act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descending cable 101.

제4 도르래(130d)는 트렁크(113) 일측의 내부면(113b)에 고정되어 제3 도르래(130c)로부터 연장되어 다른쪽 단이 캐니스터에 고정된 하강용 케이블(101)이 감긴다. 제3 도르래(130c)에 의하여 트렁크(113) 밖으로 연장된 하강용 케이블(101)이 제4 도르래(130d)에 감김으로써 하강용 케이블(101)은 캐니스터(110)와 트렁크(113)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제4 도르래(130d)는 하강용 케이블(101)을 통하여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변환한다. The fourth pulley 130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113b of one side of the trunk 113 and extends from the third pulley 130c so that the lowering cable 101 whose other end is fixed to the canister is wound. The descending cable 101, which extends out of the trunk 113 by the third pulley 130c, is wound around the fourth pulley 130d so that the descending cable 101 is spaced between the canister 110 and the trunk 113. It is located at. The fourth pulley 130d converts the direction of the force acting through the descending cable 101 from the first direction to the second direction.

이에 따라 캐니스터 구동부(120)가 제1 도르래(130a)를 제1 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캐니스터(110)는 제2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 때 캐니스터(110)를 하강시키는 힘의 크기가 캐니스터(110)에 인가되는 부력을 상쇄시킬 수 있으면 캐니스터(110)의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anister driver 120 raises the first pulley 130a in the first direction, the canister 110 may descend in the second direction. At this time, if the magnitude of the force lowering the canister 110 can cancel the buoyancy applied to the canister 110, the canister 110 can be smoothly lowered.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하강용 케이블(101)이 트렁크(113)를 관통하지 않도록 연장되어 캐니스터(1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하강용 케이블(101)이 트렁크(113)를 관통할 경우 해수가 트렁크(113)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구조가 중요할 수 있다. 이러한 방수 구조를 지닌 트렁크(113)는 제조 비용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트렁크(113)를 포함하는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의 구조를 복잡하게 만든다. As described above,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tend so that the lowering cable 101 does not penetrate the trunk 113 to lower the canister 110. When the cable 101 for descending penetrates the trunk 113, since the seawater may flow into the trunk 113, a waterproof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seawater may be important. Trunk 113 having such a waterproof structure not only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but also complicates the structure of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including the trunk 113.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하강용 케이블(101)이 트렁크(113)의 일측의 외부면(113a)과 내부면(113b)을 따라 트렁크(113)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장되므로 하강용 케이블(101)이 트렁크(113)를 관통하지 않더라도 캐니스터(1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101 for descending from the outside of the trunk 113 to the inside along the outer surface 113a and the inner surface 113b of one side of the trunk 113. Since the lowering cable 101 does not penetrate through the trunk 113, the canister 110 may be lowered.

한편, 지정된 위치에서의 캐니스터(110) 고정을 위하여 스톱퍼(stopper)(200), 스토퍼 핀(210), 및 리미트 센서(limit sensor)(22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톱퍼(200)는 트렁크(113) 내부면에 설치되며, 동적위치유지 모드, 운항 모드 및 유지보수 모드 각각에서 캐니스터(110)가 정지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모드에서 필요한 높이에 캐니스터(110)가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 핀(210)은 캐니스터(110) 외부면에 설치되어 스톱퍼(200)에 체결가능하도록 캐니스터(110)에 설치된다. Meanwhile, a stopper 200, a stopper pin 210, and a limit sensor 220 may be installed to fix the canister 110 at a designated position. The stopper 20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unk 113 and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canister 110 is stopped in each of the dynamic position maintenance mode, the operation mode, and the maintenance mode. Accordingly, the canister 110 may be fixed at a height required in each mode. The stopper pin 21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nister 110 so as to be fastened to the stopper 200.

여기에서 유지보수 모드는 스러스터(111) 또는 스러스터(111)와 관련된 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스러스터(111)가 수면 밖으로 나오도록 캐니스터(110)를 최대 높이로 상승시키는 모드이다.Here, the maintenance mode is a mode in which the canister 110 is raised to the maximum height so that the thruster 111 comes out of the water surface for maintenance of the thruster 111 or the equipment related to the thruster 111.

캐니스터(110) 상부에 설치된 리미트 센서(220)가 캐니스터(110)의 정지 위치를 센싱한다. 제어부(300)는 리미트 센서(220)로부터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캐니스터 구동부(12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1 구동신호와 스토퍼 핀(210)의 체결을 위한 제2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The limit sensor 220 installed above the canister 110 senses a stop position of the canister 110. The controller 300 receives the sensing signal from the limit sensor 220 and outputs a first driving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anister driver 120 and a second driving signal for coupling the stopper pin 210.

이에 따라 캐니스터(110)가 정지하고 유압에 의한 스토퍼 핀(210)이 전진하여 스톱퍼(200)의 홈에 삽입되어 된다. 이에 따라 스톱퍼(200)와 스토퍼 핀(210)이 체결된다. Accordingly, the canister 110 is stopped and the stopper pin 210 by the hydraulic pressure is advanced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stopper 200. Accordingly, the stopper 200 and the stopper pin 210 are faste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미트 센서(220)가 캐니스터(110)의 상부에 설치되나 캐니스터(110)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mit sensor 22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nister 110, but may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capable of sensing the position of the canister 11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러스터(111)의 상승 또는 하강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트렁크(113)의 내부 측면에는 가이드 롤러(guide roller)(115)가 설치되고 캐니스터(110)의 외측면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가이드 롤러(115)는 캐니스터(110)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트렁크(113)의 내측면을 지지할 수도 있다. 캐니스터(110)의 내부에는 스러스터(11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19) 등이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secure stability when the thruster 111 is raised or lowered, a guide roller 115 is installed on an inner side of the trunk 113 and an outer surface of the canister 110. Support. 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oller 115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nister 110 and may support the inner side of the trunk 113. A drive motor 119 for driving the thruster 111 may be installed in the canister 11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의 제1 도르래(130a) 및 제3 도르래(130c)는 스러스터의 하강 및 상승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도르래(130a)는 중심축을 공유하며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1 부분 도르래(131a)와 제2 부분 도르래(13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르래(130a)의 제1 부분 도르래(131a)와 제1 도르래(130a)의 제2 부분 도르래(133a) 중 하나는 공유된 중심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고 다른 하나는 중심축 둘레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르래(130a)의 제1 부분 도르래(131a)의 중심축은 제1 도르래(130a)의 제2 부분 도르래(133a)의 중심을 관통한다. 이에 따라 제1 도르래(130a)의 제1 부분 도르래(131a)의 중심축이 제1 도르래(130a)의 제2 부분 도르래(133a)의 중심축이 된다. 이 때 제1 도르래(130a)의 제2 부분 도르래(133a)는 제1 도르래(130a)의 제1 부분 도르래(131a)의 중심축 주변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 제1 도르래(130a)의 제1 부분 도르래(131a)는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rst pulley 130a and the third pulley 130c of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shown in FIG. 2 may be used for lowering and raising the thruster. The first pulley 130a may include a first partial pulley 131a and a second partial pulley 133a that share a central axis and may rot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ne of the first partial pulley 131a of the first pulley 130a and the second partial pulley 133a of the first pulley 130a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shared central axis and the other rotates around the central axis. can d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partial pulley 131a of the first pulley 130a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partial pulley 133a of the first pulley 130a. Accordingly,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partial pulley 131a of the first pulley 130a becomes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partial pulley 133a of the first pulley 130a. In this case, the second partial pulley 133a of the first pulley 130a may rotat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partial pulley 131a of the first pulley 130a, and the first pulley 130a may be rotated. The one-part pulley 131a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entral axis.

제3 도르래(130c) 역시 제1 도르래(130a)와 마찬가지로 중심축을 공유하며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3 도르래(130c)의 제1 부분 도르래(131c)와 제3 도르래(130c)의 제2 부분 도르래(13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도르래(130c)의 구조 역시 도 3의 제1 도르래(130a)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3 도르래(130c)의 제1 부분 도르래(131c)의 중심축은 제3 도르래(130c)의 제2 부분 도르래(133c)의 중심을 관통하여 제3 도르래(130c)의 제2 부분 도르래(133c)는 제3 도르래(130c)의 제1 부분 도르래(131c)의 중심축 주변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 제3 도르래(130c)의 제1 부분 도르래(131c)는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Like the first pulley 130a, the third pulley 130c also shares a central axis and rotate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ulley 131c and the second pulley 130c of the third pulley 130c can rotate. It may include a partial pulley 133c. The structure of the third pulley 130c may also be the same as the first pulley 130a of FIG. 3. That is,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partial pulley 131c of the third pulley 130c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partial pulley 133c of the third pulley 130c and the second partial pulley 130c of the third pulley 130c. 133c may rotat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partial pulley 131c of the third pulley 130c and the first partial pulley 131c of the third pulley 130c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entral axi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도르래(130a) 및 제3 도르래(130c)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 도르래와 제2 부분 도르래의 직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 도르래의 직경은 제2 부분 도르래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부분 도르래와 제2 부분 도르래의 직경이 다를 경우 제1 부분 도르래와 제2 부분 도르래에 감기는 케이블들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s of the first partial pulley and the second partial pulley of the first pulley 130a and the third pulley 130c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diameter of the first partial pulley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partial pulley. As such, when the diameters of the first partial pulley and the second partial pulley are different, the cables wound around the first partial pulley and the second partial pulle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angled with each other.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르래(130a) 및 제3 도르래(130c)의 제1 부분 도르래(131a, 131c)에는 캐니스터(110)를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용 케이블(101)이 감기고, 제1 도르래(130a) 및 제3 도르래(130c)의 제2 부분 도르래(133a, 133c)에는 캐니스터(110)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용 케이블(103)이 감길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a lowering cable 101 for lowering the canister 110 is provided in the first partial pulleys 131a and 131c of the first pulley 130a and the third pulley 130c. The lifting cable 103 for raising the canister 110 may be wound around the second pulleys 133a and 133c of the first pulley 130a and the third pulley 130c.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의 제1 도르래(130a) 및 제3 도르래(130c)가 캐니스터(110)를 상승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단이 고정되고 다른쪽 단은 캐니스터(110)에 고정되는 상승용 케이블(103)이 제1 도르래(130a)의 제2 부분 도르래(133a)에 감긴다. 4 shows that the first pulley 130a and the third pulley 130c of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ise the canister 110. As shown in FIG. 4, the lifting cable 103, on which one end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canister 110, is wound around the second partial pulley 133a of the first pulley 130a.

즉, 상승용 케이블(103)의 한쪽 단은 트렁크(113)의 상부에 설치된 덱(deck)(117)의 하부에 고정된다. 상승용 케이블(103)은 제1 도르래(130a)의 제2 부분 도르래(133a)를 통과하여 제3 도르래(130c)의 제2 부분 도르래(133c)를 경유하여 캐니스터(110)의 측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120)의 로드가 제2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승용 케이블(103)을 당기면 캐니스터(110)는 상승한다. That is, one end of the ascending cable 103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deck (117)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unk (113). The elevating cable 103 passes through the second partial pulley 133a of the first pulley 130a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end of the canister 110 via the second partial pulley 133c of the third pulley 130c. . Therefore, when the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 120 descend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pulling cable 103 is pulled, the canister 110 rises.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의 각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다. 5A-5C show operation in each mode of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110)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용 및 상승용 케이블들(101, 103)이 제1 도르래(130a)와 제3 도르래(130c)에 감긴다. 이와 같이 캐니스터(110) 양측에는 캐니스터(110)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용 및 상승용 케이블들(101, 103)이 제1 도르래(130a)와 제3 도르래(130c)에 감겨 있으나 도 5a 내지 도 5c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캐니스터(110)의 좌측에 캐니스터(110)의 상승을 위한 도르래와 상승용 케이블(103)을 나타내고, 캐니스터(110)의 우측에 캐니스터(110)의 하강을 위한 도르래와 하강용 케이블(101)을 나타낸다.As described above, the descending and raising cables 101 and 103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canister 110 are wound around the first pulley 130a and the third pulley 130c. As described above, the lowering and raising cables 101 and 103 are wound around the first pulley 130a and the third pulley 130c on both sides of the canister 110 to raise and lower the canister 110. 5C illustrates a pulley for raising the canister 110 on the left side of the canister 110 and a cable for raising 103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 pulley for lowering the canister 110 on the right side of the canister 110. And the cable 101 for descending.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 구동부(120)에 포함된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최대로 상승함에 따라 제1 도르래(130a)가 최대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내지 제4 도르래(130b, 130c, 130d)는 유압실린더가 공급하는 힘의 방향을 변화시켜 하강용 케이블(101)을 통하여 캐니스터(110)가 최대로 하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캐니스터(110)가 최대로 하강하면, 스러스터(111)가 선박의 외부로 돌출되어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DP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유압실린더의 상승에 따라 상승용 케이블(103)에는 인장력이 거의 인가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5A, as the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 included in the canister drive unit 120 is maximally raised, the first pulley 130a is maximally raised. Accordingly, the second to fourth pulleys 130b, 130c, and 130d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rce supplied by the hydraulic cylinder so that the canister 110 descends to the maximum through the descending cable 10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nister 110 descends to the maximum, the thruster 111 protrudes out of the ship so that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can operate in the DP mode. At this time, the tensile force is hardly applied to the ascending cable 103 as the hydraulic cylinder is raised.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 구동부(120)에 포함된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하강하여 도 5c와 같이 로드가 최대로 하강함에 따라 제1 도르래(130a)가 서서히 하강하여 최대 하강 위치까지 이동한다. As shown in FIG. 5B, as the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 included in the canister drive unit 120 descends and the rod descends to the maximum as shown in FIG. 5C, the first pulley 130a gradually descends and moves to the maximum lowered position. .

이에 따라 제1 및 제3 도르래(130a, 130c)는 유압실린더가 공급하는 힘의 방향을 변화시켜 상승용 케이블(103)을 통하여 캐니스터(110)가 서서히 상승하여 최대 상승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first and third pulleys 130a and 130c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rce supplied by the hydraulic cylinder so that the canister 110 gradually rises through the lifting cable 103 to move to the maximum lifting position.

도 5b에서와 같이 캐니스터(110)가 상승하여 스러스터(111)가 수면 아래 있으면서 선박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운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B, when the canister 110 is raised and the thruster 111 is positioned inside the ship while under the water surface,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may operate in the operation mode.

또한 도 5c에서와 같이 캐니스터(110)가 최대로 상승하면, 스러스터(111)가 수면 위로 이동되어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유지보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C, when the canister 110 ascends to the maximum, the thruster 111 is moved above the water surface so that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may operate in the maintenance mode.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각 모드에서 캐니스터(110)를 특정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특정 위치에 이동된 캐니스터(1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캐니스터(110)와 인접한 트렁크(113)의 측면에 스토퍼(stopper)가 설치될 수 있다. 캐니스터(110)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스토퍼는 캐니스터(110)의 측면에 설치된 홈에 체결된다.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moves the canister 110 to a specific position in each mode. At this time, a stopper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runk 113 adjacent to the canister 110 to fix the canister 110 moved to a specific position. When the canister 110 reaches a specific position, the stopper is fastened to a groov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anister 11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도르래(130a)와 제3 도르래(130c)를 통하여 캐니스터(110)의 상승 및 하강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캐니스터(110)의 상승 및 하강이 독립적인 도르래들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anister 110 may be made through the first pulley 130a and the third pulley 130c. Alternative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canister 110 may be made through independent pulleys.

즉, 도 1의 도르래 구조는 캐니스터(110)의 하강을 위한 것이고, 도 4의 도르래 구조는 캐니스터(110)의 상승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도 1의 도르래 구조와 도 4의 도르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도 1의 도르래 구조를 위한 유압실린더와 도 4의 도르래 구조를 위한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도 1의 도르래 구조를 위한 캐니스터 구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의 도르래 구조를 위한 캐니스터 구동부(120)와 다른 별도의 캐니스터 구동부(120)를 포함한다. 이 때 별도의 캐니스터 구동부(120)는 도 4의 도르래 구조를 위한 것이다. That is, the pulley structure of FIG. 1 is for lowering the canister 110, and the pulley structure of FIG. 4 is for raising the canister 110. Accordingly,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pulley structure of FIG. 1 and the pulley structure of FIG. 4. At this time,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for the pulley structure of Figure 1 and a hydraulic cylinder for the pulley structure of FIG. That is,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nister drive unit 120 for the pulley structure of FIG. 1, and a canister drive unit separate from the canister drive unit 120 for the pulley structure of FIG. 1. 120. At this time, the separate canister drive unit 120 is for the pulley structure of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은 캐니스터(110) 이동시 캐니스터(110)에 대한 자중과 부력의 밸런스에 의한 고려가 필요 없으므로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재료비 및 제작비가 감소할 수 있다. As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considered by the balance of self-weight and buoyancy with respect to the canister 110 when the canister 110 mov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and manufacturing cost. can do.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에 대한 보수가 이루어질 경우 덱(117) 상부로 돌출되는 캐니스터(110)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유압 실린더의 이동에 따라 제1 도르래(130a) 및 제3 도르래(130c)가 캐니스터(11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캐니스터 승하강 시스템의 구조가 간단해진다.When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is repaired, the height of the canister 110 protruding upward from the deck 117 may be reduced, and the first pulley 130a and the third pulley 130c may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ydraulic cylinder. By allowing the canister 110 to move up and down, the structure of the canister elevating system is simplifi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0)

선체에 마련된 트렁크 내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캐니스터;
상기 캐니스터에 연결된 상승용 케이블과 하강용 케이블;
상기 상승용 케이블 또는 상기 하강용 케이블에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캐니스터 구동부; 및
상기 상승용 케이블과 상기 하강용 케이블이 각각 감겨 있는 도르래부를 포함하며,
상기 캐니스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하강 시 상기 캐니스터의 자중과 더불어 상기 캐니스터 구동부가 인가하는 힘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하강용 케이블에 가해지는 캐니스터 승하강 장치.
A canister movable along a trunk interior provided in the hull;
A rising cable and a falling cable connected to the canister;
A canister drive unit for applying a force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to the upward cable or the downward cable; And
It includes a pulley portion which is respectively wound the cable for lifting and the cable for falling,
And a canister elevating device in which the force applied by the canister drive unit along with the own weight of the canister is applied to the descending cable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canister descends in the secon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하부에 스러스터가 설치되고, 상기 캐니스터의 상승에 따라 상기 스러스터가 상기 트렁크 내부에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승하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hruster is installed under the canister, and the canister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uster is recovered in the trunk as the canister is rai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부는
상기 상승용 케이블과 하강용 케이블이 상기 트렁크를 관통하지 않고 상기 트렁크 일측의 외부면에서 상기 트렁크의 상부를 지나 상기 트렁크 일측의 내부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승하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ulley part
The canister elev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cables do not penetrate the trunk and extend along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trunk from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trunk to the top of the tru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부는
상기 캐니스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캐니스터 구동부에 설치되는 제1 도르래,
상기 트렁크 일측의 외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도르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강용 케이블에 인가되는 힘의 방향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바꾸는 제2 도르래,
상기 트렁크 일측의 외부면에서 상기 트렁크 일측의 내부면을 따라 상기 하강용 케이블이 연장되도록 상기 제2 도르래로부터 연장된 하강용 케이블이 감기는 제3 도르래, 및
상기 트렁크 일측의 내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3 도르래로부터 연장되어 캐니스터에 고정되는 상기 하강용 케이블이 감기는 제4 도르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승하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ulley part
A first pulley installed in the canister drive unit to be movab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nister drive unit;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trunk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descending cable as the first pulley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direction to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2nd pulley,
A third pulley to which the descending cable extended from the second pulley is wound so that the descending cable extend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runk si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trunk side; and
A fourth pulley to which the descending cable is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trunk and extends from the third pulley to be fixed to the canister;
Canister lifting device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르래 및 상기 제3 도르래 각각은 중심축을 공유하며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1 부분 도르래와 제2 부분 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승하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first pulley and the third pulley each of which comprises a first partial pulley and a second partial pulley that share a central axis and are capable of rotatin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도르래와 상기 제2 부분 도르래 중 어느 하나는 공유된 중심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중심축 둘레를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승하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either one of the first partial pulley and the second partial pulley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a shared central axis and the other rotates around the central axi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르래 및 상기 제3 도르래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 도르래와 제2 부분 도르래의 직경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승하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Canister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first partial pulley and the second partial pulle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ulley and the third pulley are differ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르래 및 상기 제3 도르래의 상기 제1 부분 도르래에는 상기 캐니스터를 하강시키기 위한 상기 하강용 케이블이 감기고,
상기 제1 도르래 및 상기 제3 도르래의 상기 제2 부분 도르래에는 상기 캐니스터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기 상승용 케이블이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승하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ing cable for lowering the canister is wound around the first partial pulley of the first pulley and the third pulley,
And the lifting cable for raising the canister is wound around the second pulley of the first pulley and the third pull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승하강 장치는
상기 트렁크 내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캐니스터가 정지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스톱퍼, 상기 캐니스터 외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톱퍼에 체결가능한 스토퍼 핀, 상기 캐니스터의 정지 위치를 센싱하는 리미트 센서, 및 상기 리미트 센서로부터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캐니스터 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1 구동신호와 상기 스토퍼 핀의 체결을 위한 제2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승하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nister lifting device is
A stopper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unk and install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canister is stopped, a stopper pin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nister, which can be fastened to the stopper, a limit sensor sensing a stop position of the canister, and sensing from the limit sensor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and output a first driving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anister driver and a second driving signal for coupling the stopper pin.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캐니스터 승하강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10. A ship comprising the canister elevating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9.
KR1020110101537A 2011-10-06 2011-10-06 Canister ascending and descending system, and ship inclduing the same KR1013020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37A KR101302016B1 (en) 2011-10-06 2011-10-06 Canister ascending and descending system, and ship incldu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37A KR101302016B1 (en) 2011-10-06 2011-10-06 Canister ascending and descending system, and ship incldu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249A KR20130037249A (en) 2013-04-16
KR101302016B1 true KR101302016B1 (en) 2013-08-30

Family

ID=4843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537A KR101302016B1 (en) 2011-10-06 2011-10-06 Canister ascending and descending system, and ship incldu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01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599A (en) * 1999-08-23 2001-03-06 Mitsubishi Heavy Ind Ltd Thruster elevator
KR20040108427A (en) * 2003-06-17 2004-12-24 주식회사 포스코 collecting apparatus for packaging vinyl and rust-prevention oil of ro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599A (en) * 1999-08-23 2001-03-06 Mitsubishi Heavy Ind Ltd Thruster elevator
KR20040108427A (en) * 2003-06-17 2004-12-24 주식회사 포스코 collecting apparatus for packaging vinyl and rust-prevention oil of ro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249A (en)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602B1 (en) Thruster system and ship inclduing the same
JP5119346B2 (en) Lifting thruster
KR101693231B1 (en) Variable spud can
CN105041007A (en) Closed loop controlled dual-drive float-type water lifting stage
KR101302016B1 (en) Canister ascending and descending system, and ship inclduing the same
KR102260454B1 (en) Semi-submersible marine structure
KR101487679B1 (en) Canister-type thruster
KR101412487B1 (en) Canister-type thruster
CA2870502A1 (en) Lifting apparatus
KR101556268B1 (en) Method for installing canister guide apparatus
KR101707412B1 (en) Subsea Bridge System
KR101497316B1 (en) Canister-type thruster
KR101475199B1 (en) Canister-type thruster and lifting method for canister
KR101475205B1 (en) Canister-type thruster
KR101487673B1 (en) Canister-type thruster
KR101834316B1 (en) Mooring system for floating platform
KR101475197B1 (en) Canister-type thruster
KR101516560B1 (en) Method for installing canister guide apparatus
KR101540303B1 (en) Canister-type thruster
KR101487678B1 (en) Canister-type thruster
KR101475202B1 (en) Canister-type thruster and initial position aligniment method
KR101531490B1 (en) Canister-type thruster
KR20140135865A (en) Canister-type thrus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ITMI20100298A1 (en) LIFT FOR BOATS OF THE TYPE OPERATING DIRECTLY IN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