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348B1 - 버스바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 Google Patents

버스바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348B1
KR101301348B1 KR1020110145118A KR20110145118A KR101301348B1 KR 101301348 B1 KR101301348 B1 KR 101301348B1 KR 1020110145118 A KR1020110145118 A KR 1020110145118A KR 20110145118 A KR20110145118 A KR 20110145118A KR 101301348 B1 KR101301348 B1 KR 101301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s
cells
pair
clip
s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504A (ko
Inventor
김길섭
강순선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3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10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using a fixed support, i.e. involving moving the laser beam
    • B23K26/103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using a fixed support, i.e. involving moving the laser beam the laser beam rotating around the fixed workpiece
    • B23K26/106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using a fixed support, i.e. involving moving the laser beam the laser beam rotating around the fixed workpiece inside the workpie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에 적용되는 버스바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버스바조립체는 사전에 정해진 연결 방향으로 각각 폴딩된 적층 셀들의 셀 리드들을 면착하기 위한 클립들; 및 상기 각 클립들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클립들 사이를 통전 또는 절연하기 위한 조인트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전에 셀 리드가 폴딩되어 있어 연결을 위한 별도의 폴딩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배터리모듈의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종래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지던 셀 리드 사이의 연결작업을 클립의 면착 및 조인트바의 결합에 의해 구현함으로써 종래 레이저 용접에 수반되는 카운터 바 등의 사용과 같은 추가공정을 배제할 수 있어 배터리모듈의 양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바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Busbar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버스바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셀들 간의 연결을 위한 버스바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터리모듈의 버스바의 연결방식은 일반적으로 셀 리드의 폴딩 후 카운터 바를 이용하여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직렬 연결방식과 셀 리드가 버스바에 관통하여 폴딩 후 셀 리드와 버스바를 레이저 용접하는 병렬 연결방식이 있다.
종래 배터리모듈의 버스바의 병렬 연결방식은, 셀 리드가 버스바를 관통한 후 폴딩되고, 카운터 바를 이용하여 셀 리드 및 버스바를 레이저 용접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종래 배터리모듈의 버스바의 병렬 연결방식은 셀 리드가 버스바를 관통하는 공정과, 관통된 셀 리드를 버스바에 면착하기 위한 폴딩 공정이 어려워, 양산 적용이 어려운 문제를 가진다.
KR 10-2008-0102547 A, 2008. 11. 26, 도면 3
본 발명의 목적은 셀 리드가 버스바를 관통하는 공정 및 관통된 셀 리드의 폴딩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배터리모듈의 버스바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버스바와 셀 리드의 용접방식 및 버스바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배터리모듈의 양산성을 높일 수 있는 버스바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은 버스바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버스바조립체는 사전에 정해진 연결 방향으로 각각 폴딩된 적층 셀들의 셀 리드들을 면착하기 위한 클립들; 및 상기 각 클립들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클립들 사이를 통전 또는 절연하기 위한 조인트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바는 상기 클립들 사이를 통전하기 위한 통전 조인트바와 상기 클립들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조인트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층 셀들을 구성하는 한 쌍 단위의 셀들 각각이 병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 단위의 셀들의 셀 리드들을 면착하고, 상기 한 쌍 단위 셀들의 사이가 직렬 연결되도록 상기 통전 조인트바 및 상기 절연 조인트바를 교번하여 상기 클립들 사이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병렬 연결된 한 쌍 단위의 셀들이 4쌍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클립의 개수는 8개이고, 상기 클립들 사이에 결합된 상기 통전 조인트바 및 절연 조인트바의 전체 개수는 6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층 셀들을 구성하는 한 쌍 단위의 셀들 각각이 직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 단위의 셀들의 셀 리드들을 면착하고, 상기 한 쌍 단위 셀들의 사이가 직렬 연결되도록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면착하고 상기 절연 조인트바를 상기 클립들 사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직렬 연결된 한 쌍 단위의 셀들이 4쌍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클립의 개수는 7개이고, 상기 클립들 사이에 결합된 상기 절연 조인트바의 개수는 5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셀 리드와 상기 클립의 면착은 솔더 파우더의 융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솔더 파우더의 융착은 열풍 히팅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특징은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배터리모듈은 셀 리드들 각각이 사전에 정해진 연결 방향으로 폴딩된 적층 셀들; 및 상기 적층 셀들의 폴딩된 셀 리드들을 각각 면착하기 위한 클립들과, 상기 각 클립들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클립들 사이를 통전 또는 절연하기 위한 조인트바들을 구비하는 버스바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바는 상기 클립들 사이를 통전하기 위한 통전 조인트바와 상기 클립들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조인트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층 셀들을 구성하는 한 쌍 단위의 셀들 각각이 병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 단위의 셀들의 셀 리드들을 면착하고, 상기 한 쌍 단위 셀들의 사이가 직렬 연결되도록 상기 통전 조인트바 및 상기 절연 조인트바를 선택적으로 상기 클립들 사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적층 셀들을 구성하는 한 쌍 단위의 셀들 각각이 직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 단위의 셀들의 셀 리드들을 면착하고, 상기 한 쌍 단위 셀들의 사이가 직렬 연결되도록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면착하고 상기 절연 조인트바를 상기 클립들 사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셀 리드와 상기 클립의 면착은 솔더 파우더의 융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솔더 파우더의 융착은 열풍 히팅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은 사전에 셀 리드가 폴딩되어 있어 연결을 위한 별도의 폴딩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배터리모듈의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은 종래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지던 셀 리드 사이의 연결작업을 클립의 면착 및 조인트바의 결합에 의해 구현함으로써 종래 레이저 용접에 수반되는 카운터 바 등의 사용과 같은 추가공정을 배제할 수 있어 배터리모듈의 양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 조인트바의 정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조인트바의 정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모듈(100)은 적층 셀(110)들 및 이의 양측에 배치되는 버스바조립체(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셀(110)들은 총 8개의 셀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셀들끼리 병렬로 연결되도록 셀 리드(112)들은 한 쌍의 셀들끼리 서로 겹치도록 폴딩된다.
버스바조립체(120)는 사전에 정해진 배터리모듈(100)의 규격에 대응하여 적층 셀(110)들의 양측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조립체(120)는 한 쌍의 단위의 셀들 4개가 각각 병렬로 연결되고, 이들 4쌍의 셀들이 다시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모듈(100)을 구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조립체(1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버스바조립체(12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버스바조립체(120)는 적층 셀(110)들의 폴딩된 셀 리드(112)들을 각각 면착하기 위한 클립(122)들과, 각 클립(122)들 사이에 결합되어 클립(122)들 사이를 통전 또는 절연하기 위한 조인트바(124)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셀 리드(112)와 클립(122)의 면착은 솔더 파우더의 융착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셀 리드(112)와 클립(122)간의 접촉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조립체(120)는 사전에 셀 리드(112)가 폴딩되어 있어 연결을 위한 별도의 폴딩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종래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지던 셀 리드 사이의 연결작업을 클립(122)의 면착 및 조인트바(124)의 결합에 의해 구현할 수 있어 종래 레이저 용접에 수반되는 카운터 바 등의 사용과 같은 추가공정을 배제할 수 있다.
조인트바(124)는 클립(122)들 사이를 통전하기 위한 통전 조인트바(1242)와 클립들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조인트바(1244)로 구분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해진 배터리모듈의 규격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클립(122)들 사이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통전 조인트바(1242)는 도 1의 우측 버스바조립체(120)의 위에서 2번째 및 3번째 클립(122)들 사이에 결합되고, 도 1의 좌측 버스바조립체(120)의 위에서 1번째 및 2번째 클립(122)들 사이와 3번째 및 4번째 클립(122)들 사이에 결합된다.
절연 조인트바(1244)는 도 1의 좌측 버스바조립체(120)의 위에서 2번째 및 3번째 클립(122)들 사이에 결합되고, 도 1의 우측 버스바조립체(120)의 위에서 1번째 및 2번째 클립(122)들 사이와 3번째 및 4번째 클립(122)들 사이에 결합된다.
통전 조인트바(1242) 및 절연 조인트바(124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배면에 구리와 같은 통전체(1242-2) 및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체(1244-1)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200)은 총 8개의 적층 셀(212) 및 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버스바조립체(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층 셀(210)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경우 한 쌍의 셀들끼리 직렬로 연결되도록 셀 리드(212)들이 서로 겹치도록 폴딩되고, 우측의 경우 이웃하는 한 쌍의 셀들간 직렬로 연결되도록 다른 극성의 셀 리드(212)들이 서로 겹치도록 폴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조립체(220)는 한 쌍의 단위의 셀들 4개가 직렬로 연결되고, 이들 4쌍의 셀들이 다시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모듈(200)을 구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버스바조립체(220)는 적층 셀(210)들의 폴딩된 셀 리드(212)들을 각각 면착하기 위한 클립(222)들과, 각 클립(222)들 사이에 결합되어 클립(222)들 사이를 통전 또는 절연하기 위한 조인트바(224)들을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클립(222)과 셀 리드(212)의 면착은 솔더 파우더의 융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셀 리드(212)와 클립(222)간의 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립(222)은, 도 6의 좌측 버스바조립체(220)와 같이 한 쌍의 셀들간을 직렬연결하기 위해 결합되고, 도 6의 우측 버스바조립체(200)와 같이 이웃하는 한 쌍의 셀들을 사이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 이웃하는 한 쌍 단위의 셀들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조립체(220)는 절연 조인트바(224) 만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6의 좌측 버스바조립체(220) 및 우측 버스바조립체(220)의 모든 클립(222)들 사이에는 절연 조인트바(224)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조립체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배터리모듈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0, 200: 배터리모듈
110, 210: 적층 셀
112, 212: 셀 리드
120, 220: 버스바조립체
122, 222: 클립
124, 224: 조인트바
1242: 통전 조인트바
1242-2: 통전체
1244: 절연 조인트바
1244-1: 절연체

Claims (16)

  1. 삭제
  2. 사전에 정해진 연결 방향으로 각각 폴딩된 적층 셀들의 셀 리드들을 면착하기 위한 클립들; 및
    상기 각 클립들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클립들 사이를 통전 또는 절연하기 위한 조인트바들;을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바는 상기 클립들 사이를 통전하기 위한 통전 조인트바와 상기 클립들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조인트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셀들을 구성하는 한 쌍 단위의 셀들 각각이 병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 단위의 셀들의 셀 리드들을 면착하고, 상기 한 쌍 단위 셀들의 사이가 직렬 연결되도록 상기 통전 조인트바 및 상기 절연 조인트바 를 교번하여 상기 클립들 사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연결된 한 쌍 단위의 셀들이 4쌍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클립의 개수는 8개이고, 상기 클립들 사이에 결합된 상기 통전 조인트바 및 절연 조인트바의 전체 개수는 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셀들을 구성하는 한 쌍 단위의 셀들 각각이 직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 단위의 셀들의 셀 리드들을 면착하고, 상기 한 쌍 단위 셀들의 사이가 직렬 연결되도록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면착하고 상기 절연 조인트바를 상기 클립들 사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연결된 한 쌍 단위의 셀들이 4쌍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클립의 개수는 7개이고, 상기 클립들 사이에 결합된 상기 절연 조인트바의 개수는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조립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 리드와 상기 클립의 면착은 솔더 파우더의 융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 파우더의 융착은 열풍 히팅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조립체.
  9. 삭제
  10. 셀 리드들 각각이 사전에 정해진 연결 방향으로 폴딩된 적층 셀들; 및
    상기 적층 셀들의 폴딩된 셀 리드들을 각각 면착하기 위한 클립들과, 상기 각 클립들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클립들 사이를 통전 또는 절연하기 위한 조인트바들을 구비하는 버스바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바는 상기 클립들 사이를 통전하기 위한 통전 조인트바와 상기 클립들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조인트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셀들을 구성하는 한 쌍 단위의 셀들 각각이 병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 단위의 셀들의 셀 리드들을 면착하고, 상기 한 쌍 단위 셀들의 사이가 직렬 연결되도록 상기 통전 조인트바 및 상기 절연 조인트바를 교번하여 상기 클립들 사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연결된 한 쌍 단위의 셀들이 4쌍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클립의 개수는 8개이고, 상기 클립들 사이에 결합된 상기 통전 조인트바 및 절연 조인트바의 전체 개수는 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셀들을 구성하는 한 쌍 단위의 셀들 각각이 직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 단위의 셀들의 셀 리드들을 면착하고, 상기 한 쌍 단위 셀들의 사이가 직렬 연결되도록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면착하고 상기 절연 조인트바를 상기 클립들 사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연결된 한 쌍 단위의 셀들이 4쌍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클립의 개수는 7개이고, 상기 클립들 사이에 결합된 상기 절연 조인트바의 개수는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셀 리드와 상기 클립의 면착은 솔더 파우더의 융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 파우더의 융착은 열풍 히팅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KR1020110145118A 2011-12-28 2011-12-28 버스바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KR101301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118A KR101301348B1 (ko) 2011-12-28 2011-12-28 버스바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118A KR101301348B1 (ko) 2011-12-28 2011-12-28 버스바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504A KR20130076504A (ko) 2013-07-08
KR101301348B1 true KR101301348B1 (ko) 2013-08-29

Family

ID=4899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118A KR101301348B1 (ko) 2011-12-28 2011-12-28 버스바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11B1 (ko) * 2015-01-13 2017-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접 없이 전극단자의 연결이 가능한 구조의 단위모듈
KR102077272B1 (ko) * 2015-09-14 2020-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에 적용되는 보호구조물
KR102244120B1 (ko) * 2017-04-18 2021-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KR102082498B1 (ko) * 2017-04-26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2209767B1 (ko) * 2017-06-13 2021-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WO2023228030A1 (en) * 2022-05-25 2023-11-30 Molex, Llc Busbar assembly for joining battery cel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4004A (ja) * 2006-06-01 2007-12-13 Toyota Motor Corp 組電池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JP2010519676A (ja) * 2006-10-23 2010-06-0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における電極接続部材
KR20100114595A (ko) * 2009-04-16 2010-10-26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20110137005A (ko) * 2010-06-16 2011-12-2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4004A (ja) * 2006-06-01 2007-12-13 Toyota Motor Corp 組電池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JP2010519676A (ja) * 2006-10-23 2010-06-0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における電極接続部材
KR20100114595A (ko) * 2009-04-16 2010-10-26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20110137005A (ko) * 2010-06-16 2011-12-2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504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348B1 (ko) 버스바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JP5544931B2 (ja) ラミネートセル電池構造体
CN106025162B (zh) 一种软包电池模块连接结构
JP6085589B2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6380700B2 (ja) バスバー
KR101456936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전압센싱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셀모듈조립체
CN102263224A (zh) 采用覆层电连接的电池组组件
WO2013132978A1 (ja) 組電池
JP2017112063A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080196A1 (ja) 蓄電モジュール
JP5957651B2 (ja) 組電池
JP2019512851A (ja) 電池、及び電池を製造する方法
KR102032506B1 (ko) 센싱 와이어 하네스의 접속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및 그 조립방법
RU2016107609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лоистой конструкционной панели
CN204102979U (zh) 电池模组集成板
KR101321687B1 (ko) 단위배터리의 직렬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JP6210489B2 (ja) 金属接合板の製造方法
KR20130076499A (ko)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KR101717115B1 (ko) 전기적 연결용 버스바조립체
JP2014179277A (ja) 導体とフラットケーブルとの接続構造及びこの接続構造が用いられた電源装置
JP6064804B2 (ja) 電力変換装置
WO2017014049A1 (ja) 配線モジュー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
JP6133045B2 (ja) 電線の接続方法及び電線の接続構造
JP2015056341A (ja) 蓄電モジュール
JP2019204658A (ja) 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