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050B1 -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050B1
KR101301050B1 KR1020120100201A KR20120100201A KR101301050B1 KR 101301050 B1 KR101301050 B1 KR 101301050B1 KR 1020120100201 A KR1020120100201 A KR 1020120100201A KR 20120100201 A KR20120100201 A KR 20120100201A KR 101301050 B1 KR101301050 B1 KR 101301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bar
horizontal
horizontal movab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준형
Original Assignee
안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형 filed Critical 안준형
Priority to KR1020120100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0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0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Abstract

PURPOSE: A functional pillow capable of controlling the height is provided to easily and finely control the heights of head support pillows and neck support pillows at the same time or separately. CONSTITUTION: A functional pillow capable of controlling the height comprises a base plate;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that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the left side and right side of top plate of the base plate and has the first tunnel type guide and the second tunnel type guide at the upper direction in the bottom side; the first rotation bar and the second rotation bar that are respectively arranged inside two tunnel type guides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nd are exposed toward the top portion of the base plate; one pair of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body(300a) having inclined surface in the faced direction and being able to move horizontally toward the first tunnel type guide by being synchroniz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on bar and inserted with the first rotation bar; one pair of the second horizontal movement body(300b) having inclined surface in the faced direction and being able to move horizontally toward the second tunnel type guide by being synchroniz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on bar and inserted with the second rotation bar; the first lifting bar of which both ends are settl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one pair of the first horizontal moving body and which vertically move towar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rst horizontal moving body; the second lifting bar of which both ends are settl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one pair of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body and which vertically move towar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body; and a top cover which is arranged at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nd top portion of the firs lifting bar and the second lifting bar.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수동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후두부인 머리 받침과 경추부인 목 받침 부위에 동시에 또는 별개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it is possible to manually adjust the height and propose a functional pillow that can adjust the height at the same time or separately at the head support, the head of the head and cervical spine.

베개는 침구의 일종으로 그 높이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을 경우 추간공이 좁아진다.그리고 목주변 신경이 수축돼 ,혈액순환이 나빠져 숙면을 취하기가 어렵고 불면으로 인하여 피로가 누적되는 등 척추건강에 문제가 발생할수 있다.개인적인 수면 습관이 올바르지 못한 경우나 목의 길이와 굵기, 머리의 크기와 형태가 체중의 변화로 변한 경우, 경추와 후두부의 높낮이를 조절 할 필요가 있다. A pillow is a type of bedding that causes the intervertebral cavity to narrow when its height is too high or too low, and the nerves around the neck contract and the blood circulation worsens, making it difficult to get a good night's sleep. If your personal sleep habits are incorrect, or if the length and thickness of your neck and the size and shape of your head have changed due to changes in weight, you may need to adjust the height of your cervical spine and head.

종래 솜 등을 충전한 베개는 푹신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오랜 기간 사용할 경우 솜의 탄성력이 떨어져 그 높이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 떨어져 냄새가 나는 등 숙면을 취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통적인 베개의 대안으로 밀도가 높고 저탄성의 성질로서 복원력이 뛰어난 신소재의 메모리폼 베개가 인체해부학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디자인과 설계로 생산되지만 이 또한 장 시간 사용에 높이가 낮아 짐과, 사용자의 침대 위 메트의 부드러움 또는 딱딱함 여부에 따라 높낮이의 변화를 줄 수가 없어 숙면을 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Conventional pillows filled with cott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fluffy, but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lot of problems to take a good night's sleep, such as the elasticity of the cotton is lowered and its height is lowered as well as breathable off. In addition,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pillow, a memory foam pillow made of high density and low elasticity and excellent resilience is produced by design and design considering the anatomical aspect, but it also becomes low in long-term use and There was a limit to getting a good night's sleep because it could not change the height depending on whether the mat was soft or hard on the bed.

한편,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가 부가된 베개가 제안된 바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거나 아니면, 기본적인 베개의 모양 자체를 높이 조절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 또한 각 개인의 다른 인체의 형상에 잘 맞지 않아, 널리 보급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proposed a pillow with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bu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or there is a wa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sic pillow itself, but this also does not fit well with the shape of each other's human body, There was a limit to its widespread use.

특히, 기존의 높낮이 조절 베개는 미세한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베개 높낮이에 따라 숙면의 정도가 민감한 사용자에게는 사용상의 큰 불편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existing height-adjustable pillow is not possible to finely adjust the height, there was a great inconvenience in use for users sensitive to the degree of sleep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illow.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높낮이의 조절이 용이하고 미세하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under the foregoing technical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llow that can easily adjust height and finely adjust the heigh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기구적 설계를 채용하지 않고 쿠션감을 유지하면서도 쉽게 경추와 후두부의 형상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하여 하중이 베개에 골고루 분산되어 경추의 원래의 모양(C자형)을 유지하고 기도의 확보를 용이하게 하여, 충분한 산소의 공급과 원활한 혈류의 흐름으로 숙면을 취하며, 척추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the original shape (C-shaped) of the cervical spine by maintaining the cushioning and easy adjustment of the height to fit the shape of the cervical spine and the back of the head without maintaining a complex mechanical design to maintain the original shape (C-shaped) of the cervical spine It is to provide a new functional pillow that facilitates the securing of a good sleep, the supply of sufficient oxygen and smooth blood flow, and can help spine health.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resent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하면에는 상방으로 제1터널형 가이드와 제2터널형 가이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의 두 터널형 가이드 내부에 각각 배치되며 중앙은 상기 베이스판 상부로 노출되는 제1회전바 및 제2회전바와; 상기 제1회전바가 삽입되며 제1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제1터널형 가이드를 따라 수평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경사면이 있는 한 쌍의 제1수평이동체와; 상기 제2회전바가 삽입되며 제2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제2터널형 가이드를 따라 수평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경사면이 있는 한 쌍의 제2수평이동체와; 상기 한 쌍의 제1수평이동체의 경사면에 양단이 안착되어 제1수평이동체의 수평 이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승강바와; 상기 한 쌍의 제2수평이동체의 경사면에 양단이 안착되어 제2수평이동체의 수평 이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승강바와;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 상면 및 상기 제1승강바와 제2승강바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se plate; A first side wall and a second side wall dispos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respectively, and having a first tunnel guide and a second tunnel guide upward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rotating bar and a second rotating bar disposed in two tunnel guides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respectively, the center of which is expos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 pair of first horizontal moving bodies inserted into the first rotating bar and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bar to move horizontally along the first tunnel type guide and having inclined surfaces facing each other; A pair of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ies inserted into the second rotating bar and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bar to move horizontally along the second tunnel type guide and having inclined surfaces facing each other; First lift bars which are both ends of which are mounted on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movable bodies and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body; A second elevating bar seat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ies and vertically moving alo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y; It provides a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including; an upper cover disposed o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upper surface and the first elevating bar and the second elevating bar.

상기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는 외주면에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제1수평이동체 및 한 쌍의 제2수평이동체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first rotary bar and the second rotary bar are partially threa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movable body and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y are threaded therein.

상기 한 쌍의 제1수평이동체 및 한 쌍의 제2수평이동체의 경사면은 중앙에 제1승강바 및 제2승강바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 이동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승강바와 제2승강바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제1수평이동체 및 한 쌍의 제2수평이동체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red that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movable bodies and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ies have a tilt movement guide for guiding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lifting bar and the second lifting bar at the center thereof.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s of the first elevating bar and the second elevating bar have inclined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movable bodies and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ies.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 사이의 베이스판 중앙부에는 상기 제1승강바 및 제2승강바와 각각 접촉하거나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바와 제2승강바의 수직 이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승강 플레이트 및 제2승강 플레이트가 더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ase plate betwee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is in contact with or coupled to the first elevating bar and the second elevating bar, respectively,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elevating bar and the second elevating bar. The elevating plate and the second elevating plate may be further disposed.

또한, 상기 제1승강 플레이트 및 제2승강 플레이트와 상부 커버 사이에는 쿠션 부재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ushion member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fting plate and the second lifting plate and the upper cover.

한편,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와 상기 베이스판 중앙부 사이의 경계 지점에 각각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cover may be formed with cutouts respectively at the boundary points betwee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nd the base plate central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의 제1터널형 가이드와 제2터널형 가이드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수평이동체와 제2수평이동체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터널형 가이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nnel is inserted into the first tunnel guide and the second tunnel guide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to guid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body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y It may further include a mold guide tube.

이 경우, 상기 터널형 가이드관 내벽에는 제1수평이동체 또는 제2수평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guide rail)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수평이동체 또는 제2수평이동체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선형적으로 만입된 수평 이동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rail protruding linearly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body or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y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unnel-type guide tube. It is preferable that a horizontal moving guide indented linearly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wo horizontal movable bodies.

본 발명에 따르면, 베개의 머리 받침과 목 받침 부위의 높이를 동시에 또는 별개로 쉽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베개의 쿠션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체형이나 의도에 맞게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숙면과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형상화된 베개의 단순 높이 조절이 아닌 사용자의 경추부와 후두부가 닿는 면에 각각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사용자의 두부나 경추부의 근육과 인대가 이완되어 수면 중 정상적인 경추부의 자세를 유지하여 인체에 가장 적합한 베개를 제공하고 차별화된 편안함과 잘못된 경추의 자세를 교정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는 복잡한 기구적 설계가 필요없고 고가의 동력 발생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며, 생산 및 조립이 용이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headrest and neck rest of the pillow can be easily and finely adjusted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You can have a good night's sleep and a comfortable res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ow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or intention while maintaining the cushioning of the pillow.In addition to the height of the cervical spine and the back of the head, not the simple height adjustment of the shaped pillow. Through the adjustment, the muscles and ligaments of the user's head or cervical spine are relaxed to maintain the normal cervical spine during sleep, providing a pillow that is most suitable for the human body, and correcting the posture of differentiated comfort and cervical spine. In addition, the functional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complicated mechanical design, does not use expensive power generating parts, and is easy to produce and assemble.

도 1은 본 발명의 베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베개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
도 5는 회전바와 수평 이동체의 결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a 내지 6c는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동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평면도 및 배면도.
도 7은 터널형 가이드관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수평 이동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회전바에 수평 이동체와 승강바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승강바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베개 내부에서 높낮이 조절 부위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베개의 높낮이 조절 부위를 보인 평면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rotating bar and the horizontal movable body.
6a to 6c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orizontal mov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nnel guide tub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horizontal moving body.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movable body and the lifting bar is coupled to the rotating bar.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bar.
Figure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site within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portion of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베개의 후두부(머리)와 경추부(목)의 높이를 수동으로 쉽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베개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pillow that can easily and finely adjust the height of the back of the pillow (head) and cervical spine (neck).

본 발명의 높이 조절 베개는 수평이동체 및 승강바를 통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복잡한 기구적 설계나 동력 발생 수단 없이도 베개의 위치별로 높이를 제어한다. 특히, 각각의 수평이동체의 미세한 수평 이동에 의해 승강바를 미세한 수직 간격으로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베개 높이에 대해 민감한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베개 높낮이 변화를 전혀 느끼지 못한 채 숙면을 취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height by the position of the pillow by adjusting the height through the horizontal movable body and the lifting bar without complicated mechanical design or power generating means. In particular, the height of the elevating bar can be adjusted at a minute vertical interval by the minute horizontal movement of each horizontal movable body, so even a user who is sensitive to the height of the pillow can take a good night's sleep without feeling any change in the height of the pillow.

또한, 베개의 후두부와 경추부에 해당하는 영역에 각각 별개로 수평이동체와 승강바에 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체형이나 잠자는 습관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부위별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the horizontal movable body and the lifting bar separately in the areas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pillow and the cervical spine, so that the height of the pillow can be controlled for each par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or sleeping habit.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는 다수의 쿠션부와 높낮이 조절을 위한 승강부를 포함한다. 도 1의 외관 사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게(100)는 상부 커버(110), 제1측벽 및 제2측벽(120a, 120b) 및 베이스판(130),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제1측벽과 제2측벽 사이에 삽입되는 보조쿠션(140)을 포함한다. 베개 측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을 제어하는 회전 손잡이(210)가 제1측벽 및 제2측벽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베이스판(130)의 형태는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 구조가 바람직한 반면, 제1측벽 및 제2측벽의 상면 형태와 상부 커버의 구조는 사용자가 편안히 머리를 베고 누울 수 있도록 웨이브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unctional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ushioning portions and a lift for height adjustment. Referring to the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FIG. 1, the pillow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over 110, a first side wall and a second side wall 120a and 120b and a base plate 130, and a first side wall as necessary. And an auxiliary cushion 140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s shown in FIG. 2, a rotation knob 210 for controlling the height adjustment is ex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surfaces. The shape of the base plate 130 is preferably a rectangular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herea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nd the structure of the upper cover may be formed in a wavy form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cut and lie down. hav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개의 외표면에는 마감 원단을 커버하여 미적 효과 및 내부 구성품을 보호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ow may cover the finishing fabric to protect the aesthetic effect and the internal components.

본 발명에서 제1측벽 및 제2측벽(120a, 120b)은 베이스판 상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며, 도 3의 단면도 및 도 4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에는 각각 상방으로 두 개의 터널형 가이드(125a, 125b)가 상호 이격되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측벽과 제2측벽에는 각각 한 쌍의 터널형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측벽과 제2측벽에 각각 형성된 제1터널형 가이드(125a)가 서로 기능적으로 연관되고 제1측벽과 제2측벽에 각각 형성된 제2터널형 가이드(125b)가 서로 기능적으로 연관된다. 상기 터널형 가이드는 수평 이동체(300a, 300b)가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며 수평 이동체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터널형 가이드는 제1측벽 및 제2측벽의 수평 길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수평 이동체의 수평 이동 거리를 감안하여 제1측벽과 제2측벽에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120a, 120b)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 of the base plate,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3 and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respectively, two tunnels upwards The guides 125a and 125b are part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a pair of tunnel guides are formed o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respectively, and the first tunnel guide 125a formed o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is functional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tunnel guides 125b respectively formed on the second side walls are functional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The tunnel guide provides a passage in which the horizontal movable bodies 300a and 300b are inserted to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able bodies. The tunnel guide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or may be partially formed o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in consideration of the horizontal moving distance of the horizontal moving body.

상기 베이스판, 제1측벽 및 제2측벽, 상부 커버는 스폰지, 우레탄폼, 실리콘발포체 등 기타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 부위의 강도 내지 밀도를 달리할 수 있고. 천연의 재료(솜, 오리, 거위털, 메밀, 조, 편백, 소나무 가공품 등)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에 있어서 제1측벽과 제2측벽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바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지지하는 한편, 수평 이동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므로 베이스판과 상부 커버 보다 제1측벽과 제2측벽이 강도나 밀도가 큰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se plate,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the upper cover may be formed of a cushioning material such as sponge, urethane foam, silicone foam, etc., and may vary the strength or density of each part as necessary. Natural materials (cotton, duck, goose down, buckwheat, crude, cypress, pine artifacts, etc.) can also be used. In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fix and support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bar as described below, and guide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able body, so that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cover are lower than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c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wall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or density.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120a, 120b)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된 두 개의 터널형 가이드(125a, 125b) 내부에는 각각 제1회전바 및 제2회전바가 배치되며, 이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의 중앙은 상기 베이스판 상부로 노출된다. 또한,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의 양단은 제1측벽 및 제2측벽을 관통하여 제1측벽 및 제2측벽 외표면으로 노출되고 전술한 회전손잡이(210)와 결합된다. First and second rotation bars are disposed in the two tunnel-shaped guides 125a and 125b formed upwardly from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120a and 120b, respectively. The center of the two rotation bar is exposed to the upper base plate.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first rotation bar and the second rotation bar penetrate through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nd are coupled to the rotation knob 210 described above.

한편, 제1측벽과 제2측벽 사이, 베이스판과 상부 커버 내부 공간(S)은 제1회전바 및 제2회전바의 수직 이동 공간에 해당하며, 이 곳에 스폰지나 솜, 기타 쿠션 부재를 삽입하여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하더라도 베개 중앙의 쿠션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cover inner space (S) corresponds to the vertical movement space of the first rotation bar and the second rotation bar, where a sponge, cotton, or other cushion member is inserted Even if the height of the pillow is adjusted, the cushioning in the center of the pillow can be kept constant.

상기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는 각각 한 쌍의 제1수평 이동체와 제2수평 이동체가 삽입되며, 회전바와 수평 이동체는 상호 나사 결합에 의하여 연결된다.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 및 여기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수평 이동체와 제2수평 이동체는 그 형태와 기능이 유사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하나의 회전바 및 한 쌍의 수평 이동체를 대상으로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 pair of the first horizontal moving body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ing body, and the rotating bar and the horizontal moving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screwing. Since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ars and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oving bodies inserted therein have similar shapes and function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directed to one rotating bar and a pair of horizontal moving bodies. An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바(200)의 외주면에 한 쌍의 수평 이동체(300a, 300b)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회전바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파이프 형태의 구조물로서 외주면에는 부분적으로 나사산(220a, 22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수평 이동체(300a, 300b)는 내부에 상기 회전바가 삽입되는 원통형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과홀 내면에 회전바의 나사산과 동일하게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바의 양단에 결합된 회전손잡이(210)를 회전(R)시켜 회전바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바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전술한 터널형 가이드(125a, 125b) 내에 배치되어 수직 이동이 제한되어 있는 수평 이동체(300a, 300b)는 수평적으로, 즉 회전바의 길이 방향(M)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 쌍의 수평 이동체의 수평 방향 이동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승강바의 수직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에 있어서, 회전바의 회전이 수평 이동체의 수평 이동을 야기하고, 이에 따라 승강바의 수직 이동이 동시에 발생하여 베개의 위치에 따른 부분적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a pair of horizontal moving bodies 300a and 300b ar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bar 200. The rotating bar is a pipe-shaped structur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threads 220a and 220b are parti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pair of horizontal moving members 300a and 300b have a cylindrical through hole into which the rotating bar is inserted,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horizontal moving bodies 300a and 300b. Therefore, when the rotary bar is rotated by rotating the rotary knob 21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ry bar, the screw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ar and disposed in the aforementioned tunnel type guides 125a and 125b to move vertically. The limited horizontal movable bodies 300a and 300b are movable horizontally, that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 of the rotation bar.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pair of horizontal moving bodies enables vertical movement of the lifting bar as described later. That is, in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of the rotary bar cause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able body, and thu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ing bar occurs at the same time, thereby enabling partial height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illow.

상기 회전바의 나사산의 간격은 베개의 높낮이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사산 간격이 작을 경우, 회전바의 회전에 의해 수평 이동체의 수평 이동 거리를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회전바의 나사산 간격을 1mm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여 회전바가 1 회전하는 경우에 수평 이동체의 수평 이동 거리는 1mm 이하, 예를 들어 0.5mm 수준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었다. The spacing of the threads of the rotating bar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illow. When the thread spacing is small, the horizontal moving distance of the horizontal movable body can be finely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ad spacing of the rotating bar is formed to be 1 mm or less so that the horizontal moving distance of the horizontal movable body can be finely adjusted to 1 mm or less, for example, 0.5 mm level when the rotating bar is rotated once.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바의 외주면에는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로 나사산(220a, 220b)이 형성된다. 회전바에 삽입되는 한 쌍의 수평 이동체 역시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로 내부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산의 구조로 인하여, 회전바의 회전에 의하여 한 쌍의 수평 이동체(300a, 300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회전바를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하나의 수평 이동체 및 마주보는 다른 수평 이동체가 서로 가깝게 모이거나, 회전바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서로 마주보는 두 수평 이동체가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제1수평 이동체 및 제2수평 이동체가 서로 모이거나 멀어지는 수평 이동 동작에 따라 후술하는 승강바가 상방으로 이동하거나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ads 220a, 220b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ar in opposite directions. A pair of horizontal moving bodies inserted into the rotating bar also have internal threads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of rota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thread, the pair of horizontal moving members (300a, 300b) ar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bar. For example, when the rotating ba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one horizontal moving object and the other horizontal moving object facing each other may be gathered close to each other, or when the rotating bar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two horizontal moving objects facing each other may be far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 horizontal movement operation in which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body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y are gathered or distant from each other, a lifting bar to be described later may move upward or downward.

상기 회전바의 나사산(220a, 220b)은 회전바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수평 이동체의 수평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회전바 외주면 양측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threads 220a and 220b of the rotating bar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ar as a whole, or may be parti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ar in consideration of the horizontal moving distance of the horizontal moving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회전바에 삽입되는 한 쌍의 수평 이동체는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수평적으로 이동하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경사면이 형성된다.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면, 수평 이동체(300)는 바닥면에 대하여 윗면이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진 윗면에는 두 개의 측벽(310a, 310b)이 있고 중앙에는 승강바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 이동 가이드(3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 및 경사 이동 가이드는 승강바가 수평 이동체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 경로가 이탈되지 않고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수평 이동체의 내부 아래쪽에는 전술한 회전바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원통형 통과홀(3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과홀에는 회전바와의 결합 및 회전바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수평 이동체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과홀은 수평 이동체 후방과 전방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경사 이동 가이드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 또는 양측에 모두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horizontal moving bodies inserted into one rotating bar moves horizontally in association with rotation of the rotating bar, and inclined surfaces are formed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6A to 6C, the horizontal movable body 30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top surfac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clined top surface has two side walls 310a and 310b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ifting bar in the center thereof. The inclined movement guide 320 which guides is formed. The side wall and the inclined movement guide allow the movement path to be smoothly moved without moving away when the elevating bar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slid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rizontal moving body. In addition, a cylindrical through-hole 305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movable body to allow the above-described rotation bar to be inserted, and the horizontally movable horizontal movable body is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coupling with the rotary bar and the movement of the rotary bar. Threads are formed to enable this. The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horizontal moving body rear and front, it can be formed on either or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inclined movement guide.

상기 수평 이동체 경사면의 경사각은 본 발명의 베개의 높낮이 조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경사면의 경사각이 45°일 경우 수평 이동체의 수평 이동 거리와 수평 이동체 경사면을 따라 경사 이동하는 승강바의 수직 이동 거리는 동일하게 되지만(tan45°= 1), 경사면의 경사각을 30°으로 낮추게 되면 수평 이동체의 수평 이동 거리에 대해 승강바의 수직 이동 거리는

Figure 112012073075919-pat00001
(= tan30°) 수준으로 줄어들게 되어 보다 미세하게 베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orizontal movable body inclined surfac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is 45 °, the horizontal moving distance of the horizontal moving object and the vertical moving distance of the lifting bar inclined along the horizontal moving object inclination are the same (tan45 ° = 1), bu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is set to 30 °. When lowered,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lifting bar relative to the horizontal movement distance of the horizontal moving object
Figure 112012073075919-pat00001
(= tan30 °) will be reduced to more finely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ow.

본 발명은 또한, 도 3에 도시한 제1측벽 및 제2측벽의 제1터널형 가이드(125a)와 제2터널형 가이드(125b) 내부에 삽입되어 제1수평이동체와 제2수평이동체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터널형 가이드관(도 7 참조, 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터널형 가이드관(126)은 상기 터널형 가이드와 동일한 외관을 갖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사각 단면 구조물로서 내부에 수평 이동체가 삽입되어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터널형 가이드관의 수평 길이는 예를 들어 터널형 가이드와 동일할 수 있으며, 제1측벽 및 제2측벽의 수평 길이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nserted into the first tunnel guide (125a) and the second tunnel guide (125b)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shown in Figure 3 horizontal of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body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y It may further include a tunnel-type guide tube (see Fig. 7, 126) to guide the movement. The tunnel-shaped guide tube 126 i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having an empty interior having the same appearance as the tunnel-type guide, and a horizontal moving body is inserted therein to allow horizontal movement.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tunnel type guide tube may be the same as the tunnel type guide, for example, and preferably does not exceed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터널형 가이드관은 예를 들어 얇은 금속판 및 판재나 PE, PET, 아세탈, ABS 계열의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1측벽 및 제2측벽의 터널형 가이드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를 압박하더라도 수평 이동체가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한다. The tunnel guide tube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thin metal plate and a plate, or a plastic of PE, PET, acetal, or ABS series, and the user's head inserts the pillow by inserting the inside of the tunnel guide on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Even when pressed, the horizontal movable body is guided to allow stable horizontal movement.

상기 터널형 가이드관 내벽에는 제1수평이동체 또는 제2수평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guide rail)(126a, 126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널형 가이드관 후방에는 수평 이동체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보호벽(126c)이 형성될 수 있고, 이 보호벽에는 회전바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관통홀(126d)이 형성되고, 관통홀(126d)은 회전바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고 수평이동체가 제1측벽이나 제2측벽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guide rails 126a and 126b linearly protru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body or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y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unnel-type guide tube. In addition, a protective wall 126c may be formed behind the tunnel-type guide tube to prevent the horizontal movable body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 through hole 126d is formed in the protective wall to allow insertion of the rotation bar, and the through hole 126d. It facilitate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ar and prevents the phenomenon that the horizontal movable body is biased to either the first side wall or the second side wall.

이 경우, 수평 이동체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선형적으로 만입된 수평 이동 가이드(3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레일과 수평 이동 가이드는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수평 이동체가 터널형 가이드관 내부와 외부의 어떠한 관섭도 없이 수평적으로 보다 유연하게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moving body has a horizontal moving guide 330 linearly indented to correspond to the guide rail as shown in FIG. 8. The guide rail and the horizontal movement guide serve as a guide that allows the horizontal movable body to move more flexibly horizontally without any intervention inside and outside the tunnel type guide tube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평이동체의 경사면에 양단이 안착되어 수평이동체의 수평 이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바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ing bar which is mounted at both ends on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air of horizontal movable bodies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able body.

이러한 승강바는 한쌍의 제1수평 이동체와 한 쌍의 제2수평이동체의 경사면에 각각 배치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승강바에 대해 그 구조와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바의 외주면에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삽입되어 있는 한 쌍의 수평 이동체(300a, 300b)의 경사면에 승강바(40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바는 수평 이동체의 경사면에 형성된 경사 이동 가이드(도 6a의 320)에 끝단이 접촉하여 수평 이동체의 수평 이동(M)에 연동하여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그 결과 수직 방향(H)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se lifting bars are disposed on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movable bodies and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ies, respectively, and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elevating bars will be described below. 9, the lifting bar 400 is disposed on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air of horizontal moving bodies 300a and 300b inse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ar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lifting bar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in conjunction with the horizontal movement (M) of the horizontal movable body by contacting the tip of the inclined movement guide (320 of FIG. 6A)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rizontal movable body, and as a result, in the vertical direction (H). Done.

승강바의 양단은 한 쌍의 수평 이동체 경사면에 단순히 접촉하기만 하면 되며 별도의 결합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수평 이동체의 경사면과 승강바의 양단이 보다 많은 접촉 면적을 유지하면서 상호 이동이 원활하게 연동될 수 있도록 승강바 양단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체 경사면과 각도가 동일하게 경사진 경사부(41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Both ends of the elevating bar only ne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air of horizontal moving object inclined surfaces, and no separate coupling means is required. However, both ends of the lifting bar are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horizontal moving body inclined plane so that mutual movements can be smoothly interlocked while maintaining both contact surfaces of the inclined plane of the horizontal moving body and the lifting bar. It is desirable to have a portion 4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베개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회전 손잡이 및 회전바의) 회전 동작, (수평 이동체의) 수평 이동, 및 (승강바의) 수직 이동이 일체화되어 동시에 발생하며, 이러한 모든 동작은 사용자가 회전 손잡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동 작동으로 가능하다. 또한, 회전바의 직경, 회전바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간격, 수평 이동체 경사면의 경사각을 효과적으로 설계함으로써 회전 손잡이의 회전에 대하여 승강바의 높이 변화가 적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최종적인 베개 높낮이 조절은 매우 미세하게 제어되며 베개 높이에 민감한 사용자나 두부 또는 안면에 상처를 입은 환자에게 베개 높낮이 변화를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knob and the rotation bar),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able body),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ifting bar) are integrated at the same tim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ow, and all such movements occur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with the manual operation by the user to rotate the rotary knob in one direction. In addition, by effectively designing the diameter of the rotation bar, the spacing of the thread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ba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plane of the horizontal moving body, it is possible to make the height change of the lifting bar les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knob. As a result, the final pillow height adjustment is very finely controlled and can be adjusted so that the height of the pillow is not recognized by a user who is sensitive to the pillow height or a patient who has a head or face wound.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에 있어서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의 위치는 베개의 높낮이를 부분적으로 조절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베개 내부를 보인 평면도로서, 제1회전바(200a)와 제1승강바(400a)가 베개에서 목 받침 부위인 경추부에 해당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제2회전바(200b)와 제2승강바(400b)는 베개에서 머리 뒷편 부위인 후두부에 해당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를 각각 경추부와 후두부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이나 수면 습관에 대응하여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In the functional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first rotation bar and the second rotation bar is very important for parti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ow.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rotating bar (200a) and the first lifting bar (400a) is dispos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ervical spine, the neck support portion of the pillow, the second rotation The bar 200b and the second elevating bar 400b can be seen to be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head, the back of the head. As such, by placing the first and second rotary bars on the cervical spine and the back of the head, the height of the pillow can be adjusted in response to various tastes and sleeping habits of the user.

한편, 제1측벽(120a) 및 제2측벽(120b) 사이의 베이스판 중앙부에는 상기 제1승강바(400a)와 제2승강바(400b)와 접촉하거나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바와 제2승강바의 수직 이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제1승강 플레이트(410a) 및 제2승강 플레이트(410b)가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승강 플레이트는 승강바와 함께 수직 이동하면서 승강바가 제1측벽이나 제2측벽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승강 플레이트는 사용자가 베개를 사용할 때 승강바에 가해지는 압력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베개에 머리가 닿을 때의 접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승강 플레이트와 상부 커버 사이에는 쿠션 부재를 추가적으로 배치할 경우, 승강바의 수직 이동 시 쿠션 부재도 함께 원활한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between the first side wall (120a) and the second side wall (120b) in contact with or coupled to the first elevating bar (400a) and the second elevating bar (400b), the first elevating bar and the second elevating bar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ar, the first lifting plate 410a and the second lifting plate 410b which move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urther disposed. The elevating plate moves vertically with the elevating bar while the elevating bar is balanced without biasing either the first side wall or the second side wall. In addition, the elevating plate may improve the contact feeling when the head touches the pillow by disper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elevating bar in a larger area when the user uses the pillow. In addition, when the cushion member is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elevating plate and the upper cove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ing bar may also enable smooth vertical movement.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두부와 경추부를 각각 별개로 또는 동시에 높낮이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경추부에 해당하는 X 영역과 후두부에 해당하는 Y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al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the head and cervical spine to be changed separately or simultaneously.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2, the height may be independently adjusted in the X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ervical spine and the Y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arynx.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수평 이동체가 서로 모이게 하고 그 결과 승강바가 위로 상승하도록 하여 X 영역과 Y영역을 모두 높게 조절하면 사용자의 경추부, 후두부 닿는 면은 모두 높은 상태가 된다. 반면, 회전바를 반대로 회전시켜 한 쌍의 수평 이동체가 서로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추부와 후두부가 닿는 면을 모두 낮아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X 영역을 낮추어 경추부 닿는 면는 낮아지고 Y 영역을 높여 후두부 닿는 면은 높은 상태로 하거나, 반대로 X 영역을 높이고 Y 영역을 낮추어 경추부가 닿는 면은 높고 후두부 닿는 면은 낮은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는 사용자의 경추 및 머리의 상태, 베개 사용 습관 등에 따라 사용자의 경추부와 후두부가 닿는 면에 각각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사용자 인체에 가장 적합한 베개를 제공하여 차별화된 편안함과 잘못된 경추의 자세를 교정 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bar, a pair of horizontal moving objects gather together, and as a result, the lifting bar is raised upward, so that both the X area and the Y area are adjusted high, the user's cervical spine and the back contact area are all high. On the other hand, by rotating the rotation bar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pair of horizontal moving objects away from each other it may be to lower bo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cervical spine and the head of the user. In addition, the area where the cervical contact is lowered by lowering the X area is lowered and the surface contacted by the back of the head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rea of Y, or conversely, the area where the cervical spine is contacted by the height of the X area is lowered by lowering the Y area. 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al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llow that is most suitable for the user's body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ight of the cervical spine and the back of the head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cervical spine and the head, the pillow usage habits, and the like. You can also correct the position of the cervical spine.

본 발명에서는 베개의 위치별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서 높이 차이를 1mm 미만의 수준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베개 높이에 민감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예를 들어 1일에 1mm 이하의 수준의 변화로 한 달의 기간 동안 3cm의 높이 변화를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머리나 목 부위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베개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height difference to a level of less than 1mm in adjusting the height of each position of the pillow. Therefore, even a user who is sensitive to pillow height may naturally experience a height change of 3 cm over a period of one month, for example, with a level change of 1 mm or less per day. In particular, it is very suitable for fine adjustment of the pillow height in patients who need treatment of the head or neck area.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커버는 도 1 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베이스판 중앙부 사이의 경계 지점에 각각 절개부(112a, 11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개부는 베개 중앙부에서 경추부와 후두부에 해당하는 영역(X 영역 및 Y 영역)이 동시에 또는 별개로 높낮이가 조절될 때 보다 용이한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높낮이 조절 부위와 측벽 부위를 서로 구분함으로써 사용자가 옆으로 돌려 베개를 사용할 때 측벽이 얼굴 옆면이 더이상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안면에 상처나 수술 부위가 있는 환자들이 베개 사용 시 무의식적으로 옆으로 고개를 돌림으로써 상처나 수술 부위가 베개에 닿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ver may have cutouts 112a and 112b formed at the boundary points betwee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nd the base plate center,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 or 12. Such incision allows easier operation when the heights of the cervical vertebrae and the occipital region (X region and Y region) at the same time or separately are adjusted at the center of the pillow. In addition, by dividing the height adjustment area and the side wall area, the side wall is no longer face side when the user turns the pillow You can prevent it from running. As a result, for example, patients with scars or surgery on the face can unconsciously turn their heads when using the pillow to protect the wound or surgery from touching the pillow.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ed, modified, or improved.

110:상부 커버 120a,120b:제1측벽,제2측벽
125a,125b:터널형 가이드 126:터널형 가이드관
130:베이스판 140:쿠션 부재
200:회전바 210:회전 손잡이
220a,220b:나사산 300,300a,300b:수평 이동체
400:승강바 410a,410b:승강 플레이트
110: upper cover 120a, 120b: first side wall, second side wall
125a, 125b: Tunnel type guide 126: Tunnel type guide tube
130: base plate 140: cushion member
200: rotating bar 210: rotating knob
220a, 220b: Screw thread 300,300a, 300b: Horizontal moving object
400: lifting bar 410a, 410b: lifting plate

Claims (11)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하면에는 상방으로 제1터널형 가이드와 제2터널형 가이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의 두 터널형 가이드 내부에 각각 배치되며 중앙은 상기 베이스판 상부로 노출되는 제1회전바 및 제2회전바와;
상기 제1회전바가 삽입되며 제1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제1터널형 가이드를 따라 수평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경사면이 있는 한 쌍의 제1수평이동체와;
상기 제2회전바가 삽입되며 제2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제2터널형 가이드를 따라 수평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경사면이 있는 한 쌍의 제2수평이동체와;
상기 한 쌍의 제1수평이동체의 경사면에 양단이 안착되어 제1수평이동체의 수평 이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승강바와;
상기 한 쌍의 제2수평이동체의 경사면에 양단이 안착되어 제2수평이동체의 수평 이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승강바와;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 상면 및 상기 제1승강바와 제2승강바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기능성 베개.
A base plate;
A first side wall and a second side wall dispos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respectively, and having a first tunnel guide and a second tunnel guide upward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rotating bar and a second rotating bar disposed in two tunnel guides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respectively, the center of which is expos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 pair of first horizontal moving bodies inserted into the first rotating bar and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bar to move horizontally along the first tunnel type guide and having inclined surfaces facing each other;
A pair of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ies inserted into the second rotating bar and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bar to move horizontally along the second tunnel type guide and having inclined surfaces facing each other;
First lift bars which are both ends of which are mounted on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movable bodies and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body;
A second elevating bar seat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ies and vertically moving alo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y;
And an upper cover disposed on upper surfaces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elevating bar and the second elevating bar.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는 외주면에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제1수평이동체 및 한 쌍의 제2수평이동체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 조절 가능한 기능성 베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is partially threa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movable body and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y are threaded formed therein.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회전바 외주면의 양측에 서로 회전 방향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기능성 베개.The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hread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have different rotation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수평이동체 및 한 쌍의 제2수평이동체의 경사면은 중앙에 제1승강바 및 제2승강바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 이동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 조절 가능한 기능성 베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air of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body and the pair of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y is the height of the inclined movement guide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lifting bar and the second lifting bar is formed in the center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바와 제2승강바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제1수평이동체 및 한 쌍의 제2수평이동체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 조절 가능한 기능성 베개.The height-adjustable functional pillow of claim 1, wherein both ends of the first lifting bar and the second lifting bar have inclined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air of first horizontal movable bodies and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 사이의 베이스판 중앙부에는 상기 제1승강바 및 제2승강바와 각각 접촉하거나 결합되어 상기 제1승강바와 제2승강바의 수직 이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승강 플레이트 및 제2승강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높이 조절 가능한 기능성 베개.The base plate betwee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is in contact with or coupled to the first elevating bar and the second elevating bar, respectively, and is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elevating bar and the second elevating bar. Height-adjustable functional pillow that is disposed in the first lifting plate and the second lifting plate moving in the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 플레이트 및 제2승강 플레이트와 상부 커버 사이에는 쿠션 부재가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높이 조절 가능한 기능성 베개.The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cushion member is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fting plate and the second lifting plate and the upper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상기 베이스판 중앙부 사이의 경계 지점에 각각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 조절 가능한 기능성 베개.The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cover has cutouts formed at boundary points betwee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nd the bas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의 제1터널형 가이드와 제2터널형 가이드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수평이동체와 제2수평이동체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터널형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기능성 베개.The tunnel guide tube of claim 1, wherein the tunnel guide tube is inserted into the first tunnel guide and the second tunnel guide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to guid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body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y.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s containing mo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형 가이드관 내벽에는 제1수평이동체 또는 제2수평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guide rail)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 조절 가능한 기능성 베개.10. The height-adjustable functional pillow of claim 9, wherein a guide rail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unnel-shaped guide tube and protrudes linearly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or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이동체 또는 제2수평이동체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선형적으로 만입된 수평 이동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 조절 가능한 기능성 베개.

11. The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 horizontal moving guide linearly indented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movable body or the second horizontal movable body.

KR1020120100201A 2012-09-10 2012-09-10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KR1013010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201A KR101301050B1 (en) 2012-09-10 2012-09-10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201A KR101301050B1 (en) 2012-09-10 2012-09-10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050B1 true KR101301050B1 (en) 2013-09-10

Family

ID=4945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201A KR101301050B1 (en) 2012-09-10 2012-09-10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05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697B1 (en) 2016-03-15 2017-06-21 박성하 Pillow for correcting vertebrae
WO2018128405A1 (en) * 2017-01-05 2018-07-12 신혜정 Pillow
KR102516616B1 (en) * 2022-11-23 2023-03-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Height-adjustable replaceable pillow base with transducer height adjustment un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350A (en) * 2001-11-19 2003-05-27 문형근 Device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A Pillow
KR101058260B1 (en) * 2008-12-10 2011-08-22 이기오 Height adjustable pillow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350A (en) * 2001-11-19 2003-05-27 문형근 Device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A Pillow
KR101058260B1 (en) * 2008-12-10 2011-08-22 이기오 Height adjustable pillow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697B1 (en) 2016-03-15 2017-06-21 박성하 Pillow for correcting vertebrae
WO2018128405A1 (en) * 2017-01-05 2018-07-12 신혜정 Pillow
GB2572513A (en) * 2017-01-05 2019-10-02 Jeong Shin Hye Pillow
KR102516616B1 (en) * 2022-11-23 2023-03-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Height-adjustable replaceable pillow base with transducer height adjustment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564B1 (en) a pillow
US11596247B2 (en)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US5237714A (en) Orthopedic pillow
US20180256387A1 (en) A pillow
CN105342265A (en) Healthcare pillow allowing four areas to be adjusted
KR100978285B1 (en) Sound sleep pillow
KR101301050B1 (en)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KR101864769B1 (en) Memory foam pillow
US7614105B1 (en) Mattress for prone and supine sleeping and associated method
KR20130037248A (en) The muti functional device for correct posture and healthy back on the desk
KR19990069290A (en) Ergonomic Pillow
KR200448936Y1 (en) A pillow
KR200483101Y1 (en) A functional Neck Pillow of supporting upper backrest
CN201658124U (en) Cervical vertebrae health care pillow
WO2010082758A4 (en) Pillow
JP2001161501A (en) Underlaying bedding
CN203914307U (en) Height-adjustable neck protecting pillow
KR20160004049U (en) Wood pillow
CN205459679U (en) Vibration massage bed of health care
KR102639636B1 (en) Cervical Pillow
CN212326037U (en) Custom-made filling pillow
RU30532U1 (en) Orthopedic pillow
CN211186699U (en) Adjustable pillow
KR102644695B1 (en) Relax Sleep Pillow
CN220800682U (en) Adjustable cervical vertebra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