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260B1 - Height adjustable pillows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able pillow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260B1
KR101058260B1 KR1020080125306A KR20080125306A KR101058260B1 KR 101058260 B1 KR101058260 B1 KR 101058260B1 KR 1020080125306 A KR1020080125306 A KR 1020080125306A KR 20080125306 A KR20080125306 A KR 20080125306A KR 101058260 B1 KR101058260 B1 KR 101058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haft
pillow
height
top plat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66824A (en
Inventor
이기오
Original Assignee
이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오 filed Critical 이기오
Priority to KR102008012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260B1/en
Priority to PCT/KR2009/007129 priority patent/WO2010067978A2/en
Publication of KR20100066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8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2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형 높이조절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베개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가 자동적으로 조절되거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원하는 높이로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서 사용하기에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베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개의 본체가 되고 내부가 비워져 높이조절을 위한 장치가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를 따라 결합되는 탑플레이트와, 상기 탑플레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동되어 상기 탑플레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동자와, 상기 탑플레이트 상에 가해지는 무게 하중값을 검출하는 하중검출수단과, 상기 하중검출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무게 하중 검출정보를 통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온오프스위치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 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125306

베개,높이조절,전동베개,로드셀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height-adjusting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he height of the pillow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pillow, or it is more comfortable to us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ow to a desired height according to user selection. To provide a comfortable pillow.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in which the main body of the pillow and the inside is empty so that the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is built, the top plate coupled along the case so as to move up and dow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to lift the top plate A drive unit mounted inside the case, a mover interlocked with the drive unit to move the top plate up and down, loa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weight load value applied to the top plate, and transfer from the load detection mea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e unit through the weight load detec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n-off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drive unit, and a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drive mode of the drive unit.

Figure R1020080125306

Pillow, height adjustment, electric pillow, load cell

Description

높이 조절 베개 {Height adjustable pillow}Height adjustable pillow {Height adjustable pillow}

본 발명은 전동형 높이조절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베개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가 자동적으로 조절되거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원하는 높이로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서 사용하기에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베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height-adjusting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he height of the pillow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pillow, or it is more comfortable to us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ow to a desired height according to user selection. To provide a comfortable pillow.

베개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진다. 베개의 기능은 취침이나 휴식을 취할 때 신체 접촉부위에 쿠션을 제공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Pillows are made from a variety of materials. The pillow's function is to provide comfort and comfort by providing cushions at the body contact area when sleeping or resting.

변형되지 않는 일반적인 베개는 높낮이 조절이 되지 않으므로 보다 높은 자세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면 베개의 높은 면을 이용하고 낮은 자세가 필요하면 가장 낮은 면을 이용하지만, 베개의 형상이 변하지 않으로므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안락하고 편안한 최적 상태의 높이를 얻을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여러 개의 베개를 쌓아올려 이용하거나 또는 적당한 받침판을 베개에 대고 기대하는 높이를 맞추는 등 이용에 불편이 많았다.The general pillow that does not deform is not adjustable in height, so if you need to maintain a higher posture, use the high side of the pillow and the lowest side if you need a low posture, but the shape of the pillow does not change, so It was not comfortable to obtain the optimal height of comfort and comfort, and thus, it was inconvenient to use it by stacking several pillows or using an appropriate support plate on the pillow to meet the expected height.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2004-0007065호의 '베 개'는 이러한 일반적인 베개의 기능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기술로서, 사용자의 취향과 사용 목적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며 사용토록 한 것이다.'Pillow'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4-0007065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a technique proposed to solve the functional problem of the general pillow, artifici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ow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purpose of use It is so long.

상기 기술은 외곽 프레임과 돌출된 플레이트, 그리고 작동레버, 외곽프레임의 승,하강부, 승,하강부의 높낮이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 및 그 높낮이 유지부, 쿠션이 놓여지는 탑플레이트 등으로 구성되었다.The technology consists of an outer frame and a protruding plate, and an operation lever, a height adjusting part for adjusting step heights of the outer frame, the height and the lower part of the outer frame, the height maintaining part, and the cushioning top plate. It became.

그러나 본 출원인의 상기 기술은 사용해본 결과 지나치게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 발생이 많고, 제작도 어려웠으며, 기구적인 조작으로 높낮이 조절은 가능하지만 높낮이 조절을 위해서는 여러번의 수작업 작동과 조작이 필요하여 높이 조절을 통한 베개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상 불편이 큰 문제점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pplicant's technique is too complicated to produce a lot of failures,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by the mechanical operation, but the height adjustment requires several manual operation and operation to adjust the height adjustment Despite the fact that the height of the pillow can be adjus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convenience in u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베개에 전달되는 하중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가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서 편리하게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load transmitted to the pillow and adjusts the height of the pillow conveniently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ow according to the detected information. The purpose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전동형 구동부를 작동시켜 편리하게 희망 높이 만큼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ow by a desired height by conveniently operating the electric drive i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ow.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개의 높이를 사용자 선택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reely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ow by user sele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Specific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베개의 본체가 되고 내부가 비워져 높이조절을 위한 장치가 내장되는 케이스와,The case which becomes the main body of the pillow and the inside becomes empty and a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is incorporated,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를 따라 결합되는 탑플레이트와,A top plate coupled along the cas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상기 탑플레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된 구동부와,A driving unit mounted inside the case for elevating the top plate;

상기 구동부에 연동되어 상기 탑플레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동자와,A mover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top plate up and down;

상기 탑플레이트 상에 가해지는 무게 하중값을 검출하는 하중검출수단과,Loa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weight load applied to the top plate;

상기 하중검출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무게 하중 검출정보를 통하여 상기 구 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astern part through the weight load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ad detecting means.

상기 구동부는, The driving unit includes:

구동모터와,Drive motor,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스크류축과,A screw shaft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driven;

상기 스크류축과 이격된 위치에서 연동하는 다른 스크류축과,Another screw shaft interlock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crew shaft,

상기 구동모터 측의 스크류축과 상기 다른 스크류축 간의 구동을 연결하는 전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means for connecting the drive between the screw shaft and the other screw shaft of the drive motor side.

상기 전동수단은,       The transmission means,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을 상기 다른 스크류축으로 매개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축들에 구비된 회전풀리와,      In order to mediate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to the other screw shaft, the rotary pulley provided in the screw shaft,

상기 회전풀리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상기 스크류축들에 전달하는 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el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pulley to transfer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to the screw shaft.

상기 가동자는, The mover is,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으로 회전되어 높낮이가 가변되는 가동자본체와,A movable capital body whose height is variable by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상기 가동자본체를 상기 스크류축과 나사결합시키고, 상기 스크류축을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그 이동량에 따라 상기 가동자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나사홀더와,A screw holder for screwing the movable capital body with the screw shaft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vable capital body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while linearly moving along the screw shaft;

상기 가동자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와,A link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movable body;

상기 하중검출수단을 탑재하기 위한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holder for mounting the load detecting means.

상기 하중검출수단은, The load detection means,

상기 가동자본체의 일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탑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무게하중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검출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로드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 cell is mounted to one end of the movable capital body to detect the weight load transmitted from the top plate and configured to deliver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은, 베개의 본체가 되고 내부가 비워져 높이조절을 위한 장치가 내장되는 케이스와,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in which the main body of the pillow and the interior is empty so that the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is built-in,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를 따라 결합되는 탑플레이트와,A top plate coupled along the cas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상기 탑플레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된 구동부와,A driving unit mounted inside the case for elevating the top plate;

상기 구동부에 연동되어 상기 탑플레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동자와,A mover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top plate up and down;

상기 탑플레이트 상에 가해지는 무게 하중값을 검출하는 하중검출수단과,Loa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weight load applied to the top plate;

상기 하중검출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무게 하중 검출정보를 통하여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through the weight load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ad detecting unit;

상기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온오프스위치와,An on-off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power applied to the controller and the driver;

상기 구동부의 구동 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driving mode of the driving unit.

본 발명은, 베개의 본체가 되고 내부가 비워져 높이조절을 위한 장치가 내장되는 케이스와,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in which the main body of the pillow and the interior is empty so that the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is built-in,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를 따라 결합되는 탑플레이트와,A top plate coupled along the cas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상기 탑플레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된 구동부와,A driving unit mounted inside the case for elevating the top plate;

상기 구동부에 연동되어 상기 탑플레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동자와,A mover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top plate up and down;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iving unit;

상기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온오프스위치와,An on-off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power applied to the controller and the driver;

상기 구동부의 구동 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driving mode of the driving unit.

상기 구동부는,        The driving unit includes:

구동모터와,Drive motor,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스크류축과,A screw shaft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driven;

상기 스크류축과 이격된 위치에서 연동하는 다른 스크류축과,Another screw shaft interlock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crew shaft,

상기 구동모터 측의 스크류축과 상기 다른 스크류축 간의 구동을 연결하는 전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means for connecting the drive between the screw shaft and the other screw shaft of the drive motor side.

상기 전동수단은,       The transmission means,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을 상기 다른 스크류축으로 매개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축들에 구비된 회전풀리와,      In order to mediate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to the other screw shaft, the rotary pulley provided in the screw shaft,

상기 회전풀리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상기 스크류축들에 전달하는 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el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pulley to transfer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to the screw shaft.

상기 가동자는, The mover is,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으로 회전되어 높낮이가 가변되는 가동자본체와,A movable capital body whose height is variable by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상기 가동자본체를 상기 스크류축과 나사결합시키고, 상기 스크류축을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그 이동량에 따라 상기 가동자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나사홀더와,A screw holder for screwing the movable capital body with the screw shaft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vable capital body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while linearly moving along the screw shaft;

상기 가동자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And a link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movable body.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베개는, 사용자의 취향과 사용 목적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편리하게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베개의 높이조절을 구조적으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를 비교적 단순화된 전동형으로 구성하여 간단히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여 베개의 높이 조절을 위한 작동 편의성을 향상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can be used to conveniently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ow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purpose of use, and relatively simplified the mechanical structure to structurally enabl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illow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simply by configuring the electric type to improve the ease of ope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ow can be used convenient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베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베개의 가동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가동자 상세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베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베개의 가동자 배치와 관련된 배치 예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회로 블럭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선택스위치 설명도 이다. 도 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베개의 동작 제어 예의 참고 흐름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the mover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ver of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ayout example associated with the movable arrange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circuit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 selection swit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ference flowchart of an operation control example of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베개는, 베개에 눌리는 하중값 검출정보를 통하여 베개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형과, 사용자 선택에 의해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반자동형 조작으로 구동될 수 있다.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by an automatic typ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ow through load value detection information pressed on the pillow, and a semi-automatic ope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ow by user selection.

본 발명의 1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베개는 자동형 높이조절베개이고, 2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베개는 반자동형 높이조절베개이다.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pillow,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semi-automatic height adjustment pillow.

1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베개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베개(10)의 내부에 전동장치를 실장하여 전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상부의 탑플레이트(11)를 상하로 승강시켜 베개(10)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1 to 5, the height adjusting pill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pillow 10, the electric device is mounted on the pillow 10 by elevating the top plate 11 of the upper and lower by driving the electric device (10) the height is configured to be made.

주요 부분은, 베개(10)의 본체가 되고 내부가 비워져 높이조절을 위한 작동 장치들이 내장되는 케이스(12), 상기 케이스(12)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12)를 따라 결합되는 탑플레이트(11), 상기 탑플레이트(11)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2) 내부에 실장된 스크류축(13)(13a) 및 구동부(14)와, 상기 구동부(14)의 스크류축(13)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1)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케이스(12) 내부에 위치하는 스크류축(13)(13a)들에 고정된 가동자(15), 상기 탑플레이트(11)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무게 하중값을 검출하는 하중검출수단, 상기 하중검출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검출정보를 통하여 구동부(1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중검출수단은 다양한 검출수단들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동자(15)에 로드셀(16)을 설치한 예를 구성 예로 하였다.The main part, the case 12 is a main body of the pillow 10 and the inside is emptied so that the operating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is built, coupled along the case 12 to move up and dow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2 The top plate 11, the screw shafts 13 and 13a and the driving unit 14 mounted in the case 12 to elevate the top plate 11 up and down, and the screws of the driving unit 14. The mover 15 fixed to the screw shafts 13 and 13a located inside the case 12 in order to move the top plate 11 up and dow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13. And a load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weight load value transmitted from the (11) side, and a control unit 17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e unit 14 through the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ad detecting means. Here, the load detection means may be applied to a variety of detection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load cell 16 is installed in the mover 15 is taken as a configuration exampl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베개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상기 케이스(12)는, 도 1과 같이 구동부(14)를 안착시키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2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단막(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케이스(12)를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20) 및 차단막(21)은 실질적인 베개의 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외부는 침구류로 사용하기에 적당하도록 쿠션재를 입힌 뒤 외부는 천이나 면으로 감쌓는 일반 침구류 소재로 표면을 처리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는 일반적인 베개에 준하는 것으로 기재는 생략한다. The case 12 is composed of a base plate 20 for seating the drive unit 14 as shown in FIG. 1, and a blocking film 21 for preventing the inside from being visible along the edge of the base plate 20. . Here, the base plate 20 and the blocking film 21 constituting the case 12 is a portion forming a substantial pillow body, the outside is coat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suitable for use as bedding, the outside is cloth or cotton The surface can be treated with a general bedding material wrapped,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correspond to general pillows,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케이스(12)의 각 면은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단막(21)을 형성하여 내부 전동장치들이 보이지 않게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surface of the case 12 may form a blocking film 21 to make the interior invisible so that the internal transmission devices may be invisible.

이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케이스(12)가 통체로된 일반적 베개와 다른 점은 내부가 비워져 있어 높이조절을 위한 전동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점이다.In this way, the case 12, which is configured to constitute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pillow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the interior of the case is emptied so that a transmission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is incorporated.

상기 탑플레이트(11)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천이나 면으로 처리된 쿠션패드(22)를 씌워서 구성하면 일반 침구류용 베개와 유사한 형태가 될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20)의 차단막(21)을 따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탑플레이트(11)의 가장자리를 절곡한 결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23)는 탑플레이트(11)가 가동자(15)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때 베이스플레이트(20)의 차단막(21)을 따라 상하 운동한다.When the top plate 11 is configured by covering the cushion pad 22 treated with a cloth or cotton as shown in Figs. 1 and 3 can be a similar shape to the pillow for general bedding. In addition, the coupling portion 23 is formed to bend the edge of the top plate 11 in order to be coupled along the blocking film 21 of the base plate 20. The engaging portion 23 moves up and down along the blocking film 21 of the base plate 20 when the top plate 11 moves up and down by the mover 15.

상기 구동부(14)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케이스(12)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구동모터(24)와, 상기 구동모터(24)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스크류축(13), 상기 스크류축(13)과 이격된 위치에서 연동하는 다른 스크류축(13a), 상기 스크류축(13)의 회전을 다른 스크류축(13a)으로 매개하기 위하여 스크류축(13)(13a)들에 구비되는 전동수단으로 구성되며, 그 전동수단의 예로는, 작동시 저소음과 무게가 가벼운 회전풀리(25) 및 벨트(26)가 유리하다. 전동수단의 주변부로는 스크류축(13)(13a)을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블럭(27)이 적당한 위치에 구성되어 있다. 1 and 2, the drive unit 14 is configured in the case 12, the drive motor 24, the screw shaft 13 is coupled to the drive motor 24 and interlocked, the screw Another screw shaft 13a interlock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haft 13, and transmissions provided on the screw shafts 13 and 13a for mediating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13 to the other screw shafts 13a. As an example of the transmission means, the rotary pulley 25 and the belt 26 which are low in noise and light in operation are advantageous. As a peripheral part of the transmission means, a support block 27 for supporting the screw shafts 13 and 13a on the base plate 20 is configur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여기서 스크류축(13)은 구동모터(24)에 연결되어 있으며, 최종적으로 회전력을 가동자(15)에 전달하여 가동자(15)를 회전시키며, 그 구체적인 동작은 아래의 동작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 the screw shaft 13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24, and finally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mover 15 to rotate the mover 15, the specific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operation description below do.

상기 가동자(15)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일정한 각도범위로 회전가능하도록 스크류축(13)(13a)에 고정되는 가동자본체(30)와, 상기 가동자본체(30)를 상기 스크류축(13)(13a)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하여 내경상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스크류축(13)(13a)을 따라 직선이동면서 그 이동량에 따라 가동자본체(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나사홀더(31)와, 상기 가동자본체(30)를 회전 가능하기 지지하고 힌지축(32)으로 고정된 링크(33)와, 상기 로드셀(16)을 탑재하기 위하여 선단 일단부에 홀더(34)를 구비한다. The movable member 15,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movable capital body 30 is fixed to the screw shaft (13) (13a) to be rotatable in a constant angle range, and the movable capital body 30 In order to screw the screw shaft 13 and 13a, a screw thread is provided on the inner diameter to linearly move along the screw shaft 13 and 13a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ovable capital 30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A screw holder 31, a link 33 rotatably supporting the movable capital body 30 and fixed to the hinge shaft 32, and a holder 34 at one end of the tip for mounting the load cell 16. ).

도 1에는 하중검출수단으로서 로드셀(16)을 적용한 예가 나타나 있고, 또한 로드셀(16)의 일단을 가동자(15)의 홀더(34)에 결합하여 핀(35)으로 결합한 핀 결합의 예가 나타나 있다.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load cell 16 is applied as a load detection means, and an example of a pin coupling in which one end of the load cell 16 is coupled to a holder 34 of the mover 15 by a pin 35 is shown. .

여기서 가동자(15)의 갯수는 탑플레이트(11)를 평판 기준으로 하여 균형적으로 상하 승강시키기 위하여 평판의 모서리 근처 4개소에 상호 대칭적 조합인 4개의 설치 예를 들었다(도 1은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으로서 1개소는 생략하여 도시됨).Here, the number of the movable members 15 has four installation examples of mutually symmetrical combinations at four places near the edge of the plate in order to raise and lower the top plate 11 in a balanced manner based on the plate. 1 is omitted as a drawing for help).

로드셀(16)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각각의 가동자(15)에 마련된 홀더(34)에 각각 장착된다. 로드셀(16)은 가동자본체(30)의 홀더(34)에 안착되어 탑플레이트(11)로부터 전달되는 무게 하중을 검출하여 제어부(17)에 검출정보를 전달한다.The load cell 16 is attached to the holder 34 provided in each movable body 15 like FIG. 1 and FIG. The load cell 16 is mounted on the holder 34 of the movable capital body 30 to detect the weight load transmitted from the top plate 11 and transmit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7.

로드셀(16)은 탑플레이트(11)로부터 눌리는 하중값을 기구적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가장 유리한 위치인 가동자(15)에 설치되어 있다. 물론 하중검출수단은 로드셀(16) 뿐만아니라 다양한 검출소자들, 예를들면 적외선 센서나 근접 센서 등을 적용하는 전자식 검출기의 적용도 가능하다. The load cell 16 is provided in the mover 15 which is the most advantageous position in order to mechanically detect the load value pressed from the top plate 11. Of course, the load detection means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load cell 16 but also to an electronic detector that applies various detection elements such as an infrared sensor or a proximity sensor.

가동자(15)에 장착되는 로드셀(16)은 그 배치를 대각 구조나 가로세로 방향 등 자유롭게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으나, 보다 정밀한 무게 하중을 검출하기 위하여 각각의 가동자(15)들에 균형적이고 대칭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ad cell 16 mounted on the mover 15 may be freely selected and mounted in an arrangement such as a diagonal structure or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but is balanced on each mover 15 to detect a more precise weight load. It is preferable to mount symmetrically.

본 발명에서 로드셀(16)의 설치 예는 가동자(15)의 갯수가 4개인 조건에서 각각 가동자(15) 들에 설치하는 것을 대표적인 구성으로 제시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example of the load cell 16 has been presented as a typical configuration to be installed on the movers 15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number of the movers 15 is four.

이와 같이 대표적으로 제시된 하중검출수단인 로드셀(16)은 일종의 무게검출센서로서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7)측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기적 신호로 보내 그 정보를 읽어 구동모터(24)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으로, 로드셀(16)에 의한 구동모터(24)의 제어는 탑플레이트(11)에 눌리는 하중의 정보에 따라 최종적으로 탑플레이트(11)의 높낮이가 자동적으로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The load cell 16 which is a representative load detection means as described above is to send the detected information as a kind of weight detection sensor a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microprocessor of the controller 17 to read the information to control the drive motor 24, In the control of the drive motor 24 by the load cell 16, the height of the top plate 11 is automatical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of the load pressed on the top plate 11.

즉 제어부(17)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무게 검출에 관한 기준값을 입력하고 로드셀(16)을 통하여 검출되는 정보를 입력하면 그 기준값 정보에 일치하거나 또 다른 정보에 따라 구동모터(24)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reference value for weight detection is input to the microprocessor of the controller 17 and the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load cell 16 is input, the driving motor 24 according to the reference value information or according to another information is se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To be controlled.

제어부(17)는, 로드셀(16)로부터 전달되는 검출정보를 통하여 구동부(14)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기본적인 회로부품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는 통상적인 컨트롤러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한다.The control unit 17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4 through the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ad cell 16, and a general controller including basic circuit components and a microprocessor is omitted. .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베개는, 도 5의 참고 회로블럭도와 같이, 구동부(14) 또는 제어부(17)로 입력되는 전원(50)을 개폐하기 위한 온오프스위치(60)와, 구동부(14)의 구동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선택스위치(70)를 구비할 수 있 다.Here,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reference circuit block of Figure 5, the on-off switch 6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wer supply 50 input to the drive unit 14 or the control unit 17, and the drive unit ( It may be provided with a mode selection switch 70 for the drive mode selection of 14).

도 6은 구동부(14)의 구동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선택스위치(70)의 조작 예로서, (a)의 위치는 베개의 중립상태, (b)는 베개의 높이상승, (c)는 베개의 높이하강 등으로 높이를 선택하는 스위치 선택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6 is an operation example of the mode selection switch 70 for selecting the driving mode of the drive unit 14, the position of (a) is the neutral state of the pillow, (b) is the height of the pillow, (c) is the pillow The example of switch selection which selects height by height reduction etc. is shown.

한편 본 발명의 2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베개는, 하중검출수단을 구비하지 않는 차이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difference that does not have a load detection means.

1실시 예로서 제시된 하중검출수단인 로드셀(16)은 하중값 검출에 따른 자동높이조절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베개의 높이조절에 관하여 1실시 예와 같은 자동운전과, 2 실시 예에 따른 모드선택스위치(70) 조작에 의한 반자동 운전 모드선택이 가능하다. The load cell 16, which is a load detection means presented in one embodiment, is for automatic height adjustment according to load value dete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utomatic oper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illow and a mod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elect a semi-automatic operation mode by operating the selector switch 70.

미설명 부호 40은 가동자(15)를 베이스플레이트(20)에 고정하는 "브래킷"이다.Reference numeral 40 is a "bracket" for fixing the mover 15 to the base plate 20.

미설명 부호 41은 나사홀더(31)가 베이스플레이트(2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때 미끄럼 운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로울러"이다.Reference numeral 41 denotes a “roller” for smoothing the sliding motion when the screw holder 31 moves along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20.

미설명 부호 42는 링크(33)를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브래킷"이다.Reference numeral 42 is a "bracket" for fixing the link 33 rotatably on the baseplate 20.

미설명 부호 43은 가동자본체(30)와 링크(33)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회전축"이며, 44와 45는 각각 "핀"이다. Reference numeral 43 is a "rotational shaft" rotatably coupling the movable capital body 30 and the link 33, 44 and 45 are "pins", respectivel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베개의 동작을 첨부된 구조 도면도 1 내지 6과 도 7의 제어 흐름도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trol flow chart of Figures 1 to 6 and Figure 7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설명과 같이, 베개의 높이 조절에 관하여, 하중검출수단을 적용한 1실시 예에 따른 자동형 운전과, 하중검출수단에 의하지 않고, 단순히 모드선택스위치(70)의 스위치 선택 조작에 의한 반자동 운전이 되도록 하는 2실시예로 구분된다. 따라서 차이는 베개의 높이 조절에 있어서, 하중검출정보에 의한 것(1실시 예)과 그렇지 않은 것(2실시 예)으로 구분되며, 나머지 기구적인 동작이나 작용은 동일하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illow, the automatic typ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o which the load detection means is applied, and the switch selection operation of the mode selection switch 70 simply by the load detection means, By semi-automatic operation by the two embodiments are divided. Therefore, the difference is divided into the one according to the load detection information (one embodiment) and the other one (second embodiment) in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illow, the rest of the mechanical operation and action is the same.

먼저 온오프스위치(60)을 조작하여 전원(50)을 인가하면, 그 전원은 기본적으로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회로부품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실장된 제어부(17) 및 구동부(14)에 통전된다.First, when the power source 50 is applied by operating the on-off switch 60, the power source is basically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7 and the drive unit 14 in which the circuit components and the microprocessor constituting the controller are mounted.

제어부(17)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24)에 신호가 입력되면, 여기에 맞물린 스크류축(13)이 회전하고, 그 스크류축(13)의 회전은 회전풀리(25) 및 벨트(26)를 통해 또 다른 스크류축(13a)을 연동시킨다.When a signal is input to the drive motor 24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7, the screw shaft 13 engaged therewith is rotated, and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13 is rotated by the rotary pulley 25 and the belt 26. ) Through another screw shaft (13a).

연속적으로 스크류축(13)(13a)이 정위치 회전하는 조건에서, 여기에 결합된 가동자(15)의 나사홀더(31)는 스크류축(13)(13a)에 가공된 나선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그 이동량에 비례하여 가동자(15)는 링크(33)를 들어올리면서 도 2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한다.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crew shafts 13 and 13a are continuously rotated in position, the screw holder 31 of the mover 15 coupled thereto moves along the spiral direction machined to the screw shafts 13 and 13a. In addition, in proportion to the movement amount, the mover 15 ris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s shown in FIG. 2 while lifting the link 33.

설명을 위하여 이러한 가동자(15)의 화살표 방향 회전, 즉 상부측으로의 상승을 구동모터(24)의 정방향 회전으로 한다.For the sake of explanation, the arrow direction rotation of the mover 15, i.e., the upward movement, is the forward rotation of the drive motor 24.

구동모터(24)는 제어부(17)의 제어신호로 통제되는 모터로서, 제어부(17)의 설정에 따라 구동시기나 대기 그리고 정역회전이 가능하다. 이렇게 구동모터(24)가 정회전을 하면, 서로 동일한 스크류축(13)에 물려 있는 타측 가동자(15)도 도 3과 같이 마찬가지로 나사홀더(31)의 이동량에 비례하여 동일한 회전각으로 상승된다.The driving motor 24 is a motor controll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7, and the driving motor 24 is capable of driving time, standby, and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controller 17. When the driving motor 24 rotates in this way, the other side mover 15 which is bitten by the same screw shaft 13 is also raised at the same rotation angle in proportion to the movement amount of the screw holder 31 as in FIG. 3. .

가동자(15)는 이와 같이 정회전시 스크류축(13)(13a)의 회전으로 나사홀더(31)가 움직이고 연속적으로 그 이동량 만큼 끝단부가 들어올려져 탑플레이트(11)를 상승 위치로 부상시키고, 반대로 역회전시 도 2의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방향인 아래 방향으로 하강하는 동작을 나타내어 최종적으로 탑플레이트(11)를 가라 앉는 위치로 이동시킨다.The mover 15 moves the screw holder 31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s 13 and 13a during the forward rotation, and the end portion is lifted up by the amount of movement continuously to lift the top plate 11 to the lifted position. In the reverse rotation, the lower plate moves down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rrow direction of FIG. 2 to finally move the top plate 11 to a sinking position.

이러한 가동자(15)는 케이스(12)와 결합되는 탑플레이트(11)의 위치를 구동모터(24)의 정역방향 회전으로 올리고 내려줄 수 있어 사용자는 베개의 높이가 되는 탑플레이트(11)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교정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이것은 스위치를 조작하여 베개의 높이 즉 탑플레이트(11)가 원하는 높이에 도달하면 스위치 조작을 멈추고, 또한 너무 높으면 구동모터(24)를 역회전 시키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하강시켜 높이를 선택하는 형식으로의 조작과 같은 것이며, 이는 수동과 자동이 혼합된 형식이다.)The mover 15 may raise and lower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11 coupled with the case 12 in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24 so that the user may move the top plate 11 to the height of the pillow. The position can be calibrated and used as needed. (This is by operating the switch. When the height of the pillow, that is, the top plate 11 reaches the desired height, the switch operation is stopped. It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selecting the height by lowering the knob by operating the reverse rotation switch, which is a mixture of manual and automatic.)

한편, 본 발명은 로드셀(16)을 통하여 베개 사용 중 자세 변화에 대응하여 탑플레이트(11)의 높낮이를 능동적으로 가변시키는 자동형 운전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through the load cell 16 to automatically change the height of the top plate 11 in response to a change in posture during the use of the pillow.

로드셀(16)은 가동자(15)에 탑재된 상태로서 탑플레이트(11)로부터 눌리는 하중을 직접 받는다.The load cell 16 is mounted on the mover 15 and directly receives a load pressed from the top plate 11.

도 3과 같이 "W1"과 "W2"로 탑플레이트(11)에 작용하는 하중은 로드셀(16)에 의해 검출된다. 여기서 "W1" 및 "W2"의 하중은 베개의 사용 기준으로 보면 인체의 두부 또는 신체의 일부가 베개 표면에 의탁되어져 누르는 압력에 반응하는 힘의 양으로서, 로드셀(16)은 이 눌리는 힘을 하중으로 검출하여 제어부(17)로 보내고, 제어부(17)에서는 그 검출정보의 값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값 비교하여 구동모터(24)의 회전방향과 검출값에 대응하는 회전량을 제어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3, the load acting on the top plate 11 by "W1" and "W2" is detected by the load cell 16. Here, the load of "W1" and "W2" is the amount of force in response to the pressure that the head or part of the body is entrusted to the surface of the pillow in response to the use of the pillow, the load cell 16 loads this pressing force Is detected and sent to the control unit 17, and the control unit 17 compares the input data value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control the rotatio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detection value of the drive motor 24.

여기서 하중을 값으로 읽고 신호를 제어하는 기술은 통상적인 범위의 기술이며, 중요한 것은 로드셀(16)을 통하여 인체에 의해 눌려지는 힘을 검출한 뒤 탑플레이트(11)가 응답성을 나타내어 자동적으로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게 끔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하여 수면시 별도의 조작이 없어도 자세 변화나 위치 교정에 따라 베개의 높이가 스스로 조절되는 결과를 얻는 것이다.Here, the technology of reading the load as a value and controlling the signal is a general range of technology.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top plate 11 automatically responds to the pillow after detecting the force pressed by the human body through the load cell 16. It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hrough this, even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during sleep, the height of the pillow itself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ture change or position correction.

평균적으로 눌리는 기준값을 초과하여 탑플레이트(11)가 지나치게 많은 힘으로 눌려지는 것은 자세 변화에 따라 눌려지는 힘이 증가된 것이고, 그 만큼 베개의 높이가 적정 기준에 비해 높은 것을 의미하며, 낮추어 조절할 필요가 있고, 최적 위치는 정적인 위치 즉 기준값에 해당하여 더 이상 높이 조절이 필요 없는 경우로 볼 수 있다. When the top plate 11 is pressed with too much force over the average value that is pressed on average, the force that is push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posture means that the height of the pillow is higher than that of the appropriate standard, and it is necessary to lower and adjust it. And, the optimal position corresponds to the static position, that is, the reference value can be seen as no need to adjust the height anymore.

기준값은 신체 부위중 머리의 무게나 통상의 수면 자세에서 얻을 수 있는 무게 그리고 다양한 자세 변화 등에 따른 무게 등을 데이터 정보로 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ference value may be set based on the weight of the head of the body part, the weight obtained from a normal sleeping posture, and the weight according to various posture changes as data information.

도 4는 가동자(15)를 4 개소에 배치하여 W1/W2/W3/W4의 무게 하중을 검출하도록 하는 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배치 구성의 예이다.4 is an example of arranging the movers 15 at four locations to detect the weight load of W1 / W2 / W3 / W4, which is an example of a preferred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 5와 같은 스위치 회로구성 및 도 6과 같은 모드선택스위치에 의한 운전방식의 선택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operation method by the switch circuit configuration shown in FIG. 5 and the mode selection switch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베개의 전자제어 자동 높이 조절 운용과 관련하여 이를 참고로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로서, 가동자(15)의 위치는 케이스(12)의 베이스플레이트(20)와 나란한 수평위치가 초기 기준 위치이다. Figure 7 is a control flow chart for explaining this with reference to the electronic control automatic height adjustment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mover 15 is parallel to the base plate 20 of the case 12 The position is the initial reference position.

구동모터(24)에 전원이 공급되면(S100), 구동모터(24)가 정회전 하여 도 3과 같이 가동자(15)가 초기 수평 위치에서 상승함으로서 베개의 상부 즉 탑플레이트(11)의 높이가 상승을 시작한다(S101).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e motor 24 (S100), the drive motor 24 is rotated forward and the mover 15 is raised in the initial horizontal position as shown in FIG. Starts to rise (S101).

인체로부터 눌리는 하중에 의해 로드셀(16)에 의한 무게 하중 검출을 시작한다(S102). The weight load detection by the load cell 16 is started by the load pressed by the human body (S102).

로드셀(16)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S103), 기준값 범위이면 구동모터(24)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한다(S104).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oad cell 16 is compared with a reference value (S103). If the reference value is within the range,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24 is cut off and waits (S104).

여기서, 사용자 자세 변화에 따른 기준값의 변동이 발생되면(S105), 기준값 의 변동이 생겨 다시 기준값을 비교한다(S106). Here, when a change in the reference value occur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user's attitude (S105), a change in the reference value occurs and the reference value is again compared (S106).

만약 기준값 초과이면 구동모터(24)에 전원을 공급하여(S107), 구동모터(2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베개의 탑플레이트(11) 높이를 하강시켜(S108), 다시 기준값을 비교하여 구동모터(24)의 구동전원을 제어하는 연속적인 동작이 되도록 대기 모드(S109) 상태로 유지된다.If the reference value is exceeded,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e motor 24 (S107), the drive motor 24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lower the height of the top plate 11 of the pillow (S108), and the reference value is again compared to the drive motor. The state of standby mode (S109) is maintained so as to be a continuous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drive power supply of (24).

한편, 자동형 운전과 구분되는 반자동 운전은 도 6과 같이, 간단한 모드선택스위치(70)의 조작을 통하여 조작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semi-automatic operation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automatic operation can be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imple mode selection switch 70, as shown in FIG.

예를들면, (a)를 초기 중립위치로 하고, (b)를 베개의 높이 상승, (c)를 베 개의 높이 하강으로 하고, 온오프스위치(60)를 온 시킨 뒤, 모드선택스위치(70)를 조작한다고 가정하면, 구동부(14)에 전원이 인가되고, 가동자(15)는 케이스(12)와 결합되는 탑플레이트(11)의 위치를 구동모터(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올리고 내려줄 수 있어 사용자는 베개의 높이가 되는 탑플레이트(11)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교정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a) is the initial neutral position, (b) the height of the pillow, (c) the height of the pillow is lowered, the on-off switch 60 is turned on, and the mode selection switch 70 A), the power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4, and the mover 15 raises and lowers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11 coupled with the case 1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motor 24. It is possible to give the user can use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11, which is the height of the pillow, appropriately selected and corrected as necessary.

이것은 스위치를 조작하여 베개의 높이 즉 탑플레이트(11)가 원하는 높이에 도달하면 스위치 조작을 멈추고, 또한 너무 높으면 구동모터(24)를 역회전 시키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하강시켜 높이를 선택하는 형식의 조작과 같다.This is a type of operation in which the height of the pillow, that is, the top plate 11 stops the operation of the switch when it reaches the desired height, and if the height is too high, the operation of the switch lowers the operation motor 24 to reverse the drive motor 24 to select the height. Is the same a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수동과 반자동 그리고 무게 하중에 따른 베개의 높낮이가 스스로 가변되어 최적 상태의 높이를 맞춰주는 자동운전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pillow according to manual and semi-automatic and weight loads can be varied by themselves, thereby enabling automatic operation to match the optimum height.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 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속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set forth in the claims. Belongs to the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베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베개의 가동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가동자 상세도.       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the mover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ver of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베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       3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베개의 가동자 배치와 관련된 배치 예시도.       Figure 4 is a layout example associated with the movable arrange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회로 블럭도.        5 is a switch circuit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선택스위치 설명도.        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mode selecti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베개의 동작 제어 예의 참고 흐름도.        7 is a reference flow chart of the operation control example of the height adjustment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베개10: pillow

11 : 탑플레이트11: top plate

12 : 케이스12: case

13.13a : 스크류축13.13a: screw shaft

14 : 구동부14: drive unit

15 : 가동자15: mover

16 : 로드셀16: load cell

17 : 제어부17: control unit

20 : 베이스플레이트20: base plate

21 : 차단막21: blocking film

22 : 쿠션패드22: cushion pad

23 : 결합부23: coupling part

24 : 구동모터24: drive motor

25 : 회전풀리25: rotating pulley

26 : 벨트26: belt

27 : 지지블럭27: support block

30 : 가동자본체30: working capital

31 : 나사홀더31: screw holder

32 : 힌지축32: hinge axis

33 : 링크33: link

34 : 홀더34: Holder

35 : 핀35: pin

60: 온오프스위치60: on-off switch

70: 모드선택스위치70: mode selection switch

Claims (10)

삭제delete 베개의 본체가 되고 내부가 비워져 높이조절을 위한 장치가 내장되는 케이스와,The case which becomes the main body of the pillow and the inside becomes empty and a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is incorporated,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를 따라 결합되는 탑플레이트와,A top plate coupled along the cas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상기 탑플레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된 구동부와,A driving unit mounted inside the case for elevating the top plate; 상기 구동부에 연동되어 상기 탑플레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동자와,A mover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top plate up and down; 상기 탑플레이트 상에 가해지는 무게 하중값을 검출하는 하중검출수단과,Loa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weight load applied to the top plate; 상기 하중검출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무게 하중 검출정보를 통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e unit through the weight load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ad detection means, 상기 구동부는, The driving unit includes: 구동모터와,Drive motor,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스크류축과,A screw shaft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driven; 상기 스크류축과 이격된 위치에서 연동하는 다른 스크류축과,Another screw shaft interlock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crew shaft, 상기 구동모터 측의 스크류축과 상기 다른 스크류축 간의 구동을 연결하는 전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베개. Height adjusting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ransmission means for connecting the drive between the screw shaft and the other screw shaft of the drive motor sid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동수단은,The transmission means,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을 상기 다른 스크류축으로 매개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축들에 구비된 회전풀리와,In order to mediate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to the other screw shaft, the rotary pulley provided in the screw shaft, 상기 회전풀리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상기 스크류축들에 전달하는 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베개. Height adjustmen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elt for connecting the rotary pulley to transfer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to the screw shaft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가동자는, The mover is,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으로 회전되어 높낮이가 가변되는 가동자본체와,A movable capital body whose height is variable by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상기 가동자본체를 상기 스크류축과 나사결합시키고, 상기 스크류축을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그 이동량에 따라 상기 가동자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나사홀더와,A screw holder for screwing the movable capital body with the screw shaft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vable capital body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while linearly moving along the screw shaft; 상기 가동자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와,A link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movable body; 상기 하중검출수단을 탑재하기 위한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베개.Height adjusting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lder for mounting the load detection mean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하중검출수단은, The load detection means, 상기 가동자본체의 일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탑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무게하중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검출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로드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베개. Height adjustmen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 cell is mounted to one end of the movable body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weight load transmitted from the top plate and to transmit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베개의 본체가 되고 내부가 비워져 높이조절을 위한 장치가 내장되는 케이스와,The case which becomes the main body of the pillow and the inside becomes empty and a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is incorporated,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를 따라 결합되는 탑플레이트와,A top plate coupled along the cas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상기 탑플레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된 구동부와,A driving unit mounted inside the case for elevating the top plate; 상기 구동부에 연동되어 상기 탑플레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동자와,A mover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top plate up and down;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iving unit; 상기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온오프스위치와,An on-off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power applied to the controller and the driver; 상기 구동부의 구동 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선택스위치를 포함하며,A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driving mode of the driving unit; 상기 구동부는, The driving unit includes: 구동모터와,Drive motor,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스크류축과,A screw shaft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driven; 상기 스크류축과 이격된 위치에서 연동하는 다른 스크류축과,Another screw shaft interlock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crew shaft, 상기 구동모터 측의 스크류축과 상기 다른 스크류축 간의 구동을 연결하는 전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베개. Height adjusting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ransmission means for connecting the drive between the screw shaft and the other screw shaft of the drive motor sid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전동수단은,The transmission means,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을 상기 다른 스크류축으로 매개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축들에 구비된 회전풀리와,In order to mediate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to the other screw shaft, the rotary pulley provided in the screw shaft, 상기 회전풀리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상기 스크류축들에 전달하는 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베개. Height adjustmen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elt for connecting the rotary pulley to transfer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to the screw shafts.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가동자는, The mover is,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으로 회전되어 높낮이가 가변되는 가동자본체와,A movable capital body whose height is variable by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상기 가동자본체를 상기 스크류축과 나사결합시키고, 상기 스크류축을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그 이동량에 따라 상기 가동자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나사홀더와,A screw holder for screwing the movable capital body with the screw shaft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vable capital body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while linearly moving along the screw shaft; 상기 가동자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베개.Height adjusting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nk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movable body.
KR1020080125306A 2008-12-10 2008-12-10 Height adjustable pillows KR1010582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306A KR101058260B1 (en) 2008-12-10 2008-12-10 Height adjustable pillows
PCT/KR2009/007129 WO2010067978A2 (en) 2008-12-10 2009-12-02 Height adjustment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306A KR101058260B1 (en) 2008-12-10 2008-12-10 Height adjustable pillow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824A KR20100066824A (en) 2010-06-18
KR101058260B1 true KR101058260B1 (en) 2011-08-22

Family

ID=4224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306A KR101058260B1 (en) 2008-12-10 2008-12-10 Height adjustable pillow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8260B1 (en)
WO (1) WO2010067978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50B1 (en) * 2012-09-10 2013-09-10 안준형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9833B (en) * 2013-11-22 2015-12-02 王彤 Electronic Distortion pillow
WO2016186903A1 (en) * 2015-05-15 2016-11-24 Grainger David A Therapeutic percussive pillow
KR101945608B1 (en) * 2017-01-05 2019-02-07 신혜정 Pillow
FR3089774A1 (en) 2018-12-18 2020-06-19 Béatrice TONIN BED DEVICE
KR102044813B1 (en) 2019-06-07 2019-11-15 김규호 Pillow eith Air Cell
KR102242278B1 (en) * 2019-08-30 2021-04-20 (주)디엠비에이치 Pillow type massage device considering user's sleep condition
KR102222216B1 (en) * 2019-11-21 2021-03-0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Pillow
KR102435665B1 (en) * 2022-01-26 2022-08-23 강영선 Smart pillow system interworking with motion bed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WO2023146065A1 (en) * 2022-01-26 2023-08-03 강영선 Motion bed and smart pillow system linked to motion bed
KR102516616B1 (en) * 2022-11-23 2023-03-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Height-adjustable replaceable pillow base with transducer height adjustment unit
KR102661799B1 (en) 2022-12-29 2024-04-30 이지영 Air supply and exhaust system for air cell pillow
KR102653859B1 (en) * 2023-06-12 2024-04-02 주식회사 서연에스앤씨 Height automatic control sleep smart pillow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085Y1 (en) 2001-04-11 2001-10-11 안정오 Health pillow for automatic height adjustment
KR100628005B1 (en) * 2005-03-16 2006-09-26 김치왕 A pillow capable of changing the heigh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137Y1 (en) * 2004-12-03 2005-03-08 이종대 Height control apparatus for pillow
KR20080074255A (en) * 2007-02-08 2008-08-13 이국희 Automatic height adjustable pillow for sideways sleeping position
KR20080075263A (en) * 2007-02-12 2008-08-1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Automatic height adjustable pillow and manual height adjustable pillow system using spacer fabric air-ce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085Y1 (en) 2001-04-11 2001-10-11 안정오 Health pillow for automatic height adjustment
KR100628005B1 (en) * 2005-03-16 2006-09-26 김치왕 A pillow capable of changing the heigh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50B1 (en) * 2012-09-10 2013-09-10 안준형 Height adjustable functional pil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67978A3 (en) 2010-09-30
WO2010067978A2 (en) 2010-06-17
KR20100066824A (en) 201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260B1 (en) Height adjustable pillows
EP2745745B1 (en) Bed with automatically adjustable properties
AU2014211711B2 (en) Mattress arrangement, such as a bed, having zones with adjustable height/firmness
US20120137444A1 (en) Adjustable Contour Mattress System
US11896131B2 (en) Bed
KR101591069B1 (en) Desk Possible Height-adjustment and Angle-adjustment and Controller thereof
KR100628005B1 (en) A pillow capable of changing the height
EP1197170A2 (en) Articulated bed frame
US7341310B1 (en) Office chair with automated height adjustment
WO2023040172A1 (en) Height-adjustable pillow and height adjustment method therefor
US20080256704A1 (en) Adjustable angle bed frame
KR20160127374A (en) Bed pillow is adjustable height
KR100735051B1 (en) Multi-Functional Bed Having Consolidated Remote Control, and Multi-Functional Bed which and Having Consolidated Remote Control with Reservation Capability, and Warmth Mat Reservation of Multi-Functional Bed, Which and Having Consolidated Remote Control with Reservation Capab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and Mattress Supporting Apparatus of Multi-Functional Bed, Which and Having Consolidated Remote Control with Reservation Capability and, Reservation of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KR20210124672A (en) Bed
JP4204507B2 (en) Comforter lifting device
KR102384655B1 (en) adjustable bed for camping car
KR102553583B1 (en) Automatic posture change apparatus
JP2001340198A (en) Pillow automatically variable in height
KR200237688Y1 (en) Adjust The Height Of Television Support
KR20160049606A (en) Ergonomic desk
KR200435731Y1 (en) Tv up-down mechanism for bed
KR200376399Y1 (en) Seat and backrest device for dental surgery chair
CN218551855U (en) Adjustable arm-chair
KR200389542Y1 (en) table rise and fall device
KR200236187Y1 (en) Multi-functional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