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049B1 -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 - Google Patents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049B1
KR101301049B1 KR1020110056332A KR20110056332A KR101301049B1 KR 101301049 B1 KR101301049 B1 KR 101301049B1 KR 1020110056332 A KR1020110056332 A KR 1020110056332A KR 20110056332 A KR20110056332 A KR 20110056332A KR 101301049 B1 KR101301049 B1 KR 101301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usion
triple wall
welding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7047A (ko
Inventor
유옥수
Original Assignee
유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옥수 filed Critical 유옥수
Priority to KR1020110056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04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1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with thre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경에 보강대와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성형한 삼중벽 하수관의 끝 부분을 플랜지와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고정하고, 양쪽에서 플랜지를 연결하여 볼트와 너트로 고정한 후 플랜지에 형성한 융착구멍으로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융착공간에서 용융부재로 용접 연결되어 플랜지가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보강대와 중공이 형성되는 프로파일의 사이에 연결부재가 공급되어 성형된 삼중벽 하수관을 내경의 체결홈에 끼워 연결 돌출부에서 용접 고정하며 플랜지 돌기에 형성한 연결구멍에 고정볼트와 너트로 결합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돌기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한 연결구멍의 사이로 플랜지 돌기에는 융착공간을 형성하고, 플랜지 돌기에는 융착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융착공간과 융착구멍에 용융부재를 공급하여 용접수단으로 플랜지를 일체형으로 용접 연결하는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용접수단은 플랜지 돌기에 형성하는 융착공간을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용융부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A pipe}
본 발명은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경에 보강대와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성형한 삼중벽 하수관의 끝 부분을 플랜지와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고정하고, 양쪽에서 플랜지를 연결하여 볼트와 너트로 고정한 후 플랜지에 형성한 융착구멍으로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융착공간에서 용융부재로 용접 연결되어 플랜지가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삼중벽 하수관은 내부에 하나의 중공을 갖도록 프로파일을 성형한 후 냉각과정을 거쳐 와인더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용융원료를 공급하여 프로파일이 연속해서 연결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성형한다.
이와 같이 성형한 삼중벽 하수관은 일정한 길이(약 6미터)로 절단하여 보관하게 되며, 땅속에서 다양한 연결방법으로 연결한다.
상기 삼중벽 하수관을 연결하는 다양한 방법 중 플랜지 연결방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3231호(2005. 1. 10. 공개)와 같이 하수관의 양 선단에 사출 성형한 플랜지(융착링)의 양측에 발열히터를 설치한 후 하수관의 생산 현장에서 한쪽의 발열히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합성수지관의 선단과 맞대기 방법으로 융착 연결하여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발열히터의 면적은 넓지만 중공이 내부에 형성된 하수관은 발열히터의 면적에 비하면 너무 좁아서 상호 간에 안정된 융착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수관은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나선형으로 공급되는 생산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러한 하수관을 수직방향으로 일자형태를 갖도록 절단하게 되므로 절단부위의 면이 어느 부분은 얇고, 어느 부분을 넓게 형성되므로 면 접촉을 이루는 융착면이 균일하게 제공하는 플랜지와는 달라 전체적으로 용융되는 속도가 다르게 되므로 융착 후에는 균일한 융착력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융착시 아무리 균일한 힘으로 전체면에서 눌러주며 융착하더라도 융착 깊이가 달라 어느 한쪽으로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힘으로 융착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취약한 융착 부분이 발생하여 운반과정이나 보관상태에서 취약한 부분에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분리되는 결점이 발생한다.
또한, 삼중벽 하수관과 플랜지를 맞대기 융착법에 의해 융착하게 되므로 융착 시간의 소모가 많아서 생산성이 저하되고, 하수관에 융착 연결한 플랜지가 변형된 상태로 공급되어 현장에서 플랜지와 플랜지를 맞대기로 융착 연결할 때 상호간에 밀착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여 융착 연결이 어렵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를 심하게 조임하게 되면 볼트와 가까운 부분은 밀착이 강하게 이루어지지만 볼트와 멀리 있는 부분은 접촉이 잘 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균일한 융착연결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사출 성형하는 플랜지는 소구경의 경우에는 크기 관계가 없지만 대구경으로 갈수록 폭과 두께가 커지게 되면서 내부가 원료로 채워진 상태를 갖도록 성형하므로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성형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으며, 내부에는 원료의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기공이 발생하는 등 요구하는 강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구경이 큰 경우 무거워 이동 및 운반이 어렵고 사용이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아울러, 플랜지의 접촉면에 열선을 원형으로 설치하고 이들을 맞대기하여 전원의 공급으로 열선의 주변을 용융시켜 부착하는 것이나, 용융을 위한 융착기와 다양한 도구의 준비 및 융착 시간의 소모로 인하여 많은 작업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결점과, 융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수밀의 보장이 되지 않고, 합성수지관을 교체하거나 플랜지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수밀을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삼중벽 하수관은 압력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정도의 수압을 견디면 족하게 되므로 지중에 매설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고, 이른 시간 동안에 작업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헌 1. 특허번호 제0743207호(2007. 07. 20. 등록) 문헌 2. 특허번호 제0774549호(2007. 11. 01. 등록) 문헌 3.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27733호(2001. 04. 06. 등록) 문헌 4. 특허번호 제0900803호(2009. 05. 27.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내경에 열십자 보강대와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연결부재를 통하여 원형으로 성형하는 삼중벽 하수관을 지중에 매설할 때, 삼중벽 하수관을 플랜지에 결합하여 용접 연결하고, 상기 플랜지를 고정볼트와 너트로 연결한 후 플랜지에 형성한 융착구멍으로 용융부재를 공급하여 융착공간과 융착구멍에서 용접 연결되는 것으로 플랜지가 일체형으로 용접 연결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대와 중공이 형성되는 프로파일의 사이에 연결부재가 공급되어 성형된 삼중벽 하수관을 내경의 체결홈에 끼워 연결 돌출부에서 용접 고정하며 플랜지 돌기에 형성한 연결구멍에 고정볼트와 너트로 결합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돌기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한 연결구멍의 사이로 플랜지 돌기에는 융착공간을 형성하고, 플랜지 돌기에는 융착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융착공간과 융착구멍에 용융부재를 공급하여 용접수단으로 플랜지를 일체형으로 용접 연결하는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용접수단은 플랜지 돌기에 형성하는 융착공간을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용융부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내경에 열십자 보강대와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연결부재를 통하여 원형으로 성형하는 삼중벽 하수관을 지중에 매설하여 연결할 때, 삼중벽 하수관을 플랜지 끼워 결합하면서 용접하여 연결하고 플랜지를 고정볼트와 너트로 연결하여 고정한 후 플랜지에 형성한 융착구멍으로 용융 합성수지인 용융부재를 공급하여 융착구멍과 융착공간에 용융부재가 공급되어 응고되면서 맞대기 연결된 플랜지가 일체형으로 용접 연결하여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랜지를 맞대기하여 고정볼트와 너트로 연결한 후 용융부재를 플랜지에 공급하여 맞대기 연결한 플랜지를 용융부재로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수압과 토압 및 외부의 원인에 의한 분리현상과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플랜지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플랜지 조립상태에 대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플랜지에 대한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플랜지에 대한 다른 위치의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용융부재를 공급한 상태의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플랜지를 고정볼트로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을 이중벽 하수관에 적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을 수도관에 적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측면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결합상태 요부확대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플랜지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플랜지 조립상태에 대한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내경에 열십자형 보강대(17)와 원형이나 사각형의 중공(12)이 형성되는 프로파일(13)을 압출하여 냉각시킨 후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13)의 사이에 합성수지를 압출한 연결부재(14)를 공급하여 프로파일(13)을 연결하는 과정으로 삼중벽 하수관(10, 11)을 성형한다.
상기 삼중벽 하수관(10, 11)을 지중에 매설할 때 플랜지(20, 30)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20)는 삼중벽 하수관(10)의 한쪽 끝 부분이 끼워지는 체결홈(21)을 내경에 형성한 연결 돌출부(22)가 형성되고, 외측 방향에 원형으로 플랜지 돌기(23)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돌기(23)에는 같은 간격에 고정볼트(26)를 끼워 결합하는 연결구멍(27)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 돌기(23)의 한쪽 측면에는 연결구멍(27)의 사이에 융착부재(25)가 충진되는 융착공간(24)이 형성되며, 융착공간(24)은 원형이나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30)는 삼중벽 하수관(11)의 한쪽 끝 부분이 끼워지는 체결홈(31)을 내경에 형성한 연결 돌출부(32)가 형성되고, 외측 방향에 원형으로 플랜지 돌기(33)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돌기(33)에는 같은 간격에 고정볼트(26)를 끼워 결합하는 연결구멍(37)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 돌기(33)의 한쪽 측면에는 연결구멍(37)의 사이에 융착부재(25)가 충진되는 융착구멍(34)이 형성되며, 융착구멍(34)은 원형이나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융착공간(24)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20, 30)를 맞대기하는 사이에는 패킹(40)이 삽입되며, 체결홈(21, 31)에 삼중벽 하수관(10, 11)이 끼워진 후 연결 돌출부(22, 32)의 끝 부분에서 웰딩방법으로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용접으로 일체형이 되도록 연결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플랜지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플랜지에 대한 다른 위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플랜지(20, 30)는 마주하는 한쪽 측면으로 같은 간격에 연결구멍(27, 37)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멍(27)의 사이에 융착공간(24)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멍(37)의 사이에는 융착구멍(34)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융착구멍(34)은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할 수 있는 구멍으로 형성하는 것이며, 융착공간(24)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융착구멍(34)에 비하여 더 크게 하측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용융부재를 공급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플랜지를 고정볼트로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플랜지(20, 30)를 결합하여 고정볼트(26)를 연결구멍(27, 37)에 끼워 반대편에서 너트(36)로 고정한 후에는 융착구멍(34)으로 융착부재(25)인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융착공간(24)과 융착구멍(34)에 공급되어 응고되면서 플랜지(20, 30)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용접수단(100)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이중벽 하수관에 적용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플랜지(20, 30)와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삼중벽 하수관(10, 11)을 대신하여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이중벽 하수관(50)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수도관에 적용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플랜지(20, 30)와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삼중벽 하수관(10, 11)을 대신하여 내부가 채워진 수도관(60)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측면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결합상태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플랜지(20, 30)에 형성한 플랜지 돌기(23, 33)이 만나는 면에는 연결구멍(27, 37)의 사이에 외경 선단에서 안쪽으로 용접수단(100)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고정하되;
상기 용접수단(100)은 플랜지 돌기(23, 33)이 만나는 면에 융착홈(34a, 34b)을 형성하고, 융착홈(34a, 34b)의 안쪽으로 비교적 넓게 사각형이나 원형으로 융착공간(24a, 24b)을 형성하며, 상기 융착공간(24a, 24b)의 사이에는 중심부분으로 고정돌기(28, 38)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통상적인 삼중벽 하수관(10, 11)은 합성수지(HDPE)를 압출하여 열십자 형태의 보강대(17)와 중공(12)이 형성된 프로파일(13)을 성형하고, 와인더에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또 다른 압출기에서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연결부재(14)로 공급하여 프로파일(13)과 연결부재(14)가 원통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러한 삼중벽 하수관(10, 11)을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20, 30)는 사출에 의해 성형하는 것으로, 내경에 체결홈(21, 31)이 형성된 연결 돌출부(22, 32)가 형성되며 원형으로 플랜지 돌기(23, 33)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 돌기(23, 33)에 같은 간격으로 크기에 따라 4∼12개의 범위에서 연결구멍(27, 37)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20, 30)의 체결홈(21, 31)에는 삼중벽 하수관(10, 11)의 한쪽 끝 부분을 결합하여 연결 돌출부(22, 32)의 끝 부분에서 웰딩방법으로 용융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삼중벽 하수관(10, 11)과 플랜지(20, 30)가 일체형이 되도록 용접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20, 30)가 한쪽 끝 부분에 연결된 삼중벽 하수관(10, 11)을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 플랜지(20, 30)의 사이에 패킹(40)을 설치하고, 플랜지(20, 30)를 맞대기하여 연결구멍(27, 37)이 일치되도록 한 후 고정볼트(26)를 연결구멍(27, 37)에 끼워 반대편에 돌출되면 너트(36)를 조임하는 방법으로 고정하여 플랜지(20, 30)를 맞대기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플랜지(20, 30)를 맞대기 연결하면 패킹(40)에 의해 수밀이 유지되지만, 플랜지(20, 30)가 완벽하게 고정된 상태를 제공할 수 없으므로 플랜지(20, 30)를 맞대기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융착구멍(34)이 융착공간(24)과 일치한 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용접수단(100)인 융착구멍(34)으로 용융 합성수지인 용융부재(25)를 공급하여 안쪽의 융착공간(24)에 충진되도록 한다.
용융부재(25)가 융착공간(24)과 융착구멍(34)에 충진되어 냉각되면 같은 재질이 용융상태에서 공급된 후 냉각되면서 일체형으로 고정된 상태를 제공하므로 플랜지(20, 30)는 서로 일체형으로 고정된 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플랜지(20, 30)는 고정볼트(26)와 너트(36)로 고정된 상태에서 용융부재(25)가 융착공간(24)과 융착구멍(34)에 충진되어 일체형으로 고정된 상태를 제공하므로 수압이나 토압 등 기타 압력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플랜지(20, 30)이 회전하거나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되게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삼중벽 하수관(10, 11)을 대신하여 이중벽 하수관(50)과 수도관(60)과 같이 관 종류에 상관없이 다양한 종류의 관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20, 30)를 맞대기하여 고정볼트(26)와 너트(36)로 고정한 후 용접수단(100)을 통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플랜지 돌기(23, 33)의 선단에서 융착홈(34a, 34b)에 용융 합성수지인 용융부재(25)를 공급하면 안쪽의 융착공간(24a, 24b)에 충진되며 응고되면 용융부재(25)가 융착공간(24a, 24b)와 융착홈(34a, 34b)에 충진된 상태를 제공하게 되며, 용융부재(25)가 응고되면 고정돌기(28, 38)가 용융부재(25)와 함께 플랜지(20, 30)가 회전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되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삼중벽 하수관을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 플랜지와 일체형으로 연결하고, 플랜지를 맞대기 연결하여 고정볼트와 너트로 고정한 후 융착구멍으로 용융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용융부재를 공급하여 융착구멍과 융착공간에 용접부재가 응고되면서 플랜지를 일체형으로 간편하게 고정시켜 수밀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0, 11 : 삼중벽 하수관 12 : 중공
13 : 프로파일 14 : 연결부재
20, 30 : 플랜지 21, 31 : 체결홈
22, 32 : 연결 돌출부 23, 33 : 플랜지 돌기
24 : 융착공간 25 : 용융부재
26 : 고정볼트 27, 37 : 연결구멍
34 : 융착구멍 36 : 너트
40 : 패킹 50 : 이중벽 하수관
60 : 수도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보강대(17)와 중공(12)이 형성되는 프로파일(13)의 사이에 연결부재(14)가 공급되어 성형된 삼중벽 하수관(10, 11)을 내경의 체결홈(21, 31)에 끼워 연결 돌출부(22, 33)에서 용접 고정하며 플랜지 돌기(23, 33)에 형성한 연결구멍(27, 37)에 고정볼트(26)와 너트(26)로 결합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돌기(23, 33)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한 연결구멍(27, 37)의 사이로 플랜지 돌기(23)에는 융착공간(24)을 형성하고, 플랜지 돌기(33)에는 융착 구멍(34)을 형성하며, 상기 융착공간(24)과 융착구멍(34)에 용융부재(25)를 공급하여 용접수단(100)으로 플랜지(20, 30)를 일체형으로 용접 연결하는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용접수단(100)은 플랜지 돌기(23)에 형성하는 융착공간(24)을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용융부재(25)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
  4. 보강대(17)와 중공(12)이 형성되는 프로파일(13)의 사이에 연결부재(14)가 공급되어 성형된 삼중벽 하수관(10, 11)을 내경의 체결홈(21, 31)에 끼워 연결 돌출부(22, 33)에서 용접 고정하며 플랜지 돌기(23, 33)에 형성한 연결구멍(27, 37)에 고정볼트(26)와 너트(26)로 결합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돌기(23, 33)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한 연결구멍(27, 37)의 사이로 플랜지 돌기(23)에는 융착공간(24)을 형성하고, 플랜지 돌기(33)에는 융착 구멍(34)을 형성하며, 상기 융착공간(24)과 융착구멍(34)에 용융부재(25)를 공급하여 용접수단(100)으로 플랜지(20, 30)를 일체형으로 용접 연결하는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용접수단(100)은 플랜지 돌기(23)에 형성하는 융착공간(24)을 융착구멍(34) 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용융부재(25)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
  5. 보강대(17)와 중공(12)이 형성되는 프로파일(13)의 사이에 연결부재(14)가 공급되어 성형된 삼중벽 하수관(10, 11)을 내경의 체결홈(21, 31)에 끼워 연결 돌출부(22, 33)에서 용접 고정하며 플랜지 돌기(23, 33)에 형성한 연결구멍(27, 37)에 고정볼트(26)와 너트(26)로 결합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돌기(23, 33)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한 연결구멍(27, 37)의 사이로 플랜지 돌기(23)에는 융착홈(34a, 34b)을 형성하고,
    상기 융착홈(34a, 34b)의 안쪽으로 융착공간(24a, 24b)를 형성하여 상기 융착홈(34a, 34b)과 융착공간(24a, 24b)에 용융부재(25)를 공급하여 용접수단(100)으로 플랜지(20, 30)를 일체형으로 용접 연결하는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돌기(23, 33)는 융착공간(24a, 24b)의 사이에 고정돌기(28, 3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
KR1020110056332A 2011-06-10 2011-06-10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 KR101301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332A KR101301049B1 (ko) 2011-06-10 2011-06-10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332A KR101301049B1 (ko) 2011-06-10 2011-06-10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047A KR20120137047A (ko) 2012-12-20
KR101301049B1 true KR101301049B1 (ko) 2013-08-28

Family

ID=4790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332A KR101301049B1 (ko) 2011-06-10 2011-06-10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0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340A (ko) * 2000-08-25 2002-03-04 서주영, 윤영길, 이한호 배관 이음용 커플링
KR100758812B1 (ko) * 2007-08-23 2007-09-14 브렌트유화산업(주) 나사식 연결하는 플랜지를 갖는 하수관
KR100982561B1 (ko) * 2010-01-25 2010-09-16 (주) 제일산업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와 그 체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340A (ko) * 2000-08-25 2002-03-04 서주영, 윤영길, 이한호 배관 이음용 커플링
KR100758812B1 (ko) * 2007-08-23 2007-09-14 브렌트유화산업(주) 나사식 연결하는 플랜지를 갖는 하수관
KR100982561B1 (ko) * 2010-01-25 2010-09-16 (주) 제일산업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와 그 체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047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166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수도관
KR101307151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의 연결방법
KR101333248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수도관의 연결방법
KR101117243B1 (ko)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101301049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
KR101306953B1 (ko) 매설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의 연결방법
KR101307149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이중벽 하수관의 연결방법
KR101307154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이중벽 하수관
KR100716063B1 (ko)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KR100645916B1 (ko) 헤드 일체형 편수관용 합성수지관 연결 조립체
KR101113813B1 (ko) 매설 연결용 하수관의 연결방법
KR101306954B1 (ko) 매설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
KR100774549B1 (ko) 나사식 연결하는 플랜지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수밀연결구조
KR100743207B1 (ko) 플랜지 일체형 접속용 합성수지관
KR100952726B1 (ko)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KR100934454B1 (ko) 하수관 연결 고정용 커플러
KR100758812B1 (ko) 나사식 연결하는 플랜지를 갖는 하수관
KR100854411B1 (ko)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166469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1090302B1 (ko) 원료 절약형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20120021894A (ko) 연결구 내에서 분리와 누수되지 않도록 양수소켓을 이용한 관과 그 연결방법
KR101046181B1 (ko) 파이프 이음관
KR100764842B1 (ko) 하수관 연결용 커플링 연결구
KR200402491Y1 (ko) 플랜지 일체형 나사식 합성수지관
KR101170447B1 (ko) 상하수도관용 연결소켓의 성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