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041B1 -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041B1
KR101301041B1 KR1020120013665A KR20120013665A KR101301041B1 KR 101301041 B1 KR101301041 B1 KR 101301041B1 KR 1020120013665 A KR1020120013665 A KR 1020120013665A KR 20120013665 A KR20120013665 A KR 20120013665A KR 101301041 B1 KR101301041 B1 KR 101301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hot water
time
timer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135A (ko
Inventor
이상희
권기출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0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부에서 조작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종 선택 키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가 강제 배기식(FE)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강제 배기식이면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의 계수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가산 및 감산 타이머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프레임 로드를 통해 버너가 연소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연소중이면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의 작동을 개시하고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는 초기화하는 단계와; 가산 타이머가 정해진 시간 동안 작동하고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의 작동이 종료되었으면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가 계수한 이전의 계수 값에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를 가산해 주는 단계와;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가산된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 내에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누적된 계수 값이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작으면 초기 가산 및 감산 타이머를 초기화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크거나 같으면 연소를 강제로 정지시키고 표시부나 경고부를 통해 에러상태임을 나타내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강제 배기식(FE)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가 연소 중일 때에는 그 시간을 계수하여 가산하고, 소화 중일 때는 그 시간을 계수하여 감산하는 방식을 통해 온수연소 누적 시간을 계산하되, 이렇게 계산된 실질적 온수연소 누적 시간이 정해진 일정 시간 이상이 될 경우에는 에러신호를 발생함은 물론 제품을 안전하게 정지시켜 줌으로써 소비자에게 현재 어떤 에러상태인지를 정확히 인식하고 즉각적으로 환기 등을 실시할 수 있어 실내 공기 중 O2의 농도가 낮아짐에 따른 불완전연소로 CO가 다량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낮은 O2 농도로 인한 인체의 유해 환경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Method for prohibiting continuous in gas combustion type device for water heating}
본 발명은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온수를 가열시키는 가스 온수기 및 가스 보일러(이하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라 총칭함) 중 연소용 공기는 실내에서 취하고, 연소 후 배기가스는 배기용 송풍기 등에 의하여 강제로 옥외에 배출하는 강제 배기식(FE)을 갖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작동시마다 온수연소 누적 시간을 계산(즉, 연소 중일 때는 가산하고, 소화 중일 때는 감산)하되, 온수연소 누적 시간이 정해진 일정 시간 이상이 될 경우 에러를 발생하여, 소비자에게 경각심을 일으켜 실내 공기에 대한 환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실내 공기를 이용하여 연소하는 FE방식의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실질적인 누적 연소 시간을 검출하고 에러 발생 및 제품을 안전 정지하여 소비자에게 환기의 필요성을 알려주는 방식을 통해 실내 공기 중 O2의 농도가 낮아짐에 따른 불완전연소로 CO의 다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낮은 O2 농도에 따른 인체에 유해한 환경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 중 가스 온수기는 가스를 연소시켜 물을 끓이는 기구로, 순간식은 온수를 즉시 원하는 양만큼 얻을 수 있고, 기기가 소형이며, 열효율이 좋다는 장점이 있어 일반 가정이나 미용실 등에서 주로 사용하고, 저장식은 온수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면서 저장해 놓는 것으로 주로 음식점이나 목욕탕 등에서 사용하며, 가스 보일러는 가스를 연소시켜 물을 데워 난방 및 온수에 필요로 하는 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반 가정을 포함하여 오피스텔이나 고시 텔 등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는 급/배기 방식에 따라 강제 급배기 방식(FF)과 강제 배기식(FE)으로 나뉘는데, FF식인 강제 급배기 방식은 연소에 필요한 공기와 연소 후 배기되는 가스를 하나의 연통에 형성된 서로 다른 통로를 통해 동시에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이고, FE식인 강제 배기식은 송풍팬을 통해 배기가스는 강제로 외부로 불어내고,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실내에서 공급받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실제로 FE식은 실내와 별개로 구비된 전용 공간에 설치해야하며 반드시 급배기구(갤러리)를 설치하여 공기가 실내로 잘 유입되도록 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 중 일부 가정 및 미용실 등에 주로 설치되는 종래 가스 순간식 온수기는 대부분 연소용 공기를 실내에서 취하고, 연소 후 배기가스는 배기용 송풍기 등을 이용하여 강제로 옥외에 배출하는 강제 배기식(FE)을 채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 소비자가 설정한 연소 타이머 또는 제조사가 설정한 연소 타이머 등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연속 연소한 경우에 연소를 중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미용실 등과 같은 곳에서는 강제 배기식(FE)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를 전용 공간이 아닌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 대부분의 강제 배기식(FE)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O2 농도와는 무관하게, 소비자가 설정한 연소 타이머 또는 제조사가 설정한 연소 타이머 등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연소한 이후 소화하는 제어방법을 채택하고 있어, 1번의 연소 타이머 종료에 따른 소화 이후 2차, 3차 연속적으로 연소 타이머를 이용한 연소를 할 경우, 실제로 연소한 연소 누적 시간은 2배, 3배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전용 공간에 설치되지 않은 채 열악한 조건에 설치된 FE 방식의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를 사용하는 경우 실내에 낮아지는 O2 농도에 따라 인체에 유해한 환경 및 불완전 연소에 따른 CO의 증가로 소비자가 위험에 처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32153호(2000년 06월 05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온수를 가열시키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 중 연소용 공기는 실내에서 취하고, 연소 후 배기가스는 배기용 송풍기 등에 의하여 강제로 옥외에 배출하는 강제 배기식(FE)을 갖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가 연소 중일 때는 가산하고, 소화 중일 때는 감산하는 방식을 통해 온수연소 누적 시간을 계산하되, 계산된 실질적 온수연소 누적 시간이 정해진 일정 시간 이상이 될 경우에는 에러 발생신호를 발생함은 물론 제품을 안전하게 정지하여 줌으로써 소비자에게 에러신호를 인식하고 즉각적으로 환기 등을 실시할 수 있어 실내 공기 중 O2의 농도가 낮아짐에 따른 불완전연소로 CO가 다량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낮은 O2 농도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환경이 형성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조작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종 선택 키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가 강제 배기식(FE)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강제 배기식이면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의 계수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가산 및 감산 타이머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프레임 로드를 통해 버너가 연소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연소중이면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의 작동을 개시하고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는 초기화하는 단계와; 가산 타이머가 정해진 시간 동안 작동하고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의 작동이 종료되었으면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가 계수한 이전의 계수 값에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를 가산해 주는 단계와;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가산된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 내에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누적된 계수 값이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작으면 초기 가산 및 감산 타이머를 초기화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크거나 같으면 연소를 강제로 정지시키고 표시부나 경고부를 통해 에러상태임을 나타내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연소중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종료되지 않았으면, 연소가 정지되었는지를 더 판단하여 연소가 정지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연소중인지를 판단한 결과 연소중이 아니거나, 또는 연소가 정지되었는지를 판단한 결과 연소가 정지되었으면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는 초기화하고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는 작동을 개시하는 단계와; 감산 타이머가 정해진 시간(Tm) 동안 작동하고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의 작동이 종료되었으면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누적된 계수 값이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누적된 계수 값이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크면,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이전에 누적된 계수 값에서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를 뺀 다음 그 결과인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의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 내에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에서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누적된 계수 값과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를 상호 비교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누적된 계수 값이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작거나 같으면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의 누적 계수 값을 "0"으로 클리어하고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의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 내에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연소정지중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종료되지 않았으면, 연소중인지를 더 판단하여 만약 연소정지중이면 계속해서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연소중이면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의 작동을 개시하고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는 초기화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산 및 감산 타이머에 의해 각각 정해진 시간(Tp)(Tm)과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 및 제어부 내에 설정되는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연소 최대 열량과,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의 면적, 출입문이나 창문의 개폐 정도 및 개폐 시간에 부응하여 설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감산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Tm)이 가산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Tp)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가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감산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Tm)은 2-3분으로 설정하고, 가산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Tp)는 1-2분으로 설정하며, 상기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는 2-3분으로 설정하고,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는 1-2분으로 설정하며, 상기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는 30분 이상 120분 이하의 시간범위에서 어느 한 값을 갖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에러 상태의 해제는 소비자가 실내를 환기시킨 후 조작부에 설치되어 있는 리셋 스위치를 작동하거나, 또는 제조사에서 설정한 환기 시간(t; 예를 들어 2시간 이상 8시간 이하 범위)이 경과되었을 때 자동 해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일산화탄소검출센서 또는 산소검출센서를 선택적으로 더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 내에는 기준이 되는 CO 농도 또는 O2 농도 데이터를 기 입력시켜 두고,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일산화탄소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실내의 CO 농도가 제어부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기준 CO 농도보다 낮거나, 또는 산소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실내의 O2 농도가 제어부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기준 O2 농도보다 높으면 에러를 자동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온도로 온수를 가열시켜 주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 중 연소용 공기는 실내에서 취하고, 연소 후 배기가스는 배기용 송풍기 등에 의하여 강제로 옥외에 배출하는 강제 배기식(FE)을 갖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가 연소 중일 때에는 그 시간을 계수하여 가산하고, 소화 중일 때는 그 시간을 계수하여 감산하는 방식을 통해 온수연소 누적 시간을 계산하되, 이렇게 계산된 실질적 온수연소 누적 시간이 정해진 일정 시간 이상이 될 경우에는 에러신호를 발생함은 물론 제품을 안전하게 정지시켜 줌으로써 소비자에게 현재 어떤 에러상태인지를 정확히 인식하고 즉각적으로 환기 등을 실시할 수 있어 실내 공기 중 O2의 농도가 낮아짐에 따른 불완전연소로 CO가 다량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낮은 O2 농도로 인한 인체의 유해 환경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와 가산 및 감산 타이머(2)(3), 프레임 로드(4), 배기방식 기종 선택 키 및 에러 리셋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부(5), 출탕온도 서미스터(6), 수량센서(7), 제어부(8), 표시부(9), 버너 구동부(11) 및 송풍기 구동부(13) 등을 구비한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제어부(8)에서 조작부(5)에 설치되어 있는 기종 선택 키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가 강제 배기식(FE)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와;
강제 배기식이면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의 계수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S2)와;
가산 및 감산 타이머(2)(3)를 초기화하는 단계(S3)와;
프레임 로드(4)를 통해 버너(10)가 연소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와;
연소중이면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2)의 작동을 개시하고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3)는 초기화하는 단계(S5)와;
가산 타이머(2)가 정해진 시간(Tp) 동안 작동하고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6)와;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2)의 작동이 종료되었으면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가 계수한 이전의 계수 값에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를 가산해 주는 단계(S7)와;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가산된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8) 내에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8)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누적된 계수 값이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작으면 초기 가산 및 감산 타이머(2)(3)를 초기화하는 단계(S3)로 되돌아가고, 크거나 같으면 연소를 강제로 정지시키고 표시부(9)나 경고부를 통해 에러상태임을 나타내는 단계(S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연소중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2)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종료되지 않았으면, 연소가 정지되었는지를 더 판단(S10)하여 연소가 정지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2)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6)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연소중인지를 판단(S4)한 결과 연소중이 아니거나, 또는 연소가 정지되었는지를 판단(S10)한 결과 연소가 정지되었으면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2)는 초기화하고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3)는 작동을 개시하는 단계(S11)와;
감산 타이머(3)가 정해진 시간(Tm) 동안 작동하고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2)와;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3)의 작동이 종료되었으면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누적된 계수 값이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S13)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누적된 계수 값이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크면,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이전에 누적된 계수 값에서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를 뺀 다음 그 결과인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의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8) 내에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8)로 되돌아가는 단계(S14);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에서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누적된 계수 값과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를 상호 비교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누적된 계수 값이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작거나 같으면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의 누적 계수 값을 "0"으로 클리어하고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의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8) 내에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8)로 되돌아가는 단계(S15);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연소정지중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3)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종료되지 않았으면, 연소중인지를 더 판단하여 만약 연소정지중이면 계속해서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3)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2)로 되돌아가고, 연소중이면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2)의 작동을 개시하고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3)는 초기화하는 단계(S5)로 되돌아가는 단계(S16)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산 및 감산 타이머(2)(3)에 의해 각각 정해진 시간(Tp)(Tm)과,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 및 제어부(8) 내에 설정되는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연소 최대 열량과,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의 면적, 출입문이나 창문의 개폐 정도 및 개폐 시간에 부응하여 설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감산 타이머(3)에 의해 정해진 시간(Tm)이 가산 타이머(2)에 의해 정해진 시간(Tp)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가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감산 타이머(3)에 의해 정해진 시간(Tm)은 2-3분으로 설정하고, 가산 타이머(2)에 의해 정해진 시간(Tp)는 1-2분으로 설정하며, 상기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는 2-3분으로 설정하고,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는 1-2분으로 설정하며, 상기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는 30분 이상 120분 이하의 시간범위에서 어느 한 값을 갖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에러 상태의 해제는 소비자가 실내를 환기시킨 후 조작부(5)에 설치되어 있는 리셋 스위치를 작동하거나, 또는 제조사에서 설정한 환기 시간(t; 예를 들어 2시간 이상 8시간 이하 범위)이 경과되었을 때 자동 해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일산화탄소검출센서(14) 또는 산소검출센서(15)를 선택적으로 더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8) 내에는 기준이 되는 CO 농도 또는 O2 농도 데이터를 기 입력시켜 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8)로 하여금 상기 일산화탄소검출센서(14)를 통해 검출되는 실내의 CO 농도가 제어부(8)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기준 CO 농도보다 낮거나, 또는 산소검출센서(15)를 통해 검출되는 실내의 O2 농도가 제어부(8)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기준 O2 농도보다 높으면 에러를 자동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2는 송풍기이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는 기본적으로 가산 및 감산 타이머(2)(3)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소 중일 때는 가산하고 소화 중일 때는 감산을 수행하는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와, 연소시마다 실제 연소시간을 계수하는 가산 타이머(2), 연소 정지시마다 실제 정지시간을 계수하는 감산 타이머(3), 버너(10)의 불꽃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연소중인지 소화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로드(4)를 구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설치자가 배기방식에 따른 기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방식 기종 선택 키 및 에러 발생 후 이를 소비자가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에러 리셋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부(5), 열교환기에서 배출되는 온수의 출탕온도를 검출하는 출탕온도 서미스터(6), 온수의 사용여부를 검출하는 수량센서(7),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8),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9), 버너(10)의 구동을 제어하는 버너 구동부(11) 및 송풍기(12)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풍기 구동부(13) 등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한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 내의 제어부(8)에서는 전원전압이 공급되면 먼저, 상기 조작부(5)에 설치되어 있는 기종 선택 키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가 강제 배기식(FE)인지를 판단(S1)하여, 만약 강제 배기식이면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의 계수 값을 초기화(S2)함은 물론 가산 및 감산 타이머(2)(3)를 초기화(S3)하게 된다.
이어서 프레임 로드(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버너(10)가 연소중인지를 판단(S4)하여, 연소중이면 정해진 작동 시간(Tp; 예를 들어 1-2분)을 갖는 가산 타이머(2)의 작동을 개시하고 정해진 작동 시간(Tm; ; 예를 들어 2-3분)을 갖는 감산 타이머(3)는 초기화(S5)한 다음, 상기 가산 타이머(2)가 정해진 시간(Tp) 동안 작동하고 종료되는지를 판단(S6)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판단한 결과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상기 가산 타이머(2)의 작동이 종료되었으면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가 계수한 이전의 계수 값에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를 가산(S7)하고, 이렇게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가산된 누적 계수 값을 제어부(8) 내에 기 설정해 놓은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과 상호 비교 즉,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가산된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8) 내에 기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S8)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가산된 누적 계수 값이 실험 등에 의해 설정한 실내의 기준 CO 농도보다 높을 수 있는 시간이상이거나 또는 실내의 기준 O2 농도보다 낮을 정도의 시간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가산된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8) 내에 기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S8)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는 실내 주변환경(실내 면적, 밀폐 정도, 출입 량 등)을 감안하여 설정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30분 이상 120분 이하의 시간범위 내에서 어느 한 값을 갖도록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판단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누적된 계수 값이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인 30분 이상 120분 이하 범위에서 설정한 시간보다 작으면 지금까지 온수연소 누적 시간이 현재 실내의 CO 농도가 기준 CO 농도보다 낮은 상태임은 물론 O2 농도 역시 실내의 기준 O2 농도보다 높은 상태로 인식하고 초기 가산 및 감산 타이머(2)(3)를 초기화하는 단계(S3)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이와 같이 판단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누적된 계수 값이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인 30분 이상 120분 이하 범위에서 설정한 시간보다 크거나 같으면 현재 실내의 CO 농도가 기준 CO 농도보다 높은 상태임은 물론 O2 농도 역시 실내의 기준 O2 농도보다 낮은 상태로 인식하고, 버너(10)의 연소를 강제로 정지시키고 표시부(9)나 도시 생략한 경고부 등을 통해 에러상태임을 나타내 주게 된다(S9).
따라서, 소비자가 장시간의 온수연소(즉, 현재까지의 온수연소 시간이 온수연소 누적계수가 최대치(Cerr)인 30분 이상 120분 이하 범위에서 설정한 시간과 같거나 그 시간 이상의 온수연소)로 인해 실내의 CO 농도가 기준 CO 농도보다 높은 상태이거나 O2 농도가 실내의 기준 O2 농도보다 낮은 상태임을 즉시 인식하고 즉각적으로 환기 등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실내 공기 중 O2의 농도가 낮아짐에 따른 불완전연소로 CO가 다량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낮은 O2 농도로 인한 인체의 유해 환경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각 단계 중 연소중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2)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S6)한 결과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가산 타이머(2)가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계수하는 동안에 가스밸브의 고장이나 가스공급의 차단 등으로 인해 연소가 정지되었는지를 더 판단(S10)하여, 만약 가스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가스공급 역시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어서 연소가 정지되지 않았으면(즉, 계속 연소상태에 있으면) 계속해서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2)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6)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작동을 반복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초기 연소중인지를 판단(S4)한 결과 연소중이 아니거나(즉, 소화중이거나) 또는 연소가 정지되었는지를 판단(S10)한 결과 연소가 정지되었으면(즉, 가스밸브의 고장이나 가스공급의 차단 등으로 인해 연소가 정지되었으면)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고 연소중에만 작동하는 가산 타이머(2)는 초기화하고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고 소화중에만 작동하는 감산 타이머(3)는 작동을 개시하게 된다(S11).
이와 같이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3)가 작동되기 시작한 후에는, 상기 감산 타이머(3)가 정해진 시간(Tm) 동안 작동하고 종료되었는지를 판단(S12)하여, 만약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3)의 작동이 종료되면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누적된 계수 값이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큰지를 판단(S13)하게 된다.
상기 단계(S13)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누적된 계수 값이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크면,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이전에 누적된 계수 값에서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를 뺀(S14) 다음 그 결과인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의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8) 내에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8)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산 및 감산 타이머(2)(3)에 의해 각각 정해진 시간(Tp)(Tm)과,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 및 제어부(8) 내에 설정되는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연소 최대 열량과,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의 면적, 출입문이나 창문의 개폐 정도 및 개폐 시간에 부응하여 설정되는 것으로, 실내의 CO 농도를 최대한 낮추고 O2 농도는 최대한 높은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감산 타이머(3)에 의해 정해진 시간(Tm)이 가산 타이머(2)에 의해 정해진 시간(Tp)보다 크게 설정하고, 상기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가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크게 설정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감산 타이머(3)에 의해 정해진 시간(Tm)은 2-3분으로 설정하고, 가산 타이머(2)에 의해 정해진 시간(Tp)는 1-2분으로 설정하며, 상기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는 2-3분으로 설정하고,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는 1-2분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상기 단계(S13)에서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누적된 계수 값이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인 1-2분보다 큰지를 판단하여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누적된 계수 값이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인 1-2분보다 크면,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이전에 누적된 계수 값에서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를 뺀(S14) 다음 그 결과인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의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8) 내에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8)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S13)에서 상기에서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누적된 계수 값과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를 상호 비교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누적된 계수 값이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인 1-2분보다 작거나 같으면 그 값은 무시하기 위해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의 누적 계수 값을 "0"으로 클리어(S15)하고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의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8) 내에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8)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단계(S7)에서도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상기 가산 타이머(2)의 작동이 종료된 후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가 계수한 이전의 계수 값에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인 2-3분을 가산(S7)하고, 이렇게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가산된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8) 내에 기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인 30분 이상 120분 이하 범위 중에서 설정한 시간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S8)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단계(S12)에서 연소정지중 정해진 작동 시간(Tm; 예를 들어 2-3분)을 갖는 감산 타이머(3)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종료되지 않았으면, 감산 타이머(3)가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계수하는 동안 소비자가 온수를 사용함으로 인해 버너(10)가 작동하게 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연소중인지를 더 판단(S16)하여, 만약 계속 연소정지중이면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3)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이전 단계(S12)로 되돌아가고, 소비자가 온수를 사용함으로 인해 연소중이면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2)의 작동을 개시하고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3)는 초기화하는 단계(S5)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S8)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1)에 누적된 계수 값이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인 30분 이상 120분 이하 범위에서 설정한 시간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인해 버너(10)의 연소가 강제로 정지되고 표시부(9)나 도시 생략한 경고부 등에 에러상태가 표시된 경우, 이를 해제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다양한 방식을 제시할 수 있다.
그 첫째로는 소비자가 도어 및 창문 등으로 열고 실내를 환기시킨 후 조작부(5)에 설치되어 있는 리셋 스위치를 작동한 경우 강제로 해제시키는 방안이고, 둘째로는 제조사에서 제품의 생산시 자연 환기에 따른 시간을 기 설정해 두고 에러 발생 후 기 설정해 둔 환기 시간(t; 예를 들어 2시간 이상 8시간 이하 범위)이 경과되었을 때 자동 해제되도록 하는 방안이다.
셋째로는 일산화탄소검출센서(14) 또는 산소검출센서(15)를 선택적으로 더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8) 내에는 기준이 되는 CO 농도 또는 O2 농도 데이터를 기 입력시켜 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8)로 하여금 상기 일산화탄소검출센서(14)를 통해 검출되는 실내의 CO 농도가 제어부(8)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기준 CO 농도보다 낮아지나, 또는 산소검출센서(15)를 통해 검출되는 실내의 O2 농도가 제어부(8)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기준 O2 농도보다 높아지면 에러가 자동 해제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 2 : 가산 타이머
3 : 감산 타이머 4 : 프레임 로드
5 : 조작부 6 : 출탕온도 서미스터
7 : 수량센서 8 : 제어부
9 : 표시부
10 : 버너 11 : 버너 구동부
12 : 송풍기 13 : 송풍기 구동부
14 : 일산화탄소검출센서 15 : 산소검출센서

Claims (10)

  1. 제어부에서 조작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종 선택 키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가 강제 배기식(FE)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강제 배기식이면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의 계수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가산 및 감산 타이머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프레임 로드를 통해 버너가 연소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연소중이면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의 작동을 개시하고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는 초기화하는 단계와;
    가산 타이머가 정해진 시간 동안 작동하고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의 작동이 종료되었으면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가 계수한 이전의 계수 값에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를 가산해 주는 단계와;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가산된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 내에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누적된 계수 값이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작으면 초기 가산 및 감산 타이머를 초기화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크거나 같으면 연소를 강제로 정지시키고 표시부나 경고부를 통해 에러상태임을 나타내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소중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종료되지 않았으면, 연소가 정지되었는지를 더 판단하여 연소가 정지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연소중인지를 판단한 결과 연소중이 아니거나, 또는 연소가 정지되었는지를 판단한 결과 연소가 정지되었으면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는 초기화하고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는 작동을 개시하는 단계와;
    감산 타이머가 정해진 시간(Tm) 동안 작동하고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의 작동이 종료되었으면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누적된 계수 값이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누적된 계수 값이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크면,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이전에 누적된 계수 값에서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를 뺀 다음 그 결과인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의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 내에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누적된 계수 값과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를 상호 비교한 결과 현재까지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에 누적된 계수 값이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작거나 같으면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의 누적 계수 값을 "0"으로 클리어하고 상기 온수연소 누적 계수기의 누적 계수 값이 제어부 내에 설정된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연소정지중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종료되지 않았으면, 연소중인지를 더 판단하여 만약 연소정지중이면 계속해서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의 작동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연소중이면 정해진 작동 시간(Tp)을 갖는 가산 타이머의 작동을 개시하고 정해진 작동 시간(Tm)을 갖는 감산 타이머는 초기화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산 및 감산 타이머에 의해 각각 정해진 시간(Tp)(Tm)과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 및 제어부 내에 설정되는 온수연소 누적계수의 최대치(Cerr)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연소 최대 열량과,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의 면적, 출입문이나 창문의 개폐 정도 및 개폐 시간에 부응하여 설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산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Tm)이 가산 타이머에 의해 정해진 시간(Tp)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가산치(Cp)가 연소중 누적계수 1회 감산치(Cm)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에러 상태의 해제는, 소비자가 실내를 환기시킨 후 조작부에 설치되어 있는 리셋 스위치를 작동하거나, 또는 제조사에서 설정한 환기 시간(t)이 경과되었을 때 자동 해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10. 청구항 3에 있어서,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에 일산화탄소검출센서 또는 산소검출센서를 선택적으로 더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 내에는 기준이 되는 CO 농도 또는 O2 농도 데이터를 기 입력시켜 두고,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일산화탄소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실내의 CO 농도가 제어부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기준 CO 농도보다 낮거나, 또는 산소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실내의 O2 농도가 제어부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기준 O2 농도보다 높으면 에러를 자동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KR1020120013665A 2012-02-10 2012-02-10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KR101301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665A KR101301041B1 (ko) 2012-02-10 2012-02-10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665A KR101301041B1 (ko) 2012-02-10 2012-02-10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135A KR20130092135A (ko) 2013-08-20
KR101301041B1 true KR101301041B1 (ko) 2013-08-28

Family

ID=4921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665A KR101301041B1 (ko) 2012-02-10 2012-02-10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0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6284A (ko) * 1996-03-30 1997-10-13 배순훈 난방기기의 연소이상 및 환기의 분리검지방법
KR0134135B1 (ko) * 1993-12-24 1998-04-21 나이또오 스스무 연소기기의 불완전연소 검출장치
KR20060053857A (ko) * 2004-07-21 2006-05-2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연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135B1 (ko) * 1993-12-24 1998-04-21 나이또오 스스무 연소기기의 불완전연소 검출장치
KR970066284A (ko) * 1996-03-30 1997-10-13 배순훈 난방기기의 연소이상 및 환기의 분리검지방법
KR20060053857A (ko) * 2004-07-21 2006-05-2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연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135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0176B2 (ja) グリル
KR101393406B1 (ko) 외기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자동 제어방법
KR101976646B1 (ko)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난방전용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고장 검지방법
KR101938572B1 (ko)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KR101911820B1 (ko) 주거용 주방 자동소화장치 및 제어방법
KR101562241B1 (ko) 연소기기의 배기온도 검출센서 빠짐 검지방법
CN110081605B (zh) 热水器的排气安全检测方法
KR101827270B1 (ko) 실내 난방공급 제어온도 설정에 따른 보일러의 난방온도 제어방법
KR101949909B1 (ko) 보일러의 잔열을 이용한 온수온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301041B1 (ko) 가스 연소형 온수 가열기의 온수 사용시 연속연소 제한방법
KR101906218B1 (ko) 보일러의 급속 난방운전 제어방법
KR101267486B1 (ko) 보일러의 과열방지 제어방법
KR101731533B1 (ko) 보일러의 온수 과열 방지방법
KR101824026B1 (ko) 난방공급 온도센서와 난방환수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난방연소 제어방법
KR101941912B1 (ko) 급기온도와 송풍팬 전류치를 이용한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CN110822720B (zh) 一种壁挂炉安全故障的控制方法
KR101890607B1 (ko) 보일러의 자동모드 작동 시 외부화재 방지를 위한 안전정지방법
CA2677549C (en) Thermal switch for energy sustaining water heater
KR20180072946A (ko)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
JP2006308154A (ja) 暖房機の制御装置
KR101786551B1 (ko) 온수기 및 보일러의 열교환기 내 결로방지방법
JP6542626B2 (ja) 温風暖房機
JP5386529B2 (ja) 開放型燃焼暖房機器
KR101832890B1 (ko) 보일러의 난방운전 중 조기소화 시 난방운전 제어방법
JP4907622B2 (ja) 開放型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