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827B1 - 커터칼 착용장치 - Google Patents

커터칼 착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827B1
KR101300827B1 KR1020120144740A KR20120144740A KR101300827B1 KR 101300827 B1 KR101300827 B1 KR 101300827B1 KR 1020120144740 A KR1020120144740 A KR 1020120144740A KR 20120144740 A KR20120144740 A KR 20120144740A KR 101300827 B1 KR101300827 B1 KR 101300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cutter
cutter knife
bla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영
윤종복
Original Assignee
윤종복
윤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복, 윤재영 filed Critical 윤종복
Priority to KR1020120144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2Guards or sheaths for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작업자의 신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밴드부재와, 밴드부재의 외측에 설치되어 커터칼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칼 지지유닛 및, 밴드부재 또는 칼 지지유닛에 연결되어 칼 지지유닛에 지지된 커터칼의 외부로 노출된 칼날 부분을 감싸서 보호하는 날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커터칼 착용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커터칼 착용장치{AN APPARATUS FOR HONDING CUTTER}
본 발명은 커터칼 착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터칼의 커터날을 인출한 상태로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커터칼 착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의실, 건축, 건설, 인테리어 작업자는 작업 현장에서 다양한 작업도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다양한 작업도구 중에 작업용 커터칼도 필수적으로 휴대하여 작업하는 도구이다. 특히 도배 등의 인테리어 작업자는 커터칼을 휴대하여 수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커터칼의 경우에는 커터날을 커터칼 본체에서 슬라이딩시켜서 외부로 소정 길이 인출시킨 상태에서 밀려서 커터칼 본체로 다시 들어가지 못하도록 고정용 조임나사를 회전시켜서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다시 커터날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고정용 조임나사를 반대로 회전시켜서 느슨하게 한 후, 커터날을 다시 커터칼 본체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삽입한 후, 다시 조임나사를 조여서 커터날이 밀려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특히, 도배작업 등을 하는 인테리어 작업자는 옷의 주머니 증에 커터칼을 휴대한 상태에서 필요시, 주머니에서 커터칼을 꺼내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다시 주머니에 집어넣어서 보관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커터날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커터날을 커터날 본체에서 빼내서 고정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다시 느슨하게 하여 커터날 본체로 집어넣고 나서 다시 고정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커터칼의 커터날을 사용위치로 인출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커터칼 착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터칼 착용장치는, 작업자의 신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밴드부재와; 상기 밴드부재의 외측에 설치되어 커터칼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칼 지지유닛; 및 상기 밴드부재 또는 상기 칼 지지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칼 지지유닛에 지지된 커터칼의 외부로 노출된 칼날 부분을 감싸서 보호하는 날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칼 지지유닛은, 상기 밴드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커터칼을 클램핑하여 지지하는 칼 홀딩부재와; 상기 칼 홀딩부재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커터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 홀딩부재는, 상기 밴드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측에서 절곡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지지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벽 사이로 상기 커터칼이 진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및 제 2지지벽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서 절곡되어 상기 커터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편;을 포함하며, 상기 커터칼의 커터칼 본체에 형성되는 측면 가이드슬릿을 상기 탄성편이 탄력지지 하도록 상기 탄성편은 상기 커터칼 쪽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날 커버부재는 상기 밴드부재 또는 상기 칼 지지유닛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에는 상기 칼 지지유닛에 장착되는 커터칼의 외부로 노출된 커터날을 감싸서 지지하는 날 수용부가 마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커터칼 착용장치에 따르면, 건축작업자, 인테리어 작업자 등 기타 작업자가 작업시, 커터칼의 커터날을 사용위치로 인출한 상태에서 착용장치에 선택적으로 한 손으로 장착 및 분리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커터칼의 커터날을 반복하여 커터날 본체 내외로 집어넣고 빼내고를 반복하여 사용하지 않고, 또한 옷 주머니에 불편하게 보관하지 않고 팔, 허리띠, 발목 등의 신체부위에 착용가능한 착용장치에 커터칼을 장착하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커터날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터칼 착용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터칼 착용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커터칼 착용장치에 커터칼을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커터칼 착용장치에 커터칼을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커터칼을 커터칼 착용장치에서 분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커터칼 착용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터칼 착용장치(10)는, 밴드부재(20)와, 밴드부재(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커터칼(100)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칼 지지유닛(30)과, 밴드부재(20)에 설치되어 칼 지지유닛(30)에 장착되는 커터칼(100)의 커터날(120)을 감싸서 보호하는 날 커버부재(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커터칼(100)은 커터칼 본체(110)와, 커터칼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며 커터칼 본체(110) 내외로 슬라이딩 되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터날(120)과, 커터날(120)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여주거나 이동가능하게 느슨하게 조일 수 있는 조임부재(130)를 구비한다. 커터칼 본체(110)의 측면으로 조임부재(130)가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 가이드슬릿(1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임부재(130)는 커터날(120)과 결합된 상태로 측면 가이드슬릿(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커터날(120)의 선단부를 커터칼 본체(110)의 선단으로 돌출되거나 다시 진입되어 감춰지도록 위치이동시킬 수 있게 왼다. 그리고 조임부재(130)는 커터날(120)을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조이게 되면, 커터날(120)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반대 방향으로 풀어주면 커터날(120)을 위치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의 커터칼(100)은 공지의 구성이며, 그 사이즈 및 형상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상기 밴드부재(20)는 발목, 손목 또는 손과 손목을 함께 감싸서 착용할 수 있도록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에는 벨크로(21)가 설치되고, 감긴 상태에서 벨크로(21)와 마주하는 면에는 벨크로(2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직물 또는 피 벨크로부(돌기형상의 벨크로부)가 소정 넓이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밴드부재(20)는 벨크로(21)에 의한 고정방식 이외에 벨트의 버클이나, 단추, 지퍼 등 다양한 구조의 고정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밴드부재(20)의 고정방식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칼 지지유닛(30)은, 밴드부재(20) 외측에 설치되며, 커터칼(100)을 클램핑하여 지지하는 칼 홀딩부재(31)와, 칼 홀딩부재(31)의 내측에 설치되어 커터칼(10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3)를 구비한다.
칼 홀딩부재(31)는 밴드부재(20)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결합부(31a)와, 결합부(31a)의 양측 각각에서 절곡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연장되는 제1 및 제2지지벽(31b,31c)을 가진다. 여기서 결합부(31a)는 플레이트 구조를 가지며, 2층 구조로서, 하나는 제1지지벽(31a)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2지지벽(31c)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결합부(31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와이어(35)에 의해 밴드부재(2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나사, 접착제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밴드부재(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지지벽(31b,31c)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제1 및 제2지지벽(31b,31c) 사이에 커터칼(100)이 개재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간격을 가진다. 제1지지벽(31b)과 상기 탄성부재(33) 사이에 커터칼(100)이 끼워져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지지벽(31b,31c)에는 고정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탄성부재 고정유닛(37)이 결합되는 고정슬릿이 상하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벽(31b,31c)의 사이에 탄성부재(33)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탄성부재(33)는 제2지지벽(31c)의 내측에 결합되어, 제1지지벽(31b)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커터칼(100)이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구체적으로 보면, 탄성부재(33)는 제2지지벽(31c)에 결합되는 고정편(33a)과, 고정편(33a)에서 절곡 연장되어 커터칼(100)의 측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편(33b)을 가진다. 여기서 탄성편(33b)은 제1지지벽(31b) 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형성되어, 커터칼(100)의 커터칼 본체(110)의 측면 가이드슬릿(111) 내측으로 진입되어 밀착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탄성편(33b)이 커터칼 본체(110)의 측면 가이드슬릿(111)을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커터칼(100)은 도 3 및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진입되어 탄성편(33b)과 제1지지벽(31b) 사이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장착된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즉, 장착방향의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터칼(100)을 칼 지지유닛(30)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커터칼(100)의 길이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잡아당겨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탄성편(33b)은 커터칼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가이드슬릿(111)을 따라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게 되어 커터칼(100)이 탄성편(33b)과 제1지지벽(31b) 사이에서 사용자의 당기는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빠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날 커버부재(40)는 칼 지지유닛(30)에 거치된 커터칼(100)의 커터칼 본체(110)로부터 인출된 커터날(120)을 노출부분을 감싸서 보호할 수 있도록 밴드부재(20)에 결합된다. 날 커버부재(40)는 밴드부재(20) 또는 칼 지지유닛(30)에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되거나, 또는 칼 지지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날 커버부재(40)는 밴드부재(2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커터날(120)의 노출된 부분을 하부에서 일정 깊이로 감싸서 수용하도록 하는 날 수용부(41)를 가진다. 이러한 날 수용부(41)에 의해 커터날(120)의 노출부분 특히, 커터날(120)의 날부(121)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여서 수용된다. 이와 같이 커터날(120)의 노출된 부분이 날 커버부재(4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된 상태로 칼 지지유닛(30)에 커터칼(100)이 장착됨으로써, 사용자는 커터칼(100)을 사용하다가 커터날(120)을 커터칼 본체(110) 내부로 집어넣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칼 지지유닛(30)에 장착하더라도, 외부로 노출된 커터날(120)에 의해 본인이나 다른 사람이 다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터칼 착용장치(10)는 사용자의 손목 등에 밴드부재(20)를 이용하여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한 상태에서 커터칼(100)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 지지유닛(30)에 수직으로 내려서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하던 상태 그대로 즉, 커터칼(100)의 커터날(1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 그대로 칼 지지유닛(30)에 장착할 수 있다. 장착된 커터칼(100)의 커터날(120)은 날 커버부재(40)에 의해 감싸여져서 수용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커터칼 지지유닛(110)에 장착된 커터칼(100)에 의해 사용자나 다른 사람이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커터칼(10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칼(100)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커터칼 착용장치(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커터칼(10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커터날(120)을 사용위치 즉,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하다가, 그대로 커터칼 착용장치(10)에 장착하여 보관하고, 다시 분리하여 사용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커터칼(100)을 옷 주머니에 보관하면서 사용하던 때의 불편함을 해결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배와 같은 인테리어 공사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커터칼(100)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커터칼(100)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커터칼 착용장치 20..밴드부재
30..칼 지지유닛 40..날 커버부재
100..커터칼

Claims (5)

  1. 작업자의 신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밴드부재와;
    상기 밴드부재의 외측에 설치되어 커터칼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칼 지지유닛; 및
    상기 밴드부재 또는 상기 칼 지지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칼 지지유닛에 지지된 커터칼의 외부로 노출된 칼날 부분을 감싸서 보호하는 날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칼 지지유닛은,
    상기 밴드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커터칼을 클램핑하여 지지하는 칼 홀딩부재와; 상기 칼 홀딩부재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커터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칼 홀딩부재는, 상기 밴드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측에서 절곡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지지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벽 사이로 상기 커터칼이 진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및 제 2지지벽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서 절곡되어 상기 커터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편;을 포함하며,
    상기 커터칼의 커터칼 본체에 형성되는 측면 가이드슬릿을 상기 탄성편이 탄력지지 하도록 상기 탄성편은 상기 커터칼 쪽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칼 착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 커버부재는 상기 밴드부재 또는 상기 칼 지지유닛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에는 상기 칼 지지유닛에 장착되는 커터칼의 외부로 노출된 커터날을 감싸서 지지하는 날 수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칼 착용장치.
KR1020120144740A 2012-12-12 2012-12-12 커터칼 착용장치 KR101300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40A KR101300827B1 (ko) 2012-12-12 2012-12-12 커터칼 착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40A KR101300827B1 (ko) 2012-12-12 2012-12-12 커터칼 착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827B1 true KR101300827B1 (ko) 2013-08-29

Family

ID=4922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740A KR101300827B1 (ko) 2012-12-12 2012-12-12 커터칼 착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8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7281B6 (cs) * 2017-06-26 2018-05-09 Martin Jonák Nůž s výsuvnou čepelí
US10264872B2 (en) 2013-12-11 2019-04-23 Spheredyne Co., Ltd. Wearable device
KR102379708B1 (ko) 2021-12-02 2022-03-29 최현수 커터칼 보조장치
WO2023090470A1 (ko) * 2021-11-16 2023-05-25 이금욱 손목 착용형 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672U (ja) * 1992-05-12 1994-03-08 下村工業株式会社 ナイフ用鞘
KR200269456Y1 (ko) * 2001-12-07 2002-03-23 문강열 나사휴대용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672U (ja) * 1992-05-12 1994-03-08 下村工業株式会社 ナイフ用鞘
KR200269456Y1 (ko) * 2001-12-07 2002-03-23 문강열 나사휴대용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4872B2 (en) 2013-12-11 2019-04-23 Spheredyne Co., Ltd. Wearable device
CZ307281B6 (cs) * 2017-06-26 2018-05-09 Martin Jonák Nůž s výsuvnou čepelí
WO2023090470A1 (ko) * 2021-11-16 2023-05-25 이금욱 손목 착용형 칼
KR102379708B1 (ko) 2021-12-02 2022-03-29 최현수 커터칼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827B1 (ko) 커터칼 착용장치
US20060289574A1 (en) Tool holder apparatus
US7761930B2 (en) Cord holding garment
EP2175755B1 (en) Attachment device for a wear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wearable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said attachment device
US10531724B2 (en) Belt clip for power tool
US20110290833A1 (en) Hand Tool Cord Tether and Method
US2524110A (en) Saw scabbard
US2867363A (en) Saw scabbard
US7945969B1 (en) Cord holding garment
EP0196637A1 (en) Work gloves
KR20080102819A (ko) 보호 막대가 수용된 손목 보호대
DE602004013220D1 (de) Verbesserte Vorrichtung zum Öffnen des Bandführungskanals einer Umreifungsmaschine
US20060086629A1 (en) Glove holder apparatus
US10064479B2 (en) Scabbard holder for a hand saw
KR20130049872A (ko) 손가락 보호용 안전장갑
JP3194444U (ja) 作業用ケース
US10888974B1 (en) Jewelry tool
JP4712250B2 (ja) ベルト挿通用腰当て
JP5139474B2 (ja) 電源コード支持具
ES2332538T3 (es) Dispositivo de soporte para portar una herramienta operada manualmente en el cuerpo de una persona.
KR200413367Y1 (ko) 커트칼
CN219516787U (zh) 一种鼻唇沟冷敷冰袋
KR200427344Y1 (ko) 용접마스크
KR20150001981U (ko) 재배용 보조기구
KR101451366B1 (ko) 작업용 우의 상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