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834B1 -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834B1
KR101299834B1 KR20100135513A KR20100135513A KR101299834B1 KR 101299834 B1 KR101299834 B1 KR 101299834B1 KR 20100135513 A KR20100135513 A KR 20100135513A KR 20100135513 A KR20100135513 A KR 20100135513A KR 101299834 B1 KR101299834 B1 KR 101299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oil
rolling
temperature
target
advance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3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682A (ko
Inventor
이규택
김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0013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8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834B1/ko

Links

Images

Abstract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압연기를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스트립에 압연유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압연유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유분사부에 공급되는 압연유가 저장되는 클린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기에서 배출된 압연유가 저장되는 리턴탱크를 구비하는 가역식 압연기에서 압연유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판속도와 롤속도의 정보를 근거로 하여 실제 선진율과 목표 선진율의 차를 계산하여 압연유의 점도 조정을 위한 판온도 설정값을 연산하는 제1온도제어부 ; 상기 제1온도제어부의 판온도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압연유분사부로 공급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압연유온도조절부 ; 상기 압연기에서 배출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온도를 조절하는 제2압연유온도조절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및 방법{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the oil in reversing mill}
본 발명은 가역식 압연기에서 압연유를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가역식 압연기의 모든 패스에서 원하는 목표 선진율을 얻기 위해 압연유의 점도를 실시간으로 조정하여 마찰계수를 변화시켜 슬립을 방지하면서 우수한 품질의 압연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가역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제조되는 전기강판이나 스테인레스와 같은 고강도강은 큰 압연하중이 요구되므로 소경의 작업 롤을 사용하는 젠지미어 밀(20단 압연기)을 통해 압연작업을 여러 패스 반복함으로써 목표 두께를 강판을 생산한다.
그러나, 외경이 작은 소경의 롤을 이용하여 큰 압하율을 내고자할 경우, 판이 롤의 갭사이로 잘 치입이 되지 않기 때문에 판의 진행속도보다 압연롤의 회전속도가 빠른 현상, 즉 슬립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슬립이 발생하게 되면, 압연롤의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판 두께 편차도 크게 발생하게 됨에 따라, 슬립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 롤의 압하율을 줄이고 압연속도를 낮춤으로써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지만 생산성이 떨어지므로 비현실적인 방법이다.
그리고, 압연롤의 표면조도를 크게 하여 마찰저항을 높임으로써 슬립을 방지할 수 있지만 압연제조되는 판 표면 품질이 떨어지므로 이 또한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압연시 롤과 판사이로 공급되는 압연유의 성상을 개선시켜 마찰계수를 크게 하여 슬립을 방지할 수 있으나, 압연유의 성상을 바꿀 경우 특정 패스에는 만족시킬 수 있지만 그 압연유는 모든 압연 패스에 공통적으로 공급되므로 모든 패스의 조건에 만족시키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역식 압연기의 모든 패스에서 원하는 목표 선진율을 얻기 위해 압연유의 점도를 실시간으로 조정하여 마찰계수를 변화시켜 슬립을 방지하면서 우수한 품질의 압연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가역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연기를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스트립에 압연유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압연유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유분사부에 공급되는 압연유가 저장되는 클린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기에서 배출된 압연유가 저장되는 리턴탱크를 구비하는 가역식 압연기에서 압연유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판속도와 롤속도의 정보를 근거로 하여 실제 선진율과 목표 선진율의 차를 계산하여 압연유의 점도 조정을 위한 판온도 설정값을 연산하는 제1온도제어부 ; 상기 제1온도제어부의 판온도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압연유분사부로 공급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압연유온도조절부 ; 상기 압연기에서 배출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온도를 조절하는 제2압연유온도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연기와 제2압연유온도조절부사이에는 압연기로 부터 배출되는 압연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호프만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턴탱크와 클린탱크사이에는 압연유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제거하도록 마그네틱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압연유온도조절부는 상기 리턴탱크에 저장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목표온도제어값을 전송하는 제2온도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온도제어부는 실제 선진율을 연산하는 실제 선진율 계산부와 목표하는 선진율을 연산하는 목표 선진율 계산부 및 실제 선진율과 목표 선진율간의 차로부터 압연유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설정값을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제 선진율(f실제)은 수학식 1에 의해서 구해지고, 상기 목표 선진율(f목표)은 수학식 2에 의해서 구해지고, 수학식 2의 편평롤 반경은 수학식 3에 의해서 구해지고, 상기 수학식 3의 히치콕 상수는 수학식 4에 의해서 구해지며, 압연유 목표온도값(T)은 수학식 5에 의해서 구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3010123937-pat00030
(수학식 1)
여기서, f실제 는 실제 선진율, Vo 는 출측 스트립 통판속도, VR 는 롤 회전속도이다.
Figure 112013010123937-pat00031
(수학식 2)
여기서, f목표는 목표 선진율, h 는 출측 두께, RD 는 편평롤 반경, φn은 중립각이다.
Figure 112010086143636-pat00003
(수학식 3)
여기서, Δh는 입출측 두께차이며, b는 판폭, P는 압연하중, R은 작업롤 반경, CH는 히치콕상수이다.
Figure 112010086143636-pat00004
(수학식 4)
여기서, υ는 프와송 비이며, π는 원주율, E는 탄성계수이다.
Figure 112010086143636-pat00005
(수학식 5)
여기서, T는 압연유 목표온도값, K는 온도 비례 게인, Ti는 적분 시간, s는 라플라스변수, Δf 는 선진율 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압연기를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스트립에 압연유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압연유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유분사부에 공급되는 압연유가 저장되는 클린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기에서 배출된 압연유가 저장되는 리턴탱크를 구비하는 가역식 압연기에서 압연유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판속도와 롤속도의 정보를 근거로 하여 실제 선진율과 목표 선진율의 차를 계산하는 제1온도제어부에 의해서 압연유의 점도 조정을 위한 판온도 설정값을 연산하는 단계 ; 상기 제1온도제어부의 판온도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압연유의 온도를 제1압연유온도조절부에 의해서 조절한 다음 상기 압연유분사부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압연기에서 배출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제2압연유온도조절부에 의해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온도제어부는 실제 선진율 계산부에서 연산한 실제 선진율과 목표선진율 계산부에서 연산한 목표 선진율간의 차를 제어부에서 연산하여 상기 제1압연유온도조절부에 인가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설정값을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제 선진율(f실제)은 수학식 1에 의해서 구해지고, 상기 목표 선진율(f목표)은 수학식 2에 의해서 구해지고, 수학식 2의 편평롤 반경은 수학식 3에 의해서 구해지고, 상기 수학식 3의 히치콕 상수는 수학식 4에 의해서 구해지며, 압연유 목표온도값(T)은 수학식 5에 의해서 구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3010123937-pat00032
(수학식 1)
여기서, f실제 는 실제 선진율, Vo 는 출측 스트립 통판속도, VR 는 롤 회전속도이다.
Figure 112013010123937-pat00033
(수학식 2)
여기서, f목표는 목표 선진율, h 는 출측 두께, RD 는 편평롤 반경, φn은 중립각이다.
Figure 112010086143636-pat00008
(수학식 3)
여기서, Δh는 입출측 두께차이며, b는 판폭, P는 압연하중, R은 작업롤 반경, CH는 히치콕상수이다.
Figure 112010086143636-pat00009
(수학식 4)
여기서, υ는 프와송 비이며, π는 원주율, E는 탄성계수이다.
Figure 112010086143636-pat00010
(수학식 5)
여기서, T는 압연유 목표온도값, K는 온도 비례 게인, Ti는 적분 시간, s는 라플라스변수, Δf 는 선진율 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역식 압연기의 모든 패스에서 압연기에 공급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통하여 압연유의 점도를 적절히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원하는 선진율을 얻을 수 있도록 마찰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소경롤을 사용하고 압하율이 크며 압연기 1대를 이용하여 여러 패스를 통해 목표 두께를 얻는 가역 압연기에서 많이 발생하는 슬립 현상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선진율이 모두 양의 값을 가지는 정상적인 압연이 이루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에 적용되는 압연 중립점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에 적용되는 온도제어장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에 의한 선진율 개선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 패스 스트립(4)에 분사되는 압연유의 온도조절를 통하여 압연유의 점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압연시 슬립을 방지하도록 원하는 선진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제1온도제어부(11), 제1압연유온도조절부(5) 및 제2압연유온도조절부(9)를 포함하며, 압연시 윤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인자는 점도, Fe 함량, 검화가, 첨가제 순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 중 가장 영향도가 큰 압연유의 점도를 제어 하여 원하는 압연 윤활 조건을 찾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방향으로 진행하는 스트립(4)을 압연하는 압연기(1)의 입측과 출측에는 상기 스트립(4)의 표면으로 압연유를 분사하도록 복수개의 압연유분사부(2)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압연기에 구비되는 롤의 회전속도와 스트립의 통판속도를 측정하는 속도계(3)를 구비한다.
상기 압연유분사부(2)는 오일라인을 매개로 압연유가 일정량 저장되는 클린탱크(6)와 연결되고, 상기 클린탱크(6)와 압연분사부(2)사이에는 상기 클린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열원을 제공하는 제1압연유조절부(5)를 구비하며, 상기 제1압연유온도조절부(5)는 제1온도제어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온도제어부(11)는 상기 속도계(3)에 의해서 측정되는 스트립(4)의 판속도와 롤의 회전속도와 같은 정보(12)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실제 선진율과 목표 선진율의 차를 계산함으로써 압연유의 점도 조정을 위한 판온도 설정값을 연산하며, 연산된 판온도 설정값을 위한 압연유 온도제어값은 상기 제1압연유온도조절부(5)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1압연유온도조절부(5)는 상기 제1온도제어부(11)로부터 전송되는 판온도 측정값을 근거로 하는 압연유 온도제어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압연유분사부(2)로 공급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압연기(1)는 오일라인을 매개로 스트립압연시 공급된 후 배출되는 압연유가 일정량 저장되는 리턴탱크(8)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기(1)와 리턴탱크(8)사이에는 상기 압연기에서 배출되어 상기 리턴탱크(8)에 저장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항사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압연유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압연유온도조절부(9)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압연기(1)와 제2압연유온도조절부(9)사이에는 압연기로 부터 배출되는 압연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호프만필터(10)를 구비하고, 상기 리턴탱크(8)와 클린탱크(6)사이에는 압연유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제거하도록 마그네틱 필터(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압연유온도조절부(9)는 상기 리턴탱크에 저장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목표온도제어값을 전송하는 제2온도제어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압연유온도조절부에서 온도 조절된 압연유는 압연유 분사부(2)를 통하여 압연기의 롤과 스트립에 분사하게 되며, 분사된 후 압연기로부터 배출되는 압연유는 호프만 필터(10)에서 1차 여과된 다음 제2압연유온도조절부(9)를 통과하면서 일정온도를 갖도록 조절되어 리턴 탱크(8)로 회수된다.
상기 리턴탱크(8)의 회수된 압연유는 다시 마그네틱 필터(7)를 통과하면서 금속물질이 제거되도록 여과된 다음 클린 탱크(6)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마그네틱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압연유는 상기 제1압연유온도절부에서 온도조절된 다음 다시 압연기로 분사공급되는 순환 구조를 갖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압연기에 의한 스트립 압연시 중립점의 위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압연은 상,하부롤이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들 사이로 진입되는 스트립을 물고 들어가면서 스트립판에 소성 변형을 일으키는 변형 방법이다.
이때, 스트립과 접촉하는 상,하부롤사아의 갭내는 중립점이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중립점에서는 스트립의 통판 속도가 롤의 회전속도와 같게 되는데, 중립점을 기준으로 입측은 후진역이라 하며, 이 구간은 스트립의 통판속도보다 롤의 회전속도가 빠른 구간이다.
상기 중립점을 기준으로 출측은 선진역이라고 하며 이 구간은 롤의 회전속도 보다 스트립의 통판속도가 빠른 영역이기 때문에, 중립점이 롤 바이트 안에 존재하면 (+) 선진율이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선진율의 정의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롤의 회전속도 대비 스트립의 통판속도의 비가 된다.
Figure 112010086143636-pat00011
여기서, f실제 는 실제 선진율, Vo 는 출측 스트립 통판속도, VR 는 롤 회전속도이다.
만약, 여기서 상기 선진율이 음의 값을 가지면 스트립의 통판속도보다 롤의 회전속도가 빠른 슬립(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선진율은 압연기의 입측과 출측에 설치된 속도계(3)로부터 스트립의 통판속도와 롤 회전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1온도제어부(11)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1온도제어부에서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실제 선진율(f실제)을 구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제어부(11)는 실제 선진율을 연산하는 실제 선진율 계산부(15)와 목표하는 선진율을 연산하는 목표 선진율 계산부(14) 그리고 이로부터 계산되어진 실제 선진율(18)과 목표 선진율(17)의 차로부터 압연유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설정값을 연산하는 제어부(16)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에서 계산된 온도 설정값(19)이 상기 제1압연유도조절부(5)에 입력되는 입력값이 된다.
여기서, 실제 선진율 계산부(15)는 상기 수학식 1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목표 선진율 계산부(14)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되어진다.
즉, 목표 선진율(f목표)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출측 두께(h), 편평롤 반경(RD) 그리고 중립각(φn)이 결정되어야 한다.
Figure 112013010123937-pat00034
여기서, f목표는 목표 선진율, h 는 출측 두께, RD 는 편평롤 반경, φn은 중립각이다.
상기 편평롤 반경(RD)은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계산되어지며, 여기서 CH는 히치콕 상수로서 수학식 4에 의해 계산되어진다.
Figure 112010086143636-pat00013
여기서, Δh는 입출측 두께차이며, b는 판폭, P는 압연하중, R은 작업롤 반경, CH는 히치콕상수이다.
Figure 112010086143636-pat00014
여기서, υ는 프와송 비이며, π는 원주율, E는 탄성계수이다.
상기 수학식 2에서 결정된 목표 선진율(17)은 실제 선진율(18)을 차감하여 하기 수학식 5로 이루어지는 제어부(16)에 의해 제1압연유온도조절부(5)의 목표 온도값(19; T)이 계산되어 진다.
Figure 112010086143636-pat00015
여기서, T는 압연유 목표온도값, K는 온도 비례 게인, Ti는 적분 시간, s는 라플라스변수, Δf 는 선진율 차가 된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5에 의해 결정된 목표 압연유온도는 상기 제1압연유온도조절부(5)를 통해 압연유의 온도를 결정하게 되며, 상기 제1압연유온도조절부(5)를 통과한 압연유는 압연유 분사부(2)에 의해서 롤과 스트립으로 분사하게 된다.
상기 압연기(1)에 분사 후 수거되는 압연유는 호프만 필터(10)를 거치면서 1차 여과된 후 제2압연유온도조절부(9)를 통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리턴탱크(8)로 모여지게 된다.
상기 리턴 탱크(8)내의 압연유 온도는 제2온도제어부(13)에 의해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리턴 탱크로 모여진 압연유는 다시 마그네틱 필터(7)를 거치면서 2차 여과된 다음 클린 탱크로 모여져 압연기로 순환공급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선전에는 1, 2, 3패스의 경우 슬립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이 적용된 후에는 선진율이 모두 양의 값을 가지는 정상적인 압연이 이루어져 슬립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압연기 2 : 압연유분사부
3 : 속도계 4 : 스트립
5 : 제1압연유온도조절부 6 : 클린탱크
7 : 마그네틱 필터 8 : 리턴탱크
9 : 제2압연유온도조절부 10 : 호프만필터
11 : 제1온도제어부 13 ; 제2온도제어부
14 : 목표 선진율 계산부 15 : 실제 선진율 계산부
16 : 제어부

Claims (8)

  1. 압연기를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스트립에 압연유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압연유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유분사부에 공급되는 압연유가 저장되는 클린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기에서 배출된 압연유가 저장되는 리턴탱크를 구비하는 가역식 압연기에서 압연유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판속도와 롤속도의 정보를 근거로 하여 실제 선진율과 목표 선진율의 차를 계산하여 압연유의 점도 조정을 위한 판온도 설정값을 연산하는 제1온도제어부 ;
    상기 제1온도제어부의 판온도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압연유분사부로 공급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압연유온도조절부 ;
    상기 압연기에서 배출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온도를 조절하는 제2압연유온도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와 제2압연유온도조절부사이에는 압연기로 부터 배출되는 압연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호프만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턴탱크와 클린탱크사이에는 압연유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제거하도록 마그네틱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연유온도조절부는 상기 리턴탱크에 저장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목표온도제어값을 전송하는 제2온도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제어부는 실제 선진율을 연산하는 실제 선진율 계산부와 목표하는 선진율을 연산하는 목표 선진율 계산부 및 실제 선진율과 목표 선진율간의 차로부터 압연유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설정값을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선진율(f실제)은 수학식 1에 의해서 구해지고, 상기 목표 선진율(f목표)은 수학식 2에 의해서 구해지고, 수학식 2의 편평롤 반경은 수학식 3에 의해서 구해지고, 상기 수학식 3의 히치콕 상수는 수학식 4에 의해서 구해지며, 압연유 목표온도값(T)은 수학식 5에 의해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Figure 112013010123937-pat00035
    (수학식 1)
    여기서, f실제 는 실제 선진율, Vo 는 출측 스트립 통판속도, VR 는 롤 회전속도이다.
    Figure 112013010123937-pat00036
    (수학식 2)
    여기서, f목표는 목표 선진율, h 는 출측 두께, RD 는 편평롤 반경, φn은 중립각이다.
    Figure 112013010123937-pat00037
    (수학식 3)
    여기서, Δh는 입출측 두께차이며, b는 판폭, P는 압연하중, R은 작업롤 반경, CH는 히치콕상수이다.
    Figure 112013010123937-pat00038
    (수학식 4)
    여기서, υ는 프와송 비이며, π는 원주율, E는 탄성계수이다.
    Figure 112013010123937-pat00039
    (수학식 5)
    여기서, T는 압연유 목표온도값, K는 온도 비례 게인, Ti는 적분 시간, s는 라플라스변수, Δf 는 선진율 차이다.
  6. 압연기를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스트립에 압연유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압연유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유분사부에 공급되는 압연유가 저장되는 클린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기에서 배출된 압연유가 저장되는 리턴탱크를 구비하는 가역식 압연기에서 압연유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판속도와 롤속도의 정보를 근거로 하여 실제 선진율과 목표 선진율의 차를 계산하는 제1온도제어부에 의해서 압연유의 점도 조정을 위한 판온도 설정값을 연산하는 단계 ;
    상기 제1온도제어부의 판온도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압연유의 온도를 제1압연유온도조절부에 의해서 조절한 다음 상기 압연유분사부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압연기에서 배출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제2압연유온도조절부에 의해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제어부는 실제 선진율 계산부에서 연산한 실제 선진율과 목표선진율 계산부에서 연산한 목표 선진율간의 차를 제어부에서 연산하여 상기 제1압연유온도조절부에 인가되는 압연유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설정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선진율(f실제)은 수학식 1에 의해서 구해지고, 상기 목표 선진율(f목표)은 수학식 2에 의해서 구해지고, 수학식 2의 편평롤 반경은 수학식 3에 의해서 구해지고, 상기 수학식 3의 히치콕 상수는 수학식 4에 의해서 구해지며, 압연유 목표온도값(T)은 수학식 5에 의해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방법.
    Figure 112013010123937-pat00040
    (수학식 1)
    여기서, f실제 는 실제 선진율, Vo 는 출측 스트립 통판속도, VR 는 롤 회전속도이다.
    Figure 112013010123937-pat00041
    (수학식 2)
    여기서, f목표는 목표 선진율, h 는 출측 두께, RD 는 편평롤 반경, φn은 중립각이다.
    Figure 112013010123937-pat00042
    (수학식 3)
    여기서, Δh는 입출측 두께차이며, b는 판폭, P는 압연하중, R은 작업롤 반경, CH는 히치콕상수이다.
    Figure 112013010123937-pat00043
    (수학식 4)
    여기서, υ는 프와송 비이며, π는 원주율, E는 탄성계수이다.
    Figure 112013010123937-pat00044
    (수학식 5)
    여기서, T는 압연유 목표온도값, K는 온도 비례 게인, Ti는 적분 시간, s는 라플라스변수, Δf 는 선진율 차이다.
KR20100135513A 2010-12-27 2010-12-27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및 방법 KR101299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5513A KR101299834B1 (ko) 2010-12-27 2010-12-27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5513A KR101299834B1 (ko) 2010-12-27 2010-12-27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682A KR20120073682A (ko) 2012-07-05
KR101299834B1 true KR101299834B1 (ko) 2013-09-10

Family

ID=4670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5513A KR101299834B1 (ko) 2010-12-27 2010-12-27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103B1 (ko) * 2013-07-12 2014-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금속 이물질 수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어박스 윤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0409A (ja) * 1992-10-02 1994-07-12 Hitachi Ltd 作業ロールクロス式圧延機及び圧延設備並びに圧延方法
JPH08309410A (ja) * 1995-05-23 1996-11-26 Kawasaki Steel Corp 圧延ロール温度推定方法及び圧延方法
JPH11123414A (ja) * 1997-10-16 1999-05-11 Hitachi Ltd 熱間圧延設備及び熱間圧延機の潤滑方法
KR20090070116A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기의 유압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0409A (ja) * 1992-10-02 1994-07-12 Hitachi Ltd 作業ロールクロス式圧延機及び圧延設備並びに圧延方法
JPH08309410A (ja) * 1995-05-23 1996-11-26 Kawasaki Steel Corp 圧延ロール温度推定方法及び圧延方法
JPH11123414A (ja) * 1997-10-16 1999-05-11 Hitachi Ltd 熱間圧延設備及び熱間圧延機の潤滑方法
KR20090070116A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기의 유압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682A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464B1 (ko) 금속 스트립의 평면성 및/또는 거칠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윤활제 도포 장치
CN110842031B (zh) 一种抑制冷连轧机组振动的乳化液流量优化方法
CN108838215A (zh) 一种轧机的倾斜调整方法及装置
KR101299834B1 (ko)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유 공급장치 및 방법
DE112005000112B4 (de) Online-Schleifverfahren für Arbeitswalze
JPWO2019167868A1 (ja) 鋳片の製造方法及び連続鋳造設備
JP7326594B2 (ja) 複数の圧延機スタンドを有する圧延機トレインにおける圧延材の冷間圧延
EP2032283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metallbandes durch stranggiessen
JP4777161B2 (ja) 調質圧延方法
JP3235449B2 (ja) 高速冷間圧延方法
EP3917694B1 (de) Verändern der effektiven kontur einer lauffläche einer arbeitswalze während des warmwalzens eines walzguts in einem walzgerüst zu einem gewalzten band
CN114029345A (zh) 一种热轧粗轧中间坯尾部板型控制的方法
JPH04308069A (ja) ロ−ル自動研磨装置
KR100226913B1 (ko) 압연시 압연부하 및 속도에 따른 압연유유량 제어방법
TW201825207A (zh) 金屬帶的冷軋設備及冷軋方法
US2540367A (en) Method of grinding and finishing strip metal
JP7259797B2 (ja) 冷間圧延機のスリップ防止方法およびスリップ防止装置
JP4916285B2 (ja) 鋼帯の冷間タンデム圧延方法及び圧延装置
KR20020037479A (ko) 압연기의 마찰계수 제어에 의한 압연유 유량제어방법
CN109070162B (zh) 用于对轧件进行轧制的方法
Laugier et al. Flexible lubrication for controlling friction in cold rolling, crucial to be successful for the AHSS challenge
JP3795844B2 (ja) 孔型ロール肌荒れ防止方法
CN108655179B (zh) 金属板带材轧制前滑控制方法
RU2661523C1 (ru) Способ асимметричной прокатки передних концов толстых полос в клети с индивидуальным приводом валков
US20090038356A1 (en) Method for Lubricating Mill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