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570B1 -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570B1
KR101299570B1 KR1020120098492A KR20120098492A KR101299570B1 KR 101299570 B1 KR101299570 B1 KR 101299570B1 KR 1020120098492 A KR1020120098492 A KR 1020120098492A KR 20120098492 A KR20120098492 A KR 20120098492A KR 101299570 B1 KR101299570 B1 KR 10129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peed
emergency
uni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기
Original Assignee
(주)금영제너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영제너럴 filed Critical (주)금영제너럴
Priority to KR1020120098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제어불능상태인 엘리베이터에 대한 카내부조작방식의 수동제동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제어불능상태인 엘리베이터에 대한 카내부조작방식의 수동제동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카와, 카가 이동되도록 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카의 이동조건에 연동되어 제어불능상태에 따라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에 연동되어 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비상제어부 및 비상제어부를 동작시키도록 제2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선택적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가 정격속도를 초과하는 제어불능상태 또는 문을 열고 움직이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를 승객이 직접 작동하여 엘리베이터의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승강기는 승객 또는 화물의 안전을 위해 위기 상황에서 카(car)를 비상정지하게 하는 비상정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카의 상단에 연결된 메인로프가 절단되는 경우에 의한 승강기 사고는 기계설계상 예상하기 힘들다. 그 보다는 오히려 승강기의 권상기 이상 작동에 의한 경우가 예상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비상정지장치는 메인로프가 절단되는 경우에도 작동됨은 당연하다.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는 통상 조속기(調速機)를 이용하여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비상정지장치에는 조속기의 신호를 받아 갑작스럽게 카를 정지시키는 순간식과 어느 정도 슬립을 하는 점차식이 있다.
승강로의 양쪽 벽에는 단면이 티(T)자 형태의 가이드레일이 브래킷을 매개로 건물 벽측에 고정설치되며, 카는 시브로부터 연장되는 메인로프에 의해 당겨지거나 이완되면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된다.
규정된 정격 이상으로 카가 하강하게 되면 조속기에 의하여 조속기 로프가 정지하므로 카와 조속기 로프간의 상대적 속도 차이가 발생하여 비상정지장치가 구동된다.
비상정치장치와 가이드레일 사이의 틈새를 쐐기(wedge) 방식으로 고정함으로써 카로 하여금 물리적으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하강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상승주행시 정격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게 되면, 제어반에서 신호를 발생시켜 엘리베이터를 매달고 주행하고 있는 와이어로프를 로프와 브레이크라이닝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속도를 낮추게 한 후 결국에는 정지시키는 로프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하여 상승방향 과속시 충돌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69512호(공개일:2003.08.27)에는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는 제어불능상태인 기준속도를 초과할 경우, 작동되어 안전을 도모하도록 구성되지만, 자동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제어불능상태의 속도로 상승, 하강을 지속할 경우, 엘리베이터를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이 카내부에 구비되지 않아 승객의 안전을 모도하지 못하여 승객이 속수무책으로 사고를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제어불능상태에서 엘리베이터를 통제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카와, 상기 카가 이동되도록 상기 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카의 이동조건에 연동되어 제어불능상태에 따라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1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2제어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비상제어부 및 상기 비상제어부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선택적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재 및 감지된 상기 카의 속도에 연동되어 상기 제1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2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조건이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제어부는 상기 카의 하강시 상기 카를 정지시키는 제1비상정지부 및 상기 카의 상승시 상기 카를 정지시키는 제2비상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비상정지부는 상기 선택적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수동연동부 및 상기 수동연동부의 작동에 의해 승강로의 가이드레일과 마찰에 의해 상기 카를 정지시키는 하강비상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비상정지부는 상기 선택적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카와 연결된 로프와 마찰에 의해 상기 카를 정지시키는 로프그리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의 감지속도가 상기 카의 위험운행 속도인 기준속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1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의 감지속도가 상기 카의 정상운행 속도인 정격속도보다 크고 상기 기준속도보다 작으며, 운행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할 경우에 상기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의 비정상운행시 상기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적작동부는 상기 카의 정상운행시 또는 상기 제1제어신호 발생시에는 무효화되고, 상기 제2제어신호 발생시에만 유효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의해 비상신호를 안내하는 비상신호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신호안내부는 상기 카 내부에 구비되어 비상안내음이 출력되는 비상스피커 또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점멸되는 비상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내부에는 상기 비상제어부를 작동시키는 수동작동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제동방법은: 카의 운행상태에서 상기 카의 운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단계와, 상기 카의 정격속도와 감지된 상기 카의 감지속도 및 상기 카의 감지시간을 비교판단하는 속도비교판단단계와, 상기 속도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카의 감지속도가 정격속도보다 크고 기준속도보다 작으며, 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선택적작동부를 활성화시키는 선택적작동부활성화단계와, 상기 선택적작동부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카의 상승운행인지 하강운행인지 판단하는 운행방향판단단계 및 상기 카가 상승운행이면, 제1비상정지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카가 하강운행이면, 상기 제1비상정지부 또는 제2비상정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수동정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속도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카의 감지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면 구동부의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제1비상정지부 또는 상기 제2비상정지부에 의해 비상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적작동부활성화단계 이후, 비상신호를 안내하는 비상신호안내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신호안내단계는 상기 카 내부에 구비되어 점멸되는 비상램프 또는 비상안내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상태가 비정상이면, 상기 선택적작동부활성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정장치의 제동방법은: 카의 운행상태에서 상기 카의 운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단계와, 상기 카의 정격속도와 감지된 상기 카의 감지속도 및 상기 카의 감지시간을 비교판단하는 속도비교판단단계와, 상기 속도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카의 감지속도가 정격속도보다 크고 기준속도보다 작으며, 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비상신호를 안내하는 비상신호안내단계 및 수동작동부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수동작동부의 입력에 연동되어 제1비상정지부와 제2비상정지부에 의해 정지되는 수동정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불능상태인 엘리베이터에 대한 카내부조작방식의 수동제동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제어불능상태의 동작에서 엘리베이터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어 승객 스스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구비되는 비상신호안내부에 의해 승객의 시청각 감각에 의해 비상상황을 안내할 수 있는 효과와 승객의 지각에 의해 비상상황을 인지했을 경우 자동에 의존하지 않고 승객의 의지에 의해 수동으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불능상태인 엘리베이터에 대한 카내부조작방식의 수동제동장치의 선택적작동부에 의한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불능상태인 엘리베이터에 대한 카내부조작방식의 수동제동장치의 수동작동부에 의한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불능상태인 엘리베이터에 대한 카내부조작방식의 수동제동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불능상태인 엘리베이터에 대한 카내부조작방식의 수동제동장치의 수동작동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불능상태인 엘리베이터에 대한 카내부조작방식의 수동제동장치의 제1비상정지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불능상태인 엘리베이터에 대한 카내부조작방식의 수동제동장치의 선택적작동부에 의한 제어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불능상태인 엘리베이터에 대한 카내부조작방식의 수동제동장치의 수동작동부에 의한 제어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선택적작동부에 의한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수동작동부에 의한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수동제동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수동작동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제1비상정지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100)는 카(110), 구동부(120), 제어부(130), 비상제어부(140) 및 선택적작동부(180)를 포함한다.
카(110)는 승강로에 구비되며,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를 감싸는 체대를 포함하고,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 승객 또는 화물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카(110)는 승강로에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직선으로 안내되고, 구동부(120)에 의해 승강로에서 이동 가능하다.
구동부(120)는 승강로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로프를 권취하는 권상기(122) 및 권상기(122)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24)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부(120)의 구동력에 의해 카(110)는 승강로에서 이동되게 된다.
제어부(130)는 카(110)의 이동조건에 연동되어 제어불능상태에 따라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카(110)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재(132) 및 감지된 카(110)의 속도에 연동되어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13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불능상태는 카(110)의 감지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한 경우 또는 카(110)의 감지속도가 카(110)의 정격속도보다 크고 기준속도보다 작으며, 설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정격속도는 카(110)의 정상운행 속도이고, 기준속도는 정격속도에 초과기준비율을 곱한 값을 말한다. 초과기준비율은 엘리베이터의 용도 또는 국가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속도의 초과기준비율은 125% ~ 130%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는 정격속도의 통상 125 ~ 130% 사이(예컨대 속도 150m/min의 경우 100%는 초속 2.5m/sec 이며, 3.125m/sec 가 정격속도의 125%임)의 엘리베이터 속도가 감지되면 비상제어부(140)를 작동시키게 된다.
속도감지부재(132)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권상기(122) 풀리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접센서의 위치를 권상기(122)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카(110)의 상부에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어 속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속도감지부재(133)는 엔코더 또는 광센서 등 카(110)의 운행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다.
신호발생부(134)는 감지된 카(110)의 속도에 연동되어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제1제어신호는 제어불능상태 중 카(110)의 감지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한 경우에 발생되고, 제2제어신호는 제어불능상태 중 카(110)의 감지속도가 카(110)의 정격속도보다 크고 기준속도보다 작으며, 설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발생된다.
이때, 제어부(130)에는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조건이 입력되는 입력부(1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입력부(135)를 통해 정격속도, 기준속도가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카(110)의 용도 또는 국가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비상제어부(140)는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에 연동되어 카(11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비상제어부(140)는 카(110)의 하강시 카(110)를 정지시키는 제1비상정지부(150) 및 카(110)의 상승시 카(110)를 정지시키는 제2비상정지부(160)를 포함한다.
제1비상정지부(150)는 선택적작동부(180)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수동연동부(152) 및 수동연동부(152)의 작동에 의해 승강로의 가이드레일(10)과 마찰에 의해 카(110)를 정지시키는 하강비상정지부(155)를 구비하고, 제2비상정지부(160)는 선택적작동부(180)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어 카(110)와 연결된 로프와 마찰에 의해 카(110)를 정지시키는 로프그리퍼를 구비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하강비상정지부(155)는 가이드레일(10)을 수용하고, 내부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속홈부(157)가 형성되는 수용블럭(156) 및 수용블럭(156) 내에 구비되어 수동연동부(152)에 의해 구속홈부(157)에서 이동되어 가이드레일(10)과 간섭되는 마찰블럭(158)을 포함한다. 수동연동부(152)는 마찰블럭(158)을 구속홈부(157)내에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마찰블럭(158)의 힌지브라켓과 연결되어 선택적작동부(180)의 작동에 연동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비상정지부(160)인 로프그리프는 카를 매달고 있는 메인로프와 브레이크라이닝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정지시키는 구성을 지닌다.
한편, 구동부(120)에는 제동장치(125)가 구비된다. 제동장치(125)는 드럼브레이크, 디스크브레이크, 전기 자석식 브레이크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동장치(125)는 신호발생부(134)의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에 연동되어 카(11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선택적작동부(180)는 비상제어부(140)를 동작시키도록 제2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 된다. 즉, 선택적작동부(180)는 카(110)의 정상운행 시 또는 제1제어신호 발생시에는 무효화되고, 제2제어신호 발생시에만 유효화된다.
선택적작동부(18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제어부(140)를 작동시키도록 카(110) 내부에 구비되는 비상버튼(182) 또는 카(110) 내부로 출현되는 비상레버(184)를 포함한다.
선택적작동부(180)의 작동에 의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연동부(152)의 구동에 의해 마찰블럭(158)이 구속홈부(157)내에서 이동되어 가이드레일(10)과 접촉되므로써, 카(110)의 하강시 카(110)를 비상정지시킬 수 있고, 카(110)의 상승시에는 로프그러퍼로 이루어진 제2비상정지부(160)에 의해 카(110)를 비상정지시킬 수 있다.
카(110)의 내부에는 제2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작동부(180)의 활성화시 비상신호를 안내하는 비상신호안내부(170)를 포함한다. 비상신호안내부(170)는 카(110) 내부에 구비되어 비상안내음이 출력되는 비상스피커 또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점멸되는 비상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비상램프는 선택적작동부(180)인 비상버튼(182)에 구비되어 점멸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110)내부에는 비상제어부(140)를 작동시키는 수동작동부(190)가 더 구비된다. 수동작동부(190)는 각각의 제1비상정지부(150)와 제2비상정지부(160)와 연결되어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작동부(190)는 레버형상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제1비상정지부(150)와 제2비상정지부(160)와 와이어부재(192)에 의해 연결되어 수동작동부(190)를 당기는 힘에 의해 제1비상정지부(150)와 제2비상정지부(160)를 동시에 작동시킨다. 수동작동부(190)는 카내부에 함몰 형성되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동작동부(190)를 커버하는 개폐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부재(192)는 와이어와 와이어를 안내하도록 둘레를 감싸는 튜브로 구성되고, 수동작동부(190)의 당기는 힘을 제1비상정지부(150)와 제2비상정지부(160)에 정확하게 전달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속도감지에 의한 제어불능상태 뿐만 아니라 카(110)의 상태를 감지하여 비상신호안내부(17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는 카(110)의 출입문이 열린 상태로 운행되는 등의 비상상태를 감지하여 알려줌으로써, 승객이 선택적작동부(180) 또는 수동작동부(19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제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선택적작동부에 의한 제어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제동방법은 속도감지단계, 속도비교판단단계, 선택적작동부활성화단계, 운행방향판단단계 및 수동정지단계를 포함한다.
카(110)의 운행은 승객의 버튼조작에 의해 해당층으로 카(110)를 이동시킨다(S10). 카(110)와 로프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부(120)에 의해 구동에 의해 카(110)가 승강로에서 승하강되어 해당층으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카(110)의 운행상태에서 카(110)의 상태가 정상인지 비교판단한다(S20). 즉, 카(110)의 출입문이 열린 상태로 운행되는 등의 비정상상태인지 비교판단하여 정상이면, 카(110)의 운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단계를 수행하고(S30), 카(110)가 비정상이면, 제어부(130)의 신호발생부(134)에서 제2제어신호가 발생되어 선택적작동부(180)을 활성화시키는 선택적작동부활성화단계를 수행한다(S50).
속도감지단계는 카(1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속도감지부재(132)에 의해 감지되며, 속도감지부재(132)에 감지된 카(110)의 감지속도는 제어부(130)에 전달된다.
이후, 카(110)의 정격속도와 감지된 카(110)의 감지속도 및 카(110)의 감지시간을 비교판단하는 속도비교판단단계를 수행한다(S40). 속도비교판단단계는 입력부(135)에 의해 기설정된 기준속도와 감지속도를 비교판단하고, 기설정된 설정시간과 감지시간을 비교판단한다.
즉, 카(110)의 기준속도는 카(110)의 정격속도에 초과기준비율(A)을 곱한 값으로, 카(110)의 감지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게 되면, 신호발생부(134)로부터 제1제어신호가 발생되어 구동부(1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비상제어부(140)를 통해 카(110)를 안전하게 정지시킨다.
그리고, 카(110)의 감지속도가 정격속도보다 크고 기준속도보다 작으며, 감지시간이 정격속도초과운행시간(B)을 초과하는 경우, 신호발생부(134)에서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후, 신호발생부(134)에서 발생된 제2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작동부(180)를 활성화시키는 선택적작동부활성화단계를 수행한다(S50).
선택적작동부활성화단계는 카(110)의 감지속도가 기설정된 기준속도보다 작으며, 감지시간이 정격속도초과운행시간(B)을 초과하는 경우, 카(110) 내부에 구비되는 선택적작동부(180)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선택적작동부(180)는 카(110)의 정상운행 또는 제1제어신호 발생시에는 무효화되고, 제2제어신호 발생시에만 유효화 된다.
선택적작동부(180)는 비상버튼(182) 또는 비상레버(184)로 이루어지는데, 비상버튼(182)의 경우 정상운행중에서는 작동하지 않으며, 비상레버(184)의 경우에는 선택적작동부(180)의 활성화에 의해 카(110)의 내부로 출현될 수 있다.
선택적작동부활성화단계이후, 비상신호를 안내하는 비상신호안내단계를 더 수행한다(S60). 비상신호안내단계는 카(110) 내부에 있는 승객에게 시청각 감각에 의해 카(110)의 제어불능상태를 인지하게하는 것으로서, 비상램프 또는 비상스피커로 이루어진 비상신호안내부(17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비상램프는 선택적작동부(180)인 비상버튼(182)에 구비되어 점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작동부(180)의 활성화되면 선택적작동부(180)인 비상버튼(182)이나 비상레버(184)를 탑승객의 판단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다(S70). 탑승객에 의해 선택적작동부(180)의 입력이 있으면, 카(110)의 상승운행인지 하강운행인 판단하는 운행방향판단단계를 수행한다(S80). 이는 속도감지부재(132)에 의해 카(110)의 움직임을 감지하므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카(110)의 운행방향에 따라 제1비상정지부(150) 또는 제2비상정지부(160)를 작동시키는 수동정지단계를 수행한다. 수동정지단계는 카(110)의 운행방향이 하강이면, 제1비상정지부(150)을 작동시켜 카(110)를 정지시키고(S90), 카(110)의 운행방향이 상승이면 로프그리퍼로 이루어진 제2비상정지부(160)를 작동시켜 카(110)를 정지시킨다.
제1비상정지부(15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블럭(156)내에 수용되는 가이드레일(10)과 수동연동부(152)에 의해 이동되는 마찰블럭(158)의 마찰력에 의해 카(110)를 정지시킨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수동작동부에 의한 제어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수동작동부에 의한 제어방법은 속도감지단계, 속도비교판단단계, 비상신호안내단계 및 수동정지단계를 포함한다.
카(110)의 운행은 승객의 버튼조작에 의해 해당층으로 카(110)를 이동시킨다(S110). 카(110)와 로프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부(120)에 의해 구동에 의해 카(110)가 승강로에서 승하강되어 해당층으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카(110)의 운행상태에서 카(110)의 상태가 정상인지 비교판단한다(S120). 즉, 카(110)의 출입문이 열린 상태로 운행되는 등의 비정상상태인지 비교판단하여 정상이면, 카(110)의 운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단계를 수행하고(S130), 카(110)가 비정상이면, 제어부(130)의 신호발생부(134)에서 제2제어신호가 발생되어 비상신호를 안내하는 비상신호안내단계를 더 수행한다(S150). 비상신호안내단계는 카(110) 내부에 있는 승객에게 시청각 감각에 의해 카(110)의 제어불능상태를 인지하게하는 것으로서, 비상램프 또는 비상스피커로 이루어진 비상신호안내부(170)에 의해 이루어진다
속도감지단계(S130)는 카(1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속도감지부재(132)에 의해 감지되며, 속도감지부재(132)에 감지된 카(110)의 감지속도는 제어부(130)에 전달된다.
이후, 카(110)의 정격속도와 감지된 카(110)의 감지속도 및 카(110)의 감지시간을 비교판단하는 속도비교판단단계를 수행한다(S40). 속도비교판단단계는 입력부(135)에 의해 기설정된 기준속도와 감지속도를 비교판단하고, 기설정된 설정시간과 감지시간을 비교판단한다.
즉, 카(110)의 기준속도는 카(110)의 정격속도에 초과기준비율(A)을 곱한 값으로, 카(110)의 감지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게 되면, 신호발생부(134)로부터 제1제어신호가 발생되어 구동부(1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비상제어부(140)를 통해 카(110)를 안전하게 정지시킨다.
그리고, 카(110)의 감지속도가 정격속도보다 크고 기준속도보다 작으며, 감지시간이 정격속도초과운행시간(B)을 초과하는 경우, 신호발생부(134)에서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비상신호를 안내하는 비상신호안내단계를 수행한다(S150).
비상신호에 의해 카 내부의 탑승객은 판단에 의해 수동작동부(190)을 작동시킬 수 있다(S160). 수동작동부(190)는 제1비상정지부(150) 및 제2비상정지부(160)과 와이어부재(192)에 의해 기계적인 결합으로 연결되어 수동작동부(190)의 입력이 있으면, 수동작동부(190)의 입력과 연동되어 제1비상정지부(150)와 제2비상정지부(160) 작동시키는 수동정지단계를 수행한다(S170). 이는 카(110)의 운행방향과 무관하게 제1,2비상정지부(150,160)를 작동시켜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불능상태인 엘리베이터에 대한 카내부조작방식의 수동제동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제어불능상태에서 출입문을 열고 운행하거나, 정격속도 이상의 속도에서 엘리베이터의 탑승객이 직접 수동으로 통제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110 : 카
120 : 구동부 122 : 권상기
124 : 구동모터 130 : 제어부
132 : 속도감지부재 134 : 신호발생부
135 : 입력부 140 : 비상제어부
150 : 제1비상정지부 152 : 수동연동부
155 : 하부비상정지부 156 : 수용블럭
157 : 구속홈부 158 : 마찰블럭
160 : 제2비상정지부 170 : 비상신호안내부
180 : 선택적작동부 182 : 비상버튼
184 : 비상레버 190 : 수동작동부
192 : 와이어부재

Claims (19)

  1.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카;
    상기 카가 이동되도록 상기 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카의 이동조건에 연동되어 제어불능상태에 따라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1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2제어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비상제어부; 및
    상기 비상제어부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선택적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제어부는,
    상기 카의 하강시 상기 카를 정지시키는 제1비상정지부; 및
    상기 카의 상승시 상기 카를 정지시키는 제2비상정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비상정지부는 상기 선택적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수동연동부; 및
    상기 수동연동부의 작동에 의해 승강로의 가이드레일과 마찰에 의해 상기 카를 정지시키는 하강비상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재; 및
    감지된 상기 카의 속도에 연동되어 상기 제1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2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조건이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상정지부는 상기 선택적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카와 연결된 로프와 마찰에 의해 상기 카를 정지시키는 로프그리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의 감지속도가 상기 카의 위험운행 속도인 기준속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1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의 감지속도가 상기 카의 정상운행 속도인 정격속도보다 크고 상기 기준속도보다 작으며, 운행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할 경우에 상기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의 비정상운행시 상기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작동부는 상기 카의 정상운행시 또는 상기 제1제어신호 발생시에는 무효화되고, 상기 제2제어신호 발생시에만 유효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의해 비상신호를 안내하는 비상신호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신호안내부는 상기 카 내부에 구비되어 비상안내음이 출력되는 비상스피커 또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점멸되는 비상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 내부에는 상기 비상제어부를 작동시키는 수동작동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14. 카의 운행상태에서 상기 카의 운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단계;
    상기 카의 정격속도와 감지된 상기 카의 감지속도 및 상기 카의 감지시간을 비교판단하는 속도비교판단단계;
    상기 속도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카의 감지속도가 정격속도보다 크고 기준속도보다 작으며, 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선택적작동부를 활성화시키는 선택적작동부활성화단계;
    상기 선택적작동부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카의 상승운행인지 하강운행인지 판단하는 운행방향판단단계; 및
    상기 카가 상승운행이면, 제1비상정지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카가 하강운행이면, 상기 제1비상정지부 또는 제2비상정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수동정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제동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카의 감지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면 구동부의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제1비상정지부 또는 상기 제2비상정지부에 의해 비상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제동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작동부활성화단계 이후, 비상신호를 안내하는 비상신호안내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제동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신호안내단계는 상기 카 내부에 구비되어 점멸되는 비상램프 또는 비상안내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제동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카상태가 비정상이면, 상기 선택적작동부활성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제동방법.
  19. 카의 운행상태에서 상기 카의 운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단계;
    상기 카의 정격속도와 감지된 상기 카의 감지속도 및 상기 카의 감지시간을 비교판단하는 속도비교판단단계;
    상기 속도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카의 감지속도가 정격속도보다 크고 기준속도보다 작으며, 감지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비상신호를 안내하는 비상신호안내단계; 및
    수동작동부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수동작동부의 입력에 연동되어 제1비상정지부와 제2비상정지부에 의해 정지되는 수동정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제동방법.
KR1020120098492A 2012-09-05 2012-09-05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 KR101299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492A KR101299570B1 (ko) 2012-09-05 2012-09-05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492A KR101299570B1 (ko) 2012-09-05 2012-09-05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570B1 true KR101299570B1 (ko) 2013-08-23

Family

ID=4922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492A KR101299570B1 (ko) 2012-09-05 2012-09-05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8389A (zh) * 2016-05-24 2016-08-17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电梯称重行程放大装置、及具有该装置的电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7071A (ja) * 1995-08-31 1997-03-11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時運転装置
KR100884875B1 (ko) * 2007-03-08 2009-02-2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2011143982A (ja) * 2010-01-12 2011-07-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動制御装置及び制動制御方法
KR20110110854A (ko) * 2009-05-01 2011-10-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7071A (ja) * 1995-08-31 1997-03-11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時運転装置
KR100884875B1 (ko) * 2007-03-08 2009-02-2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20110110854A (ko) * 2009-05-01 2011-10-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2011143982A (ja) * 2010-01-12 2011-07-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動制御装置及び制動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8389A (zh) * 2016-05-24 2016-08-17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电梯称重行程放大装置、及具有该装置的电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475B1 (ko) 멀티 카식 엘리베이터
EP0985623B1 (en)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US9227815B2 (en) Selective elevator braking during emergency stop
US20120073909A1 (en) Elevator device
JP200922090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885842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安全装置の無用な作動の回避方法、同方法を実行する制御装置、同制御装置を各々有する調速機ブレーキ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90007877A (ko)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JP5462836B2 (ja)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KR100928118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1299570B1 (ko)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
US20210094795A1 (en) Controlling movement of an elevator car of an elevator system
KR20180130181A (ko) 엘리베이터의 슬립 검출 및 제어 방법
KR101457616B1 (ko)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
CN112456269B (zh) 智能刹车系统
JP439772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791490B2 (ja) エレベータ非常停止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非常停止方法
CN114599598B (zh)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KR20140128905A (ko)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
JP200609651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829869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KR20140003809U (ko) 엘리베이터의 정지위치 고정장치
US20220063955A1 (en) Elevator systems
WO2021176547A1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制御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用いるエレベーター
JP6183952B2 (ja) 戸開走行保護装置の作動の解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