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143B1 -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143B1
KR101299143B1 KR1020110105121A KR20110105121A KR101299143B1 KR 101299143 B1 KR101299143 B1 KR 101299143B1 KR 1020110105121 A KR1020110105121 A KR 1020110105121A KR 20110105121 A KR20110105121 A KR 20110105121A KR 101299143 B1 KR101299143 B1 KR 101299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ogo
event
sub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392A (ko
Inventor
임지선
안윤정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1010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1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1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a company logo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식별력을 유지하고, 사회 이벤트에 대해 친화적인 로고 컨텐츠 표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중,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관한 로고(Logo)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메인 컨텐츠 영역과 서브 컨텐츠 영역으로 분할하는 프레임 설정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식별정보가 포함된 고정된 컨텐츠인 디폴트 로고 컨텐츠를 메인 컨텐츠로 설정하는 메인 컨텐츠 설정부; 로고 컨텐츠에 포함되어 특정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로고 컨텐츠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컨텐츠인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서브 컨텐츠 설정부; 및 메인 컨텐츠를 메인 컨텐츠 영역에 표시하고, 서브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 및 방법{DYNAMIC LOGO DISPLAY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웹페이지 등 인터넷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 시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 측의 로고 컨텐츠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기념일 등의 이벤트 발생 시, 로고 컨텐츠를 동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관련 기술에 대한 개발이 활발해지고,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가 활발해지면서, 온라인 상에서 다양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대형 포털 서비스 업체와 게임 서비스 제공 업체 등,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업체가 등장하면서, 사용자들은 기본적인 컨텐츠 검색 서비스에서부터, 게임 컨텐츠, 소셜 네트워크 등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수많은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서비스 제공 업체가 다양하게 늘어나면서, 각 서비스 제공 업체는 업체의 광고 및 사용자에 대한 친화도를 높이기 위해, 인터넷, 티비뿐 아니라 신문 등 오프라인에 까지 광고를 하고 있으며, 업체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각 업체마다의 로고를 생성하여, 광고 효과를 높이고 있다.
예를 들어, 검색 포털 서비스 웹페이지에 접속하거나, 게임 컨텐츠 서비스 업체의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면, 화면의 일부에는 서비스 제공 업체의 로고가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들에게 광고 효과를 주면서, 업체의 식별력을 높이고 있다.
한편, 포털의 소셜 네트워크화 및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사회적으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각 로고 컨텐츠를 이벤트 발생 상황에 맞도록 변화하여 사용자들에게 서비스 제공 업체의 호감을 높일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로고 컨텐츠의 식별력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들에게 특정 이벤트에 대한 광고 또는 알림 효과를 극대화하여,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사용자들의 친화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중,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관한 로고(Logo)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메인 컨텐츠 영역과 서브 컨텐츠 영역으로 분할하는 프레임 설정부;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식별정보가 포함된 고정된 컨텐츠인 디폴트 로고 컨텐츠를 메인 컨텐츠로 설정하는 메인 컨텐츠 설정부; 상기 로고 컨텐츠에 포함되어 특정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로고 컨텐츠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컨텐츠인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서브 컨텐츠 설정부; 및 상기 메인 컨텐츠를 상기 메인 컨텐츠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서브 컨텐츠를 상기 서브 컨텐츠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 컨텐츠 설정부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의 표시 순서, 표시 시점 및 표시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 순서, 상기 표시 시점 및 상기 표시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자동으로 서로 다른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상기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컨텐츠 설정부는, 관리자 단말에 의해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인 것으로 설정된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상기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가 다른 이벤트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다른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새로운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 설정부는,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의 연결 관계에 따라, 상기 메인 컨텐츠 영역의 형태와 상기 서브 컨텐츠 영역의 형태를 다르게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의 연결 관계는,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 각각에 포함된 문자 정보가, 언어 상에서 문법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방법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중,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관한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메인 컨텐츠 영역과 서브 컨텐츠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식별정보가 포함된 고정된 컨텐츠인 디폴트 로고 컨텐츠를 메인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로고 컨텐츠에 포함되어 특정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로고 컨텐츠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컨텐츠인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컨텐츠를 상기 메인 컨텐츠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서브 컨텐츠를 상기 서브 컨텐츠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의 표시 순서, 표시 시점 및 표시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 순서, 상기 표시 시점 및 상기 표시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자동으로 서로 다른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상기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는, 관리자 단말에 의해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인 것으로 설정된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상기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가 다른 이벤트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다른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새로운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의 연결 관계에 따라, 상기 메인 컨텐츠 영역의 형태와 상기 서브 컨텐츠 영역의 형태를 다르게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의 연결 관계는,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 각각에 포함된 문자 정보가, 언어 상에서 문법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들은 사회적인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데 있어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를 식별할 수 있는 로고 컨텐츠를 확인 시, 디폴트 로고 컨텐츠를 통해 업체의 식별력을 포함하는 이미지는 고정된 채로 확인할 수 있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식별력을 높여, 사용자들의 업체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특정 이벤트에 따라서 변동되는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사회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한 알림 정보 역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로고에 대한 사회적 친화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변경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관계도이다.
도 5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관리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설정 파일의 데이터 구조를 시각화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업체의 서버에 접속하고, 서버로부터 컨텐츠 검색, 이용, 다운로드 및 업로드 등이 가능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의미한다.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는 예를 들어, 음원 제공 및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 업체, 인터넷 포털 검색 서비스 업체, 메일 서비스 업체, 게임 서비스 제공 업체, 영상 검색 서비스 제공 업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의 제공 업체 또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 교환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로고 컨텐츠란, 상기 언급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갖고, 사용자가 단말의 출력 수단(예를 들어 모니터, 스피커 등)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모든 컨텐츠를 의미한다.
로고 컨텐츠에는, 대표적으로 문자, 도식화된 문자, 특정 캐릭터 등이 표시되는 화상 컨텐츠가 있다. 화상 컨텐츠는 단순 이미지를 포함하거나,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x 게임 포털” 등의 문자가 단순 문자로 표현되거나, 문자가 도식화되어 사용자들에게 식별력을 줄 수 있는 컨텐츠가 로고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벤트는, 기념일, 사회적인 이슈 및 사건과 함께 온라인에서 사용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모든 이벤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명 인사의 사망, 해킹 사건 등의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사건 사고에 관한 이벤트, 추석과 설날 등 명절 시즌을 알리는 이벤트, 3.1절, 광복절, 크리스마스, 신년 등 국가 기념일을 기념하는 이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벤트는 또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 자체에 대한 이벤트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가 참여 또는 관여되는 사회 운동, 캠페인, 업체에서 새로 서비스하는 컨텐츠에 대한 개시 정보 등이 이벤트에 포함될 수 있고, 업체의 창립 기념일 등에 대한 정보 역시 이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이벤트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관련되어 있거나, 기타 오프라인 상의 사회에서 이슈가 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종래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포털 검색 서비스에서 “LL 포털”이라는 로고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추석이라는 사회적 이벤트가 발생되는 시즌에는, 관리자 단말을 통해 “LL 포털”이라는 로고 이미지 전체의 배경에, 보름달 또는 송편 등 추석을 의미할 수 있는 이미지가 추가되거나, “LL”의 형상 자체를 변형하여 추석에 어울리도록, 로고 이미지 자체를 변형시켜 왔다.
이를 위해서는, 포털 업체의 로고 이미지 전체가 이벤트마다 변동된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들은 포털 업체의 고유의 이미지를 제대로 기억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벤트에 대한 인지 효과 역시 극대화되지 못해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업체의 로고와 이벤트에 관한 효과를 분리하여 표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10)은, 프레임 설정부(11), 메인 컨텐츠 설정부(12), 서브 컨텐츠 설정부(13), 컨텐츠 출력 제어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 설정부(11)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관한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메인 컨텐츠 영역과 서브 컨텐츠 영역으로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 설정부(11)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의 관리자 단말(20)에 연결되어 있다. 로고 컨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40)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의 서버에 접속을 하게 되면, 접속 화면의 일부분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주요 메뉴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로고 컨텐츠는 고유의 표시 영역이 존재하며, 프레임 설정부(11)는 그 영역을 두 가지 영역으로 분할하게 된다. 분할된 각 영역에는 로고 컨텐츠에 포함될 서로 다른 컨텐츠가 할당된다.
프레임 설정부(11)는, 서로 다른 컨텐츠 사이의 연결 관계에 따라서 메인 컨텐츠 영역의 형태와 서브 컨텐츠 영역의 형태를 다르게 분할할 수 있다. 로고 컨텐츠에 포함될 컨텐츠들은 연결 관계가 각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메인 컨텐츠 영역과 서브 컨텐츠 영역이 어떤 형태로 분할되는지 역시 각 컨텐츠의 연결 관계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인 컨텐츠 영역과 서브 컨텐츠 영역에 포함될 각 컨텐츠가 문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언어 상으로 문법적인 연결 관계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서 영역이 다른 형태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컨텐츠 영역에 포함되는 문자 정보가 “XX 게임”이고, 서브 컨텐츠 영역에 포함될 컨텐츠가 “은 추석을 축하합니다”라는 문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메인 컨텐츠 영역과 서브 컨텐츠 영역은 로고 컨텐츠 영역에서 메인 컨텐츠 영역이 좌측으로, 서브 컨텐츠 영역이 우측으로 설정되도록 분할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이다. 한편, 서브 컨텐츠 영역에 포함될 컨텐츠가 “환경을 생각하는” 등의 문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위의 예와는 반대로 서브 컨텐츠 영역이 좌측으로, 메인 컨텐츠 영역이 우측으로 설정되도록 분할하는 것이 문법상 자연스러울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 단말(20)에서는 메인 컨텐츠 영역 및 서브 컨텐츠 영역에 포함될 컨텐츠의 관계에 따라서, 프레임 설정부(11)에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어떻게 분할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메인 컨텐츠 설정부(12)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식별정보가 포함된 고정된 컨텐츠인 디폴트 로고 컨텐츠를 메인 컨텐츠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폴트 로고 컨텐츠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의해 생성된 로고 컨텐츠를 의미한다. 즉, 이벤트에 관계 없이, 업체의 식별정보를 갖는 업체 자체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인 것이다. 디폴트 로고 컨텐츠는, 본 발명에서 변화되지 않고 고정되어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컨텐츠이다. 디폴트 로고 컨텐츠 역시 업체의 로고 컨텐츠 변경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고정된다는 의미는, 다양한 이벤트의 발생 및 적용에 따라서 변화되지 않고 회사를 식별하기 위해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로고 컨텐츠에는 디폴트 로고 컨텐츠가 고정적으로 포함되어 있을 것이며, 이벤트에 따라서 변화되는 컨텐츠가 로고 컨텐츠가 포함되어, 전체적인 로고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디폴트 로고 컨텐츠는, 관리자 단말(20)의 명령에 의해 컨텐츠 관리 서버(30)에 고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컨텐츠 관리 서버(30)에서는 메인 컨텐츠 설정부(12)로, 이벤트 발생 상황에 관계없이 동일한 디폴트 로고 컨텐츠가 송신될 것이다.
서브 컨텐츠 설정부(13)는, 로고 컨텐츠에 포함되고, 특정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로고 컨텐츠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될 컨텐츠인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벤트 로고 컨텐츠는 디폴트 로고 컨텐츠와 달리, 이벤트 적용 상황에 따라서 다른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추석 시즌인 경우, 디폴트 로고 컨텐츠는 상기 언급한 예에서 “XX 게임”이 되며, 이벤트 로고 컨텐츠는, “은 추석을 축하합니다”가 될 수 있다. 즉, 이벤트 로고 컨텐츠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사회적인 이슈 또는 기념일 등을 로고 컨텐츠를 통해 표시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관리다 단말(20)에서는 각 이벤트마다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생성하여 컨텐츠 관리 서버(30)에 저장할 수 있다. 서브 컨텐츠 설정부(13)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30)로부터 각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게 된다.
서브 컨텐츠 설정부(13)가 서브 컨텐츠를 설정하는 방식의 일 예는, 설정 파일을 통해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식이 있다.
즉, 관리자 단말(20)에서는, 생성된 이벤트 로고 컨텐츠에 대한 표시 순서, 표시 시점 및 표시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파일을 생성하여 컨텐츠 관리 서버(3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브 컨텐츠 설정부(13)는 컨텐츠 관리 서버(30)로부터 설정 파일을 수신하여 주기적(예를 들어 1일)으로 설정 파일에 있어서 이벤트 로고 컨텐츠의 변동이 있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체크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서브 컨텐츠 설정부(13)는, 각 이벤트의 발생 순서에 대응하도록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표시될 시점에 일정 기간 동안 서브 컨텐츠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추석 이벤트가 적용되어,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은 추석을 축하합니다”이고, 이 추석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추석 2일전 자정부터 추석 다음날 밤 12시까지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 파일이 정해져 있고, 추석 2일 후 0시부터 일정 기간(1달) 동안 환경 운동 캠페인에 대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은 환경을 생각합니다”로 되어 있는 경우, 설정 파일에는 각 이벤트 로고 컨텐츠의 표시 시점 및 표시 기간이 정해져 있다.
서브 컨텐츠 설정부(13)는, 저장되어 있는 설정 파일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추석 2일 후 0시부터 “은 환경을 생각합니다”의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해당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게 된다.
다른 예에서, 서브 컨텐츠 설정부(13)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30)를 통한 관리자 단말(20)의 제어 명령에 의해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게 된다. 다른 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통해 자세히 하기로 한다.
컨텐츠 출력 제어부(14)는, 메인 컨텐츠와 서브 컨텐츠를 각각, 메인 컨텐츠 영역과 서브 컨텐츠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컨텐츠 출력 제어부(14)는, 메인 컨텐츠 설정부(12)에 의해 설정된 디폴트 로고 컨텐츠와, 서브 컨텐츠 설정부(13)에 의해 설정된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분할된 메인 컨텐츠 영역과 서브 컨텐츠 영역 각각에 표시되어, 사용자 단말(40)이 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컨텐츠 출력 제어부(14)는 메인 컨텐츠 설정부(12)로부터 디폴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 설정부(13)로부터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의 종류에 따라서 로고 컨텐츠의 크기 및 구성을 변화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을 통해서 결합된 로고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로고 컨텐츠를 확인하면, 변동이 없는 디폴트 로고 컨텐츠를 통해 회사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통해 현재 접속한 화면에서 어떤 사회적 이슈가 발생했는지, 또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가 어떤 상황에 관심이 있는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비스 제공 업체 측면에서는, 자신의 식별력을 유지한 채로, 이벤트 로고 컨텐츠만을 변경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발생되는 이벤트를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방법은 먼저, 웹페이지 화면, 즉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접속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화면 중, 서비스와 관련된 로고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을 메인 컨텐츠 영역과 서브 컨텐츠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S10)가 수행된다.
즉, S10 단계에서는, 프레임 설정부(11)의 기능이 수행되며, 이에 따라서, 메인 컨텐츠 영역에 포함될 디폴트 로고 컨텐츠와, 서브 컨텐츠 영역에 포함될 이벤트 로고 컨텐츠의 연결 관계에 따라서, 서로 다른 형태로 영역이 분할될 수도 있다.
이후, 디폴트 로고 컨텐츠를 메인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S20)와, 이벤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S30)가 수행된다.
S30 단계에서는,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브 컨텐츠를 설정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설정 파일에 의해, 이벤트 로고 컨텐츠의 표시 시점, 표시 순서 및 표시 기간에 따라서 자동으로 다른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의 입력시마다 각각 다른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서브 컨텐츠로 설정될 수 있다.
S20 단계와 S30 단계에 의해 메인 컨텐츠와 서브 컨텐츠가 설정되면, 메인 컨텐츠는 메인 컨텐츠 영역에, 서브 컨텐츠는 서브 컨텐츠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40)가 수행된다.
상기 언급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방법은, 상기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구성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관리자 단말과 연결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의 관리 서버에 의해 일률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변경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도 2의 S20 단계에 의해 디폴트 로고 컨텐츠가 메인 컨텐츠로 설정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후,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서브 컨텐츠로 설정되는 단계(S31)가 수행된다. 이때 S31 단계에서는, 관리자 단말의 명령에 의해 컨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서브 컨텐츠에 설정될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전달되며, 서브 컨텐츠 설정부는 수신한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게 된다.
이후, 도 2의 S40 단계가 수행된다. 즉, 메인 컨텐츠 영역에 메인 컨텐츠로 설정된 디폴트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되며, 서브 컨텐츠 영역에 서브 컨텐츠로 설정된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된다.
이후 시스템은, 이벤트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게 된다(S41). 이때 이벤트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신호는, 관리자 단말의 서브 컨텐츠 변경 신호로 대신될 수 있다. 이벤트가 변경되는 것은 본 발명에서 서브 컨텐츠 영역에 표시될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변경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관리자 단말에서 이벤트 로고 컨텐츠의 변경 신호가 감지되면 시스템은 이를 이벤트 변경의 알림 신호로 판단하게 된다.
S41 단계에서 이벤트가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벤트 정보에 포함되어, 이벤트 로고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가 추출된다(S31). 즉 컨텐츠 관리 서버에서는 관리자 단말의 이벤트 변경 명령에 대응하여, 서브 컨텐츠 설정부로 이벤트가 변경되어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변경됨을 알리는 신호와 함께, 이벤트 정보로부터 추출된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전달될 것이다. 서브 컨텐츠 설정부에서는 이벤트 변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로부터 이벤트가 변경되어 서브 컨텐츠로 새롭게 설정될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새로운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관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40)은 동적 로고 생성 시스템(10)으로부터 로고 컨텐츠를 제공받게 된다. 동적 로고 생성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40)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4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될 웹페이지 등의 화면 일부분에 생성된 로고 컨텐츠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동적 로고 생성 장치에는 로고 컨텐츠로서 표시될 두 가지의 컨텐츠가 전달된다. 즉, 메인 서비스 공급자 서버(31)로부터는 메인 컨텐츠로서 디폴트 로고 컨텐츠가, 이벤트 관리자 서버(32)로부터는 서브 컨텐츠로서의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전달된다.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에서, 메인 서비스 공급자 서버(31)와 이벤트 관리자 서버(32)는 하나의 컨텐츠 관리 서버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된 바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도 4와 같이 분리되어 존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서버(31, 32)는 하나의 서버에 마련된 저장소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벤트가 변경되더라도, 메인 컨텐츠로서의 디폴트 로고 컨텐츠는 변경되지 않으며, 이벤트가 변경될 때마다 서브 컨텐츠만이 변경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로고 컨텐츠를 이벤트 변경 시마다 전체적으로 변경하는 일이 없어, 관리의 편의성이 얻어질 수 있다.
도 5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100)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들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의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 화면을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이동통신장치, 스마트폰, PDA 등)이 사용자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100)에는 접속 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접속 화면에는 서비스의 주요 내용이 표시되는 메인 메뉴 화면(120)이 표시될 수 있다. 접속 화면의 일부분(도 5 내지 10에서는 좌측 상단의 일부분)에는, 로고 컨텐츠 영역(110)이 존재한다. 로고 컨텐츠 영역(110)에는, 각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마다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이미지, 문자, 동영상 등의 컨텐츠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구현에 의해, 로고 컨텐츠 영역(110)은 메인 컨텐츠 영역(111)과 서브 컨텐츠 영역(112)으로 분할된다. 상기 언급한 기능 및 단계의 수행에 의해, 메인 컨텐츠 영역(111)에는 디폴트 로고 컨텐츠가, 서브 컨텐츠 영역(112)에는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표시될 것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컨텐츠 영역(111)이 좌측에, 서브 컨텐츠 영역(112)이 우측에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 컨텐츠와 서브 컨텐츠가 연결될 때, 메인 컨텐츠와 서브 컨텐츠의 내용의 연결 흐름이 좌에서 우로 연결될 때의 영역 분할의 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는 다른 영역 분할의 예를 표시하고 있다. 도 6에서는, 표시부(100)의 좌측 상단의 일부분 중 메인 메뉴 화면(120)을 제외한 일부분에 로고 컨텐츠 영역(110)이 할당되어 있으며, 이때 서브 컨텐츠 영역(112)과 메인 컨텐츠 영역(111)이 로고 컨텐츠 영역(110)의 좌우에 각각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메인 컨텐츠와 서브 컨텐츠가 연결될 때, 그 내용의 연결 흐름이 서브 컨텐츠에서 메인 컨텐츠 쪽으로 흘러가는 때의 영역 분할의 예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부(100)의 메인 메뉴 영역(120)을 제외한 일부분에 로고 컨텐츠 영역(110)이 존재할 때, 메인 컨텐츠 영역(111)이 서브 컨텐츠 영역(11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에는 서브 컨텐츠가 메인 컨텐츠를 장식하는 이미지이거나, 서브 컨텐츠와 메인 컨텐츠 사이의 문장 정보의 연결이 서브 컨텐츠, 메인 컨텐츠, 서브 컨텐츠의 흐름으로 연결될 때를 의미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6의 영역 분할 예에 따라서, 표시부(100)의 메인 메뉴 화면(120)을 제회한 일부분의 로고 컨텐츠 영역(110)에 실제로 로고 컨텐츠가 표시된 예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 예에서, 메인 컨텐츠 영역(111)에는 업체의 고유 로고 컨텐츠로서, “XX 게임”이라는 디폴트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고 있다.
한편, 서브 컨텐츠 영역(113)에는, 이벤트 로고 컨텐츠로서 "♥ 추석" 이라는 문자 또는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고 있다.
로고 컨텐츠를 확인한 사용자들은, 현재 자신이 접속한 웹페이지의 서비스 업체가 "XX 게임"이며, 현재 추석 시즌임을 알 수 있고, 게임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추석을 기념하여 특정한 이벤트를 서비스하고 있을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6에서의 실시 예를 표시하고 있다. 도 9에서는, 표시부(100)의 메인 메뉴 화면(120)을 제회한 일부분의 로고 컨텐츠 영역(110)에, “3.1 절을 기념하는 XX 게임”이라는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XX 게임”은 디폴트 로고 컨텐츠로서 도 8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컨텐츠가 표시되나, 서브 컨텐츠 영역(114)에는 “3.1 절을 기념하는”이라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3.1 절을 기념하는”이라는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XX 게임”이라는 디폴트 로고 컨텐츠는, 그 문법적인 연결에 있어서 “3.1 절을 기념하는”이 먼저 표시되는 것이 자연스럽기 때문에, 로고 컨텐츠 영역(110)의 분할이 도 8의 예와 다르게 되는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7에서의 실시 예를 표시하고 있다. 도 10에서는, 표시부(100)의 메인 메뉴 화면(120)을 제회한 일부분의 로고 컨텐츠 영역(110)에, “Happy XX 게임 10주년!”이라는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고 있다. 이때 디폴트 로고 컨텐츠인 “XX 게임”은 서브 컨텐츠가 포함하는 문장 정보 중 가운데에 오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서브 컨텐츠 영역(115)은 “XX 게임”이라는 디폴트 로고 컨텐츠가 표시될 메인 컨텐츠 영역(111)을 둘러싸는 형태로 각 영역이 할당되는 것이다.
도 5 내지 10에 대한 화면의 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메인 컨텐츠와 서브 컨텐츠는 그 연결 관계가 다양한 종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 단말에서는 서브 컨텐츠 영역에 표시될 이벤트 로고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로고 컨텐츠 영역을 분할하도록 제어해야 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관리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설정 파일의 데이터 구조를 시각화한 도면이다.
도 11은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할 때, 자동으로 서브 컨텐츠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설정 파일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설정 파일(200)에는, 고정 로고(210), 서브 로고(220), 프레임(230) 및 이벤트 정보(240)의 메뉴가 포함되어 있다.
고정 로고(210) 메뉴에는, 메인 컨텐츠 영역에 표시될 디폴트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다.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디폴트 로고 컨텐츠는 회사의 전체 로고 변경 시 이외에는 동일하게 “XX 게임”이라는 문자 정보와, 문자 정보를 둘러싸는 타원형의 도식이 포함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서브 로고(220) 메뉴에는, 이벤트 로고 컨텐츠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서브 로고는 "♥ 추석", "3.1 절을 기념하는", "Happy ~ 10 주년" 및 "♥ 2012년" 등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230)에는, 각 이벤트에 포함된 이벤트 로고 컨텐츠들과, 디폴트 로고 컨텐츠의 연결 관계에 따라서 로고 컨텐츠 영역을 분할한 구조가 표시되고 있다.
이벤트 정보(240)에는, 상기 언급한 이벤트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이벤트 로고 컨텐츠의 표시 시점 및 표시 기간이 포함되어 있다. 도 11의 이벤트 정보(240)를 확인하면, 각 이벤트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기 시작하는 시점(일, 월, 시각 정보) 및 표시 기간 또는 표시가 해제되는 시점(일, 월, 시각 정보)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로고 표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중,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관한 로고(Logo)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메인 컨텐츠 영역과 서브 컨텐츠 영역으로 분할하는 프레임 설정부;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식별정보가 포함된 고정된 컨텐츠인 디폴트 로고 컨텐츠를 메인 컨텐츠로 설정하는 메인 컨텐츠 설정부;
    상기 로고 컨텐츠에 포함되어 특정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로고 컨텐츠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컨텐츠이고, 상기 특정 이벤트에 따라서 동적으로 변경되는 컨텐츠인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서브 컨텐츠 설정부; 및
    상기 메인 컨텐츠를 상기 메인 컨텐츠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서브 컨텐츠를 상기 서브 컨텐츠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설정부는,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의 연결 관계에 따라, 상기 메인 컨텐츠 영역의 형태와 상기 서브 컨텐츠 영역의 형태를 다르게 분할하되,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의 연결 관계는,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 각각에 포함된 문자 정보가, 언어 상에서 문법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 설정부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의 표시 순서, 표시 시점 및 표시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 순서, 상기 표시 시점 및 상기 표시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자동으로 서로 다른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상기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 설정부는,
    관리자 단말에 의해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인 것으로 설정된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상기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가 다른 이벤트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다른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새로운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중,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관한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메인 컨텐츠 영역과 서브 컨텐츠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식별정보가 포함된 고정된 컨텐츠인 디폴트 로고 컨텐츠를 메인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로고 컨텐츠에 포함되어 특정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로고 컨텐츠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컨텐츠이고, 상기 특정 이벤트에 따라서 동적으로 변경되는 컨텐츠인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컨텐츠를 상기 메인 컨텐츠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서브 컨텐츠를 상기 서브 컨텐츠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의 연결 관계에 따라, 상기 메인 컨텐츠 영역의 형태와 상기 서브 컨텐츠 영역의 형태를 다르게 분할하되,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의 연결 관계는,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 각각에 포함된 문자 정보가, 언어 상에서 문법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로고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의 표시 순서, 표시 시점 및 표시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 순서, 상기 표시 시점 및 상기 표시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자동으로 서로 다른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상기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로고 표시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는,
    관리자 단말에 의해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인 것으로 설정된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상기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가 다른 이벤트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다른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새로운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로고 표시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중,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관한 로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메인 컨텐츠 영역과 서브 컨텐츠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식별정보가 포함된 고정된 컨텐츠인 디폴트 로고 컨텐츠를 메인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로고 컨텐츠에 포함되어 특정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로고 컨텐츠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컨텐츠이고, 상기 특정 이벤트에 따라서 동적으로 변경되는 컨텐츠인 이벤트 로고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컨텐츠를 상기 메인 컨텐츠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서브 컨텐츠를 상기 서브 컨텐츠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의 연결 관계에 따라, 상기 메인 컨텐츠 영역의 형태와 상기 서브 컨텐츠 영역의 형태를 다르게 분할하되,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의 연결 관계는,
    상기 이벤트 로고 컨텐츠와 상기 디폴트 로고 컨텐츠 각각에 포함된 문자 정보가, 언어 상에서 문법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로고 표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10105121A 2011-10-14 2011-10-14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299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121A KR101299143B1 (ko) 2011-10-14 2011-10-14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121A KR101299143B1 (ko) 2011-10-14 2011-10-14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392A KR20130040392A (ko) 2013-04-24
KR101299143B1 true KR101299143B1 (ko) 2013-08-21

Family

ID=48440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121A KR101299143B1 (ko) 2011-10-14 2011-10-14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1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423A (ko) * 2003-01-07 2004-07-1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모바일 배너 광고 방법
KR20070040598A (ko) * 2005-10-12 2007-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체형 포탈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단말장치
KR20080094114A (ko) * 2006-12-21 2008-10-23 주식회사 다츠커뮤니케이션 인터넷 배너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4317A (ko) * 2007-11-26 2009-05-29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423A (ko) * 2003-01-07 2004-07-1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모바일 배너 광고 방법
KR20070040598A (ko) * 2005-10-12 2007-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체형 포탈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단말장치
KR20080094114A (ko) * 2006-12-21 2008-10-23 주식회사 다츠커뮤니케이션 인터넷 배너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4317A (ko) * 2007-11-26 2009-05-29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392A (ko)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4597B2 (ja) 電子装置に小区分の発行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102708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ctionable electronic journal
US2017024993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2929867A (zh) 用于自动化的文档翻译的技术
EP2834782A2 (en) User event content,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CN110020356A (zh) 一种页面模块的代码生成方法、装置及系统
CN101477460A (zh) 浏览器应用在手持设备上的制作和定制方法
US10121154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distribution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500814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ynamic link tracking
Višňovský et al. Online journalism: Current trends and challenges
US201800400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Marketing Services in a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
KR101299143B1 (ko)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0086A (ko) 동적 로고 표시 시스템 및 방법
WO2011067785A2 (en) Dynamic content creation, modification and distribution from single source of content in online and offline scenarios
KR20120076523A (ko) N-스크린을 통한 콘텐츠-광고 통합 배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2658A (ko) 인쇄형 코드를 포함하는 다이어리와 연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와 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
US20140101530A1 (en) Web browsing system for content browsing
US20160147741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corporating sign language
US10602332B2 (en) Programming organizational links that propagate to mobile applications
KR20140144358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버
KR101994803B1 (ko) 감성 콘텐츠 적용이 가능한 텍스트 에디터 지원 시스템
KR101337982B1 (ko)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및 장치
RU2633597C2 (ru) Система отображения оповещений и способ замены контента оповещ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зображений
KR101546329B1 (ko) 모바일 서비스용 화면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KR102554116B1 (ko) 도서리뷰 컨텐츠를 통한 데이팅 서비스의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