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658A - 인쇄형 코드를 포함하는 다이어리와 연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와 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인쇄형 코드를 포함하는 다이어리와 연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와 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658A
KR20130012658A KR1020110073927A KR20110073927A KR20130012658A KR 20130012658 A KR20130012658 A KR 20130012658A KR 1020110073927 A KR1020110073927 A KR 1020110073927A KR 20110073927 A KR20110073927 A KR 20110073927A KR 20130012658 A KR20130012658 A KR 20130012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ry
code
digital
modu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호 filed Critical 이승호
Priority to KR1020110073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2658A/ko
Publication of KR2013001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7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어리에 포함된 인쇄형 코드를 통신 단말기로 인식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디지털 다이어리와 연동하도록 구현되는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쇄형 코드를 화상 인식하고, 상기 화상 인식한 상기 인쇄형 코드를 디코딩하여 상기 인쇄형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수집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그 종류 및 생성 일자에 따라 분류, 수집한 후 상기 분류, 수집된 디지털 컨텐츠를 이미지 또는 문자 형태의 아이콘으로 생성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쇄형 코드를 포함하는 다이어리와 연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와 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DIGITAL DIARY OPERA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INTERCONNECTING WITH A DIARY INCLUDING PRINTING CODES AND MOBILE TERMINAL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날로그 다이어리에 포함된 인쇄형 코드를 통신 단말기로 인식하여, 그 인식된 인쇄형 코드가 통신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과 날짜별로 연동하도록 하는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 그리고 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기업 홍보 또는 연말 판촉물로서, 주로 다수를 대상으로 한 달력과 일부 필요한 소수 사람들에게 배포하는 업무용 다이어리가 사용되어 왔다. 달력의 경우, 수요는 많으나 제작 업체가 많고 과당경쟁의 경향이 있으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도가 떨어져 판촉물로서의 효과와 기능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다이어리의 경우 사무적 용도뿐만 아니라, 최근 10대-30대 고객을 대상으로 감성 마케팅을 이용한 팬시 다이어리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기업 홍보나 판촉물로서도 활용되어 기존의 달력 시장이 팬시 다이어리 시장으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홍보 제품 또는 판촉 제품의 특징은 기업과 소비자의 목적과 요구가 다르기 때문에, 판촉 제품에 기업이나 제품 홍보용 문자, 이미지 등이 많이 삽입될수록 고객들의 소장 가치 및 만족도는 감소하여, 기업과 소비자의 만족도가 상호 반비례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기업 홍보 문구에 의존하지 않고, 개인이 소장 가치를 느낄 만큼 실용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가진 아날로그 팬시 다이어리에, 지속적인 기업 마케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디지털 다이어리의 기능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업과 사용자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의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다이어리에 포함된 인쇄형 코드를 통신 단말기로 인식하여, 그 인식된 인쇄형 코드를 통해 날짜별로 연동하도록 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다이어리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쇄형 코드를 이용한 다이어리, 및 상기 다이어리와 연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 법, 상기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와 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업의 마케팅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사용가치를 느낄 만큼 디자인적 요소, 실용성 및 휴대성을 갖춘 다이어리에, 다이어리 제공자가 날짜별(예컨대, 월별, 일별)로 인쇄형 코드를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로 화상 인식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에서 구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업은 판촉물이나 홍보물로서 상기 아날로그 다이어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디지털 다이어리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장 가치를 높이고, 상기 디지털 다이어리의 프레임에 브랜드 로고를 포함하거나, 각종 이벤트, 쿠폰 등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인 홍보와 판촉이 가능하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날짜별로 인코딩된 인쇄형 코드가 인쇄된 다이어리로부터, 상기 인쇄형 코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구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인쇄형 코드를 화상 인식하는 화상 인식 모듈; 상기 화상 인식한 상기 인쇄형 코드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모듈; 상기 디코딩 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형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수집 명령을 실행하는 명령 실행 모듈; 상기 컨텐츠 수집 명령의 실행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그 종류 및 생성 일자에 따라 분류, 수집하는 컨텐츠 분류 및 수집 모듈; 상기 분류, 수집된 디지털 컨텐츠를 이미지 또는 문자 형태의 아이콘으로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 모듈; 및 상기 아이콘을 상기 통신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날짜별로 인코딩된 인쇄형 코드가 인쇄된 다이어리로부터, 상기 인쇄형 코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형 코드를 화상 인식하는 화상 인식 단계; 상기 화상 인식한 상기 인쇄형 코드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단계; 상기 디코딩 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형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수집 명령을 실행하는 명령 실행 단계; 상기 컨텐츠 수집 명령의 실행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그 종류 및 생성 일자에 따라 분류, 수집하는 컨텐츠 분류 및 수집 단계; 상기 분류, 수집된 디지털 컨텐츠를 이미지 또는 문자 형태의 아이콘으로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 단계; 및 상기 아이콘을 상기 통신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인쇄형 코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구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와 연동하는, 날짜별로 인코딩된 상기 인쇄형 코드가 인쇄된 다이어리로서,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상기 인쇄형 코드를 화상 인식하는 화상 인식 모듈; 상기 화상 인식한 상기 인쇄형 코드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모듈; 상기 디코딩 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형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수집 명령을 실행하는 명령 실행 모듈; 상기 컨텐츠 수집 명령의 실행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종류 및 생성 일자에 따라 분류, 수집하는 컨텐츠 분류 및 수집 모듈; 상기 분류, 수집된 디지털 컨텐츠를 이미지 또는 문자 형태의 아이콘으로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 모듈; 및 상기 아이콘을 상기 통신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다이어리와 디지털 다이어리가 연동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아날로그 다이어리에서 특정 내용을 간략히 기록하여 보관해야 하는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통신 단말기를 통해 많은 양의 정보를 기록, 저장할 수 있고, 다양한 컨텐츠의 형식으로 저장 및 활용이 가능하므로, 아날로그 다이어리의 활용도 및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케팅이 필요한 기업의 입장에서,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벤트나 업체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배너 또는 아이콘 형태로 디지털 다이어리에 포함시킴으로써, 다양한 방식(예컨대, 동영상, 게임, 신상품 정보 등)으로 홍보와 마케팅이 가능하다.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현재 시중에서 상용되고 있는 QR 코드가 단순히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스캔하여 해당 웹 페이지로 링크해주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는 점을 보완하여, QR 코드로부터 단순히 URL 정보만을 획득하는 용도가 아니라, QR 코드에 디지털 다이어리의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을 포함시켜, 디지털 다이어리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활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이어리에 포함된 인쇄형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구동시키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구성 모듈 및 화상 인식 모듈을 통한 인쇄형 코드의 인식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디지털 다이어리상에서 디지털 컨텐츠가 아이콘 형태로 표시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명령 실행 모듈에 의해 특정 날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인쇄형 코드가 인쇄된 다이어리로부터, 상기 인쇄형 코드를 인식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다이어리가 동작하는 순서도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와 기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다이어리(100)에 포함된 인쇄형 코드(150)를 인식함으로써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구동시키는 디스플레이 화면(202)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200)라 함은 예컨대 QR 코드의 인식이 가능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최근 유무선 인터넷의 보급이 널리 이루어지고 그 이용률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통신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리고 휴대전화기를 비롯한 통신 단말기(200)는 이러한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단순히 사용자 간의 음성 통화만을 지원하지 않고 이제는 일종의 초소형 컴퓨터로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대폭 강화되고 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개인 휴대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넷북(Netbook) 등 신개념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200)가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메일을 주고 받거나 이동 중에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 200)은 휴대전화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음성 통화 기능 외에 일정 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소형의 기기에 통합시켜 그 편의성과 활용도는 더욱 증대되어 가고 있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전화기와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혹은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 사용자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 컨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고, 심지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 있으며, 동일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도 스마트폰과 일반 휴대전화기를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으로 꼽힌다.
실제로 최근의 스마트폰은 과거의 일반 휴대전화기에 비하여 더 넓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개선되었고, 소위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이라 불리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충전과 동시에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도 있으며, 수천 개에 이르는 주소를 관리할 수 있는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개인정보 관리)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은 이제 모바일 인터넷 뱅킹, 모바일 신용카드, 모바일 소셜 네트워킹, 모바일 쇼핑 등 활용 분야를 막론하고 실생활에 편리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은행, 증권회사, 신용카드 회사, 소셜 커머스 업체, 인터넷 쇼핑몰 업체들은 자사만의 고유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맞게 개발하여 유료 혹은 무료로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있다.
이처럼 컴퓨터에 버금가는 강력한 성능과 네트워크 기능에 의한 이동성까지 겸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등장에 따라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통신 단말기(200)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중심으로 한다.
참고로, 어플리케이션은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 상에서 동작하는 일종의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 또는 타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특정기능을 직접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도록 제작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웹에 접속하는 브라우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단말기 운영체제에 의존하여 단말기에 따라 제작되는 네이티브(native) 어플리케이션, 또는 이들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어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시스템 데이터 등이 소정의 프로그래밍 언어(예컨대, C언어 또는 자바(JAVA))로 기록, 저장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각종 프로그램 기능(예컨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여 화면 전환)을 가진 데이터로서, 풀 모드(full mode) 데이터라고도 한다. 시스템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정보, 스타트업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말하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속성 및 동작 정보이다. 그 밖의 추가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를 기록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이어리(100)는 날짜별로 간단한 메모를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용지를 묶어 놓은 것으로서 흔히 사무용으로 이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디자인과 휴대성에 대한 중요도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소장용 또는 휴대용 다이어리(100)를 예로 들지만, 다른 형태의 스케쥴러, 달력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100)에는 연도별, 월별, 일별로 간단한 메모나 기재가 가능하도록 각 페이지에 선이나 표로서 날짜별로 구분되어 있고, 날짜별로 각각의 인쇄형 코드들(110, 130, 150, 170, 190)이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도 1에는 인쇄형 코드의 일 실시예로서 QR(Quick Response) 코드(150)가 도시되어 있다.
QR 코드는 1994년에 덴소 웨이브사가 개발한 후 소스를 공개한 시스템으로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2차원 바코드 시스템이다. 1차원 바코드는 수평 방향으로만 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 최대 20자 정도의 정보만 포함할 수 있는 반면, QR 코드는 알파벳, 한글, 한자 등의 문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최대 7,089개의 문자 또는 숫자를 1개의 코드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인식률이 좋고 처리 속도도 상당히 빠른 장점이 있다. 또한 QR 코드는 코너의 모서리에 파인더 패턴이 배치되어 있어 360도 어느 방향에서도 인식 가능하여 간판이나 신문기사 등에 표시되어 정보를 전달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서 상용되고 있는 QR 코드는 단순히 웹 페이지의 URL 정보를 스캔하여 해당 웹 페이지로 링크해주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QR 코드로부터 단순히 URL 정보만을 획득하는 용도가 아니라, QR 코드(150)에 디지털 다이어리의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을 포함시켜, QR 코드를 스캔, 인식함으로써 상기 명령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활용,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가 탑재된 스마트폰 등의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200)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다이어리(100)의 7월 30일자에 인쇄된 인쇄형 코드(150)를 촬영하고,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인쇄형 코드(150) 화상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은 인식된 인쇄형 코드(150)를 디코딩하여 상기 코드에 포함된 컨텐츠 제어에 관한 명령을 해독함으로써, 상기 명령에 따라 통신 단말기(200)에서 구동하는 디지털 다이어리를 통해 7월 30일자로 생성되거나 저장된 통신 단말기(200)의 모든 디지털 컨텐츠를 수집하여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는 선택 가능한 아이콘, 문자 등의 형태로 정렬될 수 있으며 통신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화면(202)상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선택 가능한 아이콘이라 함은, 문자, 기호, 이미지 등의 요소로부터 다른 문서로 연결시켜주는 활성화된 아이콘으로서, 예컨대, 하이퍼링크(hyperlink) 아이콘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200)상에서 7월 30일자에 저장된 스케쥴, 일기, 사진, 동영상, 가계부를 컨텐츠의 개수와 함께 화면에 표시하고 있으며, 화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예컨대, 터치 혹은 클릭)하여 확대하거나 스케쥴, 일기 등의 세부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금전출납부 다이어리와 같이 용도가 특정된 아날로그 다이어리 상에서, 인쇄형 코드(150)를 인식할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기(200)에 기록해 놓은 해당 날짜나 해당 월의 지출과 수입, 잔고 등을 표시해 줄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기능을 확대하면 일간, 주간, 월간 금전 출납부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다이어리(100) 사용자는 사무용이나 개인 일기 기록을 목적으로 각 날짜에 내용을 작성하여 소장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양의 정보를 다양한 형태(예컨대, 사진, 동영상, 텍스트 등)로 저장이 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통신 단말기(200)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사용자는 다이어리(100)에 삽입된 인쇄형 코드(150)를 통해 다이어리(100)와 통신 단말기(200)상에서 구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를 연동함으로써, 2개의 다이어리를 작성하여 소장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다이어리(100)에 7월 30일자에 작성한 내용을 통신 단말기(200)에 탑재된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 7월 30일에 촬영한 사진이 이미지 컨텐츠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다이어리(100)의 인쇄형 코드(150)를 촬영, 인식한 경우에, 사용자는 7월 30일자 촬영되거나 저장된 컨텐츠 모두를 디스플레이 화면(202)을 통해 볼 수 있다. 즉, 7월 30일자로 아날로그 다이어리(100)에 작성한 내용의 이미지 컨텐츠와 통신 단말기(200)로 작성한 디지털 컨텐츠를 한 번에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아날로그 다이어리(100)는 상기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 제작업체와 동일한 업체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고, 상이한 업체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 제작 업체는 직접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또는 마켓(예컨대,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 제공할 수도 있지만, 관련 업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다이어리(100)를 홍보나 판촉, 또는 판매 용도로 제공한 업체와 디지털 다이어리 연동 업체가 반드시 동일해야할 필요도 없으며, 상기 다이어리(100)는 다른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스케쥴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거나 호환가능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다운로드 및 설치함으로써 통신 단말기(200)에서 구동될 수도 있지만 설치를 선택할 수 있는 광고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펌웨어(firmware) 형태로 통신 단말기 또는 유사한 컴퓨팅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통신 단말기(200)에 포함된 구성 모듈들을 이용한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통신 단말기(200)에 포함된 구성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및 화상 인식 모듈(210)을 통한 인쇄형 코드의 인식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통신 단말기(200)는 화상 인식 모듈(210), 디코딩 모듈(220), 명령 실행 모듈(230), 컨텐츠 수집/분류 모듈(230), 아이콘 생성 모듈(250), 디스플레이 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이란 컴퓨팅 시스템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단위를 말하며, 기능 수행을 위해 필요한 칩, 회로, 프로그램 등의 집합을 말한다.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200)에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하드웨어 모듈(예컨대, 카메라, 터치 스크린) 및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연동하여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디지털 다이어리의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구성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들은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필요한 하드웨어 요소,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요소의 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화상 인식 모듈(210)은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거나 독립된 카메라 또는 스캐너로서 화상을 촬영하고 인식이 가능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말한다. 즉, 통신 단말기(200)에 탑재된 카메라로 인쇄형 코드(150)를 촬영하고,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에서 촬영한 사진에서 인식가능한 코드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서는, 통신 단말기(200)(예컨대, 스마트폰)에 포함된 화상 인식 모듈(예컨대,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특정 날짜에 인쇄된 코드(150)를 촬영하고, 촬영한 코드를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코드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는 재촬영을 요구하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인식된 코드(150)는 디코딩 모듈(220)을 통해 디코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형 코드(150, 170)는 통신 단말기(200) 내에 저장된 컨텐츠들 또는 통신 단말기(200)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장된 컨텐츠들을 제어할 수 있는 명령(예컨대, 프로그래밍 코드)을 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구동하고자 하는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통해, 화상 인식 모듈(210)이 인식한 인쇄형 코드(150)를 디코딩 모듈(220)이 디코딩하고, 상기 인쇄형 코드(15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추출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사진, 동영상, 일정(스케쥴), 알람, 가계부, 일기, 메모 등일 수 있고,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별로, 7월 30일에는 제1 인쇄형 코드(150)가, 31일에는 제2 인쇄형 코드(170)가 별개의 것으로(날짜별로) 인쇄되어 있으나, 일별 코드에 추가적으로 월별 코드나 연도별 코드도 포함할 수 있고, 아날로그 다이어리에서 월간 스케쥴 페이지에 해당 월의 인쇄형 코드를 삽입할 수 있다.
명령 실행 모듈(230)은 디코딩된 코드 정보, 즉, 명령을 실행하는 모듈로서, 추출한 명령을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적용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에서 7월 30일 날짜에 화상 인식 모듈(210)로 촬영되거나 저장된 컨텐츠를 찾는 컨텐츠 수집 명령일 수 있다. 또는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의 포토 앨범에서 사진만을 추출하거나 일정만 추출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일 수도 있다.
컨텐츠 수집/분류 모듈(240)은 컨텐츠 수집 명령이 실행됨에 따라, 수집 또는 분류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들을 수집하고 종류, 제목 등의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에서 7월 30일 날짜에 화상 인식 모듈(210)로 촬영되거나 저장된 컨텐츠는 스케쥴 3개, 일기 1개, 사진 5개, 가계부 4개로 총 13개의 컨텐츠이다. 7월 30일자 컨텐츠 수집 명령이 실행된 경우, 컨텐츠 수집 명령에 따라 7월 30일자에 해당하는 13개의 컨텐츠를 먼저 수집한 후 미리 결정된 기준이나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아이콘 생성 모듈(250)은 수집, 분류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인식이 용이하고, 선택(예컨대, 클릭) 시 다른 페이지로 링크되거나 확대되는 이미지, 문자와 같은 아이콘 형태로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아이콘의 형태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미리 지정된 형태(예컨대, 사진은 카메라 모양으로 표시)일 수도 있고, 원본 이미지나 사진의 썸네일(thumbnail), 메모나 일기의 제목 등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아이콘 형태에 관한 일 실시예는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썸네일이란 은 "창 미리보기" 또는 "축소판"으로 번역되며, 이미지의 축소판으로서 이미지를 탐색하면서 알아보기 쉽게 만들어 주며 일반 문자열 색인과 같게 취급되는 것을 말한다.
도 2의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아이콘 생성 모듈(250)에 의해 생성한 아이콘들을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200)의 화면(202)에 나타내는 표시 모듈이다.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생성된 아이콘들을, 기업에서 제공하는 프레임, 바탕 화면 등 미리 정해진 배경 위에 정렬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아이콘의 정렬하는 방식이나 규칙에 대해서는 예컨대, 용량이 큰 순서,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 등으로 설정하거나 변경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시 기본이 되는 화면에 대해서는 사용자, 기업 또는 디지털 다이어리 제공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홍보나 마케팅의 의도로 기업들은 판촉물로 제공한 다이어리(100)와 연동하는 디지털 다이어리의 배경에 해당 기업들의 로고나 배너를 넣거나 이벤트 페이지, 홈페이지로 링크되는 URL을 삽입함으로써, 지속적인 홍보 및 광고 효과를 누릴 수도 있다. 컨텐츠 아이콘 외의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요소들은 기업의 요청에 의해 디지털 다이어리 제공자가 업데이트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200)는 랩탑, 데스트탑, 워크스테이션 등의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뿐만 아니라 PDA,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에서도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 디바이스(예컨대, 터치가능한 디스플레이 화면),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통신의 형태는 임의 형태나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예, 통신 네트워크)으로 구현될 수 있고, 통신 네트워크의 예에는 근거리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및 인터넷이 있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통신 단말기(200)에서 구동하는 디지털 다이어리 화면(202)상에서 디지털 컨텐츠가 아이콘 형태로 표시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각 날짜별로 저장되거나 생성된 이미지, 사진 등이 썸네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화면이고, 도 3b는 원본 컨텐츠의 키워드 또는 제목에 해당하는 문자 형태의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다. 도 3c는 아이콘 삭제 기능을 구현하는 화면이다. .
도 3a는 월별 일정을 나타내는 다이어리 프레임에 이미지, 사진 등이 썸네일(901 내지 904)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화면(202)으로서, 상단의 아이콘(330, 340, 350, 360, 370)을 선택시 다른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는 기능, 화살표(310)를 드래그(drag; 화살표를 누른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동작)할 경우 검색창이 팝업(pop-up; 검색창이 새창으로 나타남) 하는 기능 등을 추가로 구현가능한 화면에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화면(202)에 날짜(320)를 표시하고, 카메라를 실행시키는 카메라 아이콘(330), 음성 녹음 화면으로 전환되는 음성 녹음 아이콘(340), 포토 앨범 아이콘(350), 표시된 디지털 컨텐츠들을 삭제 가능한 아이콘 형태로 전환하는 삭제 아이콘(360), 환경 설정 아이콘(370)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아이콘 외에 다른 추가적인 아이콘, 로고, 배너 등을 배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도 3a에는 월별 일정을 표시하였으나 주간 일정, 일별 일정으로 된 배경이나 프레임 상에 해당 날짜의 컨텐츠를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동일한 참조번호와 기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b는 도 3a와 같은 월별 일정을 나타내는 화면상에 문자형태의 아이콘(905, 906, 907, 908)과 다른 컨텐츠를 나타내는 이미지 아이콘(801, 802, 803)을 함께 배치한 것이다. 사진, 일기 등과 같은 컨텐츠에 대해 문자 아이콘(905, 906, 907, 908)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고, 가계부와 같은 컨텐츠에 대해서는 해당 날짜에 소비하거나 지출한 금액을 아이콘(802, 803) 및 숫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알람시계 형태의 아이콘(801)으로 기념일이나 일정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아이콘의 형태는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또는 사용자가 설정,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가 화면을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클릭함으로써 해당 컨텐츠를 확대하거나 링크된 페이지로 전환될 수도 있다.
도 3c는 편집 기능의 일 실시예로서, 통신 단말기(200)의 화면(202)에서 삭제 아이콘(360)을 선택시 아이콘(901 내지 904)을 삭제할 수 있게 구현된 화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삭제 기능 외에 다양한 편집 기능(예컨대, 다른 날짜로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명령 실행 모듈에 의해 특정 날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인쇄형 코드(150)로부터 7월 30일 날짜를 인식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일(day) 단위의 화면이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월간 스케줄 페이지로 돌아갈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달력 아이콘(380)을 구비하여 다양한 스케쥴 페이지 간의 빠른 화면 전환이 가능하다. 홈 아이콘(385)은 디지털 다이어리의 메인 메뉴, 기본 페이지 등으로 이동가능한 아이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는 날짜 인식 시 메모나 문자, 이미지 입력이 가능한 기본 배경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7월 30일에 촬영하거나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4c는 이미지와 관련 텍스트를 함께 디스플레이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에 도시한 컨텐츠 외에 해당 날짜의 일기, 금전 출납 명세서, 일정 등을 단독으로 화면에 도시하거나 둘 이상의 컨텐츠를 함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인쇄형 코드가 인쇄된 다이어리로부터, 상기 인쇄형 코드를 인식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다이어리가 동작하는 순서도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날짜별로 인코딩된 인쇄형 코드(110, 130, 150, 170, 190)가 인쇄된 다이어리(100)로부터, 상기 인쇄형 코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으로서, 먼저,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구동가능한 통신 단말기(200)로 상기 인쇄형 코드를 촬영 또는 스캔함으로써 화상 인식한다(S510). 상기 화상 인식한 상기 인쇄형 코드는 디코딩 단계를 거쳐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가 기록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을 추출하게 된다(S520). 추출된 컨텐츠 수집 명령은 인식한 코드에 따라 특정 날짜 등에 해당하는 디지털 컨텐츠들에 대해 적용되고(S530), 상기 컨텐츠 수집 명령의 실행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그 종류 및 생성 일자에 따라 분류, 수집한다(S540). 상기 분류, 수집된 디지털 컨텐츠는 화면(202)에 표시하기 위해 이미지의 썸네일 또는 문자(예컨대, 제목, 키워드 등) 형태의 아이콘으로 생성되고, 아이콘 선택(예컨대, 클릭) 시 컨텐츠의 세부 사항을 표시하는 페이지로 링크되거나 확대되도록, 선택가능한 형태의 아이콘으로 설정된다(S550). 상기 아이콘은 상기 통신 단말기(200)상에서 미리 설정된 배경화면이나 다이어리 프레임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560). 특정 날짜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없을 때에는,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거나 선택가능하도록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구성요소, 그들의 접속 및 관계, 및 그들의 기능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 통신 단말기(100)는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통신 단말기(100) 및 모듈들(210, 220, 230, 240, 250, 260)은 물리적으로 일체화된 것으로 구현되었지만,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통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특정 순서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동작들이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 도시된 특정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로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의 다양한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 회로, 특별히 설계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머블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고 및/또는 번역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에서의 구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전용 또는 범용의 프로세서이고,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에 결합되어 이들과 데이터 및 명령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은(또한,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코드로 알려짐)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를 위한 기계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위-레벨 절차적 및/또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및/또는 어셈블리/기계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라는 용어들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기계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장치 및/또는 디바이스(예컨대, 자기디스크, 광학디스크, 메모리,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를 가리키며, 기계 판독가능한 신호로서의 기계 명령들을 수신하는 기계판독 가능한 매체도 포함한다.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상태로 구동할 뿐만 아니라 브라우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해당 웹 서버와 송수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서버의 관계로 필요한 로직이나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우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중 서버에 웹 페이지를 요청할 수 있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결과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화면(202)에 있어서, 입력, 출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고, 통신 단말기(200)의 형태에 따라 호환가능한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예컨대, 마우스 또는 트랙볼(trackball))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이어리(100)에 있어서, 복수의 용지(즉, 페이지)를 포함하는 다이어리를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캘린더 형식으로 한 장에 복수의 일, 월이 표시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인쇄형 코드는 일별, 월별, 연도별로 사용자가 해당 날짜에 해당하는 코드라는 것을 인식가능한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인쇄될 수 있고, 기업 로고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 다이어리
110, 130, 150, 170, 190 : 인쇄형 코드
200 : 통신 단말기 202 : 디스플레이 화면
210 : 화상 인식 모듈 220 : 디코딩 모듈
230 : 명령 실행 모듈 240 : 컨텐츠 수집/분류 모듈
250 : 아이콘 생성 모듈 260 :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16)

  1. 날짜별로 인코딩된 인쇄형 코드가 인쇄된 다이어리로부터, 상기 인쇄형 코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구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인쇄형 코드를 화상 인식하는 화상 인식 모듈;
    상기 화상 인식한 상기 인쇄형 코드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모듈;
    상기 디코딩 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형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수집 명령을 실행하는 명령 실행 모듈;
    상기 컨텐츠 수집 명령의 실행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그 종류 및 생성 일자에 따라 분류, 수집하는 컨텐츠 분류 및 수집 모듈;
    상기 분류, 수집된 디지털 컨텐츠를 이미지 또는 문자 형태의 아이콘으로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 모듈; 및
    상기 아이콘을 상기 통신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집 명령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기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 메모리, 또는 다른 저장 매체로부터, 인식한 상기 인쇄형 코드에 해당하는 날짜에 촬영되거나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수집하여, 종류별로 분류 및 정렬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일정, 알람, 사진, 동영상, 음성, 기념일 정보, 금전 출납부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미리 설정된 다이어리 프레임 상에 아이콘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형 코드는 바코드와 같은 1차원 코드, QR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 컬러 코드, 숫자, 문자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는 아날로그 컨텐츠로서, 인쇄가능한 달력, 스케줄러, 다이어리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 모듈은 상기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거나 분리된, 카메라 또는 스캐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짜별로 인코딩된 인쇄형 코드가 인쇄된 다이어리로부터, 상기 인쇄형 코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
  9. 날짜별로 인코딩된 인쇄형 코드가 인쇄된 다이어리로부터, 상기 인쇄형 코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형 코드를 화상 인식하는 화상 인식 단계;
    상기 화상 인식한 상기 인쇄형 코드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단계;
    상기 디코딩 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형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수집 명령을 실행하는 명령 실행 단계;
    상기 컨텐츠 수집 명령의 실행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그 종류 및 생성 일자에 따라 분류, 수집하는 컨텐츠 분류 및 수집 단계;
    상기 분류, 수집된 디지털 컨텐츠를 이미지 또는 문자 형태의 아이콘으로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 단계; 및
    상기 아이콘을 상기 통신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집 명령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기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 메모리, 또는 다른 저장 매체로부터, 인식한 상기 인쇄형 코드에 해당하는 날짜에 촬영되거나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수집하여, 종류별로 분류 및 정렬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일정, 알람, 사진, 동영상, 음성, 기념일 정보, 금전 출납부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미리 설정된 다이어리 프레임 상에 아이콘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쇄형 코드는 바코드와 같은 1차원 코드, QR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 컬러 코드, 숫자, 문자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는 아날로그 컨텐츠로서, 인쇄가능한 달력, 스케줄러, 다이어리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 모듈은 상기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거나 분리된, 카메라 또는 스캐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16. 인쇄형 코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구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와 연동하는, 날짜별로 인코딩된 상기 인쇄형 코드가 인쇄된 다이어리로서,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상기 인쇄형 코드를 화상 인식하는 화상 인식 모듈;
    상기 화상 인식한 상기 인쇄형 코드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모듈;
    상기 디코딩 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형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수집 명령을 실행하는 명령 실행 모듈;
    상기 컨텐츠 수집 명령의 실행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종류 및 생성 일자에 따라 분류, 수집하는 컨텐츠 분류 및 수집 모듈;
    상기 분류, 수집된 디지털 컨텐츠를 이미지 또는 문자 형태의 아이콘으로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 모듈; 및
    상기 아이콘을 상기 통신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KR1020110073927A 2011-07-26 2011-07-26 인쇄형 코드를 포함하는 다이어리와 연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와 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 KR20130012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927A KR20130012658A (ko) 2011-07-26 2011-07-26 인쇄형 코드를 포함하는 다이어리와 연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와 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927A KR20130012658A (ko) 2011-07-26 2011-07-26 인쇄형 코드를 포함하는 다이어리와 연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와 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658A true KR20130012658A (ko) 2013-02-05

Family

ID=4789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927A KR20130012658A (ko) 2011-07-26 2011-07-26 인쇄형 코드를 포함하는 다이어리와 연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와 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26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677B1 (ko) * 2013-06-10 2015-01-23 주식회사 엠투유 포토앨범 및, 이 포토앨범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KR102464875B1 (ko) * 2022-01-19 2022-11-09 수앙스 주식회사 홀로그램 스티커가 부착되며 사물인터넷 기반 히스토리가 자동으로 기록되는 다이어리
KR20230062434A (ko) 2021-10-29 2023-05-09 류지현 디지털 굿즈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677B1 (ko) * 2013-06-10 2015-01-23 주식회사 엠투유 포토앨범 및, 이 포토앨범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KR20230062434A (ko) 2021-10-29 2023-05-09 류지현 디지털 굿즈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64875B1 (ko) * 2022-01-19 2022-11-09 수앙스 주식회사 홀로그램 스티커가 부착되며 사물인터넷 기반 히스토리가 자동으로 기록되는 다이어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23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working plurality of applications
AU2011271971B2 (en) Position bar and bookmark function
EP2426597B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multiple display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JP598398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40111542A1 (en) Platform for recognising text using mobile devices with a built-in device video camera and automatically retrieving associated content based on the recognised text
CN102156667B (zh) 具有视觉信息转换系统的电子装置
CN102541635A (zh) 用于在保持在情境中的同时共享的可扩展系统动作
CN103210371A (zh) 内容预览
MX2012008069A (es) Manipulacion y visualizacion de texto electronico.
CN103348301A (zh) 用于导航通过电子文档的装置、方法和图形用户接口
CN102043777B (zh) 一种面向移动终端的三维标签云可视化方法
WO2013138846A1 (en) Method and system of interacting with content disposed on substrates
US9715335B2 (en) Reducing system resource requirements for user interactive and customizable image product designs
JP2013507686A (ja) 電子リーダデバイス内に広告を配置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745612A (zh) 用于显示内容的重新调整大小技术
KR20130012658A (ko) 인쇄형 코드를 포함하는 다이어리와 연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와 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
WO2013114399A2 (en) User initiated click based contextual advertising and search system
CN101233494B (zh) 插件模块、浏览器、邮箱运行方法及终端装置
CN113094194A (zh) 剪贴板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CN113253904A (zh) 显示方法、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12764634A (zh) 内容处理方法及装置
US20140101530A1 (en) Web browsing system for content browsing
WO2023130813A1 (zh) 信息获取方法、图形码生成方法、装置、终端及介质
Mirmehdi Special issue on camera-based text and document recognition
CN102346620A (zh) 电子书及其注记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