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677B1 - 포토앨범 및, 이 포토앨범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포토앨범 및, 이 포토앨범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677B1
KR101485677B1 KR20130066007A KR20130066007A KR101485677B1 KR 101485677 B1 KR101485677 B1 KR 101485677B1 KR 20130066007 A KR20130066007 A KR 20130066007A KR 20130066007 A KR20130066007 A KR 20130066007A KR 101485677 B1 KR101485677 B1 KR 101485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touch
paper
out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6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051A (ko
Inventor
윤주선
이경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유
윤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유, 윤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유
Priority to KR20130066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67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판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부(110); 상기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며,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가 인쇄된 복수의 페이퍼(10)를 각 페이퍼(10) 별로 넘기면서 열람할 수 있도록 각 페이퍼(10)를 겹쳐진 형태로 상기 케이스부(110)의 상부에 안착되게 체결시키는 체결수단(120); 상기 케이스부(110)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각 페이퍼(10)가 포개지는 형태로 상부에 안착되며, 하나 이상의 페이퍼(10)의 상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터치셀(131)로 이루어진 터치패널(130); 상기 터치패널(13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인물이미지(I1)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 정보 및 각 음원출력 터치영역(R1) 별로 매칭된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40);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판독하며,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음원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터치셀(131)이 포함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매칭되는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 및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원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160);를 포함하는 포토앨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포토앨범 및, 이 포토앨범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Photo Albu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Generating Sound Source Outputting Source Data}
본 발명은 포토앨범 및, 이 포토앨범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토앨범에 장착된 각 페이퍼의 인물이미지를 터치하면 각 인물별로 설정된 설정정보에 따라 음원데이터가 자동 출력되는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포토앨범 및, 상기 음원출력 기능이 구현되도록 상기 포토앨범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기념일이나 특정장소 방문 등의 이벤트를 오랫동안 기억하기 위해 카메라로 현장의 모습들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사진으로 인화하고 앨범에 끼워넣어 수시로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토앨범의 경우에는 영상이미지를 시각적으로만 열람할 수 있어 보는 사람의 기억에 의존하여 당시의 현장을 추억할 수 있었기 때문에 현장감을 느끼기에 부족한 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동영상 등을 지원하는 디지털액자가 출시되고 있으나, 동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고가의 액정패널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조단가가 과대해지며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항상 액정패널에 구동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유지관리 비용이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85541호(2010.07.29), 디지털액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장의 페이퍼에 인쇄된 인물이미지를 구동전원없이 시각적으로 열람할 수 있음은 물론, 페이퍼에 인쇄된 인물이미지를 터치하면 각 인물이미지 별로 설정된 설정정보에 따라 음원데이터가 자동 출력되는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포토앨범 및, 상기 음원출력 기능이 구현되도록 상기 포토앨범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판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부(110); 상기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며,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가 인쇄된 복수의 페이퍼(10)를 각 페이퍼(10) 별로 넘기면서 열람할 수 있도록 각 페이퍼(10)를 겹쳐진 형태로 상기 케이스부(110)의 상부에 안착되게 체결시키는 체결수단(120); 상기 케이스부(110)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각 페이퍼(10)가 포개지는 형태로 상부에 안착되며, 하나 이상의 페이퍼(10)의 상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터치셀(131)로 이루어진 터치패널(130); 상기 터치패널(13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인물이미지(I1)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 정보 및 각 음원출력 터치영역(R1) 별로 매칭된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40);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판독하며,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음원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터치셀(131)이 포함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매칭되는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 및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원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160);를 포함하는 포토앨범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포토앨범과 같이 인쇄된 이미지만을 열람하다가 사용자가 사진속의 인물이미지를 터치하면 해당 인물의 육성이나 좋아하는 음악 등의 관련된 음원데이터가 자동 출력되면서 시각적 효과뿐만 아니라 청각적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므로 당시의 현장감을 보다 생생하게 추억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액정패널없이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인물이미지가 각각 인쇄된 복수의 페이지가 각 페이지별로 넘기면서 열람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각 페이퍼가 겹쳐진 형태로 케이스부의 상부에 안착되므로 보다 많은 양의 인물이미지를 하나의 포토앨범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 각 페이퍼별 인덱스 기능을 이용하여 페이퍼 설정정보에 따라 설정된 페이퍼에 대한 인물이미지에 대한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음원출력 환경이 제공되므로 효용가치가 더욱 증대된다.
더욱이,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터치패널의 경우 직상방에 배치된 페이퍼 뿐만 아니라 여러 장의 페이퍼가 겹쳐진 상태에서도 최상부에 배치된 페이퍼의 인물이미지를 터치하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해당 인물이미지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셋째, 포토앨범의 설정사항을 변경하거나 동작 조작을 위한 입력수단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각 페이퍼별로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형태로 제어버튼이미지를 인쇄하고 인쇄된 제어버튼이미지와 매칭되는 제어기능을 설정함으로써, 페이퍼 상에서 임의의 제어버튼이미지를 터치하면 해당 제어버튼이미지에 설정된 제어기능이 자동적으로 구현되므로 페이퍼에 포함된 내용에 따라 제어버튼의 종류 및 이미지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조작버튼 등의 입력수단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효용가치가 극대화된다.
넷째, 페이퍼에 인쇄된 여러 인물별로 해당 인물에 관련된 음원데이터가 매칭되어 저장 및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인물의 음원을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다섯째, 주변의 음파를 취합하여 전기적 신호 형태의 음원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사용자의 육성이나 음악 등을 녹음할 수 있고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특정 인물의 음원데이터로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음원데이터와 해당 인물의 이미지를 상호 매칭시키는 과정이 보다 용이해진다.
여섯째, 포토앨범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PC, 스마트폰 또는, 노트북 등의 클라이언트단말에 설치 및 구동시키며, 상기 포토앨범의 데이터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과 연동시켜 화면상에서 페이퍼에 인쇄되는 각 인물별로 음원출력 터치영역을 설정하고 원하는 음원데이터가 매칭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앨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앨범의 기능적 구성 및 신호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앨범에 클라이언트단말 및 외장메모리가 상호 연결되면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입력 및 저장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에 포함된 각 이미지별로 매칭되는 터치영역이 설정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상호 접철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돌기로 점자이미지가 형성된 점자페이퍼의 구성 및, 상기 점자이미지에 매칭되어 설정된 점자음원출력 터치영역을 나타낸 개랙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자페이퍼의 상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각 터치셀이 감지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단말을 이용하여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창에 표시되는 페이퍼 설정창을 통해 페이퍼의 각종 설정사항을 설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창에 표시되는 전체 터치영역 설정창을 통해 해당 페이지의 터치영역 라인을 설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창에 표시되는 이미지설정창을 통해 해당 페이지에 인쇄되는 이미지데이터를 설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창에 표시되는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창을 통해 인물이미지별로 매칭되는 음성출력 터치영역을 설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창에 표시되는 음원설정창을 통해 설정된 음성출력 터치영역별로 매칭되는 음원데이터를 설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18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창에 표시되는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설정창을 통해 제어버튼이미지별로 매칭되는 제어기능을 설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앨범(100)은, 복수 장의 페이퍼(10)에 각각 인쇄된 인물이미지(I1)를 구동전원없이 시각적으로 열람할 수 있음은 물론, 페이퍼(10)에 인쇄된 인물이미지(I1)를 터치하면 각 인물이미지(I1) 별로 설정된 음원데이터가 자동 출력되는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포토앨범으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110), 체결수단(120), 터치패널(130), 메모리부(140), 제어부(150) 및 스피커(16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인물이미지(I1)는 터치시 음원출력 기능이 구현되도록 상기 음원데이터를 매칭시키기 위한 대상의 이미지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인물(사람)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으며, 이 밖에 동물이나 사물, 문자, 기호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물이미지(I1)는 하나 이상의 인물을 대상으로 표시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 형상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각 구성이 내부에 실장되거나 외부에 장착되며, 외부에는 클라이언트단말(20)과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입출력부(111)가 마련되며, 배면에는 포토앨범(100)이 세워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120)은, 복수 장의 페이퍼(10)를 케이스부(110)에 체결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며,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가 인쇄된 복수 장의 페이퍼(10)를 각 페이퍼(10) 별로 넘기면서 열람할 수 있도록 각 페이퍼(10)를 겹쳐진 형태로 케이스부(110)의 상부에 안착되게 체결시킨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120)은 케이스부(11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도록 용수철 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케이스부(110), 각 페이퍼(10) 및 거치부(180)에는 상기 체결수단(120)가 회전하며 끼워질 수 있도록 상단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체결공(132,11,181)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체결링이 형성된 바인더 체결프레임 형태로 구비되어, 각 페이퍼(10)에 형성된 체결공(11)을 각 체결링에 끼운 상태로 케이스부(1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120)은 케이스부(11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체결수단(120)에 복수 장의 페이퍼(10)가 끼워진 묶음 단위로 조를 이루도록 하여, 사용자의 임의대로 카테고리를 구분하여 각 묶음 단위로 페이퍼(10)를 보관하거나 케이스부(110)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분된 카테고리가 계절일 경우, 봄과 관련된 복수 장의 페이퍼(10)를 하나의 체결수단(120)으로 묶음 단위를 이루고, 여름과 관련된 복수 장의 페이퍼(10)를 다른 하나의 체결수단(120)으로 묶음 단위를 이룸으로써, 봄과 관련된 페이퍼(10)를 디스플레이하고 음원데이터를 듣고자 할 경우, 봄과 관련된 페이퍼(10)가 체결된 체결수단(120)을 케이스부(110)에 장착함으로써 봄과 관련된 다양한 페이퍼(10)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여름과 관련된 페이퍼(10)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케이스부(110)에 장착됨 봄과 관련된 페이퍼(10)로 체결된 체결수단(120)을 탈거하고 여름과 관련된 페이퍼(10)가 체결된 체결수단(120)을 케이스부(110)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의 페이퍼(10)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120)을 케이스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시킴에 있어서, 홈과 돌기, 나사와 나사홈 등의 조합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복수의 부재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다양한 체결수단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퍼(10)는 인쇄(인화)용지에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 제어버튼이미지(I2) 및 아이콘이미지(I3)가 인쇄된 인쇄물로서, 사진관에서 인화되는 인화지이거나 프린터 등의 인쇄수단을 통해 인쇄된 인쇄지일 수 있으며, 상기 페이퍼(10)의 상면을 통해 터치패널(130)의 상부를 터치할 때 터치패널(130)의 터치셀(131)이 터치반응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터치패널(130)은, 터치동작에 따른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110)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각 페이퍼(10)가 포개지는 형태로 상부에 안착되며, 하나 이상의 페이퍼(10)의 상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터치셀(13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패널(130)은 제어부(150)와 신호연결되어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신호를 제어부(150)로 전송하며, 상기 터치패널(130)의 크기에 따라 음원출력 터치영역(R1)을 설정할 수 있는 터치영역의 크기가 좌우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부(110)에 장착되는 페이퍼(10)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터치패널(130)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함에 있어서, 페이퍼(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눌려진 위치를 감지하는 가압방식 또는, 사용자의 손 등의 미세 인체전류 등의 정전압을 감지하는 정전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전 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페이퍼(10)의 상부면에 인가되는 정전압이 페이퍼(10)를 통해 터치패널(1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페이퍼(10)는 상기 정전압을 터치패널(130)로 전달할 수 있는 전기전달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 방식 및 정전 방식 이외에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및 광학 방식 등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터치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널의 감지방식이면 어떠한 방식이든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앨범(100)을 구동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터치패널(13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인물이미지(I1)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 정보 및 각 음원출력 터치영역(R1) 별로 매칭된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140)에는 터치패널(130)을 구성하는 다수의 터치셀(131)이 갖는 각각의 위치좌표 정보가 저장되어 각 터치셀(131)의 터치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50)가 상기 위치좌표 정보를 통해 감지신호를 생성한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 정보는,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셀(131)의 위치한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구분되어 지정된 터치영역에 대한 설정정보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인물이미지(I1)의 외형과 매칭되어 설정된다. 이때, 도면에는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이 인물이미지(I1)의 외형을 개괄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블록영역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 인물이미지(I1)의 외부형상과 동일하게 굴곡진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삼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영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음원설정 정보는 각각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에 포함된 터치셀(131)로부터 터치신호가 생성되면 기저장된 특정 음원데이터가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각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가 상호 매칭된 설정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터치패널(130)을 구성하는 다수의 터치셀(131)이 갖는 각각의 위치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패널(130)로부터 생성된 터치신호에 따라 기서정된 음원데이터가 스피커(160)를 통해 자동출력되도록 중앙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판독하며,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음원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터치셀(131)이 포함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매칭되는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명에 인물이미지(I1)가 포함된 페이퍼(10)가 체결수단(120)에 의해 터치패널(130)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체결된 상태에서, 임의의 인물이미지(I1)를 터치(가압)하게 되면, 터치된 위치에 배치된 터치패널(130)의 터치셀(131)이 가압되면서 감지된 터치동작에 따른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각 터치셀(131)별 위치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한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통해 터치패널(130)의 전체 터치영역에서 터치동작이 이루어진 터치위치를 판단하며, 판단된 터치위치 즉, 해당 터치셀(131)의 위치좌표가 기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에 포함될 경우 해당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데이터를 메모리부(140)로부터 독출하여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해당 인물이미지(I1)에 대한 음원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메모리부(140)는 케이스부(110)에 장착된 복수 장의 페이퍼(10)별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구분되어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150)는 페이퍼별 인덱스 기능이 구비되어 설정된 페이퍼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40)로부터 해당 페이퍼(10)의 페이지에 해당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판독하여 각 페이퍼(10)별로 구분되는 음원출력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수 장의 페이퍼(10) 중 첫번째 페이퍼(10)를 감상하고자 입력수단(170)을 통해 첫번째 페이퍼(10)로 설정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첫번째 페이퍼(10)에 매칭되어 저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판독하여 해당 페이퍼(10)에 인쇄된 인물이미지(I1)의 터치에 의한 터치신호에 따라 해당 인물이미지(I1)와 매칭된 음원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두번째 페이퍼(10)를 감상하고자 첫번째 페이퍼(10)를 거치부(180) 방면으로 넘긴 후 입력수단(170)을 통해 두번째 페이퍼(10)로 설정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두번째 페이퍼(10)에 매칭되어 저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판독하여 해당 페이퍼(10)에 인쇄된 인물이미지(I1)의 터치에 의한 터치신호에 따라 해당 인물이미지(I1)와 매칭된 음원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부(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데이터입출력부(111)는 포토앨범(100)과 클라이언트단말(20)이 상호 신호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전기적 커넥팅 수단으로서, 상기 터치패널(13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인물이미지(I1)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입력되며, 입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는 메모리부(140)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단말(20)은 사용자가 운용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앨범(100)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되는 인터페이스 통신장치이나, 이나, 상기 클라이언트단말로부터 생성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저장된 외장메모리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전자적 통신장치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는 PC, 스마트폰 또는 , 노트북 등과 같이 구동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와 사용자 입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이 구비된 단말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외장메모리(40)에는 USB 스틱, SD카드, DVD, CD 등의 데이터 저장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입출력부(111)는 신호연결되는 클라이언트단말(20)에 따라 USB포트, 5핀, 8핀, 20핀 등의 커넥터, DVD롬 및 CD롬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20)에는 인물이미지(I1)와 매칭되어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설정된 페이퍼(10,10')를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50)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설정이 완료된 페이퍼(1010')를 흑백, 컬러형태 또는 점자형태로 인쇄하여 상기 체결수단(120)에 의해 케이스부(1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110)의 외부에는 스피커(160)와 더불어 마이크(19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마이크(190)는 음성의 음파를 취합하여 그 진동에 따른 전기적 신호 형태의 음원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상기 마이크(190)에서 생성된 음원데이터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마이크(190)를 통해 생성된 음데를 임의로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매칭되도록 설정하여,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1) 내에 포함된 터치셀(131)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녹음된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190)의 구성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단말(20)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사용자의 육성이나 음악 등을 실시간으로 녹음할 수 있고,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특정 인물의 음원데이터로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음원데이터와 해당 인물의 인물이미지(I1)를 상호 매칭시키는 과정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110)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앨범(100)의 조작을 위해 사용자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수단(17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수단(170)을 조작하여 출력되는 음원데이터의 볼륨크기나 페이퍼별 인덱스 기능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는 상기와 같은 입력수단(170)을 케이스부(110)에 배치하지 않고 터치패널(130)의 터치영역 내에 사용자의 임의대로 제어버튼 영역을 형성하여 포토앨범(100)의 각종 조작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이퍼(10)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버튼이미지(I2)가 포함되고,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터치패널(13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제어버튼이미지(I2)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 정보와 상기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별로 매칭된 제어신호와 제어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와, 상기 제어신호가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터치셀(131)이 포함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과 매칭되는 제어신호의 내용에 따른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물이미지(I1)의 터치에 따른 음원데이터가 출력된 후, 다시 같은 음원데이터를 출력하고자 할 때 또는 하나의 인물이미지(I1)에 복수 개의 음원데이터가 매칭되어 설정되는 경우 복수 개의 음원데이터 중 원하는 음원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듣고자 할 때에는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이 필요한데, 사용자는 페이퍼(10) 상에 인물이미지(I1)와 함께 원하는 형태의 제어버튼이미지(I2)를 별도의 편집프로그램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페이퍼(10) 상에서 우측 상단에 도시된 제어버튼이미지(I2)에서 + 형태의 이미지를 터치하면, 제어부(150)는 해당 이미지의 하부에서 상기 터치를 감지한 터치셀(131)의 터치신호를 기초로 하여 해당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 형태의 이미지와 매칭되는 제어신호인 볼륨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도 1의 페이퍼(10) 상에서 하단에 도시된 제어버튼이미지(I2)에서 Page 2의 이미지를 터치하면, 제어부(150)는 해당 이미지의 하부에서 터치를 감지한 터치셀(131)의 터치신호를 기초로 하여 해당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Page 2 형태의 이미지와 매칭되는 제어신호인 2페이지 인덱스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포토앨범(100)의 설정사항을 변경하거나 동작 조작을 위한 입력수단(170)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각 페이퍼(10) 별로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형태로 다양한 제어버튼이미지(I2)를 인쇄하고, 인쇄된 제어버튼이미지(I2)와 매칭되는 제어기능을 프로그램 상에서 설정함으로써 페이퍼(10) 상에서 임의의 제어버튼이미지(I2)를 터치하면, 해당 제어버튼이미지(I2)에 설정된 제어기능이 자동적으로 구현되므로 페이퍼(10)에 포함된 내용에 따라 제어버튼의 종류 및 이미지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입력수단(170)이 케이스부(110) 상에서 배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포토앨범(100)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지며 입력수단(170)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효용가치가 극대화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앨범(100)은, 상기 인물이미지(I1)와는 별개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데이터를 임의로 원하는 음원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페이퍼(10)에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미지(I3)가 포함되며,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터치패널(13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아이콘이미지(I3)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3) 정보와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3)별로 매칭된 음워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와, 상기 음원데이터가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R3) 내에 포함된 터치셀(131)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음원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음원출력 터치영역(R3)과 매칭되는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음원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페이퍼(10) 상에 인물이미지(I1)와 함께 원하는 형태의 아이콘이미지(I3)를 별도의 편집프로그램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이미지(I3)가 배치된 터치패널(130)의 터치영역 즉, 음원출력 터치영역(R3)을 매칭시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세지 형태의 아이콘이미지(I3)를 터치하게 되면 상기 인물이미지(I1)를 터치했을 때와는 별개로 음성메세지 형태로 미리 저장된 메세지 음성이 출력될 수 있으며, 케익 형태의 아이콘이미지(I3)를 터치하게 되면 생일축하 노래나 음악이 출력되는 등 아이콘이미지(I3)와 매칭되는 소정의 음원데이터를 임의로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인물이미지(I1)에 따른 음원데이터와는 별개로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이미지(I3) 및 음원데이터를 페이퍼(10) 상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출력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음원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어 포토앨범(100)의 활용도 및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14)과 상기 힌지축(114)이 삽입되는 축홈(115)의 구성을 통해 상호 접철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케이스(112)와 제2케이스(113)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케이스(112)와 제2케이스(113)에는 각각 터치패널(1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중앙에 장착되는 체결수단(120)을 통해 복수 장의 페이퍼(10)가 제1케이스(112) 및 제2케이스(113)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도록 넘기면서 열람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임의의 페이퍼(10)를 체결수단(120)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넘기게 되면 제2케이스(113)의 상부면에 앞페이지가 안착되며, 왼쪽으로 넘기게 되면 제1케이스(112)의 상부면에 앞페이지가 안착되므로, 각 페이퍼(10)의 양면을 모두 이용할 수 있게 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12)와 제2케이스(113)를 접철하게 되면 각 케이스(112,113)에 장착된 터치패널(130)이 외부로부터 커버되기 때문에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앨범(100)은 점자돌기(12)로 소정의 점자이미지(I4)가 형성된 점자페이퍼(10')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과 같은 사용자가 터치하여 인지한 점자이미지(I4)와 관련된 음원데이터을 출력함으로써 점자페이퍼(10')에 표시된 인물들의 육성이나 해당 점자페이퍼(10')에 표시된 촬영내용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서 촬영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추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메모리부(140)에는 점자이미지(I4)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점자음원출력 터치영역(R4) 정보 및 상기 점자음원출력 터치영역(R4)별로 매칭되어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점자음원출력 소스데이터와, 상기 음원데이터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페이퍼(10')의 상부를 가압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의해 각 점자돌기(12)가 눌리면서 해당 점자돌기(12)의 직하부에 배치된 임의의 터치셀(131)은 가압되어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점자를 인지하는 형태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점자페이퍼(10') 상에 표시된 임의의 인물이미지(I1)에 대한 각 점자돌기(12)를 터치하게 되면, 해당 점자돌기(12)의 하부에 배치된 터치셀(131)이 터치반응하여 터치신호를 제어부(150)로 전송하게 되며, 제어부(150)는 이 터치신호 및 위치좌표 정보를 통해 해당 점자음원출력 터치영역(R4)에 매칭되어 설정된 인물의 음성을 음원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점자페이퍼(10')에는 엄마와, 두 언니에 대한 인물이미지(I1)가 형성된 페이퍼(10)를 기반으로 하여 각 인물의 외형과 매칭되어 점자돌기(12)가 형성되고, 각 점자돌기(12)의 연장선과 대응되는 점자이미지(I4)가 각각 형성될 경우, 첫 번째 인물(어머니)에 대한 외형을 이루는 점자돌기(12)를 터치하거나 해당 점자이미지(I4)의 중앙부에 배치된 인물의 명칭('어머니')을 나타내는 점자돌기(12)를 터치하게 되면, 터치동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어머니에 대한 음성이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다른 인물(언니들)에 대한 점자이미지(I4)를 터치하게 되면 같은 원리로 각 언니들에 대한 음성을 음원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의 우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이라는 점자이미지(I4)를 터치하게 되면, 촬영당시의 일시, 상황, 장소 및, 분위기 등과 같이 미리 저장 및 설정된 점자페이퍼(10')에 대한 촬영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음원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이라는 점자를 터치하여 터치신호가 제어부(150)로 전송되면 본 점자페이퍼(10')는 "2013년 9월 11일 오후 2시에 부산 광안리에서 광안대교를 배경으로 어머니, 언니1, 언니2와 함께 촬영한 사진"이라는 음원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시각장애인 등의 사용자는 점자돌기(12)를 인지하여 점자페이퍼(10')에 나타나 있는 대략적인 점자이미지(I4)의 형태 및 주변환경에 대한 이미지를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점자이미지(I4)에 대한 음성 및 설명음성을 통해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추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임의의 인물이미지(I1)가 포함된 페이퍼(10)를 기반으로 하여 각 인물이미지(I1)의 외형을 따라 다수의 점자돌기(12)가 돌출된 점자이미지(I4)를 형성함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단말(20)과 연결된 프린터(50)를 점자프린터(Braille Printer)로 구성함과 동시에 클라이언트단말(20)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페이퍼(10)의 각종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상에서 프린터(50)를 통해 인물이미지(I1)에 점자이미지(I4)가 함께 표시된 점자페이퍼(10')을 인쇄할 수 있으며, 각 점자이미지(I4)와 매칭되게 점자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각 점자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은 상술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다음으로는, 도 11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앨범(100)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를 통해 클라이언트단말(20)에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되어, 클라이언트단말(20)의 디스플레이(21)를 통해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가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는, 터치영역 설정 단계(S210), 이미지 배치 단계(S220),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30), 출력음원 설정 단계(S240), 음원출력 소스데이터 생성 단계(S250),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60), 제어설정 단계(S270) 및,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 생성 단계(S280)를 포함하여 컴퓨터(클라이언트단말(2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되며, 기억된 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이언트단말(20)에 저장 및 구동되며, 해당 클라이언트단말(20)별로 화면창(30)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21)에 프로그램 화면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단말(20)을 통해 포토앨범(100)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단말(2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 클라이언트단말(20)의 디스플레이 수단(30)에는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창(30)이 표시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화면창(30)에는 임의의 페이퍼(10)에 대한 기본설정사항을 설정하기 위한 페이퍼 설정창(32) 및, 각종 설정창을 활성화하도록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선택창(31)이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페이퍼 설정창(32)을 통해 해당 페이퍼(10)에 매칭되어 설정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의 파일명, 페이퍼별 인덱스 정보, 페이퍼(10)의 크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영역 설정 단계(S210)는, 상기 페이퍼 설정창(32)을 통해 설정된 페이퍼(10)의 크기를 고려하여 전체의 터치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뉴선택창(31)을 통해 터치영역 설정키를 선택하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창(30)에는 상기 페이퍼 설정창(32)을 통해 설정된 페이퍼(10)의 크기 내에서 전체 터치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전체 터치영역 설정창(33)이 팝업되며, 팝업된 전체 터치영역 설정창(33)를 통해 페이퍼(10) 내에서 활성화되는 전체 터치영역의 사이즈 및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전체 터치영역의 설정이 완료되면 도면에서와 같이 화면창(30)에는 설정된 전체 터치영역을 표시하는 터치영역 라인(L)이 표시된다.
상기 이미지 배치 단계(S220)는,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가 포함된 페이퍼(10)의 이미지데이터를 독출하여 클라이언트단말(20)의 화면창(30) 상에서 터치패널(130)의 설정된 전체 터치영역 범위 내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뉴선택창(31)을 통해 이미지설정키를 선택하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단말(20)의 데이터 저장공간 내에서 페이퍼(10)로 이용하기 위한 이미지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이미지설정창(34)이 팝업되며, 팝업된 이미지설정창(34)을 통해 터치영역 라인(L) 내에 선택된 이미지데이터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30)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20)의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데이터가 배치된 터치영역 내에서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인물이미지(I1)와 매칭되는 음원출력 터치영역(R1)를 설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뉴선택창(31)을 통해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키를 선택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창(36)이 팝업되며, 팝업된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창(36)을 통해 배치된 이미지데이터 내에서 임의의 인물이미지(I1)와 매칭되는 음원출력 터치영역(R1)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단말(20)의 마우스(미도시)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배치된 이미지데이터 상에서 각 인물이미지(I1)별로 드래그하여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게 되면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창(36)에는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에 대한 설정사항이 표시되며, 상기 이미지데이터는 터치영역 라인(L)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해당 페이퍼(10)의 이미지가 매칭되어 배치되었기 때문에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창(36)에는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의 위치좌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단말(20)의 마우스를 이용하여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창(36) 내에 배치된 페이퍼(10)의 이미지 상에서 각 아이콘이미지(I3)별로 드래그하여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게 되면,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창(36)에 각 아이콘이미지(I3)별로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3)이 표시되며, 상기 터치영역 라인(L)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해당 페이퍼(10)의 이미지가 매칭되어 배치되었기 때문에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창(36)에는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3)의 위치좌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출력음원 설정 단계(S240)는,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기저장된 음원데이터 중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별로 매칭되는 음원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뉴선택창(31)를 통해 음원설정키를 선택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단말(20)의 데이터 공간 내에서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매칭시키기 위한 음원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음원설정창(37)이 팝업되며, 팝업된 음원설정창(37)을 통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을 터치하였을때 출력되도록 설정하고자 하는 음원데이터를 매칭시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음원출력 소스데이터 생성 단계(S250)는,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30) 및 출력음원 설정 단계(S240)를 통해 설정된 각 설정정보를 저장하여 해당 음원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메뉴선택창(31)에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 생성키를 선택하면, 현재까지 설정된 각종 설정사항이 저장된 하나의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생성된다.
생성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는 클라이언트단말(20)의 데이터 저장공간에 저장되며, 사용자는 데이터입출력부(111)를 통해 클라이언트단말(20)과 포토앨범(100)을 상호 신호연결시킨 상태에서 생성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포토앨범(100)의 메모리부(140)에 입력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에서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통해 각 단계별로 지정된 설정사항이 구분되어 저장되는 루트데이터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루트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각 단계별로 각 설정정보가 설정되기 이전 단계의 상태로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생성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의 수정 및 변형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30) 및 출력음원 설정 단계(S240)를 통해 배치된 이미지데이터 내에서 임의의 아이콘이미지(I3)와 매칭되는 음원출력 터치영역(R3)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이미지(I3)와 음원데이터를 매칭시킨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60)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20)의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데이터가 배치된 터치영역 내에서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제어버튼이미지(I2)와 매칭되는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뉴선택창(31)을 통해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설정키를 선택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설정창(38)이 팝업되며, 팝업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설정창(38)을 통해 배치된 이미지데이터 내에서 임의의 제어버튼이미지(I2)와 매칭되는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을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설정 단계(S270)는,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60)를 통해 설정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별로 매칭되는 제어신호를 설정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단말(20)을 이용하여 메뉴선택창(31)을 통해 제어신호설정키를 선택하면 포토앨범(100)을 조작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제어신호를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는 제어신호 설정창(미도시)을 팝업하고, 상기 제어신호 설정창을 통해 임의의 제어신호를 기설정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과 매칭시켜 설정하면 설정된 내용이 상기 제어신호 설정창에 표시된다.
상기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 생성 단계(S280)는, 상기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60) 및 제어설정 단계(S270)를 통해 설정된 각 설정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메뉴선택창(31)에서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 생성키를 선택하면 현재까지 설정된 각종 설정사항이 저장된 하나의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가 생성된다.
생성된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는 클라이언트단말(20)의 데이터 저장공간에 저장되며, 사용자는 데이터입출력부(111)를 통해 클라이언트단말(20)과 포토앨범(100)을 상호 신호연결시킨 상태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를 포토앨범(100)의 메모리(140)에 입력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는 상술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통해 각 단계별로 지정된 설정사항이 구분되어 저장되는 루트데이터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생성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 및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가 포토앨범(100)에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생성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 및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와 매칭되는 페이퍼(10)를 클라이언트단말(20)에 연결된 프린터(50)를 통해 인쇄하고, 인쇄된 페이퍼(10)를 케이스부(110) 상에 설정된 터치영역과 정렬되도록 배치한 후, 사용자가 터치패널(130)에 안착된 페이퍼(10)의 상면을 통해 임의의 인물이미지(I1), 제어버튼이미지(I2) 또는 아이콘이미지(I3)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게 되면, 상기 터치패널(130)의 터치셀(131)이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제어부(150)로 전송하고, 상기 터치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150)는 저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 및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를 판독하여, 해당 터치셀(131)이 포함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R3) 또는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과 매칭되는 음원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제어기능을 실행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페이퍼 20...클라이언트단말
30...화면창 100...포토앨범
110...케이스부 120...체결수단
130...터치패널 131...터치셀
140...메모리부 150...제어부
160...스피커 I1...인물 이미지
I2....제어버튼이미지 I3...아이콘이미지
R1,R3...음원출력 터치영역 R2...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

Claims (4)

  1. 판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부(110); 상기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며,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가 인쇄된 복수의 페이퍼(10)를 각 페이퍼(10) 별로 넘기면서 열람할 수 있도록 각 페이퍼(10)를 겹쳐진 형태로 상기 케이스부(110)의 상부에 안착되게 체결시키는 체결수단(120); 상기 케이스부(110)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각 페이퍼(10)가 포개지는 형태로 상부에 안착되며, 하나 이상의 페이퍼(10)의 상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터치셀(131)로 이루어진 터치패널(130); 상기 터치패널(13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인물이미지(I1)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 정보 및 각 음원출력 터치영역(R1) 별로 매칭된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40);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판독하며,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음원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터치셀(131)이 포함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매칭되는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 및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원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160);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부(140)는 각 페이퍼(10)별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구분되어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150)는 페이퍼별 인덱스 기능이 구비되어 설정된 페이퍼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40)로부터 해당 페이퍼(10)의 페이지에 해당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판독하여 각 페이퍼(10)별로 구분되는 음원출력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앨범.
  2. 판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부(110); 상기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며,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가 인쇄된 복수의 페이퍼(10)를 각 페이퍼(10) 별로 넘기면서 열람할 수 있도록 각 페이퍼(10)를 겹쳐진 형태로 상기 케이스부(110)의 상부에 안착되게 체결시키는 체결수단(120); 상기 케이스부(110)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각 페이퍼(10)가 포개지는 형태로 상부에 안착되며, 하나 이상의 페이퍼(10)의 상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터치셀(131)로 이루어진 터치패널(130); 상기 터치패널(13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인물이미지(I1)와 매칭되어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 정보 및 각 음원출력 터치영역(R1) 별로 매칭된 음원데이터의 음원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40);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판독하며,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음원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터치셀(131)이 포함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과 매칭되는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 및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원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160);를 포함하되,
    상기 페이퍼(10)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버튼이미지(I2)가 포함되고,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터치패널(130)의 전체 터치영역 내에서 상기 제어버튼이미지(I2)의 형태와 매칭되어 설정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 정보와 상기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별로 매칭된 제어신호의 제어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실행 소스데이터와, 상기 제어신호가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터치동작을 감지한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터치셀(131)이 포함된 제어신호출력 터치영역(R2)과 매칭되는 제어신호의 내용에 따른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앨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10)는,
    복수의 점자돌기(12)가 돌출되어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를 형성하거나, 인물의 명칭을 형성한 점자페이퍼(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앨범.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포토앨범(100)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인물이미지(I1)가 포함된 페이퍼(10)의 이미지데이터를 독출하여 클라이언트단말(20)의 화면창(30)상에서 터치패널(130)의 설정된 터치영역 범위 내에 배치하는 이미지 배치 단계(S220);
    상기 클라이언트단말(20)의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데이터가 배치된 터치영역 내에서 터치셀(131)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인물이미지(I1)와 매칭되는 음원출력 터치영역(R1)을 설정하는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30);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기저장된 음원데이터 중 설정된 음원출력 터치영역(R1)별로 매칭되는 음원데이터를 설정하는 출력음원 설정 단계(S240);
    상기 음원출력 터치영역 설정 단계(S230)) 및 출력음원 설정 단계(S240)를 통해 설정된 각 설정정보를 저장하여 해당 음원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원출력 소스데이터 생성 단계(S250);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KR20130066007A 2013-06-10 2013-06-10 포토앨범 및, 이 포토앨범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KR101485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007A KR101485677B1 (ko) 2013-06-10 2013-06-10 포토앨범 및, 이 포토앨범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007A KR101485677B1 (ko) 2013-06-10 2013-06-10 포토앨범 및, 이 포토앨범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051A KR20140144051A (ko) 2014-12-18
KR101485677B1 true KR101485677B1 (ko) 2015-01-23

Family

ID=5259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6007A KR101485677B1 (ko) 2013-06-10 2013-06-10 포토앨범 및, 이 포토앨범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6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490A (ko) * 2003-11-17 2005-05-20 노키아 코포레이션 디지털 기기와 함께 사용될 미디어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
KR20130012658A (ko) * 2011-07-26 2013-02-05 이승호 인쇄형 코드를 포함하는 다이어리와 연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와 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490A (ko) * 2003-11-17 2005-05-20 노키아 코포레이션 디지털 기기와 함께 사용될 미디어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
KR20130012658A (ko) * 2011-07-26 2013-02-05 이승호 인쇄형 코드를 포함하는 다이어리와 연동가능한 디지털 다이어리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와 이를 탑재한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051A (ko)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639B1 (ko)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CN104126164B (zh) 移动终端及其方法
US8358280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howing page flip effect and method thereof
US9760241B1 (en) Tactile interaction with content
AU667486B2 (en) Unitary manual and software for computer system
KR102536097B1 (ko)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2076007A2 (en) Touch control electronic display
US20090222756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howing page flip effect and method thereof
EP0905663A1 (en) Multipurpose learning device
US9628646B2 (en) Augmented reality operation system and augmented reality operation method
US20090322982A1 (en) Digital picture frame with floating lcd
EP2800025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tecting a displayed object
KR101485677B1 (ko) 포토앨범 및, 이 포토앨범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JP2014197267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WO2010135677A1 (en) Digital picture frame greeting card
US20130077822A1 (en) Method for creating an index using an all-in-one printer and adjustable grouping parameters
US20140011175A1 (en) Book
US20220141343A1 (en) Multipurpose Drawing Tablet
KR20160019716A (ko) 음원출력 기능이 구비된 사진액자 및, 이 사진액자에 입력되기 위한 음원출력 소스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KR20140144052A (ko) 터치패널을 이용한 교육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0919296B1 (ko) 전자 앨범
JP7199858B2 (ja) 電子機器、商品識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92317A (ja) 画像読取記録装置および画像読取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2010033135A (ja) 画像表示装置
EP3288010A1 (en) Multimedia metab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