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632B1 -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632B1
KR101298632B1 KR1020110146598A KR20110146598A KR101298632B1 KR 101298632 B1 KR101298632 B1 KR 101298632B1 KR 1020110146598 A KR1020110146598 A KR 1020110146598A KR 20110146598 A KR20110146598 A KR 20110146598A KR 101298632 B1 KR101298632 B1 KR 101298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audio data
location information
audio
digital sig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927A (ko
Inventor
신수재
Original Assignee
신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수재 filed Critical 신수재
Priority to KR1020110146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6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AV(Audio/Video) 데이터에서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싸이니지(digital signage)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AV 데이터에서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와 위치 정보를 멀티플렉싱 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플렉스된 오디오 데이터와 위치 정보를 디멀티플렉싱 하는 단계와, 상기 디멀티플렉스된 오디오 데이터와 위치 정보를 맵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 각각을 식별하는 ID(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ID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선택된 ID에 대응하는 특정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METHOD FOR PROVIDING AUDIO SER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광고 시스템에 대한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하나의 디바이스 또는 동일한 공간에서 재생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품질 문제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기 어렵거나 또는 옥외 광고판, 자동차 극장 등의 환경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해서 전송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 매칭시키는 기술이 제시되지 못하였다.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 및 디지털 싸이니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솔루션이 없었다. 한편, 당해 명세서에서 서술된 디지털 싸이니지(digital signage)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 메뉴, 정보, 광고 및 기타 메시지를 보여 주는 전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가게, 호텔, 레스토랑, 일반 건물, 관공서, 지하철 등에 위치하며, LCD, 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싸이니지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제공하는 환경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디지털 싸이니지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와 일치율이 높은 오디오 데이터를 자동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세분화 하여 디지털 싸이니지와 맵핑된 오디오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UI 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AV(Audio/Video) 데이터에서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싸이니지(digital signage)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AV 데이터에서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와 위치 정보를 멀티플렉싱 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플렉스된 오디오 데이터와 위치 정보를 디멀티플렉싱 하는 단계와, 상기 디멀티플렉스된 오디오 데이터와 위치 정보를 맵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 각각을 식별하는 ID(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ID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선택된 ID에 대응하는 특정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하는 상기 단계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분류된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한 지역 단위별로 그룹핑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그룹핑된 지역 단위별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지역을 추출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추출된 특정 지역의 DB에만 포함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각각을 식별하는 ID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플렉싱을 위해 사용되는 위치 정보는,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가 위치하고 있는 물리적(physical) 어드레스 정보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물리적 어드레스 정보는, 경도값, 위도값 또는 고도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ID는, 오디오 데이터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채널 정보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 각각을 식별하는 ID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정보 처리 모듈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라, 상기 리스트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리스트 상의 특정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ID를 선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선택된 ID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서버에 전송하는 전송 모듈과,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과,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데이터 처리하는 오디오 프로세서와, 그리고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멀티플렉싱된 각각의 디지털 싸이니지별 위치 정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각각의 디지털 싸이니지간 거리값을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되는 리스트 상의 ID 순서를 변경하도록 설계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간 거리값을 표시하는 제1정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을 표시하는 제2정보를 상기 ID와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제공하는 환경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싸이니지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와 일치율이 높은 오디오 데이터를 자동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세분화 하여 디지털 싸이니지와 맵핑된 오디오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UI 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복수개의 디지털 싸이니지 환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싸이니지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그래픽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그래픽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그래픽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4그래픽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각각 다른 고도값을 가지는 복수개의 디지털 싸이니지 환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그래픽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100), 제1서버(110), 제2서버(120), 디지털 싸이니지(130), 그리고 PC(140) 등을 포함한다. 물론, 전술한 제1서버(110) 및 제2서버(120)를 결합하여 하나의 주체(entity)로서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디지털 싸이니지(130)에서 출력하는 비디오 영상만을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확인하는 것만 가능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싸이니지(130)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 또는 광고주 입장에서는 오디오 데이터도 함께 제공하고자 하는 니즈가 있다.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위치한 임의의 영역에서 디지털 싸이니지(130)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어떤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할지 안내하거나 최적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추천해 주는 솔루션이 그 동안 제시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 제시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안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과 마찬가지로 도 2 역시 모바일 디바이스(200), 제1서버(210), 제2서버(220), 디지털 싸이니지(230) 및 PC(240) 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제1서버(210)는 위치 기반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서버(220)는 위치 기반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하는 모듈들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임의의 AV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전술한 AV 데이터는 제1서버(210)내 디멀티플렉서(Demux)를 통해 역다중화 되고,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는 디지털 싸이니지(230)에 전송된다. 반면,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제1서버(210)내 멀티플렉서(Mux)로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각각 별도로 존재하여서 비디오 데이터는 디지털 싸이니지(230)로 직접 전송되고, 오디오 데이터는 제1서버(210)내 멀티플렉서로 직접 전송된다.
나아가, PC(240)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에 색인하고자 하는 채널 및 위치 정보를 제1서버(210)내 멀티플렉서로 전송한다. 전술한 채널 정보는 디지털 싸이니지(230)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ID 정보로 사용되며,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디지털 싸이니지(230)의 물리적 위치를 표시한다.
또한, 제1서버(210)내 전송 모듈은 멀티플렉싱된 채널 정보, 위치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2서버(220)의 위치 기반 오디오 데이터 수신 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제2서버(220)내 디멀티플렉서(Demux)는 오디오 데이터와 채널정보/위치정보를 분리하여 별도의 DB(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여러 개의 디지털 싸이니지들 중에서 특정 디지털 싸이니지(230)를 확인한 유저가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통해 위치 기반 채널 리스트를 제2서버(220)에 요청하는 경우, 제2서버(220)의 컨트롤러는 DB에 액세스 하여 특정 위치 기반 채널 리스트를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리스트 상에서 특정 오디오 데이터의 ID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제2서버(220)의 컨트롤러는 DB에 액세스 하여 특정 오디오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각각의 디지털 싸이니지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오디오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모두 수신할 필요가 없는 바, 전송 효율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DB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위치에 따라, 최적의 위치 기반 채널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 특유의 효과이다.
한편,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위치 기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다운로드 받은 것으로 가정한다. 나아가, 도 2에서는 광고주 또는 디지털 싸이니지의 관리자가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 PC(240)를 예시하였으나, 태플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대체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도 2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제2서버(220)가 인터넷으로 연결된다고 가정하였으나,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네트워크 기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도 3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서버와 제2서버를 통합하여 하나의 주체(entity)로 구현한 경우를 가정하였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AV(Audio/Video) 데이터에서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싸이니지(digital signage)에 전송한다(S301). 다만,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PC 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고, 또는 디지털 싸이니지가 기저장하고 있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디지털 싸이니지를 관리하는 유저가 PC 를 이용하여, 전술한 디지털 싸이니지의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S302). 도 3에서는 S302 단계에서 채널 정보를 배제하고 있으나, 도 2와 같이 채널 정보를 포함시키는 경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AV 데이터에서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와 위치 정보를 멀티플렉싱 한다(S303). 나아가, 상기 서버는 상기 멀티플렉스된 오디오 데이터와 위치 정보를 디멀티플렉싱 하고(S304), 상기 디멀티플렉스된 오디오 데이터와 위치 정보를 맵핑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S305).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S306),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 각각을 식별하는 ID(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한다(S307). 상기 ID는,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채널 정보에 대응하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ID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S308), 상기 선택된 ID에 대응하는 특정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S309).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305 단계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분류된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한 지역 단위별로 그룹핑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그룹핑된 지역 단위별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306 단계는,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계한다. 또한, 상기 S307 단계는, 상기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지역을 추출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추출된 특정 지역의 DB에만 포함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각각을 식별하는 ID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수십개 또는 수백개의 오디오 데이터 중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저가 현재 시청하고저 하는 디지털 싸이니지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게 추천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S303 단계의 멀티플렉싱을 위해 사용되는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가 위치하고 있는 물리적(physical) 어드레스 정보에 대응한다. 나아가, 상기 물리적 어드레스 정보는, 경도값, 위도값 또는 고도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특히, 고도값을 이용하는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무선 통신부(410), A/V(Audio/Video) 입력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센싱부(440), 출력부(450), 메모리(460), 인터페이스부(470), 제어부(480) 및 전원 공급부(4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41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다른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410)는 방송 수신 모듈(411), 이동통신 모듈(412), 무선 인터넷 모듈(413), 근거리 통신 모듈(414) 및 위치정보 모듈(4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4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4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4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4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4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4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4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4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421)와 마이크(4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4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4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4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4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4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4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4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4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44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개폐 상태,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4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4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440)는 근접 센서(4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451), 음향 출력 모듈(452), 알람부(453), 및 햅틱 모듈(4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4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4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4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4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4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4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4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4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480)는 디스플레이부(4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4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4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4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은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4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453)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4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451)나 음성 출력 모듈(4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451,452)은 알람부(4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4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4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4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4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54)은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460)는 제어부(4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4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4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47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모바일 디바이스(4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4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4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4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4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4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481)은 제어부(4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4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9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4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460)에 저장되고, 제어부(4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 4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주요 구성들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정보 처리 모듈(510), 메모리(520), 전송 모듈(530), 수신 모듈(540), 디스플레이 모듈(550), 오디오 프로세서(560), 출력 모듈(570),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580) 그리고 컨트롤러(590) 등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도 4를 참조하여 도 5를 보충 해석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
상기 수신 모듈(540)이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 각각을 식별하는 ID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50)은 수신된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위치 정보 처리 모듈(510)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500)의 위치를 계산하며, 상기 컨트롤러(59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5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리스트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580)은, 상기 리스트 상의 특정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ID를 선택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전송 모듈(530)은 상기 선택된 ID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서버에 전송한다.
나아가, 상기 수신 모듈(540)이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560)는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500)에서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데이터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 모듈(570)은,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56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예를 들어 디지털 싸이니지에 전송하고자 하는 AV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며, 동시에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의 위치 정보가 멀티플렉싱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경도값, 위도값 또는 고도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컨트롤러(590)는, 상기 멀티플렉싱된 각각의 디지털 싸이니지별 위치 정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500)와 각각의 디지털 싸이니지간 거리값을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50)을 통해 표시되는 리스트 상의 ID 순서를 변경하도록 설계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와 디지털 싸이니지간 거리에 따라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가장 근접한 디지털 싸이니지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ID를 리스트 최상단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50)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500)와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간 거리값을 표시하는 제1정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을 표시하는 제2정보를 상기 ID와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마지막으로, 도 5에 도시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500)는,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탑재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에 대응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 순서를 시간 흐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이며, 경우에 따라 일부 순서를 변경하거나 일부 단계를 삭제 또는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우선, 도 6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다운로드 한 것으로 가정하겠다. 관련 어플리케이션(App.)을 실행한 경우, 오디오 데이터를 식별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다(S610). 이 때 오디오 데이터를 식별하는 여러 가지 솔루션이 가능하며, 각 디지털 싸이니지에 할당된 채널 번호가 이용될 수도 있고 또는 위치 정보, 거리 정보, 고도 정보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는 GPS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고(S620), 위치에 따라 리스트를 변경하도록 설계된다(S630).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S610 단계 또는 상기 S630 단계의 리스트 상에서, 특정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ID(예를 들어, 채널 번호 또는 위치 정보)가 선택된 경우(S640), 모바일 디바이스는 특정 오디오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Request signal)를 외부 서버에 전송한다(S650).
모바일 디바이스는, 유저가 선호하는 디지털 싸이니지에 맵핑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S660),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데이터 처리 한 후(S670),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통해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S68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에서 도시한 S630 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전 도면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외부 서버로부터 디지털 싸이니지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가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GPS 센서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판단한 다음, 디지털 싸이니지와의 거리값을 계산한다(S701).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는 거리값에 대해 우선 순위를 자동으로 부여하며, 예를 들어 가장 근접한 디지털 싸이니지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ID에 1순위를 부여하고 리스트 상에서 최상단에 위치시킨다(S702). 따라서, 거리값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한 다음, 1-10순위의 리스트는 1번째 PAGE에 위치시키고, 11-20순위의 리스트는 2번째 PAGE에 위치시켜서,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보다 근접한 디지털 싸이니지의 오디오 데이터부터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점도 있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디지털 싸이니지간 거리값을 표시하는 제1정보 및 방향을 표시하는 제2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하며(S703),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솔루션은 크게 2가지 방식으로 정리해 볼 수가 있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서버에서 디지털 싸이니지별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에 맵핑된 디지털 싸이니지별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들을 재분류 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진구”에 위치하고 있는 디지털 싸이니지의 오디오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제1DB(810)를 구축하고, 또한 “강남구”에 위치하고 있는 디지털 싸이니지의 오디오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제2DB(820)를 구축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ID 리스트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해당 로컬 지역의 DB 만 액세스 한 다음, 사용자가 선호하는 리스트만 구성하여 전송한다.
한편, 도 8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보유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 리스트를 모두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상기 리스트에는 디지털 싸이니지의 위치 정보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GPS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km 이내)내 포함된 디지털 싸이니지의 오디오 데이터 ID 리스트만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서버에서 지역별, 그룹별 DB 를 별도로 구축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전술하여 설명한 2가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며, 통신 환경. 데이터베이스 등에 따라 당업자가 하나의 솔루션만 선택하거나 또는 2가지 솔루션을 결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복수개의 디지털 싸이니지 환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 도면이다. 이하, 도 9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복수개의 디지털 싸이니지 환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900)를 소지한 유저가 4개의 디지털 싸이니지(931, 932, 933, 934)가 위치하고 있는 임의의 환경에 놓여 있는 경우를 고려한다. 물론, 전술한 디지털 싸이니지들은 전술한 유저의 가시 거리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원거리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일부 디지털 싸이니지 화면이 가려져 있는 상황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하면, 디지털 싸이니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화면만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을 뿐, 오디오만 선택하거나 또는 복수개의 디지털 싸이니지 환경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솔루션이 개발되지 않았다.
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900)에 자신이 원하는 디지털 싸이니지의 번호(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Ch210번, Ch533번, Ch112번, Ch888번)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디지털 싸이니지의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9a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채널 번호 대신 QR 코드 등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을 차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전술한 도면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저의 편의성 및 정확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관련하여 도 10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싸이니지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디지털 싸이니지(931)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싸이니지(931)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비디오 화면만을 출력하지 않고 2개의 그래픽 옵션이 추가적으로 설계된다. 우선, 각각의 디지털 싸이니지에 부여된 고유 채널 번호(940)가 출력되고, 오디오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안내 메시지(950)가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은 유저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술한 채널 번호(940)를 간단히 입력함으로써, 해당 디지털 싸이니지(931)의 비디오와 함께 오디오 데이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그래픽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그래픽 화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도 9a에 도시된 환경이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하겠다.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서비스가 가능한 리스트를 수신 및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 때, 채널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 가이드를 위하여, 각 채널(오디오 데이터)의 디지털 싸이니지를 설명하는 안내 메시지(xx 일보 옥외광고, rr 주민센터, gg 지하철역, hhh 시청)가 함께 출력된다.
따라서, 도 10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유저는, 채널 번호로 1차 확인이 가능하고, 디지털 싸이니지의 식별 정보로 2차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리스트는 특별한 순서 없이 소팅(sorting)된 경우를 가정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그래픽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달리, 도 11은 일정한 순서로 리스트 상의 ID가 변경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소지하고 있는 유저와 xx 일보는 100m 이격되어 있고, rr 주민센터는 150m 이격되어 있고, hhh 시청은 50m 이격되어 있으며, gg 지하철역은 420m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이 때, 사용자의 입장에서 현재 가장 지리적으로 가깝고 눈으로 디지털 싸이니지를 확인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은 가장 근접한 hhh 시청일 확률이 높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과 달리 hhh 시청의 오디오 데이터 ID(1100)를 리스트 최상단에 위치시킨다. 나머지 디지털 싸이니지들도 거리값을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것부터 가장 멀리 있는 순으로 위치를 조정하였다(예를 들어, 1번째 ID(hhh 시청, 50m), 2번째 ID(xx 일보, 100m) 3번째 ID(rr 주민센터, 150m), 4번째 ID(gg 지하철역, 420m).
한편, 도 10 및 도 11에서는 리스트 상에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암시를 주는 그래픽이 없어서 사용자에게 다소의 어려움을 줄 수도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도 12 이하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그래픽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9a의 상황을 가정하고,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실행시킨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를 별도의 채널로 제공하는 디지털 싸이니지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이전 도면들과 달리 모바일 디바이스와 각각의 디지털 싸이니지간 위치 관계를 보다 상세히 표시하도록 설계된다. 우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기준으로 디지털 싸이니지의 방향을 표시하는 제1정보(1200) 및 거리를 표시하는 제2정보(1210)가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달리 사용자가 바로 앞에 있는 디지털 싸이니지 뿐만 아니라 원격에 위치한 디지털 싸이니지의 오디오 데이터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구체적인 방향을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디지털 싸이니지 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기술적 효과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4그래픽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3의 (a)에 도시된 리스트는 이전 도 12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소지한 유저는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서 채널 210번의 디지털 싸이니지(931)가 위치한 xx 일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였다고 고려해 보겠다.
이 때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의 순서 및 방향/거리 등의 세부 항목들이 자동으로 변경된다.
즉, 도 13의 (a)에서는 채널 888번의 디지털 싸이니지와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장 근접한 거리(50m)였으나, 유저(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으로 인하여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210번의 디지털 싸이니지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가장 가까워진 상태이므로 채널 210번이 리스트 가장 상단에 위치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각각 다른 고도값을 가지는 복수개의 디지털 싸이니지 환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 도면이다. 이전 도면들에서는 위치 정보 중 위도/경도에 기초하여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반면, 도 14에서는 복수개의 디지털 싸이니지의 고도값이 다른 경우의 솔루션을 제안하도록 하겠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건물은 각 층마다 5m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총 3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 층마다 한 대씩의 디지털 싸이니지들(1400, 1410, 1420)이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위도값, 경도값 만으로는 복수개의 디지털 싸이니지들을 구별할 수가 없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유저가 2층의 디지털 싸이니지 앞에 머무르고 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2층의 디지털 싸이니지(1400)와, 다른 층의 디지털 싸이니지들(1410, 1420)을 식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그래픽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가정하고, 도 15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의 리스트를 제공한다. 종전 도면들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 방향으로 3m 정도에 채널 321번의 디지털 싸이니지가 존재하고, 동일하게 좌측 방향 3m 정도에 채널 400번의 디지털 싸이니지가 존재하고, 또한 동일하게 좌측 방향 3m 정도에 채널 75번의 디지털 싸이니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안내한다.
다만, 도 15에 의한 실시예는, 고도값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가 추가 설계된다. 즉, 채널 400번의 디지털 싸이니지는 +5m 의 고도값(1421)임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머물고 있는 현재 층보다 상위 층에 별도의 디지털 싸이니지가 존재함을 예측할 수가 있다.
또한, 채널 75번의 디지털 싸이니지는 -5m 의 고도값(1411)임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머물고 있는 현재 층보다 하위 층에 별도의 디지털 싸이니지가 존재함을 예측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채널 321번의 디지털 싸이니지는 0m 고도차이(1401)임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층을 이동하지 않고, 현재 층에서 해당 디지털 싸이니지의 비디오와 오디오를 동시에 이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가 있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오디오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삽입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에 따라 최적화된 오디오 데이터 ID 리스트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오디오 데이터는 디지털 싸이니지별로 맵핑되어 있으며, 이를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채널 정보를 정의함에 일특징이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00 : 모바일 디바이스
110 : 제1서버
120 : 제2서버
130 : 디지털 싸이니지
140 : PC

Claims (14)

  1.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V(Audio/Video) 데이터에서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싸이니지(digital signage)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AV 데이터에서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와 위치 정보를 멀티플렉싱 하는 단계;
    상기 멀티플렉스된 오디오 데이터와 위치 정보를 디멀티플렉싱 하는 단계;
    상기 디멀티플렉스된 오디오 데이터와 위치 정보를 맵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기반 오디오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 각각을 식별하는 ID(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ID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선택된 ID에 대응하는 특정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상기 단계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한 지역 단위별로 그룹핑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그룹핑된 지역 단위별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지역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추출된 특정 지역의 DB에만 포함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각각을 식별하는 ID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싱을 위해 사용되는 위치 정보는,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가 위치하고 있는 물리적(physical) 어드레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어드레스 정보는,
    경도값, 위도값 또는 고도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D는,
    오디오 데이터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채널 정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 각각을 식별하는 ID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정보 처리 모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라, 상기 리스트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리스트 상의 특정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ID를 선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선택된 ID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서버에 전송하는 전송 모듈;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데이터 처리하는 오디오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
    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디지털 싸이니지에 전송하고자 하는 AV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며, 동시에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의 위치 정보가 멀티플렉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의 위치 정보는,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경도값, 위도값 또는 고도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멀티플렉싱된 각각의 디지털 싸이니지별 위치 정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각각의 디지털 싸이니지간 거리값을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되는 리스트 상의 ID 순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간 거리값을 표시하는 제1정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초로 하여, 상기 디지털 싸이니지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을 표시하는 제2정보를 상기 ID와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된 모바일 디바이스.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탑재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10146598A 2011-12-30 2011-12-30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101298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598A KR101298632B1 (ko) 2011-12-30 2011-12-30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598A KR101298632B1 (ko) 2011-12-30 2011-12-30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927A KR20130077927A (ko) 2013-07-10
KR101298632B1 true KR101298632B1 (ko) 2013-08-21

Family

ID=4899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598A KR101298632B1 (ko) 2011-12-30 2011-12-30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6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365B1 (ko) * 2014-01-15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경형 단말기 및 안경형 단말기와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694059B1 (ko) * 2015-09-14 2017-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위치 정보를 이용한 차량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393336B1 (ko) * 2018-03-16 2022-05-0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065A (ja) * 1996-12-06 199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音声多重化データ編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62457Y1 (ko) 2004-06-09 2004-09-21 최석천 휴대폰을 이용한 옥외 방송단말의 오디오신호 청취 장치
KR20060026009A (ko) * 2003-04-07 2006-03-22 폴 포니아토우스키 정보 분배 시스템 및 오디오 피드 제공 시스템
KR20060070780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옥외 전광판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065A (ja) * 1996-12-06 199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音声多重化データ編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60026009A (ko) * 2003-04-07 2006-03-22 폴 포니아토우스키 정보 분배 시스템 및 오디오 피드 제공 시스템
KR200362457Y1 (ko) 2004-06-09 2004-09-21 최석천 휴대폰을 이용한 옥외 방송단말의 오디오신호 청취 장치
KR20060070780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옥외 전광판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927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80576B (zh) 手表型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174043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객체 관련 정보 관리 방법
EP2395326A2 (en) Method for guiding rout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80284964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105719560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02469212B (zh) 移动终端及其元数据应用方法
EP28066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using messenger
KR1016749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7881662B2 (en) System for information contextual distribution simultaneously in a public and individual mode
KR101692433B1 (ko)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영상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US2016014730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6465052A (zh) 将用户设备装置与合作装置自动连接
KR102130799B1 (ko) 와치형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298632B1 (ko)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2011013371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2927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3365B1 (ko) 잠금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116619A (ko) 단말 및 서버를 이용한 가상 led 전광판
KR2011003724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업로드 방법
KR10177772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30006156A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1013277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4723A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51014A (ko) 컨텐츠 스케줄링을 제어하는 사이니지 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227411A (zh) 电子设备及信息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