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113B1 - 풀림방지 너트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풀림방지 너트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113B1
KR101298113B1 KR1020130025007A KR20130025007A KR101298113B1 KR 101298113 B1 KR101298113 B1 KR 101298113B1 KR 1020130025007 A KR1020130025007 A KR 1020130025007A KR 20130025007 A KR20130025007 A KR 20130025007A KR 101298113 B1 KR101298113 B1 KR 101298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loosening
main body
male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복
Original Assignee
이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복 filed Critical 이종복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64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with the threaded portions of the nut engaging the thread of the bolt by pressing or rotating an external retaining member such as a cap, a nut, a ring or a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member penetrating the screw-threaded surface of at least one part, e.g. a pin, a wedge, cotter-pin,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member penetrating the screw-threaded surface of at least one part, e.g. a pin, a wedge, cotter-pin, screw
    • F16B39/0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member penetrating the screw-threaded surface of at least one part, e.g. a pin, a wedge, cotter-pin, screw with a pin or staple parallel to the bol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16B39/12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causing radial forces on the bolt-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4Locking by means of elastic de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主)암나사부를 구비한 너트 본체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조임볼트와 같은 조임수단을 이용하여 절개부의 틈새를 좁혀(암나사산의 피치를 줄이거나 주(主)암나사부의 내경을 줄여) 체결딘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구성하여 단순하고 단가경쟁력이 우수하면서도 품질이 우수하여 상호 체결된 볼트와 너트가 풀리면 안되는 적용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또 이러한 풀림방지 너트를 응용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다이어프램이 내장된 밸브케이싱에 나사결합되어 다이어프램의 변위 허용치를 조절하는 조절스크류의 조절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는 상하 방향 체결공과, 이 체결공 내주면에 형성된 주(主)암나사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를 경계로 제1변위체와 제2변위체 나뉘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절개부의 틈새 간격을 좁히는 조임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풀림방지 너트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LOOSE STOP NUT AND FIXING ASSEMBLY FOR CONTROL VALVE}
본 발명은 풀림방지 너트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主)암나사부를 구비한 너트 본체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조임볼트와 같은 조임수단을 이용하여 절개부의 틈새를 좁혀(암나사산의 피치를 줄이거나 주(主)암나사부의 내경을 줄여) 체결된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구성하여 단순하고 단가경쟁력이 우수하면서도 품질이 뛰어나 상호 체결된 볼트와 너트가 풀리면 안 되는 적용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또 이러한 풀림방지 너트를 응용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다이어프램이 내장된 밸브케이싱에 나사결합되어 다이어프램의 변위 허용치를 조절하는 조절스크류의 조절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풀림방지형 너트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10-2005-0115213호(공개일자 2005년12월07일) [풀림방지용 너트]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기계장치 등의 부재를 조립하거나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너트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에 체결되는 삽입링이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상기 너트를 일측방향으로 밀어 로크너트의 기능을 하게 함으로써, 상기 볼트와 너트의 나사산 간의 유격을 완전히 제거하여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한 풀림방지용 너트를 제시하고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1007300호(등록일자 2011년01월04일) [풀림방지용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볼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두 개의 피고정물을 고정하는 간격조절너트가 피고정물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너트의 걸림돌기에 풀림방지부재의 회전방지날개가 고정되어 간격조절너트가 피고정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하는 동시에 풀림방지부재의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의 걸림돌기에 풀림방지부재의 회전방지날개가 고정되어 고정너트가 풀리지 않도록 회전을 제어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풀림방지용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 특허는 모두 별도의 와셔형 부품을 사용하여 그 탄성 등의 도움으로 풀림방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열병합 발전소 등의 보일러 설비 등과 같이 상시, 그리고 큰 진폭의 진동이 발생되는 부위에 적용하기에는 풀림방지 확실성에서 문제가 있고, 유지보수 등을 위한 풀림-결합의 반복시 부품의 파손으로 인하여 풀림방지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공개 제10-2011-0135364호(공개일자 2011년12월16일) [풀림방지 태엽형 스프링 너트]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볼트와 너트는 기기와 구조물에 기계적인 요소들을 결합하는데 널리 사용되고있으며 너트의 주된역활은 볼트축방향의 힘을 유지하며, 특히 결합용나사는 접촉면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스스로 풀어지지 않도록 설계되어있으나 진동과 충격을받으면 순간적으로 접촉압력이 감소되어 마찰력이 거의 없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 나사가 풀리게 되어 결합된 구조물 및 기기가 해체되어 크나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풀림방지 태엽형 스프링 너트를 제시하고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1179531호(등록일자 2012년08월29일) [풀림방지 너트 및 그 제조방법]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지속적인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지는 환경에서 사용되더라도 쉽게 풀리지 않아 안정적인 풀림방지 너트 및 그 너트를 제시하고자 몸체가 나선형을 이루어 탄성을 가지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에 결합되는 풀림방지 너트를 제안하여, 나선형의 너트 몸체가 볼트를 강하게 감아주면서 결합될 뿐만 아니라 나선형의 몸체가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하면서 너트와 볼트에 형성되어 있는 나산산 끼리 강하게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되고, 외부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적으로 외력을 흡수하게 되므로 쉽게 풀리지 않게 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그러니 이 두 종래 특허는 너트가 갖는 스프링 탄성에 의하여 풀림 방지를 도모하는 것으로 역시 열병합 발전소 등의 보일러 설비 등과 같이 상시, 그리고 큰 진폭의 진동이 발생됨과 동시에 열까지 전달되는 경우 스프링 타입 너트의 탄성이 열변형에 의하여 약해지는 문제점까지 해결할 수 없는 것이에서 다양한 분야에 범용적으로 적용하기에는 풀림방지 확실성에서 문제가 있고, 단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제조방법의 제시가 어려워 활성화되기 어려운 기술이다.
이에 본 발명은 너트 본체에 형성된 절개부의 틈새를 좁혀(암나사산의 피치를 줄이거나 주(主)암나사부의 내경을 줄여) 체결된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구성하여 단순하고 단가경쟁력이 우수하면서도 품질까지 뛰어난 풀림방지 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풀림방지 너트 본체의 절개부를 좁히는 조임수단으로 조임볼트를 도입하고, 절개부를 경계로 나뉘는 제1변위체 또는 제2변위체에 조임볼트가 체결되는 부(副)암나사부를 형성하되, 부(副)암나사부의 형성방향은 주(主)암나사부의 형성방향과 평행(조임볼트를 조이면 암나사산의 피치를 줄여 풀림방지 효과를 얻는다)하거나 엇갈리는 방향(조임볼트를 조이면 주(主)암나사부의 내경을 줄여 풀림방지 효과를 얻는다)일 수 있도록 한 풀림방지 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유로를 개폐하는 다이어프램이 내장된 밸브케이싱에 나사결합되어 다이어프램의 변위 허용치를 조절하는 조절스크류의 조절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풀림방지 너트의 개념을 적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풀림방지 너트와 함께 나사결합 부위에 별도로 탄성링을 더 도입하여 이중 풀림방지 기능이 구현되도록 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는
상하 방향 체결공과, 이 체결공 내주면에 형성된 주(主)암나사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를 경계로 제1변위체와 제2변위체 나뉘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절개부의 틈새 간격을 좁히는 조임수단;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에서 상기 조임수단은 제1변위체 또는 제2변위체,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된 부(副)암나사부에 결합되어 주(主)암나사부를 변형시키는 조임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부(副)암나사부의 형성방향은 주(主)암나사부의 형성방향과 평행하거나 엇갈리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의 개념을 적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는
유로를 개폐하는 다이어프램이 내장된 밸브케이싱에 나사결합되어 다이어프램의 변위 허용치를 조절하는 조절스크류의 조절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밸브케이싱에 결합되고 제1-1암나사부를 갖는 장착체;
내부 주(主)암나사부와, 제1-1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외부 제2-1수나사사부와, 외부 제2-2수나사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제2-1수나사사부 또는 제2-2수나사부, 또는 이들 모두의 단부에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경계로 제1변위체와 제2변위체 나뉘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절개부의 틈새 간격을 좁히는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풀림방지 너트; 및
상기 풀림방지 너트 본체의 주(主)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제3수나사부와, 장착체의 의하여 둘러싸인 조절스크류와 접촉하는 잠금단부를 갖는 풀림방지 고정볼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의 개념을 적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에서
상기 풀림방지 너트의 절개부는 제2-2수나사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제2-2수나사부의 단부의 외경사부와, 상기 제2-2수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경사부를 가압하는 내경사부를 갖는 조임너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2수나사부의 절개부와 중첩되는 부위에는 환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홈에는 탄성링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는 너트 본체의 절개부를 좁히는 조임수단으로 조임볼트를 도입하고, 절개부를 경계로 나뉘는 제1변위체 또는 제2변위체에 조임볼트가 체결되는 부(副)암나사부를 형성하되, 부(副)암나사부의 형성방향은 주(主)암나사부의 형성방향과 평행(조임볼트를 조이면 암나사산의 피치를 줄여 풀림방지 효과를 얻는다)하거나 엇갈리는 방향(조임볼트를 조이면 주(主)암나사부의 내경을 줄여 풀림방지 효과를 얻는다)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의 개념을 적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는 유로를 개폐하는 다이어프램이 내장된 밸브케이싱에 나사결합되어 다이어프램의 변위 허용치를 조절하는 조절스크류의 조절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풀림방지 너트의 개념을 적용하고, 나아가 풀림방지 너트와 함께 나사결합 부위에 별도로 탄성링을 더 도입하여 이중 풀림방지 기능이 구현되도록 하여, 결국 풀림방지 너트 본체에 형성된 절개부의 틈새를 좁혀(암나사산의 피치를 줄이거나 주(主)암나사부의 내경을 줄여) 체결된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구성하여 단순하고 단가경쟁력이 우수하면서도 품질까지 뛰어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에 대한 사시도 및 도면대용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를 이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및 도면대용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를 이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의 정면도, 단면도 및 도면대용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제3~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본체(10)와, 이 본체에 형성된 절개부(15)와, 이 절개부의 틈새 간격을 좁히는 조임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 중 도 1 [A]의 너트(N1)의 본체(10)는 상하 방향 체결공(11)과, 이 체결공 내주면에 형성된 주(主)암나사부(13)을 갖는다.
또 상기 본체(10)는 절개부(15)를 경계로 제1변위체(10A)와 제2변위체(10B)로 나뉘며, 상기 절개부(15)는 제1변위체(10A)와 제2변위체(10B)를 분리시키는 이격 틈새를 제공하며,
조임수단에 의하여 이 이격 틈새가 좁아질 수 있다.
제1변위체(10A)와 제2변위체(10B)는 조임수단(20), 특히 조임볼트(21)의 조임 조작에 따라 상대적으로 틈새를 좁히며 서로에게 접근하는 형태로 움직이는데, 어느 하나가 좀 더 쉽게 움직이도록 하나는 크고 하나는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도면에서는 제1변위체(10A)가 제2변위체(10B) 보다 작다.
특히 상기 절개부(15)는 본체(10)의 외주면에서 체결공까지(11) 절단한 형태로, 대략 육각 외주면의 3변에 걸쳐 형성되며, 정면 관찰시 대략 한글 자음 'ㄴ'자 형상을 갖고, 본체(10)의 높이 중 상부에 치우쳐 배열되어 있다.
상기 조임수단(20)은 제1변위체(10A) 또는 제2변위체(10B),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된 부(副)암나사부에 결합되어 주(主)암나사부(13)를 변형(즉 제1변위체(10A)가 하강하여 절개부(15)를 좁히는 형태로 움직임)시키는 조임볼트(21)이다.
제조 용이성을 고려하여 제1변위체(10A)에는 조임볼트(21)가 관통 결합되는 단순 통공(10a)(필요시 이 또한 나사공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이 형성되고, 제2변위체(10B)에 부(副)암나사부(10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 1 [A]에서 부(副)암나사부(10b)의 형성방향은 주(主)암나사부(13)의 형성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조임볼트(21)의 조임 조작에 따라 상대적으로 절개부(15)의 틈새가 좁아지면서 제1변위체(10A)가 제2변위체(10B) 쪽으로 하강하게 되고,
체경공(11) 내주면 주암나사부(13) 중 제1변위체(10A) 영역의 암나사산의 피치가 줄게 되므로 결합된 볼트의 수나사산을 클램핑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풀림방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조임볼트(21)의 헤드는 본체의 수용리세스(10C)에 안착되므로 결합상태에서 본체(10) 외주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필요에 따라 조임볼트(21) 자체의 풀림방지를 위하여 와셔나 탄성 고무링 등을 개재한 상태로 부암나사부(10b)에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B]에 도시된 풀림방지 너트(N2)는 도 1 [A]의 너트(N1)와 대동 소이한 것으로 공통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두 너트(N1)(N2)의 주요 차이점은 부(副)암나사부(10b)의 형성방향이 주(主)암나사부(13)의 형성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체(10) 체결공(11)의 수직 형성방향과 같이 도 1 [A]의 너트(N1)의 부암나사부(10b)는 수직방향임에 비하여
도 1 [B]에 도시된 풀림방지 너트(N2)의 부암나사부(10b)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부암나사부의 형성방향은 사선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도 1 [B]의 풀림방지 너트(N2)는 조임볼트(21)를 조이면 주(主)암나사부(13)의 내경을 좁히는 방향으로 제1변위체(10A)가 변위되어 줄여 풀림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도 1 [B]의 풀림방지 너트(N2) 구조에서, 조임볼트(21)를 조임에 따라
제2변위체(10B)에 대하여 제1변위체(10A)가 움직여 제1변위체(10A)와 중첩되는 주암나사부(13)를 좁히고,
한글 자음 'ㄴ'자 형상의 절개부(15)가 갖는 수직 틈새와 수평틈새 중 수직 틈새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도 1 [A] 및 도 1 [B]의 풀림방지 너트(N1)(N2) 모두 본체(10) 저면에는 환홈(10c)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홈에는 탄성링(19)이 결합되어
볼트에 너트(N1)(N2)를 체결한 상태에서 절개부(15) 틈새 간격의 변위가 조임볼트(21)에 의하여 좁아져 주된 풀림방지 효과를 얻는 방식 외에도
보조적으로 탄성링의 탄성에 의하여 볼트와 체결된 너트(N1)(N2)의 풀림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를 이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A)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어셈블리(A)는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병발전소 등에서 유로를 개폐하는 다이어프램(V1)이 내장된 밸브케이싱(V)에 나사결합되어 다이어프램(V1)의 변위 허용치를 조절하는 조절스크류(V2)의 조절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 조절스크류(V2)의 조절·셋팅된 상태가 풀리는 경우 유량의 과대 또는 과소 유통으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되는바,
특히 충격, 진동, 열팽창, 압력 변화 등의 외부 상황 변화에도 셋팅 상태가 확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밸브케이싱(V) 내암나사부(Va)가 형성된 결합돌기위 외수나사부(Vb)에 장착체(30), 특히 캡 타입 장착체(30)가 하부 제1-2암나사부(33)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캡 타입 장착체(30)를 밸브케이싱(V)에 체결하는 것은 밸브케이싱(V) 내암나사부(Va)에 결합되는 조절스크류(V2)를 회전하여 다이어프램(V1)의 변위 허용치를 조절한 후 이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체(30)가 일측 제1-1암나사부(31)에는 조절·셋팅된 조절스크류(V2)의 헤드(V2a)와 접촉하는 잠금단부(43)를 갖는 풀림방지 고정볼트(40)가 체결된 풀림방지 너트(Nm)가 체결된다.
도 1과는 다른 구조이나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이해를 돕고자 도 2 [B] [C] [D]와 도 3 [C] [D] [E]에는 샘플 사진을 첨부함) 이 변형 풀림방지 너트(Nm)는 역시
체결공(11m)의 내부, 즉 내주면에 형성된 주(主)암나사부(13m)와, 제1-1암나사부(31)에 결합되는 외부 제2-1수나사사부(17A)와, 외부 제2-2수나사부(17B)를 갖는 본체(10m)와,
상기 제2-1수나사사부(17A) 또는 제2-2수나사부(17B), 또는 이들 모두의 단부(도면에서는 제2-2수나사부(17B)에 형성됨)에 형성된 절개부(15m)와,
상기 절개부를 경계로 제1변위체와 제2변위체 나뉘는 상기 본체(10m)에 대하여 절개부의 틈새 간격을 좁히는 조임수단(20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서 제1변위체와 제2변위체는 별도 참조부호로 지칭하지 않고 있으며, '제1' 및 '제2'가 2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절개부(15m)를 경계로 구분되어 있고, 조임수단에 의하여 절개부 틈새 간격을 좁히는 형태로 변위되는 부재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 도 2에서 상기 너트(Nm) 본체(10m)는 제2-1수나사사부(17A)와 제2-2수나사부(17B) 사이에 공구결합부(17C)를 가져 조임너트(13)와의 결합이나, 장착체(30)와의 결합 용이성을 확보하고 있다.
나아가 절개부(15m)(십자형태로 4개 구비됨)가 형성된 제2-2수나사부(17B)에는 보조적으로 환홈(17b)에 탄성링(19m)이 결합되어
보조적으로 탄성링의 탄성에 의하여 조임너트(23)와 체결된 풀림방지 너트(Nm)의 풀림방지 효과를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링(19m) 외에도 조임수단(20m)은 제2-2수나사부(17B) 단부의 외경사부(17a)와, 이 외경사부를 가압하여 절개부(15m)의 틈새 간격을 좁히게 되는 조임너트(23), 특히 조임너트의 내경사부(23)를 더 포함한다.
이 제2-2수나사부(17B) 단부의 외경사부(17a)와 조임너트(23)의 내경사부(23)가 탄성링(19m)과 대비하여 주된 풀림방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조절·셋팅된 조절스크류(V2)의 조절 완료 상태를 확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장착체(30)가 제1-2암나사부(33)를 통하여 밸브케이싱(V)의 외수나사부(Vb)에 고정된 상태에서
풀림방지 너트(Nm) 본체(10m)의 체결공(11m) 내주면의 주(主)암나사부(13m)에 미조절상태로 고정볼트(40)의 제3나사부(41)를 체결하고,
너트(Nm) 본체(10m)의 제2-1수나사부(17A)를 장착체(30)의 제1-1암나사부(31)에 체결한 상태에서(이때 제2-1수나사부(17A)와 제1-1암나사부(31)는 다른 고정어셈블리(A)의 암수나사가 오른나사 방식임에 비하여 왼나사 형태, 즉 상호 나사 형성방향을 반대로 하여 조립성을 개선하고 조절스크류(V2) 조절상태 고정작업시의 오류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단부의 공구결합부(45)(육각 헤드 타입)를 활용하여 고정볼트(40)를 돌려 잠금단부(43)가 조절스크류(V2)의 헤드(V2a)와 접촉하도록 하여 조절·셋팅된 조절스크류(V2)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볼트(40)는 제3수나사부(41) 뭉치와 잠금단부(43)를 구성하는 뭉치가 볼타입 유니버설조인트(41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 다양한 상황,
예를 들어 고정볼트(40)의 제3수나사부(41) 축선이 조절스크류(V2)의 육각 헤드(V2a) 모서리와 만나는 상황에서도
제3수나사부(41) 단부의 유니버설조인트(41a)로 인하여 잠금단부(43) 뭉치가 임의로 움직일 수 있어 결국 잠금단부(43)의 좌측단 접촉면이 조절스크류(V2)의 육각 헤드(V2a) 면과 상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풀림방지 너트(Nm) 본체(10m)의 제2-2수나사부(17B)에 조임너트(13)의 제2암나사부(23B)를 체결하면
1차적으로 제2-2수나사부(17B) 단부의 외경사부(17a)와 조임너트(23)의 내경사부(23)가 만나면서 외경사부를 가압하여 절개부(15m)의 틈새 간격을 좁히게 되고, 변형된 변위체가 고정볼트(40)의 해당면을 가압하게 되어 풀림방지효과를 얻게 되고(외경사부(17a) 부분의 체결공(11m) 내주면에도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면 암나사산이 고정볼트(40)의 해당 제3수나사부(41)를 클램핑하는 형태로 풀림방지효과가 얻어진다),
2차적으로 조임너트(23)의 내경사부(23)가 너트(Nm) 본체(10m)의 제2-2수나사부(17B)의 절개부(15m)가 중첩 형성된 환홈(17b)에 결합된 탄성링(19m)을 가압하게 되고, 이 탄성링의 탄성에 의하여 보조적이고 추가적으로 풀림방지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추가적인 조절스크류(V2)의 조절시에는 조립, 고정 순서 역순으로 분해 후 재조절 후 재조립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컨트롤 밸브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풀림방지 너트 및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를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N1,N2,Nm: 풀림방지 너트 A: 고정 어셈블리
10,10m: 본체 11,11m: 체결공
13,13m: 주(主)암나사부 15,15m: 절개부
17Am17B: 수나사부 17a: 외(外)경사부
19,19m: 탄성링 20,20m: 조임수단
23: 조임너트 23A: 내경사부
30: 장착체 31,33: 암나사부
40: 고정볼트 41: 제3수나사부
43: 잠금단부 45: 공구결합부
V: 밸브케이싱 V1: 다이어프램
V2: 조절스크류 V2a: 헤드

Claims (4)

  1. 유로를 개폐하는 다이어프램(V1)이 내장된 밸브케이싱(V)에 나사결합되어 다이어프램(V1)의 변위 허용치를 조절하는 조절스크류(V2)의 조절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밸브케이싱(V)에 결합되고 제1-1암나사부(31)를 갖는 장착체(30);

    내부 주(主)암나사부(13m)와, 제1-1암나사부(31)에 결합되는 외부 제2-1수나사부(17A)와, 외부 제2-2수나사부(17B)를 갖는 본체(10m)와,
    상기 제2-1수나사사부(17A) 또는 제2-2수나사부(17B), 또는 이들 모두의 단부에 형성된 절개부(15m)와,
    상기 절개부(15m)를 경계로 제1변위체와 제2변위체 나뉘는 상기 본체(10m)에 대하여 절개부의 틈새 간격을 좁히는 조임수단(20m)을 포함하는 풀림방지 너트(Nm); 및

    상기 풀림방지 너트(Nm) 본체(10m)의 주(主)암나사부(13m)에 결합되는 제3수나사부(41)와, 장착체(30)의 의하여 둘러싸인 조절스크류(V2)와 접촉하는 잠금단부(43)를 갖는 풀림방지 고정볼트(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 너트(Nm)의 절개부(15m)는 제2-2수나사부(17B)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임수단(20m)은
    상기 제2-2수나사부(17B)의 단부의 외경사부(17a)와,
    상기 제2-2수나사부(17B)에 결합되고, 상기 외경사부(17a)를 가압하는 내경사부(23)를 갖는 조임너트(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 너트(Nm) 본체(10m)에는
    제2-1수나사사부(17A)와 제2-2수나사부(17B) 사이에 공구결합부(17C)를 더 구비하고,
    저면에는 환홈(17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홈(17b)에는 탄성링(19m)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 너트(Nm)는
    상기 장착체(30)가 제1-2암나사부(33)를 통하여 밸브케이싱(V)의 외수나사부(Vb)에 고정된 상태에서
    풀림방지 너트(Nm) 본체(10m)의 체결공(11m) 내주면의 주(主)암나사부(13m)에 미조절상태로 고정볼트(40)의 제3나사부(41)를 체결하고,
    상기 풀림방지 너트(Nm) 본체(10m)의 제2-1수나사부(17A)를 장착체(30)의 제1-1암나사부(31)에 체결한 상태에서, 우측단부의 공구결합부(45)(육각 헤드 타입)를 활용하여 고정볼트(40)를 돌려 잠금단부(43)가 조절스크류(V2)의 헤드(V2a)와 접촉하도록 하여 조절·셋팅된 조절스크류(V2)를 고정하며,
    상기 풀림방지 너트(Nm) 본체(10m)의 제2-2수나사부(17B)에 조임너트(13)의 제2암나사부(23B)를 체결하면
    1차적으로 제2-2수나사부(17B) 단부의 외경사부(17a)와 조임너트(23)의 내경사부(23)가 만나면서 외경사부를 가압하여 절개부(15m)의 틈새 간격을 좁히게 되고, 변형된 변위체가 고정볼트(40)의 해당면을 가압하게 되어 풀림방지효과를 얻게 되고
    2차적으로 조임너트(13)의 내경사부(23)가 너트(Nm) 본체(10m)의 제2-2수나사부(17B)의 절개부(15m)가 중첩 형성된 환홈(17b)에 결합된 탄성링(19m)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
KR1020130025007A 2013-01-31 2013-03-08 풀림방지 너트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 KR101298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244 2013-01-31
KR20130011244 2013-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113B1 true KR101298113B1 (ko) 2013-08-19

Family

ID=4922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007A KR101298113B1 (ko) 2013-01-31 2013-03-08 풀림방지 너트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1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910A (ko) * 2014-09-24 2016-04-01 금호전기주식회사 아크튜브 실링장치
US9646799B1 (en) 2016-01-15 2017-05-09 Kumho Electric, Inc. Apparatus for sealing arc-tube
KR20220014126A (ko) 2020-07-28 2022-02-04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선로전환장치에 사용되는 풀림방지부 및 그 풀림방지부용 해정공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934A (ja) * 2002-02-15 2003-08-27 Fujii Toshiyuki 締め付け力を維持するナ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934A (ja) * 2002-02-15 2003-08-27 Fujii Toshiyuki 締め付け力を維持するナッ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910A (ko) * 2014-09-24 2016-04-01 금호전기주식회사 아크튜브 실링장치
KR101685670B1 (ko) * 2014-09-24 2016-12-12 금호전기주식회사 아크튜브 실링장치
US9646799B1 (en) 2016-01-15 2017-05-09 Kumho Electric, Inc. Apparatus for sealing arc-tube
KR20220014126A (ko) 2020-07-28 2022-02-04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선로전환장치에 사용되는 풀림방지부 및 그 풀림방지부용 해정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7880B2 (en) Locking mechanisms with substrate-fixed washers
US10215217B2 (en) Locking fastener with deflectable lock
US9841046B2 (en) Locking fastener with deflectable lock
CN107740807B (zh) 一种利用锥形螺纹锁紧的组合防松螺母
TW201823062A (zh) 周向鎖止機構、包括此周向鎖止機構的電池鎖定裝置、動力電池包及車輛
US11598364B2 (en) Locking mechanisms with deflectable lock member
EP2079561B1 (en) Fasteners and spacer rings therefor
CN110573755A (zh) 具有可偏转锁止件的锁止紧固件
KR101298113B1 (ko) 풀림방지 너트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
EP2837840B1 (en) Shaft coupl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shafts
KR20150108741A (ko) 프로파일 클램프
KR102048634B1 (ko)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내진용 볼트너트 체결장치
CN108603539A (zh) 耦接环
US11306850B2 (en) Connecting device for corrugated pip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US20140314515A1 (en) Threaded Component Locking Mechanism
KR20140115546A (ko) 풀림방지 너트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밸브용 고정 어셈블리
KR101495390B1 (ko) 구조 유닛
US11162525B2 (en) External thread member
JP5908798B2 (ja) 連結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装置
US10539259B2 (en) Locking ratchet effect clamp
US9217458B2 (en) Prevailing torque locknut
RU2781164C2 (ru) 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ьбового элемент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айки
JP2023175593A (ja) 緩み止めナット
KR101468815B1 (ko) 풀림 방지용 로크너트 조립체
CA3116333A1 (en) Locking mechanisms with deflectable lock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7